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371A -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371A
KR20150074371A KR1020130162087A KR20130162087A KR20150074371A KR 20150074371 A KR20150074371 A KR 20150074371A KR 1020130162087 A KR1020130162087 A KR 1020130162087A KR 20130162087 A KR20130162087 A KR 20130162087A KR 20150074371 A KR20150074371 A KR 2015007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tactile signal
generated
tub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풍
하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371A/ko
Priority to US14/479,780 priority patent/US9542819B2/en
Publication of KR2015007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제1 기능과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기능을 가진 촉각 신호 발생부와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가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사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전달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가전기기는 청각 신호, 시각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이벤트의 발생을 피드백함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이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가전기기는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하여야 한다.
그 일례로,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와,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와, 터브 내의 세탁수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 펌프를 구비한다.
세탁기에서 의료를 세탁하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발생은 세탁기에 구비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배수 펌프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세탁수 유입실과 배수 펌프실을 구비한 펌프케이스와, 펌프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펌핑모터를 가진다. 펌프케이스의 내부에는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펌프필터가 설치되고, 배수 펌프실에는 펌핑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임펠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배수 펌프가 구동되면 진동이 발생함이 일반적이다.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고,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의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상에 따른 가전기기는 제1 기능과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기능을 가진 촉각 신호 발생부;와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가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촉각 신호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는 이벤트는 상기 가전기기의 설정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 및 상기 가전기기의 점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점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전기기의 설정 입력이 정상적인 입력인지 판단하고, 비정상적으로 판단되면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는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과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청각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각 신호의 패턴은 상기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청각 신호 및 촉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만이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는 세탁조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물을 수용하는 터브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및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 및 상기 도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 내에 잔존 세탁물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잔존 세탁물이 있다면 상기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펌프는 터브에서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펌프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펌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펌프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면 상기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조의 세척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세탁조의 세척이 필요하면 상기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터브에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급수필터를 포함한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상 급수 시간과 실제 급수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급수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급수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면 상기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는 청소기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제1 기능과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기능을 가진 촉각 신호 발생부를 구비한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를 구동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 및 상기 가전기기의 점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점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가전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과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청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각 신호의 패턴은 상기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가전기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촉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전달함으로써, 청각 또는 시각의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도 효과적으로 이벤트 발생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촉각 신호 발생부를 이용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추가적인 장치의 추가 없이 촉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도1의 세탁기의 배수 펌프와 배수 호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된 배수 펌프의 분해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세탁조에 잔존 세탁물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점검 이벤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배수 펌프에서 생성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선택적으로 기재된 양상이나 선택적으로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들은 비록 도면에서 단일의 통합된 구성으로 도시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기재가 없는 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술적으로 모순인 것이 명백하지 않다면 상호간에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는 동작에 따라 촉각 신호가 발생하는 촉각 신호 발생부(2), 가전기기(1)를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를 포함한다. 여기서, 촉각 신호는 진동, 미세 전기 자극, 초음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촉각 신호 발생부(2)는 가전기기(1)에서 소정의 동작을 하여 가전기기(1)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촉각 신호 발생부(2)는 소정의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촉각 신호도 함께 발생한다. 또한, 촉각 신호 발생부(2)는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 촉각 신호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촉각 신호 발생부(2)는 가전기기(1)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소정의 동작하는 제1 기능 및 촉각 신호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촉각 신호 발생부(2)는 각 가전기기(1)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가 세탁기인 경우 촉각 신호 발생부(2)는 세탁기에 포함된 배수 펌수일 수 있으며, 가전기기(1)가 청소기인 경우 촉각 신호 발생부(2)는 청소기에 포함된 팬모터 일 수 있으며, 가전기기(1)가 공기 청전기인 경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순환 유닛이 촉각 신호 발생부(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전기기(1)의 진동 등과 같은 촉각 신호가 발생하는 기존 구성에 기초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추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는 촉각 신호 발생부(2)를 제어하여 가전기기(1)가 동작하도록 하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에 대응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촉각 신호 발생부(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다양한 조건이 만족되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 가전기기(1)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 가전기기(1)의 점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점검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는 각 이벤트 별로 생성할 촉각 신호의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패턴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발생된 이벤트 별로 상이한 촉각 신호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는 종래의 청각 신호와 촉각 신호 발생부(2)에서 생성되는 촉각 신호가 동일한 패턴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의 구체적인 적용례로, 세탁기와 청소기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가진 촉각 신호 발생부(2)에 대응되는 구성이 있는 가전기기(1)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도3의 세탁기의 배수 펌프와 배수 호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탁기(4)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조(30)와, 세탁조(30)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은 복수의 프레임(10a, 10b, 10c)을 포함하며, 프레임(10a, 10b, 10c)은 캐비닛(1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프레임(10a)과, 측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0c)과, 하면을 이루는 하면프레임(10b)으로 구성된다.
