KR20150076858A -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858A
KR20150076858A KR1020130165519A KR20130165519A KR20150076858A KR 20150076858 A KR20150076858 A KR 20150076858A KR 1020130165519 A KR1020130165519 A KR 1020130165519A KR 20130165519 A KR20130165519 A KR 20130165519A KR 20150076858 A KR20150076858 A KR 2015007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water
component
solid stick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590B1 (ko
Inventor
윤태호
김동명
이진성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5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보습성분과 계면활성제가 다공성 분체에 담지된 수상 복합성분(A) 0.001 내지 40 중량% 및 왁스 복합물과 에몰리언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상 복합성분(B) 60 내지 99.995 중량%가 유화되어, 상기 수상 복합성분(A)의 최대 40중량%가 안정적으로 배합되므로, 종래 유성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서 느낄 수 없는 촉촉한 수분감과 산뜻한 텍스쳐를 개발하고, 끈적임으로 인한 다음 화장에서의 메이크업 뭉침 및 화장 지속력 저하가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SOLID STICK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WATER-SOLUBLE MOISTURIZER}
본 발명은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보습성분을 계면활성제와 1차 에멀젼시켜 다공성 분체에 담지된 수상 복합성분(A)이 왁스 복합물과 에몰리언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상 복합성분(B)에 유화되어, 상기 수상 복합성분(A)의 최대 40중량%가 안정적으로 배합되므로, 종래 유성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서 느낄 수 없는 촉촉한 수분감과 산뜻한 텍스쳐를 개발하고, 끈적임으로 인한 다음 화장에서의 메이크업 뭉침 및 화장 지속력 저하가 개선된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제품의 특성상 왁스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성형시 왁스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성형을 하게 되는데, 이때 높은 온도는 내용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스틱상의 고형 화장료로는 대부분 물을 포함하지 않고 유상과 안료로 이루어진 유성타입(suspension) 제품이 많다.
그러나 유성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고온 성형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반면, 수상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피부에 도포시 촉촉한 감이 없으며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많은 화장으로 부자연스러운 메이크업이 형성된다. 또한, 겨울철 영하 온도에 의한 오일 유동성 저하로 인해 발림성 좋지 않고 왁스 성분의 피부 표면 경화로 인한 피부 주름 도드라짐과 같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물을 함께 사용하는 고형의 유중수형 에멀젼 타입 제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고형의 에멀젼 타입 제품들은 대부분 안료를 10% 이상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안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고온에서 내용물 성형시 유상과 수상의 안정성이 떨어져 물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안료의 사용이 많으면 고온에서의 성형 안정성 향상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피부 도포시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을 증가시켜 발림성이 떨어지고 촉촉한 감도 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됨으로써 안료의 사용없이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2932호, 제2001-0110123호 및 제2006-002387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형의 유중수형 에멀젼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모두 안료를 10% 이상 함유하고 있어 안료에 의한 발림성이나 촉촉함, 사용감 등이 떨어지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특허 제789345호에서는 고온 성형에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양의 무기겔화제만으로도 고온 성형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도포시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이 없어 촉촉한 보습효과와 함께 산뜻한 사용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 환경변화에 따라 건조함에 노출된 여성들의 요구에 의해 보습화장품 시장이 날로 확대될 전망에 맞추어, 촉촉한 보습효과와 함께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는 수상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제품개발이 더욱 요구된다.
좋은 보습제라 하는 것은 적절한 흡습력을 가지고, 장기간 보습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그 흡습력이 지속 유지되어야 하며 주위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흡습력이 실제 피부의 보습에 도움을 주어야 하며, 가능한 한 휘발성이 없어야 하고, 배합되는 화장품의 다른 성분과 공존성이 있고, 점도(끈적임)가 적당하고 사용감촉이 좋아야 하며 피부 친화성이 좋아야 한다.
