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082A - 캐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캐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082A
KR20150076082A KR1020140177339A KR20140177339A KR20150076082A KR 20150076082 A KR20150076082 A KR 20150076082A KR 1020140177339 A KR1020140177339 A KR 1020140177339A KR 20140177339 A KR20140177339 A KR 20140177339A KR 20150076082 A KR20150076082 A KR 2015007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ide wall
shaft
case bod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와 엠텍 가부시키가이샤
고와 기카이 세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9954A external-priority patent/JP554733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26987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8754B2/ja
Application filed by 고와 엠텍 가부시키가이샤, 고와 기카이 세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와 엠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45C5/045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with immobilising means, e.g. means for blocking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8Rigid or semi-rigid luggage of round or oval shape
    • A45C2005/10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5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adjustable in rotation to a tow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7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slidable, extractable and lockable in one or more positio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폭 방향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캐리 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때 파지되는 파지부와, 파지부를 선단에 설치한 지지부와,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때 노면에 접촉하여 전동하는 캐스터를 구비하고, 케이스 본체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형 판형의 일측벽, 일측벽에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타측벽, 일측벽 및 타측벽의 에지부에서 두께 방향에 이르는 판 프레임형의 프레임벽을 구비하고, 지지부의 기단은, 케이스 본체의 일측벽 및 타측벽 중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 대하여, 케이스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른 축체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지지부의 기단을 축체 주위에 유지 및 해제하는 유지 해제 기구부가 설치되고, 유지 해제 기구부에 의한 지지부의 기단의 유지 및 해제의 조작이, 조작부에 의해 행해진다.

Description

캐리 케이스{CARRY CASE}
본원은, 일본 특허 제5547333호 및 특원 제2014―22698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행 시 등에 있어서 의류 등의 하물을 수용하여 운반하기 위한 캐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캐리 케이스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캐리 케이스는,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두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를 이동 등 시킬 때 파지(把持)하는 파지부와, 케이스 본체에 기단부(基端部)가 가동부(可動部)를 통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는 지지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는 케이스 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지지부는 전후 방향을 따른 가로축 주위로, 회동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캐리 케이스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지지부를 가로축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춘 위치에 파지부를 위치시켜 파지하여, 캐리 케이스를 이동시키기 쉽게 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7―8435호 공보
상기 종래의 캐리 케이스는, 캐리 케이스를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지지부를 전후 방향을 따른 가로축 주위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춘 위치에 파지부를 위치시킨다. 그러나, 특히, 캐리 케이스를 두께 방향이 아니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지지부를 전후 방향을 따른 가로축 주위로 회동시켜도, 파지부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춘 위치에 위치시킬 수는 없다. 그러므로, 캐리 케이스는 이동시키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특히, 폭 방향에서의 이동을 시키기 쉬운 캐리 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때 파지되는 파지부와, 파지부를 선단에 설치한 지지부와,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때 노면에 접촉하여 전동(轉動)하는 캐스터를 구비하고, 케이스 본체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형 판형의 일측벽, 일측벽에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타측벽, 일측벽 및 타측벽의 에지부로 두께 방향에 이르는 판 프레임형의 프레임벽을 구비하고, 지지부의 기단(基端)은, 케이스 본체의 일측벽 및 타측벽 중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 대하여, 케이스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른 축체(軸體)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지지부의 기단을 축체 주위에 유지 및 해제하는 유지 해제 기구부가 설치되고, 유지 해제 기구부에 의한 지지부의 기단의 유지 및 해제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에서는, 조작부가 파지부에 설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캐리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회동부(回動部) 및 가로 축체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동 유지 해제 기구부를 주로 나타낸 배면측으로부터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6은 동 캐리 케이스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캐리 케이스의 전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7의 (a)는 정면도, 도 7의 (b)는 측면도, 도 7의 (c)는 배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동 평면도로서, 도 8의 (a)는 사용 자세, 도 8의 (b)는 수납 자세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동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동 확대 평면도이며, 록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동 확대 평면도이며, 록 상태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동 수납 자세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동 사용 자세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4는 동 주요부 확대 측면도로서, 도 14의 (a)는 록 상태, 도 14의 (b)는 록 상태를 해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동 유지 기구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6은 동 유지 기구부의 개략 측면도로서, 도 16의 (a)는 록 상태, 도 16의 (b)는 록 상태를 해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캐리 케이스의 전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캐리 케이스의, 유지 해제 기구부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18의 (a)는 록 상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b)는 록 상태를 해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동 캐리 케이스의 유지 해제 기구부의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0은 동 캐리 케이스에 있어서, 지지부 및 파지부의 수납 자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동 캐리 케이스에 있어서, 지지부 및 파지부의 사용 자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캐리 케이스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 케이스(1)는, 중공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2)와, 케이스 본체(2)를 이동시킬 때 파지되는 이동용 파지부(3)와, 이동용 파지부(3)를 선단에 설치한 지지부(4)와, 케이스 본체(2)를 이동시킬 때 노면(5)에 접촉하여 전동하는 캐스터(6)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2)는, 상하 방향(X), 및 전후 방향(Y)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형 판형의 일측벽(7), 일측벽(7)에 케이스 본체(2)의 두께 방향(Z)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타측벽(8), 일측벽(7) 및 타측벽(8)의 에지부로 케이스 본체(2)의 두께 방향(Z)에 이르는 판 프레임형의 프레임벽(9)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X)이란, 사용자(H)의 기립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전후 방향(Y)이란, 캐리 케이스(1)의 사용자(H)(도 6 참조)가, 캐리 케이스(1)를 자신의 측방에 위치시켜 이동시킬 때, 사용자(H)의 전진, 후퇴에 따른 방향이다. 두께 방향(Z)이란, 일측벽(7)과 타측벽(8)이 대향하는 방향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벽(7)은, 프레임벽(9)에, 예를 들면, 슬라이드·파스너(10)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벽(9) 중 상벽면에는, 손잡이(11)가 고정되어 있다. 캐스터(6)는 프레임벽(9) 중, 하벽면의 4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벽(9) 중 전후의 벽면에는, 각각 2조의 슬립(slip) 부재(12)가, 상하 방향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슬립 부재(12)는, 자체 윤활성이 있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슬립 부재(12)는, 캐리 케이스(1)의 전후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단면(斷面)이 원호형(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벽면을 노면(5)(계단을 포함함) 측으로 하여, 즉 벽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킬 때, 캐리 케이스(1)를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캐리 케이스(1)(벽면)를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슬립 부재(12)는, 프로텍터, 또는 프로텍트 바라고도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 케이스(1)는, 회동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부(13)는, 상기 지지부(4), 이동용 파지부(3), 및 회동용(回動用) 원반체(圓盤體)(14)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부(13)[지지부(4)의 기단]는, 케이스 본체(2)의 일측벽(7) 및 타측벽(8) 중, 타측벽(8)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와 이동용 파지부(3)는 연결되어 있고, 문형(門型)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용 파지부(3)의 수직 방향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며, 이동용 파지부(3)는 중공(中空)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의 수평 방향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며, 지지부(4)는 중공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용 파지부(3) 및 지지부(4)의 내부 공간은 연통되어 있다. 지지부(4) 및 이동용 파지부(3)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이다.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한 쌍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4)의 상단에, 이동용 파지부(3)가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4)와 이동용 파지부(3)는 동일 평면 내에 있어, 이들 길이 방향 축선끼리는, 서로 직교한다. 그리고, 지지부(4)는 텔레스코픽(telescopic)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신축 기구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용 원반체(14)는, 지지부(4)의 기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용 원반체(14)는, 지지부(4)를, 두께 방향(Z)을 따르는 축심(軸心)(15)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 회동용 원반체(14)는, 후술하는 유지 해제 기구부(16)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부에, 베어링(17)(예를 들면, 슬라이딩 베어링이 사용되는)을 통하여 축심(15)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그리고, 축심(15)은, 타측벽(8)의 외측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 대략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 중심부보다 아래쪽 가까이에 있다. 회동용 원반체(14)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이다.