전면 프레임(10a) 상단의 일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4)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 받고, 세탁기(4)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210)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21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전면 프레임(10a) 상단의 다른 일측에는 음향생성부(220)가 마련되어 있다.
하면프레임(10b)은 전면에 상측으로 절곡되어 전면프레임(10a)과 결합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세탁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세탁물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세탁물 투입구(11)의 전면에는 도어 센서(2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어 센서(220)는 세탁물 투입구(11)와 도어(12) 사이에 마련되어, 도어(1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터브(20)는 댐퍼(25)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25)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이때, 터브(20)와 댐퍼(25) 사이에는 무게 센서(220)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 센서(220)는 터브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며, 무게 센서(220)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에 기초하여 세탁조(30) 내부에 잔존 세탁물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측에는 급수 밸브(51)가 마련되어 있고, 급수 밸브(51)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세탁기(4)의 급수 여부를 조절한다.
또한, 급수 밸브(51)는 내부에 급수필터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급수필터는 터브(20)에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한편, 급수관(50)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52)와 연결되어 있다.
세제 공급장치(52)는 연결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52)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세탁조(30)는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32a)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구동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1)이 연결된다.
세탁조(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구비되어 세탁조(30)의 내부 공간과 터브(2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된다.
세탁조(30)의 내주면에는 세탁조(30)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세탁조(30)과 구동 모터(40) 사이에는 구동축(41)이 배치된다. 구동축(41)의 일단은 세탁조(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구동축(4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동 모터(40)가 구동축(41)을 구동하면, 구동축(41)에 연결된 세탁조(30)가 구동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42)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4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42)과 구동축(41) 사이에는 구동축(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베어링(43)이 설치된다.
세탁 행정 시에 구동 모터(40)는 세탁조(3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세탁조(30)의 내부의 세탁물이 상승, 낙하하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이 제거된다. 이와 같은 구동 모터(40)는 회전 속도의 제어가 용이한 용이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 또는 동기식 AC(Alteranation Current) 모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탈수 행정 시에 구동 모터(40)가 세탁조(30)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면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된다.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는 터브(20)에 저장되어 있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 펌프(100)가 설치된다. 배수 펌프(100)는 배수호스(60)를 통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 펌프(100)는 하면프레임(10b)의 돌출부와 전면프레임(10a)의 하단의 겹쳐지는 부분에 마련된 관통홀(13)을 통해 캐비닛(1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배수호스(60)는 캐비닛(10) 내부의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호스와이어(92), 호스홀더(91) 들에 의해 캐비닛(10)의 내부에 결합되며, 호스가이드(90)에 의해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펌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배수 펌프의 분해도이다.
도 4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펌프(100)는 세탁수 유입실(111), 배수 펌프실(120)을 가지는 펌프케이스(110)와, 세탁수 유입실(111)에 삽입되는 펌프필터(140)를 구비한다.
펌프케이스(110)의 배수 펌프실(120)에는 세탁수 유입실(120) 내의 세탁수를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임펠러(122)가 배치되고, 임펠러(122)에는 펌핑모터(121)가 연결된다. 임펠러(122)는 펌핑모터(121)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수 유입실(111) 내의 세탁수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한다.
세탁수 유입실(111)의 전면에는 펌프필터(140)가 장착되어 터브(20)에서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펌프필터(14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헤드부(141)와 몸체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펌프필터(140)가 펌프케이스(110)에 장착되면 펌프필터(140)의 몸체부(145)가 펌프케이스(110)의 세탁수 유입실(111) 내부에 수용된다.