이러한 특징 말고도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어야 하며 다른 성분과 반응하지 않아야 하고 가능한 한 무색, 무취, 무미하여야 한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보습제로는 글리세린이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보습제이며, 저렴한 단가의 이유로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글리세린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끈적이는 사용감 때문에 과량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21766호에서는 글리세린, EDTA2나트륨, 아산지역 온천수, 메틸 파라벤, 카보머의 혼합으로 조성된 수상조성물(A)과, 세트아르 알코올,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산, 마카다미아 오일, 유화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프로필파라벤, 스테아르산, 디메치콘(Dimethicone)의 혼합으로 조성된 유상조성물(B)과, 트리에탄올아민인 중화제(C)의 혼합으로 조성된 피부보습효과가 우수한 액정형 크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액정형 크림에서는 글리세린 보습제 성분이 7∼9중량% 수준으로 함유함으로써,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촉촉한 보습효과와 함께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미흡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서로 섞이지 않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에서 경도의 불안정성, 온도에 의한 분리현상으로 품질 저하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복합화에 대한 연구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촉촉한 보습효과와 함께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꾸준히 노력한 결과, 수용성 보습성분이 다공성 분체에 담지된 수상 복합성분(A)이 스폰지 성상의 결정을 형성하는 왁스 복합물이 배합된 유상 복합성분(B)에 유화되어 그물구조 성상에 안정화됨으로써, 제형의 불안정성과 끈적이고 무거운 사용감을 개선하면서 고함량의 수용성 보습성분 함유로 인하여 사용시 발림성이 우수하고 촉촉하며 산뜻하게 마무리되는 사용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수상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성 보습성분이 담지된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수상 복합성분(A)이 왁스와 에몰리언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상 복합성분(B)에 최적 비율로 배합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성 보습성분과 계면활성제가 담지된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수상 복합성분(A) 0.001 내지 40 중량% 및 왁스 복합물과 에몰리언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상 복합성분(B) 60 내지 99.995 중량%가 유화된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상 복합성분(A)이 수용성 보습성분 0.001 내지 35 중량% 및 계면활성제 0.001 내지 3.5 중량%의 에멀젼이 다공성 분체 0.001 내지 2.5 중량%에 담지된 것으로서, 상기 수용성 보습성분의 바람직한 일례는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10 및 에틸헥셀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글리세롤류;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류;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가 동일중량비율로 혼합된 형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수상 복합성분(A)에서의 다공성 분체는 실리카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 혼합형태가 사용되며, 상기 다공성 분체의 흡유량이 200∼300 cc/100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 복합성분(B)에 왁스 복합물은 검양옻나무열매왁스, 라놀린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비즈왁스, 스펜트그레인왁스, 쌀겨왁스, 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프로폴리스왁스, 합성비즈왁스, 합성왁스, 디메치콘올비즈왁스, 디메치콘피이지-8비즈왁스, 라벤더꽃왁스, 라즈베리잎왁스, 말리화꽃왁스, 몬탄왁스, 미모사꽃왁스, 베이베리열매왁스, 비스-피이지-12디메치콘비즈왁스, 비터오렌지꽃왁스, 사과껍질왁스, 센티드제라늄왁스, 소르베스-20비즈왁스, 소르베스-6비즈왁스, 쉘락왁스, 영실꽃왁스, 오렌지껍질왁스, 입술연지수선꽃왁스, 쟈스민꽃왁스, 폴리글리세릴-3비즈왁스, 피이지-6비즈왁스, 피이지-8비즈왁스 및 호호바씨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이상의 혼합 형태가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라,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수상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유성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서 느낄 수 없는 촉촉한 수분감과 산뜻한 텍스쳐를 개발하고, 끈적임으로 인한 다음 화장에서의 메이크업 뭉침 및 화장 지속력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의 수상 복합성분(A) 중 다공성 분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된 제품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절단강도 및 침입도에 대한 물성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용성 보습성분과 계면활성제가 담지된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수상 복합성분(A) 0.005 내지 40 중량% 및 왁스 복합물과 에몰리언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상 복합성분(B) 60 내지 99.995 중량%가 유화된 수상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 복합성분(A)은 수용성 보습성분 0.001 내지 35 중량% 및 계면활성제 0.001 내지 3.5 중량%가 다공성 분체 0.001 내지 2.5 중량%에 담지된 에멀젼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에서 수용성 보습성분은 사용시 촉촉한 수분감을 크게 높여주는 조성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가 알코올인 글리세롤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수용성 보습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일례로는 상기 글리세롤 이외,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10 및 에틸헥셀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글리세롤류;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류;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상 복합성분(A)은 최대 40중량%까지 배합가능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보습성분이 0.001 내지 35 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수용성 보습성분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 효과가 미미하고, 35 중량%를 초과하면, 경도를 형성해주는 유상 복합성분의 배합량이 줄어 최적의 사용감과 안정한 제형 특성을 갖추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분체를 이용함으로써, 수상과 유상의 분리없이 우수한 성형성으로 수용성 보습성분를 고함유로 함유할 수 있다. 이에 수용성 보습성분으로부터 발림성이 산뜻하고 촉촉한 사용감을 제품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 복합성분(A)에서의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올리베이트/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복합성분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1:1 동일중량비율로 혼합된 형태가 사용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함량은 0.001 내지 3.5 중량%이다. 이때, 계면활성제 함량이 0.001% 미만이면, 유화력이 좋지 않아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의 분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3.5 중량%를 초과 사용하면, 제형의 안정성 변화에 큰 영향이 없다.