캐리 케이스(1)는, 상기 유지 해제 기구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해제 기구부(16)는, 지지부(4)의 기단[회동용 원반체(14)]을, 축심(15) 주위에 유지 및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 해제 기구부(16)는, 상기 고정부인 원반형의 가로 축체(축체에 상당함)(18)와, 조작봉(19)과, 조작봉(19)을 이동시키도록 조작하는[유지 해제 기구부(16)에 의한 지지부(4)의 기단의 유지 및 해제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20)와, 조작봉(19)의 이동에 의해 후술하는 유지용 구멍(21)에 대하여 출퇴(出退)하는 출퇴 부재(22)를 구비한 출퇴 기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가로 축체(18)는, 편평한 원반형 부분(24)과, 원반형 부분(24)의 중심으로부터 두께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편평한 원기둥형의 축부(軸部)(25)를 구비한다. 가로 축체(18)의 중심은, 축심(15)에 일치하도록 타측벽(8)의 외측면에 볼트(26)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로 축체(18)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테플론계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유지용 구멍(21)은, 원반형 부분(24)의 외주측의 표면의 전역에 걸쳐, 주위 방향 등간격(等間隔)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용 구멍(21)은 원반형 부분(24)을 관통하고 있어도 되고,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용 구멍(21)은 원반형 부분(24)을, 두께 방향(Z)으로 관통하고 있고, 유지용 구멍(21)은 24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용 구멍(21)은 24개 형성되어 있지만, 회동부(13)를, 소정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Y)으로 경사 이동(회동)할 수 있으면, 25개 이상이라도 되고, 23개 이하라도 된다.
조작봉(19)은, 이동용 파지부(3) 및 지지부(4)의 내부 공간의 대략 전역에 걸쳐 내장되어 있고, 이동용 파지부(3)에 내장된 가로 로드(rod)(27)와, 가로 로드(27)의 전후 각각의 단부(端部)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된 세로 로드(28)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동용 파지부(3)의 전후 방향 중간부의 상면에는 개구(29)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H)가 가로 로드(27)를 아래쪽으로 압압(押壓)하기 위한 상기 조작부(20)가, 가로 로드(27)에 일체로 형성되고, 조작부(20)는 개구(29)에 노출되어 있다. 즉 조작부(20)는, 이동용 파지부(3)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세로 로드(28)의 하단부에, 출퇴 기구부(23)의 출퇴 부재(22)를 직접적으로 압압 조작하는 압압 부재(30)가 장착되어 있다. 압압 부재(30)는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각기둥형(角柱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압압용 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압 부재(30)의 상부에는, 압압 부재(30)의 상하 방향(이 경우, 아래쪽)으로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칼라형(collar type)의 제한 부재(32)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용 경사면(31)의 경사 방향은, 두께 방향(Z)에서의 한쪽인 원반형 부분(24) 측이, 두께 방향(Z)에서의 다른 쪽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되어 있다.
출퇴 기구부(23)의 기본적 구성은, 지지부(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출퇴 기구부(23)는, 두께 방향(Z)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외부 캐비닛(33)과, 외부 캐비닛(33)에 두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 출퇴 부재(22)와, 출퇴 부재(22)를 두께 방향(Z)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세로 로드(28)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4)을 구비한다.
외부 캐비닛(33)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지지부(4) 내의 두께 방향(Z)에 이르도록 지지부(4) 내에 고정되고, 두께 방향(Z)의 대략 중심의 상부에, 제한 부재(32)를 접촉시킬 수 있는 스토퍼(33a)가 위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3a)는, 예를 들면, 각통형(角筒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압압 부재(30)가 상하 방향(X)으로 안내되도록, 상시적으로 내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출퇴 부재(22)는 그 선단[두께 방향(Z)에서의 한쪽인 원반형 부분(24) 측]에, 유지용 구멍(21)에 출퇴(삽입 및 인출) 가능한 볼록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부(4)에는, 볼록부(36)를 삽통하는 삽통공(揷通孔)(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퇴 부재(22)에는, 압압 부재(30)에서의 압압용 경사면(31)의 하부를 포함한 일부가 들어가 있다. 이 일부는, 외부 캐비닛(33) 상벽의 내면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30a)로서 구성된다. 출퇴 부재(22)는 그 기단부에, 압압용 경사면(31)이 상시적으로 맞닿는 피조작부(38)를 구비하고 있다. 피조작부(38)에 있어서 압압용 경사면(31)과 접촉하는 면은, 압압용 경사면(31)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4)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이며, 외부 캐비닛(33)의 내부에 있어, 출퇴 부재(22)를 원반형 부분(24) 측으로 가압하도록, 출퇴 부재(22)에 대하여, 두께 방향(Z)에서의 다른 쪽에 배치되어 있다. 출퇴 부재(22)에는, 스프링(34)의 축심 방향을 따라 삽통하는 안내 로드(39)가 형성되고, 외부 캐비닛(33)의 타측벽에, 안내 로드(39)의 다른 쪽 부를 삽입 가능한 안내공(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캐리 케이스(1)에 있어서, 출퇴 기구부(23)의 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출퇴 부재(22)는 두께 방향(Z)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로써, 볼록부(36)가 유지용 구멍(21) 내로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지지부(4) 내에 각각 설치한 출퇴 기구부(23)의 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출퇴 부재(22)는 두께 방향(Z)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로써, 볼록부(36)가 가장 이격된 유지용 구멍(21) 내로 돌출되어 있다. 즉, 회동부(13)는, 축심(15)에는 비회전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회동부(13)가 축심(15)에 비회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출퇴 부재(22)가 두께 방향(Z)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피조작부(38)가 걸림부(30a)를 두께 방향(Z)으로 압압하고 있고, 피조작부(38)과 걸림부(30a)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끼리 접촉되고 있다. 이로부터, 압압 부재(30)는 위쪽으로 가압되어 걸림부(30a)가 외부 캐비닛(33) 상벽의 내면에 걸려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제한 부재(32)는, 스토퍼(33a)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동부(13)의 유지 상태로부터, 회동부(13)를 축심(15) 주위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H)는, 조작부(20)를 스프링(34)의 탄성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압압한다. 조작부(20)가 아래쪽으로 압압되어 이동함으로써, 그만큼 가로 로드(27) 및 세로 로드(28)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특히, 세로 로드(28)가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걸림부(30a)가 피조작부(38)를, 경사면을 통하여 두께 방향(Z)의 다른 쪽으로 압압하고, 스프링(34)이 감소한다. 이로써, 출퇴 부재(22)가 두께 방향(Z)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볼록부(36)가 유지용 구멍(21)으로부터 빠진다. 그리고, 안내 로드(39)의 일부가, 안내공(40)에 들어간다.
볼록부(36)가 유지용 구멍(21)으로부터 빠지면, 회동부(13)의 축심(15) 주위의 회동이 프리로 된다. 거기서 사용자(H)는, 회동부(13)를 축심(15)에 대하여 기호의 각도[사용자(H)의 체형에 맞는 각도]로 회동시킨다. 이 경우, 가로 축체(18)는 타측벽(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동하지 않고, 회동부(13)의 회동용 원반체(14)가, 축부(25) 주위로 회동한다. 그리고, 사용자(H)가 조작부(20)의 압압을 해제하면, 스프링(34)이 탄성 복원하여, 출퇴 부재(22)가 두께 방향(Z)의 한쪽으로 이동하고, 사용자(H)의 기호의 각도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유지용 구멍(21)에 출퇴 부재(22)의 볼록부(36)가 삽입된다. 이로써, 회동부(13)의 축심(15) 주위의 위치가 유지된다(도 1의 가상선 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용 구멍(21)은, 원반형 부분(24)의 외주측의 표면의 전역에 걸쳐, 주위 방향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동부(13)는 축심(15) 주위로 360°회동 가능하다.