헤드부(141)의 측면에는 펌프필터(140)가 펌프케이스(110)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제2나사산(143)이 형성된다. 헤드부(14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헤드부(1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42)가 마련된다.
세탁수 유입실(111)의 전방에는 펌프필터(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부(116)가 형성되고, 입구부(116)의 테두리에는 펌프필터(140)의 제2나사산(143)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나사산(117)이 형성된다.
펌프필터(140)의 헤드부(141) 하면프레임(10b)과 전면프레임(10a)을 관통하는 관통홀(13)을 통해 캐비닛(1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전면프레임(10a)에는 관통홀(13)을 덮는 커버(미도시)가 결합된다.
사용자는 커버(미도시)를 열어 노출된 펌프필터(140)의 헤드부(141)를 손잡이(142)를 잡고 회전하여, 펌프필터(140)를 배수 펌프(100a)에서 분리한 후 펌프필터(140)를 교체 또는 청소할 수 있다.
펌프케이스(110)의 하단에 형성된 마운트부(150)를 통해 펌프케이스(110)는 하면프레임(10b)과 결합된다. 하면프레임(10b)에 마운트부(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14)에 마운트부(150)가 삽입, 체결되면서 펌프케이스(110)와 하면프레임(10b)이 결합된다.
펌프케이스(110)의 하단에 형성된 잔수배출구(180)를 통해 펌프케이스(110) 내부에 남은 잔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잔수호스(미도시)는 일단이 잔수배출구(180)에 연결되고 타단은 관통홀(13)을 통해 캐비닛(10) 전면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캐비닛(10)의 전면으로 노출된 잔수호스(미도시)를 이용하여 펌프케이스(110) 내부의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세탁수 유입실(1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유입구(213)가 형성된다. 세탁수 유입실(111)은 유입구(213)와 연통되고, 세탁수 유입실(111)과 유입구(213)의 연결부에는 세탁수 유입실(111)과 유입구(213)를 연결하는 유입공이 형성된다.
유입구(213)에는 유입호스(70)가 연결되어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유입호스(70)와 유입구(213)를 거쳐 유입공을 통해 세탁수 유입실(111)로 유입된다.
세탁수 유입실(111)의 일측은 배수 펌프실(120)과 연결되어 되어 세탁수 유입실(111)로 유입된 세탁수는 배수 펌프실로 유입된다.
또한, 배수 펌프실(120)에는 배수호스(60a)가 연결되고, 배수호스(60a)는 임펠러(122)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한다.
임펠러(122)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4)가 배수 펌프실(12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배수 펌프실(120)는 배출구(124)와 연통된다. 배출구(124)와 배수 펌프실(120) 사이는 배출공(125)이 형성된다.
배출구(124)에는 배수호스(60a)가 연결된다. 배출구(124)와 배수호스(60a)는 세탁수를 배수 펌프실(120)에서 세탁기(4)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라인을 형성한다.
상술한 것과 같은 배수 펌프(100)는 촉각 신호 발생부(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펌프(100)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제1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배수 펌프는 그 동작에 있어서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따라 촉각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2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설정 명령을 입력 받는다.
컨트롤 패널(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4)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버튼(211a), 세탁기(4)의 동작 또는 중지시키는 동작 버튼(211b),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의 세부 설정이 사전에 저장된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212), 다이얼(212)에 의하여 선택된 세탁 코스의 세부 설정 버튼(213), 세탁기(4)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알림 방법 선택 버튼(214), 세탁기(4)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5)을 포함한다.
세부 설정 버튼(213)은 세탁 시에 이용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수온 설정 버튼(213a), 헹굼의 횟수를 설정하는 헹굼 설정 버튼(213b), 탈수의 세기를 설정하는 탈수 설정 버튼(213c)을 포함한다.
알림 방법 선택 버튼(214)은 세탁기(4)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전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벤트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술한다.
