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718A -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718A
KR20150075718A KR1020130163946A KR20130163946A KR20150075718A KR 20150075718 A KR20150075718 A KR 20150075718A KR 1020130163946 A KR1020130163946 A KR 1020130163946A KR 20130163946 A KR20130163946 A KR 20130163946A KR 20150075718 A KR20150075718 A KR 2015007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arness
vehicle
fixed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희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5718A/ko
Publication of KR2015007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는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및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차량의 고정 브라켓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차량의 부품 중 하나인 하네스(harness)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 사이에 탄성을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차량의 진동을 흡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DEVICE FOR FIXING A HARNESS OF CAR}
본 발명은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중요 부품 중 하나인 하네스를 보호 및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램프 및 제어장치로의 전력 공급 및 신호 전달을 위한 전기 배선들이 많이 존재하며, 이에 하네스(harness)는 이러한 차량 내의 전기전자장치들을 위한 배선들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차체에 고정하지 않으면 서로 엉키거나 주행중 발생되는 흔들림에 의해서 그 접속 단자들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고, 차체와 부딪히면서 주행중 소음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과 보수 유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또는 소음 방지를 위하여 하네스를 차체나 다른 부품 등에 안전하게 고정하도록 고정 클립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 클립은 고정 부위와 고정시키는 부품을 연결시키는 구조만으로 매우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네스를 상기 고정 클립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과 인접한 위치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진동이 고스란히 상기 하네스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하네스가 상기 진동에 의해서 그 내구성이 저하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는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및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차량의 고정 브라켓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차량의 부품 중 하나인 하네스(harness)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 사이에 탄성을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차량의 진동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에 후크 형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하네스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차량의 엔진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고정 브라켓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차량의 부품 중 전기전자장치들을 통칭하는 하네스(harness)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부 사이에 탄성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하네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네스가 상기 진동 충격에 의해서 내구성이 저하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전기전자 장치들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harness) 고정 장치(100)는 제1 고정부(200), 제2 고정부(300) 및 탄성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200)는 차량(10)의 고정 브라켓(2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상기 차량(10)의 전기전자장치들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들, 즉 하네스(30)를 서로 엉키거나 주행중 발생되는 흔들림에 의해서 그 접속 단자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네스(30)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차량(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엔진이 장착된 엔진룸, 운전석 컨트롤 패널 안쪽, 트렁크 하부, 상기 차량(10)의 천장 내부 등 상기 차량(10)의 눈에 보이지 않는 안쪽에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상기 차량(10)에 다리 형태로 양 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 상판 부위에는 상기 제1 고정부(200)가 고정되도록 고정홀(2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 고정부(200)는 상기 고정홀(22)에 삽입되면 잘 빠지지 않는 후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부(200)는 외주면에 더 잘 빠지지 않도록 다단의 후크(212)들을 갖는 삽입부(210) 및 상기 삽입부(210)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부(210)가 상기 고정홀(22)을 관통하지 않도록 걸림 역할을 하는 머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 고정부(200)는 원터치 방식으로 작업자가 상기 고정홀(22)에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간단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부(200)는 상기 고정홀(22)에 후크(212)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210)의 직경이 상기 고정홀(22)보다 일부에서 더 클 수밖에 없으므로,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고정홀(22)에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고무(rubber) 또는 실리콘(silicon)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고정부(200)는 그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기 고정 브라켓(2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리벳 체결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고정부(300)는 상기 하네스(3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부(300)는 상기 하네스(30)가 실질적으로 배선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하네스(30)를 클램핑 방식으로 감싸는 형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부(300)는 상기 하네스(30)의 중간 연결 부분(32)을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하네스(30)의 중간 연결 부분(32)이 분리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고정부(300)는 상기 하네스(30)에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을 설치한 다음, 상기 브라켓에 후크(212) 체결 방식, 나사 체결 방식 또는 리벳 체결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200, 300)들 사이에 탄성을 가지면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400)는 압축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10)의 고정 브라켓(20)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부(200)와 상기 차량(10)의 부품 중 전기전자장치들을 통칭하는 상기 하네스(30)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부(300)(300) 사이에 탄성부(40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브라켓(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하네스(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네스(30)가 상기 진동 충격에 의해서 내구성이 저하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차량(10)의 전기전자 장치들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량(10)의 진동 충격이 가장 많은 엔진과 인접한 공간, 구체적으로 엔진룸 내부에서 상기 하네스(30)를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 본 발명의 고정 장치(100)를 사용하면 상기 엔진의 심한 진동 충격을 상기 고정 장치(100)가 그대로 흡수하여 상기 하네스(30)의 내구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효과를 안전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400)도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200, 300)들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상기 탄성부(400)는 우선 상기 제2 고정부(300)에 유사한 일체형 구조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부(200)의 삽입부(210)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머리부(220)에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머리부(220)에 유사한 일체형 구조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부(300)를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하여 이에 삽입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차량 20 : 고정 브라켓
22 : 고정홀 30 : 하네스
100 : 하네스 고정 장치 200 : 제1 고정부
210 : 삽입부 212 : 후크
220 : 머리부 300 : 제2 고정부
400 : 탄성부

Claims (4)

  1. 차량의 고정 브라켓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차량의 부품 중 하나인 하네스(harness)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 사이에 탄성을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에 후크 형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하네스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차량의 엔진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KR1020130163946A 2013-12-26 2013-12-26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KR20150075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46A KR20150075718A (ko) 2013-12-26 2013-12-26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46A KR20150075718A (ko) 2013-12-26 2013-12-26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18A true KR20150075718A (ko) 2015-07-06

Family

ID=5378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946A KR20150075718A (ko) 2013-12-26 2013-12-26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7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9659A (ja) * 2018-01-26 2019-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9659A (ja) * 2018-01-26 2019-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604B1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20070102957A (ko) 배관 고정 구조
KR20190074526A (ko) 회전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밴드 케이블을 이용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장치
KR20150075718A (ko) 차량용 하네스 고정 장치
KR200388147Y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티 자형 클립
KR100842428B1 (ko)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KR20220000872U (ko)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
KR20180125645A (ko) 자동차용 패널에 장착하는 와이어 하네스
KR20200053739A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KR100707094B1 (ko)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KR100637696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100588749B1 (ko)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JP2010173400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クラン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車両配索構造
KR100774758B1 (ko) 차량용 대시패널의 흡음 구조
KR200438134Y1 (ko) 커넥터 고정블록
KR101131530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커넥터
KR102064445B1 (ko) 커넥터용 고정클립 지지유닛
KR200391735Y1 (ko) 와이어링 하네스 방향클립
KR20200073553A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KR200431362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200438133Y1 (ko) 밴드클립
JP5533192B2 (ja) ワイヤハーネスを支持体に取り付ける方法
KR200431361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5172618B2 (ja) 回路基板ユニットのハーネス取付構造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