캐리 케이스(1)를 사용자(H)의 후방에서 당기거나, 사용자(H)의 측방으로 캐리 케이스(1)를 짝지어 운반하거나, 사용자(H)가 캐리 케이스(1)를 선행시켜 밀도록 하여 운반할 것인지는, 사용자(H)의 기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H)가 캐리 케이스(1)를 선행시켜 밀도록 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는, 도 1의 우측을 전방으로 하면, 도 1의 좌측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13)를 회동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어느 쪽으로 해도, 축심(15)은, 타측벽(8)의 외측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 대략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 중심부보다 아래쪽 가까이에 있다. 그러므로,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킬 때의 힘이 작용하는 위치를, 케이스 본체(2)의 아래쪽 가까이로 할 수 있어, 케이스 본체(2)의 이동을 안정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면(5)이 계단인 경우에, 도 6에 나타낸 오름 계단에서는, 사용자(H)는, 회동부(13)를 회동시켜 케이스 본체(2)를 계단의 코너부에서 미끄러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케이스 본체(2)에는 슬립 부재(12)가 프레임벽(9)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캐리 케이스(1)를 계단에 닿지 않도록 들어올려 운반할 필요가 없어, 캐리 케이스(1)를 편하게 이동시킨다.
도 6에 나타낸 내림 계단에서는, 회동부(13)를, 오름 계단의 경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케이스 본체(2)를 계단의 코너부에서 미끄러지도록 선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케이스 본체(2)에는 슬립 부재(12)가 프레임벽(9)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캐리 케이스(1)를 계단에 닿지 않도록 들어올려 운반할 필요가 없어, 캐리 케이스(1)를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중앙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평탄한 노면(5)에서는, 손잡이(11)를 파지하는 것으로도,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관한 캐리 케이스(1)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해제 기구부(16)로서, 볼록부(36)는 가장 이격된 2개의 유지용 구멍(21) 내로 돌출함으로써, 회동부(13)를 유지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지지부(4)의 전후 방향(Y)에서의 간격을 좁은, 가장 이격된 2개의 유지용 구멍(21)이 아닌 다른 2개의 유지용 구멍(21)에, 각각의 볼록부(36)가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회동부(13)를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가장 이격된 2개의 유지용 구멍(21)이 아닌 다른 2개의 유지용 구멍(21)은, 축심(15)보다 위쪽의 유지용 구멍(21)이라도, 아래쪽의 유지용 구멍(21)이라도 된다. 단,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킬 때의 힘이 작용하는 위치를, 케이스 본체(2)의 아래쪽 가까이로 하는 것이, 케이스 본체(2)의 이동을 안정된 상태로 행할 수 있으므로, 생각하면, 가장 이격된 2개의 유지용 구멍(21)이 아닌 다른 2개의 유지용 구멍(21)은, 축심(15)보다 아래쪽의 유지용 구멍(21)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캐리 케이스(1)에서는, 유지용 구멍(21)은 두께 방향(Z)을 따르도록 형성하고, 볼록부(36)가 유지용 구멍(21)에 두께 방향(Z)으로 출퇴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정부에 유지용 구멍을 축심(15)에 대하여 직경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하고, 볼록부를 유지용 구멍에, 축심(15)에 대한 직경 방향으로 출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해제 기구부(16)로서, 볼록부(36)와 유지용 구멍(21)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회동부(13)를 유지 해제하는 구성으로서는 볼록부(36)와 유지용 구멍(2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정부에 대한 회동부의 유지 해제는, 마찰력의 부여·해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기어끼리의 맞물림·해제를 사용하거나 하는 기구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축심(15)은, 타측벽(8)의 외측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 대략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 중심부보다 아래쪽 가까이에 배치함으로써,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킬 때의 힘이 작용하는 위치를, 케이스 본체(2)의 아래쪽 가까이로 하여, 케이스 본체(2)의 이동을 안정된 상태로 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축심(15)을 타측벽(8)의 외측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 대략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 중심부보다 위쪽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축심(15)이 상하 방향 중심부보다 아래쪽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편이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키기 쉬운지, 위쪽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편이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키기 쉬운지는, 캐리 케이스(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는,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때 파지되는 파지부와, 파지부를 선단에 설치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케이스 본체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일측벽, 일측벽에 대향하는 타측벽, 일측벽 및 타측벽의 에지부로 두께 방향에 이르는 프레임형의 프레임벽을 구비하고, 케이스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른 축체를 케이스 본체의 에지부에 구비하고, 지지부의 기단이 축체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캐리 케이스의 사용자는, 지지부를 축체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파지부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높이, 또는 각도로 되도록 조절하고, 파지부를 파지하여 케이스 본체를 그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사용한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에서는, 지지부의 기단을 축체 주위에 유지, 및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 해제 기구부가 설치되고, 유지 해제 기구부에 의한 지지부의 기단의 유지 및 해제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캐리 케이스의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유지 해제 기구부에 의해, 케이스 본체의 에지부에 구비한 축체 주위의 지지부의 유지를 해제한 상태에서, 지지부를 축체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파지부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높이, 또는 각도로 되도록 조절하고, 조작부를 조작하고, 유지 해제 기구부에 의해 축체 주위에 지지부를 유지하고, 파지부를 파지하여 케이스 본체를 그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사용한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에서는, 축체는, 케이스 본체의 전후 방향 한쪽에 배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사용자는 지지부를 케이스 본체의 전후 방향 한쪽에서 회동시켜, 파지부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높이로 되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에서는, 조작부가 파지부에 설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과 같이, 조작부가 파지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조작부의 조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에서는, 축체는, 케이스 본체의 상부에 있어서 두께 방향을 따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것을 아래쪽으로 압압, 또는 견인함으로써, 캐리 케이스를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에서는, 지지부의 기단은, 케이스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리 케이스의 이동시에,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두께 방향 양측 위치에 사용자의 힘이 기능하므로, 캐리 케이스가 안정되어, 캐리 케이스를 안정시킨 상태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에서는, 일측벽 및 타측벽의 벽면 중, 적어도 한쪽이,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의 기단이 케이스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케이스 본체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16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캐리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캐리 케이스(1)는, 중공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2)와, 케이스 본체(2)를 이동시킬 때 파지되는 이동용 파지부(3)와, 이동용 파지부(3)를 선단에 설치한 지지부(4)와, 지지부(4)의 기단을 축체(59) 주위에 유지 및 해제하는 유지 해제 기구부(16)와, 케이스 본체(2)를 이동시킬 때 노면(5)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캐스터(6)를 구비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는, 상하 방향(X), 및 전후 방향(Y)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형 판형의 일측벽(7), 일측벽(7)에 케이스 본체(2)의 두께 방향(Z)으로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타측벽(8), 일측벽(7) 및 타측벽(8)의 에지부에서 케이스 본체(2)의 두께 방향(Z)에 이르는 판 프레임형의 프레임벽(9)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에지부란,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본체(2)의 변부(邊部)(직육면체 형상의 변에 상당하는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X)이란, 사용자(H)의 기립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전후 방향(Y)이란, 캐리 케이스(1)의 사용자(H)가, 캐리 케이스(1)를 자신의 측방 등에 위치시켜 이동시킬 때, 사용자(H)의 전진, 후퇴에 따른 방향이다. 두께 방향(Z)이란, 일측벽(7)과 타측벽(8)이 대향하는 방향이다(도 7 참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벽(7)의 벽면은, 개폐 수단인 슬라이드·파스너(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벽(9) 중 상벽면에는, 케이스 본체(2)의 오르내림이나, 단거리의 이동 등에 사용되는 손잡이(11)가 고정되어 있다. 캐스터(6)는 소경(小徑) 캐스터(61), 대경(大徑) 캐스터(62)로 이루어진다. 소경 캐스터(61)는 프레임벽(9) 중 하벽면에, 두께 방향(Z)에 이격된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대경 캐스터(62)는, 일측벽(7)과 타측벽(8)의 하단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코너부란,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본체(2)의 8개의 코너부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벽(9) 중 전후의 벽면에는, 각각 2조의 슬립 부재(12)가, 상하 방향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슬립 부재(12)는, 자체 윤활성이 있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립 부재(12)는, 캐리 케이스(1)의 전후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단면이 원호형(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립 부재(12)는, 상기 벽면을 노면(5)(계단을 포함함) 측으로 하여, 즉 벽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킬 때, 캐리 케이스(1)를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캐리 케이스(1)(벽면)를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슬립 부재(12)는, 프로텍터, 또는 슬라이딩 바 등이라고도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는 두께 방향(Z)으로 평행한 2개의 로드형(rod type) 부재(41)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형 부재(41)는 절곡되지 않고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드형 부재(41)는, 케이스 본체(2)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약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동용 파지부(3)는, 로드형 부재(41)의 선단 사이에 걸치도록 하여 로드형 부재(4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로드형 부재(41)와 이동용 파지부(3)는 동일 평면 내에 있어, 이들 길이 방향 축선끼리는, 서로 직교하고 있다. 이동용 파지부(3)에 있어서,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직사각형이며, 이동용 파지부(3)는 중공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드형 부재(4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직사각형이며, 로드형 부재(41)는 중공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용 파지부(3) 및 로드형 부재(41)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로드형 부재(41) 및 이동용 파지부(3)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이다. 그리고, 로드형 부재(4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이라도 된다.