더 구체적으로, 세탁기(4)는 이벤트에 발생을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기(4)는 촉각 신호 또는 시각 신호를 생성하여 세탁기(4)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4) 디스플레이 패널(115)을 통해 시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을 전달하거나, 음향생성부(220)를 통해 청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4)는 세탁기에 구비된 배수 펌프(100)를 구동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하고, 촉각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을 전달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알림 방법 선택 버튼(214)은 이벤트의 발생을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세탁기(4)는 청각 신호(소리), 또는 촉각 신호(진동)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만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전달하게 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방식에 의해서만 이벤트 발생을 전달함으로써, 세탁기(4)의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버튼(211a), 동작 버튼(211b), 세부 설정 버튼(213), 알림 방법 선택 버튼(214)은 사용자에 의한 가압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드(touch pad)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5)은 다이얼(113)에 의하여 선택된 세탁 코스, 세부 설정 버튼(213)에 의하여 선택된 세부 설정, 세탁기(4)가 수행하고 있는 행정의 정보,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의 세탁기(4)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116)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트롤 패널(11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패드와 세탁기(4)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탁기(4)는 앞서 설명한 구동 모터(40), 급수 밸브(51), 배수 펌프(100) 등을 구동하는 구동부(320)와 세탁기(4)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세탁기 저장부(240), 세탁기(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세탁기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21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세탁 설정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5)을 통해 세탁기(4)의 상태, 세탁의 진행 상태, 각종 이벤트의 발생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음향생성부(220)는 세탁기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청각 신호를 생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세탁기(4)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청각 신호를 생성하여, 세탁기(4)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음향생성부(220)는 스피커일 수 있다.
세탁기 센서부(230)는 세탁기(4)의 상태를 검출하거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여 세탁기 제어부(310)에 전달한다. 더 구체적으로, 세탁기 센서부(230)는 무게 센서(231), 도어 센서(232), 수위 센서(233)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센서(231)는 터브(20)와 댐버(25)사이에 마련되어, 터브(20)의 무게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 센서(231)를 통해 측정된 터브(20)의 무게는 세탁조(30)내부에 잔류한 세탁물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도어 센서(232)는 세탁물 투입구(11)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어(12)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센서(232)에 의하여 감지된 도어(12)의 열림과 닫힘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의 세탁물 인출 여부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도어 센서(232)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수위 센서(233)는 터브 내부의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세탁기 저장부(240)은 세탁기(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저장부(240)는 세탁기의 세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정보는 세탁기(4)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로, 예켄대, 세탁기(4)가 수행한 총 세탁 횟수, 총 세탁량, 세탁 빈도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 정보는 매 세탁이 종료되는 시점 또는 시작되는 시점에 세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세탁기 저장부(240)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 뿐만 아니라 세탁기(4)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20)는 세탁기 제어부(3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40), 급수 밸브(51), 및 배수 펌브(100)를 구동한다. 특히, 구동부(320)는 구동 모터(4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20)는 세탁기 제어부(3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수 펌프(100)의 구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부(320)는 세탁기 제어부(310)에 따라 배수 펌프(100)를 구동시켜 배수 펌프(100)가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 펌프(100)를 이용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촉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전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이벤트 발생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촉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촉각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으로 세탁기(4)의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그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부(310)는 컨트롤 패널(2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세탁 설정 명령과 수위 센서(233)의 검출 결과에 따라 구동 모터(40), 급수 밸브(51), 배수 펌프(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구동부(320)에 전달한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31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촉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310)는 구동부(320)를 제어하여 배수 펌프(100)를 구동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세탁기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펌핑모터(120)에 전류가 공급되면 펌핑모터(120)가 회전하게 되고, 펌핑모터(12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벤트가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세탁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 세탁기의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 세탁기의 점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점검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10)을 통해 세탁 설정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세탁기 제어부(310)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212)을 통한 세탁 코스 선택, 세탁 코스의 세부 설정 등의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이벤트는 사용자가 입력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구동 이벤트는 세탁기(4)의 세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구동 이벤트는 세탁기(4)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세탁기(4)의 상태에 기초하여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이벤트는 세탁이 종료된 경우, 세탁조(30)에 잔존 세탁물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세탁조에 잔존 세탁물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탁기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세탁물의 수거 여부를 판단한다(601). 