본 발명의 수상 복합성분(A)은 상기 수용성 보습성분과 계면활성제를 다공성 분체에 담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 유중수형 제품들의 경우, 유상과 수상으로 분리가 발생되어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고, 콤팩트 타입의 화장료와 달리 다량의 왁스를 이용하여야만 스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왁스에 의한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분체를 적용하게 되면 안정성은 향상되나 왁스와 분체간 계면 마찰이 크게 증가하여 촉촉하고 소프트한 사용감이 오히려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이상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공성 분체에 수용성 보습성분과 계면활성제를 담지시켜 수용성 보습성분이 고함유된 고형 스틱화장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다량의 왁스와 분체들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다공성 분체가 실온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도 안정한 성형 유지 효과를 구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상 복합성분(A)는 수상과 유상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특히 사용시 발림성이 우수하고 촉촉하며 산뜻하게 마무리되는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분체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친수 또는 친유성 계통의 구형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의 수상 복합성분(A) 중 다공성 분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분체는 구형이면서 거친 표면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분체의 흡유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체(50∼150cc/100g)와 비교하여 높은 흡유(200∼300 cc/100g)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0.001 내지 2.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공성 분체 2.5 중량%를 초과 사용하면, 수상 점증효과가 매우 높아져 유상 복합성분과의 유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다공성 내에 산소와 같은 기체를 포함하고 있어 유화 후 탈포시 다량의 기포 발생으로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 복합성분(B)은 스틱의 안정한 제형을 형성시켜 주고 수상성분을 담지하는 왁스류 및 유용성 보습성분이 함유된다.
즉, 유상 복합성분(B)은 왁스 복합물, 유성 에몰리언트 및 버터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왁스 복합물 성분으로는 스폰지 성상의 결정을 형성하는 마이크로 크리스탈 왁스 및 칸데릴라 왁스 복합물이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외 적용될 수 있는 왁스 성분은 이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왁스 성분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일례로는 검양옻나무열매왁스, 라놀린왁스, 비즈왁스, 스펜트그레인왁스, 쌀겨왁스, 카나우바왁스, 프로폴리스왁스, 합성비즈왁스, 합성왁스, 디메치콘올비즈왁스, 디메치콘피이지-8비즈왁스, 라벤더꽃왁스, 라즈베리잎왁스, 말리화꽃왁스, 몬탄왁스, 미모사꽃왁스, 베이베리열매왁스, 비스-피이지-12디메치콘비즈왁스, 비터오렌지꽃왁스, 사과껍질왁스, 센티드제라늄왁스, 소르베스-20비즈왁스, 소르베스-6비즈왁스, 쉘락왁스, 영실꽃왁스, 오렌지껍질왁스, 입술연지수선꽃왁스, 쟈스민꽃왁스, 폴리글리세릴-3비즈왁스, 피이지-6비즈왁스, 피이지-8비즈왁스, 호호바씨왁스, 세레신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크리스탈 왁스 및 칸데릴라 왁스 복합물 이외, 비즈왁스, 오조케라이트왁스를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며, 유상 복합성분(B)에 대하여 왁스 복합성분이 18 내지 3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1) 수용성 보습성분 0.001 내지 35 중량% 및 계면활성제 0.001 내지 3.5 중량%가 80 내지 85℃로 유지된 수상용해조에서 용해 후 교반되어 다공성 분체 0.001 내지 2.5 중량%에 담지된 수상 복합성분(A)를 형성하고,
2) 상기 수상 복합성분(A) 0.001∼40 중량%가 80 내지 85℃에서 용해된 유상 복합성분(B) 60 내지 99.995 중량%에 혼합하고 고속 유화기 (>1,500 rpm)로 유화하여 왁스의 그물구조 내에 수용성 보습성분을 안정적으로 유화되도록 한 수상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각 조성에 대한 설명은 상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수상 복합성분(A) 형성단계에서, 다공성 분체를 이용하여 수용성 보습성분을 최대 35중량%로 고함유시킴으로써, 수상과 유성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발림성이 산뜻하고 촉촉하게 마무리되는 사용감을 부여하도록 한다.