지지부(4) 및 이동용 파지부(3)는, 케이스 본체(2)의 프레임벽(9) 중 상벽면을 따르도록 넘어진 수납 자세(I)와, 수납 자세(I)로부터 지지부(4)의 기단을 중심으로 일으켜진 사용 자세(U)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4)의 기단은, 후술하는 피조작체(60)에 고정되어 있다(도 7 참조).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해제 기구부(16)는, 유지 기구부(57)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 기구부(57)의 록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기구부(58)를 구비한다. 유지 기구부(57)는 한 쌍으로 설치되고, 각각 일측벽(7) 및 타측벽(8)의 상부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의 상부 코너부는, 일측벽(7) 및 타측벽(8)의 후단(後端)의 상부 코너부이다. 각각의 지지부(4)의 기단이 각각의 유지 기구부(57)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유지 기구부(57)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한쪽의 유지 기구부(57)(일측벽(7)에 설치된 유지 기구부(57)와, 다른 쪽의 유지 기구부(57)[타측벽(8)에 설치된 유지 기구부(57)]의 설명을 겸용한다. 도 10 내지 도 16, 특히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일측벽(7)에 설치된 유지 기구부(57)의 구성을 설명한다.
유지 기구부(57)는, 판형의 고정 부재(63)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63)는, 일측벽(7)의 코너부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나사(63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63)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기구부(57)는 축체(59)를 구비한다. 축체(59)는, 고정 부재(63)의 직경 방향의 중심에 형성된 축공(軸孔)(도시하지 않음)에 관통 지지되어, 상기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체(59)는, 일측벽(7)의 코너부인 일측벽 면부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되어 있다. 즉, 축체(59)의 축심은 두께 방향(Z)을 따르고 있다.
유지 기구부(57)는, 축체(59)의 외주부에 고정된[또는, 축체(59)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된] 캠 부재(64)를 구비한다. 캠 부재(64)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놓여진 복수의 캠편(65)이 형성되어 있다. 캠편(65)은, 그 주위면을 주위 방향 한쪽으로부터 주위 방향 다른 쪽을 향해 대경으로 되도록 직경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편(65)은 복수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캠편(65)은, 주위 방향 한쪽 단인 최소 직경단(直徑端)(65a)과 주위 방향 다른 쪽인 최대 직경단(65b)과, 최소 직경단(65a)으로부터 최대 직경단(65b)을 향해 만곡되면서 순차적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만곡 주위면(65c)을 구비하고 있다.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캠편(65)끼리는, 최소 직경단(65a)과 최대 직경단(65b)을 연결하는 단차(step)가 형성된 면(65d)을 통하여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캠편(65)끼리는,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고 있어도,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유지 기구부(57)는, 캠 부재(64)에 대하여 소정의 직경 방향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원통 부재(66)를 구비한다. 원통 부재(66)는 고정 부재(63)와 동심(同心)이며, 고정 부재(63)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기구부(57)는, 직경 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67), 및 동일 직경의 전동체(轉動體)(68)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슈(67) 및 전동체(68)는, 원통 부재(66)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브레이크 슈(67), 전동체(68)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체(68)는 롤러이며, 전동체(68)의 수는 캠편(65)의 수에 일치하고 있다. 전동체(68)는, 유지기(69)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전동체(68)는, 유지기(69)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일정한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다. 유지기(69)는, 전동체(68)를 직경 방향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기(69)는, 예를 들면, 고정 부재(63)의 판면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전동체(68)는, 캠 부재(64)의 회동에 의해, 캠편(65)의 만곡 주위면(65c)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전동체(68)는, 캠 부재(64)의 회동에 따른 캠편(65)의 만곡 주위면(65c)의 이동에 따라, 직경 방향 내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브레이크 슈(67)는, 원호 환형(環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브레이크 슈(67)는, 전동체(68)와 원통 부재(66)의 내주면(66a)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 슈(67)는,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 설치되어 있다. 1개의 브레이크 슈(67)의 내주면(67a)은, 2개의 전동체(68)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동체(68)가 최소 직경단(65a) 측에 있으면[도 16의 (b) 참조], 브레이크 슈(67)의 외주면(67b)과 원통 부재(66)의 내주면(66a)과의 사이에 간극(70)이 생기고 있다. 전동체(68)가 최대 직경단(65b) 측에 있으면[도 16의 (a) 참조], 간극(70)이 없어져, 브레이크 슈(67)의 외주면(67b)과 원통 부재(66)의 내주면(66a)이 압접(壓接)한다. 각각의 브레이크 슈(67)의 내주면(67a)에서의 주위 방향 중심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해지는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다(도 15 참조).
유지 기구부(57)는, 각각의 브레이크 슈(67)를 직경 방향 내외로 안내하는 안내체(72)를 구비한다. 안내체(72)는 전동체(68) 및 원통 부재(66)를 축 방향 한쪽으로부터 덮도록,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된 본체(7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73)는, 예를 들면, 원통 부재(66)의 축 방향 한쪽 단면(端面)에 고정되어 있다.
본체(73)의 직경 방향 중심에는, 축체(59)의 단부를 돌출시키는 구멍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73)의 판면의 일부에는, 각각의 브레이크 슈(67)의 오목부(71)를 향해 절곡하도록 형성한 안내편(74)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74)은, 브레이크 슈(67)의 오목부(71)에 삽입되어 있고, 브레이크 슈(67)의 직경 방향 내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부재이다.