더 구체적으로, 세탁이 종료된 후 도어 센서(233)에서 도어(12)가 열린 이후 다시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세탁기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수거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세탁물이 수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기 제어부(310)는 빈 터브의 중량과 실제 터브의 중량을 비교한다(603). 이때, 빈 터브의 중량은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실제 터브의 중량은 무게 센서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빈 터브의 중량과 실제 터브의 중량을 비교함으로써, 터브 내에 잔존 세탁물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부(310)는 실제 터브의 중량이 빈 터브의 중량보다 큰 경우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605). 이때, 세탁기 제어부(310)는 구동 이벤트에 대응하는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수펌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점검 이벤트는 세탁기의 점검과 관련되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 이벤트는 세탁조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배수 펌프에 마련된 펌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급수 밸브에 포함된 급수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 제어부(310)는 점검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하여 세탁 히스토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히스토리 정보는 세탁기가 수행한 세탁에 관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세탁 히스토리 정보는 세탁기가 수행한 총 세탁 횟수, 세탁기가 수행한 총 세탁량, 사용기간, 정상 급수 시간 등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는 점검 이벤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이 온되면(651), 세탁기 제어부(310)는 펌프필터(140)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653). 이때, 세탁기 제어부(310)는 미리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펌프필터(140)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제어부(310)는 총 세탁량이 임계량 이상인 경우, 펌프필터(140)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펌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기 제어부(310)는 펌프필터(140)의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655). 이때, 세탁기 제어부(310)는 펌프필터의 점검 이벤트에 대응하는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수 펌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부(310)는 세탁조(30)의 세척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657). 이때, 세탁기 제어부(310)는 미리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조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제어부(310)는 세탁조(30)를 세척하지 않고 사용한 사용기간이 임계기간 이상인 경우, 세탁조(60)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세탁조(30)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기 제어부(310)는 세탁조(30)의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659). 이때, 세탁기 제어부(310)는 세탁조(30)의 점검 이벤트에 대응하는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수 펌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 제어부(310)는 급수필터(52)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661). 이때, 세탁기 제어부(310)는 미리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급수필터(52)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가 수행한 총 세탁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인 경우 급수필터(52)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급수필터(52)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기 제어부(310)는 급수필터(52)의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663). 이때, 세탁기 제어부(310)는 급수필터(52)의 점검 이벤트의 대응하는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수 펌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은 점검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 점검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는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으며, 점검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시기도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제어부(310)는 점검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세탁 코스가 모두 종료된 이후에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점검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하는 방법도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제어부(310)는 세탁조(30)의 정상 급수 시간과 실제 급수 시간을 비교하여, 실제 급수 시간이 정상 급수 시간보다 임계시간 이상 큰 경우 급수필터(52)의 점검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배수 펌프에서 생성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배수 펌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세탁기 제어부(310)는 배수 펌프(100)에서 생성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배수 펌프(1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배수 펌프(100)에서 생성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펌핑모터(120)에 높은 전류가 인가되면 펌핑모터(120)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을 생성하게 되며, 펌핑모터(120)에 낮은 전류가 인가되면 펌핑모터(120)는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을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세탁기 제어부(31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류를 펌핑모터(120)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핑모터(120)는 t1에서 t2사이의 H1구간과 t3에서 t4사이의 H2구간에서 구동되어 촉각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H2구간은 H1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가 펌핑모터(120)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높은 전류가 인가된 H2구간에서 H1구간보다 강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각 이벤트에 따라 배수 펌프에 의하여 생성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기 저장부(240)에는 각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될 촉각 신호의 패턴이 저장된 패턴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 제어부(310)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패턴 데이터 베이스에서 소정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검색하고, 검색된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배수 펌프(100)가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이벤트 별로 다른 촉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31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향생성부(220)가 청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3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315)이 시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310)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청각 신호가 생성되도록 음향생성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청각 신호는 디지털 음원 또는 음성 안내 등일 수 있다.