또한, 수상 복합성분(A) 형성단계로부터, 수용성 보습성분을 계면활성제와 1차 에멀젼시켜 다공성 분체에 담지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상 복합성분(B)의 왁스와 유성 에몰리언트제와의 호환성을 향상시켜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된 제품 사진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수용성 보습성분 함유로 인하여 사용시 발림성이 우수하고 촉촉하며 산뜻하게 마무리되는 사용감을 제공하므로, 공지의 스틱화장료가 적용될 수 있는 제형이라면, 특별한 한정없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3>
하기 표 1에 제시된 조성에 따라, 수상용해조에 다공성 분체(PMMA)를 함유하는 수상 성분을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때, 유상 성분들도 별도의 유상용해조에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유상 성분들의 가열 및 용해가 완료되는 대로, 바로 수상 성분을 투입하여 고속유화기(> 1500 rpm)상에서 10분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탈포 후, 내용물 80℃에서 40℃로 가열한 몰더에 성형하고, 상온에서 냉각하여,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4>
하기 표 1에 제시된 조성에 따라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 실험예 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전문 패널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1개월간 사용하도록 한 후, 제품사용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의 수용성 보습성분인 글리세롤과 계면활성제, 다공성 분체를 1.0: 1.0: 1.0 중량%로부터 그 함량을 87.5: 6.25: 6.25 중량%까지 변화시켜 최적의 배합 범위로 구성하여 제조한 조성물로서, 비교예 1의 경우, 전체 함량에 대비하여 수상 복합성분의 함량이 적어 오일에 의한 보습감은 우수하나, 수분감이 부족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반면에, 실시예 1에서 글리세롤 성분을 35 중량%, 계면활성제 2.5중량%로 유화 안정시켜 다공성 분체 2.5중량%에 담지시킴으로써 수분 복합 성분함량을 최대 40 중량%까지 증량시켰고, 이로 인해 수분감 및 보습지속력 향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및 3은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0.5중량%씩 늘려 실험한 결과로서, 계면활성제의 끈적이는 사용감 증가로 인해, 유분 보습감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수분감 및 보습지속력을 비롯하여 전 평가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글리세린 35 중량% 이하, 계면활성제 3.5 중량% 이하, 다공성 분체 2.5 중량% 이하로 조성될 경우, 우수한 품질의 제형으로 제조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내지 4는 글리세린 및 계면활성제 함량을 고정한 조건에서 다공성 분체를 2.6중량%, 2.8중량%, 3.0중량%로 각각 증가시켜 제조한 조성물로서, 수상성분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안정한 에멀젼 형성이 어렵고, 보습지속력이 감소된 평가 결과를 얻었다.
< 실험예 2>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스틱제형으로 샘플을 준비하고, 분석기기(FUDHO RHEO METER [Rheo Tech co.,ltd (일본)]를 이용하여 스틱제형의 절단강도 및 침입도 물성을 측정하였다.
도 3은 그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상 복합성분(A) 함량이 최소량으로 함유된 비교예 1의 결과대비, 수상 복합성분(A) 함량에 따라 절단강도 및 침입도가 낮게 관찰되었으나, 스틱제형을 통상 45도 각도로 입술에 적용할 때,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절단강도가 구현되었으며, 특히, 수직으로 제품을 적용한 경우, 눌림에 대한 내성(침입도)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수용성 보습성분 함유하면서도 스틱화장제형으로서 요구되는 제형안정성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성 보습성분을 계면활성제와 1차 에멀젼시켜 다공성 분체에 담지된 수상 복합성분(A)이 왁스 복합물과 에몰리언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상 복합성분(B)에 유화되어 그물구조 성상에 안정화됨으로써,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수상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수상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의 불안정성과 끈적이고 무거운 사용감을 개선하면서 고함량의 수용성 보습성분 함유로 인하여 사용시 발림성이 우수하고 촉촉하며 산뜻하게 마무리되는 사용감을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수용성 보습성분과 계면활성제가 다공성 분체에 담지된 수상 복합성분(A) 0.001 내지 40 중량% 및 왁스 복합물과 에몰리언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상 복합성분(B) 60 내지 99.995 중량%가 유화된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상 복합성분(A)이 수용성 보습성분 0.001 내지 35 중량% 및 계면활성제 0.001 내지 3.5 중량%가 다공성 분체 0.001 내지 2.5 중량%에 담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보습성분이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10 및 에틸헥셀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글리세롤류;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류;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가 동일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분체가 실리카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분체의 흡유량이 200∼300 cc/1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복합성분(B)에 왁스 복합물이 검양옻나무열매왁스, 라놀린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비즈왁스, 스펜트그레인왁스, 쌀겨왁스, 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프로폴리스왁스, 합성비즈왁스, 합성왁스, 디메치콘올비즈왁스, 디메치콘피이지-8비즈왁스, 라벤더꽃왁스, 