본체(73)의 주위 방향 일부에, 후술하는 스프링(75)의 일단부(75a)를 걸기 위한 걸림편(7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76)은, 안내체(72)의 외주부로부터 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 기구부(57)는, 축체(59)를 직접적으로 회동 조작시키기 위한 피조작체(60)를 구비한다. 피조작체(6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조작체(60)는 코너부를 모따기(chamfered)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조작체(60)의 1개의 정점부(頂点部)가, 안내체(72)의 본체(73)의 구멍부(73a)로부터 돌출된, 축체(59)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축체(59)[캠 부재(64)]는, 피조작체(60)의 회동에 의해서만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조작체(60)의 다른 1개의 정점부에는, 스프링(75)의 타단부(75b)를 걸기 위한 걸림공(60a)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기구부(57)는, 상기 스프링(75)을 구비한다. 스프링(75)은, 피조작체(60)를 축체(59) 주위로 주위 방향 한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경우, 주위 방향 한쪽이란, 캠 부재(64)에 의해 전동체(68)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되는 방향이다[도 14의 (a) 참조]. 캠 부재(64)에 의해 전동체(68)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되는 방향이란, 즉 전동체(68)가 캠편(65)의 최대 직경단(65b) 측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되고, 전동체(68)에 의해 브레이크 슈(67)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되어, 간극(70)이 없어지도록, 브레이크 슈(67)의 외주면(67b)이 원통 부재(66)의 내주면(66a)에 압접되는 방향이다. 이하, 브레이크 슈(67)의 외주면(67b)이 원통 부재(66)의 내주면(66a)에 압접된 상태를, 피조작체(60)의 록 상태라고 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75)의 일종으로서 킥스프링(kick spring)이 사용되고 있다. 킥스프링의 일단부(75a)는, 안내체(72)의 본체(73)의 걸림편(76)에 걸려져 있다. 킥스프링의 타단부(75b)는, 피조작체(60)의 다른 1개의 정점부의 걸림공(60a)에 걸려져 있다. 킥스프링의 도중 부분은, 원통 부재(66)를 외장(外裝)하도록, 원통 부재(66)에 감겨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지 기구부(57)가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용 파지부(3)에 있어서, 두께 방향(Z)의 대략 중간부의 일부가 커팅되어 개구(3a)가 형성되어 있다. 캐리 케이스(1)는, 록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록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조작부(77)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77)는, 이동용 파지부(3)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77)는, 개구(3a)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77)는, 사용자(H)의 손가락에 의해 압압 조작되는 부재이다.
해제 기구부(58)는, 피조작체(60)의 또 다른 1개의 정점부에 있어서, 피조작체(60)의 록 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제 기구부(58)는 링크 기구(機構)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해제 기구부(58)는, 이동용 파지부(3) 및 지지부(4)에 설치되어 있다. 해제 기구부(58)는, 지지부(4)의 로드형 부재(41)에 각각 삽통(揷通)된 요동(搖動) 조작봉(78)과, 이동용 파지부(3)에 내장된 요동 로드(레버 부재)(35)를 구비한다.
요동 조작봉(78)의 각각 일단에는, 요동 조작봉(78)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편(78a)이 형성되어 있다. 절곡편(78a)은, 피조작체(60)의 또 다른 1개의 정점부에 형성된 조작공(60b)에 걸려, 요동 조작봉(78)이 스프링(75)의 탄성에 저항하여 이동용 파지부(3) 측으로 당겨짐으로써, 피조작체(60)가, 그 록 상태를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캠 부재(64)의 캠편(65)이 최소 직경단(65a) 측으로 주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동 조작봉(78)의 타단은 이동용 파지부(3)의 끝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요동 조작봉(78)의 타단에, 요동 로드(35)의 일단이 단부 핀(35a)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요동 로드(35)는 이동용 파지부(3)의 길이 방향[두께 방향(Z)]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동 로드(35)의 타단은, 이동용 파지부(3) 내에서 조작부(77)와 맞닿아 있다. 요동 로드(35)의 길이 방향 도중부는 도중부 핀(35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요동 로드(35)는, 도중부 핀(35b)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조작부(77)와 맞닿으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편(78a)이, 피조작체(60)의 또 다른 1개의 정점부에 형성된 조작공(60b)에 걸려져 있고, 지지부(4)의 기단은, 피조작체(6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 상태는, 지지부(4)의 록 상태에서도 있다.
상기 구성의 캐리 케이스(1)에 있어서, 사용자(H)는, 조작부(77)를 압압 조작하여, 유지 해제 기구부(16)에 의해 축체(59) 주위의 지지부(4)의 록 상태(유지)를 해제하고, 지지부(4)를 축체(59) 주위로 회동함으로써, 이동용 파지부(3)가 사용자(H)의 체형에 맞는 높이로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부(4) 및 이동용 파지부(3)가, 케이스 본체(2)의 프레임벽(9) 중 상벽면을 따르도록 넘어진 수납 자세(I)에서는, 피조작체(60) 및 지지부(4)는 록 상태이다. 이 록 상태는,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기구부(57)의 각각의 전동체(68)가, 캠편(65)의 최대 직경단(65b) 측에 있다. 즉, 전동체(68)에 의해 브레이크 슈(67)가 원통 부재(66)의 내주면(66a)에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지지부(4) 및 이동용 파지부(3)는 수납 자세(I)에 있다. 그러므로, 피조작체(60) 및 피조작체(60)에 일체로 설치된 지지부(4)는, 축체(59) 주위의 주위 방향 한쪽으로도 다른 쪽으로도 회동할 수 없다.
그래서, 사용자(H)의 손가락의 조작에 의해, 조작부(77)가 개구(3a)에 노출된 도 10의 상태로부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77)를 이동용 파지부(3)의 내측을 향해 압압하여, 이동시킨다. 이 때로는, 적어도 스프링(75)의 탄성에 저항할만큼의 압압력(押壓力)이 필요하다. 조작부(77)를 이동용 파지부(3)의 내측을 향해 압압하여 이동시키면, 조작부(77)와 맞닿아 있는 요동 로드(35)가, 각각 도중부 핀(35b) 주위로 회동(요동)하고, 요동 로드(35)에 단부 핀(35a)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요동 조작봉(78)이 앞쪽에 당겨진다. 그러면, 요동 조작봉(78)의 절곡편(78a)에 연결되어 있는 피조작체(60)가 주위 방향 다른 쪽으로 회동한다. 피조작체(60)와 축체(59)는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조작체(60)가 회동하면, 축체(59)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고, 축체(59)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캠 부재(64), 및 캠편(65)이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전동체(68)는, 고정된 유지기(69)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캠편(65)이 주위 방향 다른 쪽으로 회동해도 전동체(68)는 주위 방향 다른 쪽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전동체(68)에 대하여 캠편(65)이, 그 최대 직경단(65b) 측으로부터 최소 직경단(65a) 측으로 이동하고, 전동체(68)에 대하여 캠편(65)으로부터 부여되어 있었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압압력이 해제된다. 그러면, 전동체(68)에 의해 서로 압접되어 있었던 브레이크 슈(67)의 외주면(67b)과 원통 부재(66)의 내주면(66a)과의 압접이 해제되어, 간극(70)이 생긴다. 즉, 록 상태가 해제된다.
록 상태가 해제되면, 수납 자세(I)에 있었던 지지부(4) 및 이동용 파지부(3)는, 축체(59) 주위의 주위 방향 한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된다. 록 상태를 해제하고 나서 사용자(H)는, 록 상태를 해제한 채, 즉 조작부(77)를 압압한 채, 이동용 파지부(3)를 파지하여 지지부(4)를 축체(59) 주위의 주위 방향 한쪽으로 회동시킨다. 지지부(4)의 회동에 의해, 이동용 파지부(3)는 수납 자세(I)로부터 사용 자세(U)로 된다. 사용 자세(U)는, 수납 자세(I)로부터 이동용 파지부(3)를 일으킨 자세이며, 수납 자세(I)에 대하여 사용 자세(U)에서는 이동용 파지부(3)는 무단계적인 각도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H)는 이동용 파지부(3)를 파지하기 쉬운 높이로 하여 조작부(77)의 압압을 해제한다.