라즈베리잎왁스, 말리화꽃왁스, 몬탄왁스, 미모사꽃왁스, 베이베리열매왁스, 비스-피이지-12디메치콘비즈왁스, 비터오렌지꽃왁스, 사과껍질왁스, 센티드제라늄왁스, 소르베스-20비즈왁스, 소르베스-6비즈왁스, 쉘락왁스, 영실꽃왁스, 오렌지껍질왁스, 입술연지수선꽃왁스, 쟈스민꽃왁스, 폴리글리세릴-3비즈왁스, 피이지-6비즈왁스, 피이지-8비즈왁스 및 호호바씨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이상의 혼합 형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65519A 2013-12-27 2013-12-27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KR10154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519A KR101549590B1 (ko) 2013-12-27 2013-12-27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519A KR101549590B1 (ko) 2013-12-27 2013-12-27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858A true KR20150076858A (ko) 2015-07-07
KR101549590B1 KR101549590B1 (ko) 2015-09-03

Family

ID=5378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519A KR101549590B1 (ko) 2013-12-27 2013-12-27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5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31A1 (ko) * 2016-11-11 2018-05-17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23455A (ko) * 2017-08-29 2019-03-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40352A1 (ko) * 2018-08-24 2020-02-27 장윤희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WO2020040436A1 (ko) * 2018-08-23 2020-02-27 주식회사 매스컨 고체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857074B2 (en) 2016-11-11 2020-12-08 Kolmar Korea Co., Ltd. Method for preparing stick-type cosmetic composition
KR102356650B1 (ko) * 2021-07-07 2022-02-09 주식회사 엔에프씨 코어쉘 구조를 갖는 납상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124B1 (ko) 2019-03-12 2020-09-29 주식회사 인터코스코리아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45B1 (ko) * 2006-08-21 2007-1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KR100811462B1 (ko) 2006-11-20 2008-03-07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31A1 (ko) * 2016-11-11 2018-05-17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10857074B2 (en) 2016-11-11 2020-12-08 Kolmar Korea Co., Ltd. Method for preparing stick-type cosmetic composition
KR20190023455A (ko) * 2017-08-29 2019-03-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40436A1 (ko) * 2018-08-23 2020-02-27 주식회사 매스컨 고체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2616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매스컨 고체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040352A1 (ko) * 2018-08-24 2020-02-27 장윤희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2878A (ko) * 2018-08-24 2020-03-04 장윤희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356650B1 (ko) * 2021-07-07 2022-02-09 주식회사 엔에프씨 코어쉘 구조를 갖는 납상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590B1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590B1 (ko)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US20220110841A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KR101211318B1 (ko) 입술용 화장료
TWI740887B (zh) 唇用化妝品組成物
CN110381915B (zh) 辛基十二醇和氢化油菜籽油组成的脂质混合物
JP2008100975A (ja) 油性固形化粧料
JPH0532363B2 (ko)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733678B (zh) 包含水溶性聚合物的油包水型唇部化妝品組合物
KR101773523B1 (ko)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468523A1 (en) Hydrating lip balm composition
CN111110622A (zh) 稳定硅粉体的不含表面活性剂的水包油型化妆品组合物
JP7239648B2 (ja) ワックス調製物の製造方法
KR20140110400A (ko)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614380B1 (ko) 겔화제를 이용한 유중수 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99157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334551B1 (ko) 무수 투명 에센스 및 파운데이션이 충진된 팩트형 화장료 조성물
WO2007084972A1 (en) Topical preparations comprising flower wax and candelilla
KR20050060328A (ko)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20210049611A (ko) 유중수형 유화베이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H09208439A (ja) 化粧料
JP2972345B2 (ja) 水中油型化粧料用組成物
KR20130094478A (ko) 왁스 레진 베이스를 포함하는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6856A (ko) 수용성 보습성분을 함유한 입술 화장료용 실리카 베이스,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290A (ko)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