조작부(77)의 압압을 해제하면, 스프링(7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조작체(60)가 주위 방향 한쪽으로 회동하고, 축체(59) 및 캠 부재(64)가 주위 방향 한쪽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전동체(68)에 대하여 캠편(65)의 최대 직경단(65b) 측이 위치하여 전동체(68)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가압하여, 브레이크 슈(67)의 외주면(67b)이 원통 부재(66)의 내주면(66a)에 압압된다. 즉, 지지부(4)가 록 상태로 된다. 한편, 피조작체(60)가 주위 방향 한쪽으로 회동하는 동작에 따라, 지지부(4)는 피조작체(60)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지고, 지지부(4)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요동 로드(35)는 도중부 핀(35b) 주위로 회동하여, 조작부(77)에 대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동용 파지부(3)의 위치를 변경하려는 경우, 사용자(H)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77)를 압압하면, 록 상태가 해제되므로, 또한 이동용 파지부(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동용 파지부(3)를 수납 자세(I)에 되돌리는 경우도, 사용자(H)가 조작부(77)를 압압하면, 록 상태가 해제되므로, 사용 자세(U)로부터 수납 자세(I)로 되돌릴 수가 있어, 이동용 파지부(3)의 회동이 저지된다.
사용자(H)가, 이동용 파지부(3)를 원하는 높이로 되도록 설정하여, 캐리 케이스(1)를 사용자(H)의 후방에서 당길 것인지, 사용자(H)의 측방에 캐리 케이스(1)를 짝지어 이동시킬 것인지, 사용자(H)가 캐리 케이스(1)를 선행시켜 밀도록 하여 이동시킬 것인지는, 사용자(H)의 기호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면(5)이 계단인 경우에, 오름 계단에서는, 사용자(H)는, 케이스 본체(2)를 계단의 코너부에서 미끄러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이동용 파지부(3)가 록 상태이면, 케이스 본체(2)에는 슬립 부재(12)를 프레임벽(9)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캐리 케이스(1)를 계단에 닿지 않도록 들어올려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캐리 케이스(1)를 편하게 이동시킨다.
내림 계단에서는, 사용자(H)는, 캐리 케이스(1)를 전후 반전시켜, 케이스 본체(2)를 계단의 코너부에서 미끄러지도록 선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케이스 본체(2)에는 슬립 부재(12)가 프레임벽(9)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캐리 케이스(1)를 계단에 닿지 않도록 들어올려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캐리 케이스(1)를 편하게 이동시킨다. 도 9의 중앙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평탄한 노면(5)에서는, 사용자(H)가 이동용 파지부(3)를 파지함으로써도,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킨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캐리 케이스(1)에서는, 두께 방향(Z)을 따르는 축체(59)에, 지지부(4)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용 파지부(3)로 구성되는 파수(把手)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캐리 케이스(1)는, 두께 방향(Z)의 일단측으로 작용하게 하는 힘으로 밀거나 당기거나 되는 것이 아니고, 전후 방향(Y)의 일단측으로 작용하게 하는 힘으로 밀거나 당기거나 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H)가 캐리 케이스(1)의 두께 방향(Z)의 일단측으로 힘을 작용하게 하여 전후 방향(Y)으로 밀거나 당기거나 하는 경우에는, 캐리 케이스(1)에는 두께 방향(Z)으로 언밸런스력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사용자(H)는 캐리 케이스(1)를 이동시키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캐리 케이스(1)가, 전후 방향(Y)의 일단측으로 작용하게 하는 힘으로 밀거나 당기거나 되는 것이면, 캐리 케이스(1)에는 두께 방향(Z)으로는 균등하게 힘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사용자(H)는 캐리 케이스(1)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파수 부재는, 두께 방향(Z)을 따르는 축체(59) 주위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동용 파지부(3)를 사용자(H)가 파지하기 쉬운 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 캐리 케이스(1)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각 부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작용 효과도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축체(59)는, 일측벽(7) 및 타측벽(8)의 각각의 코너부에 있고, 일측벽 면부 및 타측벽 면부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축체(59)는 케이스 본체(2)의 에지부에 있어서, 사용자(H)가 이동용 파지부(3)를 파지하여 캐리 케이스(1)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한다면, 반드시 일측벽(7) 및 타측벽(8)의 각각의 코너부에 배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축체(59)는, 케이스 본체(2)의 에지부에 있어, 일측벽(7) 및 타측벽(8)의 각각의 상하 방향 도중 부분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 자세에서는, 지지부(4)는 케이스 본체(2)의 전벽면(前壁面), 또는 후벽면(後壁面)을 따른다. 사용 자세에서는, 지지부(4)는 축체 주위로 회동하여 전벽면, 또는 후벽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축체(59)는 케이스 본체(2)의 상벽면의 전후 방향 도중부에 있어도 된다.
축체(59)는, 케이스 본체(2)의 에지부 또한 코너부에서, 두께 방향 도중 부분에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축체(59)는, 제2 실시형태의 캐리 케이스(1)의 축체(59)에 비하여, 두께 방향(Z)의 중심 측에 근접하는 형태로 된다. 따라서, 축체(59)의 위치에 따라, 지지부(4)의 이격 폭은 제2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좁아진다.
한 쌍의 축체(59)는, 두께 방향(Z)의 한쪽 또는 다른 쪽에 근접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케이스 본체(2)를 두께 방향(Z)의 도중 부분에서, 또한 전후 방향(Y)을 따라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캐리 케이스(1)는, 일측벽(7)의 벽면에 슬라이드·파스너(10)를 설치함으로써 일측벽(7)을 개폐시키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본체(2)를 분할하도록 하여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측벽(7)의 벽면에만 슬라이드·파스너(10)를 설치하여, 일측벽(7)을 개폐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슬라이드·파스너(10)를, 예를 들면, 타측벽(8)에 설치하여, 타측벽(8)을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개폐 수단은 슬라이드·파스너(10)에 한정되지 않고, 면 파스너나 도트·버튼이라도 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2)를 개폐하는 수단은, 측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 힌지 부재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기구부(57)는, 일측벽(7) 및 타측벽(8)의 상부 코너부에 배치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된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유지 기구부(57)는, 고정 부재(63), 축체(59), 캠 부재(64), 전동체(68), 브레이크 슈(67), 스프링(75), 원통 부재(66), 안내체(72), 피조작체(6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1)는, 유지 기구부(57)를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축체(59)를 제외한 구성의 유지 기구부를 한쪽에 설치하고, 다른 쪽에는 축체를 설치하여, 이 축체에 지지부(4)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축체(59)는, 에지부에 한 쌍으로 배치한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축체(59)는, 두께 방향(Z)으로 이격시켜 설치하지 않고, 두께 방향(Z)을 따른 1개로 한 구성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지지부(4)는 쌍으로 설치하지 않고, 1개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1)는, 지지부(4)를, 신축 기구(예를 들면, 텔레스코픽식)를 사용하여 신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본체(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케이스 본체(2)는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기능 면이나 디자인성을 고려하여 환미(丸味)를 구비한 입체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직육면체 형상이라도, 전후 길이가 상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는, 축체를 두께 방향(Z)을 따르게 하여, 지지부를 축체 주위로 회동시키는 구성이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캐리 케이스가 현저하게 이동시키기 용이해진다.
각각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캐리 케이스에서는, 유지 해제 기구부(16)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했다. 그러면서, 반드시 유지 해제 기구부(16)는 설치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캐리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2)의 두께 방향(Z)을 따르는 축체를 케이스 본체(2)의 에지부에 구비하여, 지지부를 축체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파지부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높이, 또는 각도로 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면 된다.
각각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4)는 절곡되지 않고 직선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 17의 제3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는 그 길이 방향 도중 부분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축체(59)는 케이스 본체(2)의 에지부의 상단으로부터 내린 위치인 상하 방향 도중부에 배치된다. 지지부(4)는, 축체 측 로드형부(rod type member)(4A)와, 파지부 측 로드형부(4B)를 구비한다. 수납 자세(I)에 있어서, 축체 측 로드형부(4A)는 케이스 본체(2)에서의 축체(59)에 대한 상측 부분에 상하 방향(X)을 따라, 파지부 측 로드형부(4B)는 케이스 본체(2)에서의 상부 에지에 전후 방향(Y)을 따른다. 사용 자세(U)에서는, 축체 측 로드형부(4A) 및 파지부 측 로드형부(4B)는, 함께 케이스 본체(2)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축체(59)를 케이스 본체(2)의 에지부의 상단으로부터 내린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축체(59)가 케이스 본체(2)의 에지부의 상단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축체(59)가 캐리 케이스(1)의 중심(重心)에 가깝게 된다. 그러므로, 특히, 케이스 본체(2)에 중량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캐리 케이스(1)를 운반하기 용이해진다.
유지 해제 기구부(16)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 내지 도 21은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캐리 케이스(1)는, 평기어 기구를 사용하여 지지부(4)의 회동을 유지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된 유지 해제 기구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즉 유지 해제 기구부(16)는, 대경 평기어(42)(태양 기어에 상당함)와 소경 평기어(43)[유성(遊星) 기어에 상당함]를 구비하고, 소경 평기어(43)가 대경 평기어(42)에 맞물린 상태에서, 소경 평기어(43)의 회전을 유지(저지) 또는 해제하는 링크 기구부(44)를 더 구비하고 있다. 링크 기구부(44)는, 요동 조작봉(78)에 연결되어 있다. 대경 평기어(42)의 직경과 소경 평기어(43)의 직경은 임의로 설정되고, 대경 평기어(42)와 소경 평기어(43)는 임의의 기어비로 설정되어 있다.
대경 평기어(42)는, 두께 방향(Z)을 따르는 축체에 상당하는 제1 중심축(45)을 통하여 케이스 본체(2)에 장착되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47)에 의해 케이스 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중심축(45)은, 케이스 본체(2)의 에지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다. 소경 평기어(43)는, 제1 중심축(45)을 중심으로, 대경 평기어(42)의 톱니에 맞물리면서 회동한다. 즉, 소경 평기어(43)는 케이스 본체(2)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경 평기어(43)의 제2 중심축(46)은 제1 중심축(45)의 주위의 궤도 상을 이동[제1 중심축(45) 주위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크 기구부(44)는, 소경 평기어(43)의 톱니에 전후 방향(Y)으로부터 맞물림 이탈 가능한 피조작체와, 피조작체를 조작하는 조작체를 구비한다. 피조작체는, 소경 평기어(43)의 반대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피조작편(48)을 구비한다. 각 피조작편(48)의 선단측(대경 평기어 측)에, 소경 평기어(43)의 톱니에 맞물리는 회전 정지 기어(49)가 형성되어 있다. 피조작편(48)은, 선단측과 기단측(基端側)과의 사이의 도중 부분에 배치한 요동 중심축(50)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조작편(48)의 선단측은 대경 평기어(42)의 곡률을 따른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피조작편(48)의 기단측에는 피(被)요동 조작축(51)이 장착되어 있다. 링크 기구부(44)는 요동 조작편(52)을 더 구비하고 있다. 각 피요동 조작축(51)에는, 요동 조작편(52)의 선단부 측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요동 조작편(52)의 기단부는, 요동 조작편(52)에 공통의 요동 조작축(5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요동 조작축(53)에 요동 조작봉(78)이 연결되어 있다. 요동 조작봉(78)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평기어 기구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구성의 유지 해제 기구부(16)가, 케이스 본체(2)의 두께 방향(Z)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에 상당하는 커버(5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54)끼리는, 이동용 파지부(3)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커버(54)는, 그 내면에 지지판(55)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중심축(45)의 일단부는 케이스 본체(2)에 관통하여 지지되고, 타단부는 지지판(55)에 삽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제1 중심축(45)의 일단부는, 스냅링(56)에 의해 케이스 본체(2)에 이탈방지되어 있다. 제1 중심축(45), 제2 중심축(46), 및 요동 중심축(50)은, 커버(54)를 관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제2 중심축(46), 및 요동 중심축(50)은, 이동 불가능하게 커버(5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대경 평기어(42)의 일부, 소경 평기어(43), 요동 중심축(50), 링크 기구부(44), 및 로드형 부재(41)는, 커버(54)로 덮혀져 있다. 피요동 조작축(51)은, 커버(54) 내에서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요동 조작축(53)은, 로드형 부재(4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용 파지부(3)에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작부(77), 요동 로드(35), 단부 핀(35a), 도중부 핀(35b)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요동 조작봉(78)이 링크 기구부(44) 측으로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요동 조작축(53)이 대경 평기어(42) 측으로 압압되어, 요동 조작편(52)이 이격된 상태에 있고, 이로써, 피조작편(48)의 전단측(前端側)이 요동 중심축(50) 주위에 근접하는 자세로 요동하여 그 자세가 유지되고 있다. 즉, 회전 정지 기어(49)가, 소경 평기어(43)의 톱니에 맞물려, 소경 평기어(43)의 회전 방지가 유지되고 있다. 환언하면, 사용자(H)는, 요동 조작봉(78)[이동용 파지부(3)를 선단에 설치한 지지부(4)]를 회동하게 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 및 이동용 파지부(3)는, 케이스 본체(2)의 프레임벽(9) 중 상벽면을 따르도록 넘어진 수납 자세(I)를 유지하고 있다.
지지부(4) 및 이동용 파지부(3)를 수납 자세(I)로부터, 지지부(4)의 기단을 중심으로 일으켜진 사용 자세(U)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H)가 조작부(77)를 압압 조작하면, 요동 조작봉(78)이 당겨져, 요동 조작축(53)이 요동 조작봉(78) 측에 당겨지고, 요동 조작축(53)에 요동 조작편(5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피요동 조작축(51)끼리가 접근하고, 피조작편(48)의 선단측이 소경 평기어(43)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정지 기어(49)와 소경 평기어(43)의 톱니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회전 정지 기어(49)와 소경 평기어(43)의 톱니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소경 평기어(43)는 회전을 저지된 상태가 해제되고, 대경 평기어(42)의 톱니와 맞물리면서, 제1 중심축(45)의 주위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H)는, 지지부(4)를 제1 중심축(45)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이동용 파지부(3)를 사용자(H)의 체형에 맞는 높이, 또는 각도로 되도록 조절한다(도 20 참조).
그 후, 사용자(H)가 조작부(77)의 압압을 해제하면, 요동 조작봉(78)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대경 평기어(42) 측으로 압압되고, 피요동 조작축(51)끼리가 이격되고, 회전 정지 기어(49)가 소경 평기어(43)의 톱니에 맞물려, 사용 자세(U)가 유지된다.
그리고, 대경 평기어(42)와 소경 평기어(43)의 직경의 상위, 즉 톱니수의 설정을 임의로 행함으로써, 사용자(H)가 사용 자세(U)에서의 지지부(4)의 경사 각도를 조금씩 변경하거나, 대략적으로 변경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는 수단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로터리 실린더라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1…캐리 케이스, 2…케이스 본체, 3…이동용 파지부, 4…지지부, 7…일측벽, 8…타측벽, 9…프레임벽, 11…손잡이, 13…회동부, 14…회동용 원반체, 15…축심, 16…유지 해제 기구부, 19…조작봉, 20…조작부, 22…출퇴 부재, 23…출퇴 기구부, 25…축부, 30…압압 부재, 33…외부 캐비닛, 35…요동 로드, 38…피조작부, 39…안내 로드, 41…로드형 부재, 42…대경 평기어, 43…소경 평기어, 44…링크 기구부, 45…제1 중심축, 46…제2 중심축, 48…피조작편, 49…회전 정지 기어, 50…요동 중심축, 51…피요동 조작축, 52…요동 조작편, 53…요동 조작축, 54…커버, 55…지지판, 57…유지 기구부, 58…해제 기구부, 59…축체, 60…피조작체, 63…고정 부재, 64…캠 부재, 65…캠편, 65a…최소 직경단, 65b…최대 직경단, 66…원통 부재, 67…브레이크 슈, 68…전동체, 70…간극, 71…오목부, 72…안내체, 73…본체, 74…안내편, 76…걸림편, 77…조작부, 78…요동 조작봉, H…사용자, I…수납 자세, U…사용 자세, X…상하 방향, Y…전후 방향, Z…두께 방향

Claims (2)

  1.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때 파지(把持)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선단에 설치한 지지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를 이동시킬 때 노면에 접촉하여 전동(轉動)하는 캐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형 판형의 일측벽, 상기 일측벽에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타측벽, 상기 일측벽 및 상기 타측벽의 에지부에서 두께 방향에 이르는 판 프레임형의 프레임벽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기단(基端)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벽 및 타측벽 중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 대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른 축체(軸體) 주위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기단을 축체 주위에 유지 및 해제하는 유지 해제 기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유지 해제 기구부에 의한 지지부의 기단의 유지 및 해제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캐리 케이스(carry cas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파지부에 설치된, 캐리 케이스.
KR1020140177339A 2013-12-26 2014-12-10 캐리 케이스 KR20150076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9954 2013-12-26
JP2013269954A JP5547333B1 (ja) 2013-12-26 2013-12-26 キャリーケース
JPJP-P-2014-226987 2014-11-07
JP2014226987A JP6298754B2 (ja) 2014-11-07 2014-11-07 キャリー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082A true KR20150076082A (ko) 2015-07-06

Family

ID=5233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339A KR20150076082A (ko) 2013-12-26 2014-12-10 캐리 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81998A1 (ko)
EP (1) EP2888968A1 (ko)
KR (1) KR20150076082A (ko)
CN (1) CN104738940A (ko)
TW (1) TW2015244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4797B1 (en) * 2015-03-02 2022-06-15 Bruner, Boyd Motorized luggage
EP3123893A1 (en) * 2015-07-28 2017-02-01 Victorinox Ag Piece of luggage with wheel arrangement
CN105595579A (zh) * 2016-03-30 2016-05-25 平湖市大明皮件有限公司 一种商务智能行李箱
JP6051326B1 (ja) 2016-05-20 2016-12-27 第一工商有限会社 操作ハンドル装置
US10065667B2 (en) * 2016-07-26 2018-09-04 Soken, Inc. Carrier apparatus
CN106579697A (zh) * 2016-12-02 2017-04-26 宁波市镇海丹发机械科技有限公司 电动智能旅行箱
CN106490797A (zh) * 2016-12-02 2017-03-15 宁波市镇海丹发机械科技有限公司 多功能智能旅行箱
CN106723803B (zh) * 2017-01-16 2018-08-21 浙江理工大学 一种可倒伏拖行的行李箱
US20210298441A1 (en) 2018-08-10 2021-09-30 Jensong Gmbh Luggage
CN109123977A (zh) * 2018-10-22 2019-01-04 泉创商贸(上海)有限公司 一种多功能伸缩拉杆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2387A (en) * 1935-07-09 1936-05-26 David F Cobb Carrying case
US4966259A (en) * 1988-02-04 1990-10-30 Bergman Mady I Luggage container with pull handle
US5165508A (en) * 1991-12-23 1992-11-24 Airway Industries, Inc. Luggage case with pull handle
US5407039A (en) * 1993-06-04 1995-04-18 Alper; Brad Wheeled luggage case
US5730282A (en) * 1994-07-01 1998-03-24 Bureau; H. Lee Combined portable container and collapsible table with self-locking handle/leg holders
US5647096A (en) * 1995-10-24 1997-07-15 Chang; Chi-Bin Retractable handle control mechanism
US5689854A (en) * 1996-07-01 1997-11-25 Wang; Jing Sheng Rotatable handle assembly for a suitcase
US6230656B1 (en) * 1998-10-30 2001-05-15 Christopher E. Walach Rollable pet carrier and method of use
TW427128U (en) * 2000-07-17 2001-03-21 Chaw Khong Technology Co Ltd Structure of rotary draw bar for suitcase
JP3831365B2 (ja) * 2003-08-07 2006-10-11 株式会社幸和製作所 引手部の角度調節が可能な搬送カート
US7322583B2 (en) * 2004-01-14 2008-01-29 Jansport Apparel Corp. Ergonomic telescoping handle assembly for wheeled luggage
JP2007008435A (ja) 2005-07-01 2007-01-18 Masaaki Tanase 段差昇降を容易にするキャリーカート
US8118145B1 (en) * 2006-06-09 2012-02-21 Regev Hamamy Convertible pushcart luggage
US7896143B2 (en) * 2007-09-13 2011-03-01 Mascot Metropolitan Inc. Selectively removable pull bar for a portable container
DE102008028813A1 (de) * 2008-06-19 2009-12-31 Bendele, Thomas Gepäckstück, insbesondere Schulranzen
US7717440B1 (en) * 2007-10-12 2010-05-18 Ahmad Baba Adaptable luggage cart for transporting items between remote locations
JP5285551B2 (ja) * 2009-09-04 2013-09-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のハンドルロック構造体
US8333271B2 (en) * 2009-11-09 2012-12-18 Gibson Brian D Convertible luggage
GB201305980D0 (en) * 2013-04-03 2013-05-15 It Luggage Ltd A suitcas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8968A1 (en) 2015-07-01
US20150181998A1 (en) 2015-07-02
TW201524410A (zh) 2015-07-01
CN104738940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6082A (ko) 캐리 케이스
US20080223679A1 (en) Transport trolley
EP3245894B1 (en) Operating handle device
RU2011143746A (ru) Детская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US8899249B2 (en) Lifting device for umbrella
CN104768717A (zh) 刀具
JP6603909B1 (ja) ベビーカーの鍵
JP5695123B2 (ja) スーツケース等のバッグ類における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GB2468163A (en) An automatically applied brake unit for a pushchair or trolley
EP3453645B1 (en) Container for collecting domestic waste, provided with rolling wheels and lifting and manoeuvring means
JP2020111320A (ja) 段差乗越え装置と段差乗越え装置付き移動体
EP1867547A2 (en) Transport trolley
JP3245821B2 (ja) 調理容器把持のためのハンドル
JP3203367U (ja) 縦型重量物の台車
KR101415049B1 (ko) 서랍부에 브레이크가 구비된 캐비닛
JP5796106B2 (ja) キャリーケース
JP5834275B1 (ja) キャスター制動装置
JP3187817U (ja) 落下防止受け具付きマンホール蓋開閉装置
JP5547333B1 (ja) キャリーケース
JP2016087225A (ja) キャリーケース
CN215154954U (zh) 万向轮定位转换机构及包含其的童车
KR101712511B1 (ko)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JP3151452U (ja) 手押し台車
KR20110062426A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KR200446352Y1 (ko) 전면 수납함을 갖는 모빌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