또한, 음성생성부(320)에서 생성되는 청각 신호의 패턴은 배수 펌프(100)에서 생성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과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펌프(100)에서 강한 진동이 생성되는 때 음성생성부(320)는 높은 음이 출력되며, 배수 펌프(100)에서 약한 진동이 생성되는 때 음성생성부(320)는 낮은 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생성부(320)에서 생성되는 청각신호의 패턴과 배수 펌프(100)에서 생성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일치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효과적으로 이벤트 발생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5)는 도 11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체(510)와, 본체(510)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청소할 바닥면에 접촉하여 공기와 함께 바닥면 상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닛(520)과, 본체(510)에 상측에 장착되어 흡입유닛(520)을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유닛(530)과, 본체(510)에 장착되어 본체(510)가 청소할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휠 어셈블리(540)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5)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550)과, 청소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청소기 센서부(560), 청소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세탁기 제어부(590)를 포함한다.
본체(5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570)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515)을 포함한다. 또한, 모터 하우징(515) 상부에는 사이클론 집진 유닛(530)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휠 어셈블리(540)는 본체의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흡입유닛(520)은 하면에 흡입구(미도시)가 마련되어 팬모터(570)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전달받아 공기와 함께 청소할 바닥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한다. 흡입유닛(520)의 하면에는 카펫 등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시(미도시)가 배치된다.
사이클론 집진유닛(530)은 흡입유닛(520)에서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아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한다. 사이클론 집진유닛(530)은 모터 하우징(515)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이클론 집진유닛(530)을 본체(5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핸들(550)과 본체(510)는 연결 프레임(515)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핸들은 일측에는 청소기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 패드(555)가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청소기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컨트롤 패드(555)는 통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청소기 센서부(560)는 청소기의 상태를 검출하거나, 청소기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세탁기 제어부(590)에 전달한다. 청소기 센서부(560)는 청소기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청소기 센서부(560)는 사이클론 집진유닛에 먼지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흡입유닛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또는 청소기가 내장된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하는 경우 잔존 배터리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570)는 제1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팬모터(57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모터 하우징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로 만들어 흡입 유닛(520)에서 공기가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사이클론 집진유닛(530)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팬모터(570)가 제1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팬모터(570)에서는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팬모터(570)는 세탁기 제어부(59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 저장부(580)는 청소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저장부(580)는 청소기의 청소기의 작동 시간, 필터 교환 시간 등의 구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이벤트에 따라 촉각 신호 발생부(2)인 팬모터(570)에서 생성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 저장부(580)는 각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될 촉각 신호의 패턴이 저장된 패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부(590)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팬모터(570)를 구동하여 소정의 이벤트 발생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59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팬모터(570)를 구동시켜 촉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590)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패턴 데이터 베이스에서 소정의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검색하고, 검색된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팬모터(570)가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제어부(590)는 컨트롤 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소정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 피드백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발생한 입력 피드백에 대응되는 촉각 신호가 생성되도록 팬모터(5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590)는 청소기의 배터리의 잔존 전기 에너지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등과 같이 청소기의 구동과 관련된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유닛에 먼지가 임계치 이상 찬 경우 등과 같이 청소기의 점검과 관련된 점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각 신호가 생성되도록 팬모터(5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한다(710). 여기서, 이벤트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 가전기기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 가전기기의 점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점검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720). 더 구체적으로, 가전기기는 각 이벤트 별로 생성할 촉각 신호의 패턴을 달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이벤트마다 생성할 촉각 신호의 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청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가전기기는 각 이벤트 별로 소정의 청각 신호를 생성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와 같은 청각 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예를 들어 큰 소리는 강한 진동을 낮은 소리는 약한 진동, 생성할 수 있다.
검색된 촉각 신호 코드에 따라 촉각 신호 발생부를 구동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한다(730). 더 구체적으로, 결정된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촉각 신호 발생부에 전류가 인가되면, 촉각 신호 발생부는 결정된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촉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촉각 신호를 통해 이벤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청각 장애 또는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도 이벤트 발생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별로 상이한 촉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피드백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가전기기 2: 촉각신호 발생부
2: 제어부 4: 세탁기
10 : 캐비닛 20 : 터브
30 : 세탁조 40 : 드럼 구동 모터
50: 급수 밸브 100 : 배수 펌프
210: 컨트롤 패널 220: 음향생성부
240: 저장부 310: 제어부
320: 구동부 5: 청소기
555: 컨트롤 패드 560: 청소기 센서부
570: 팬모터 580: 청소기 저장부
590: 청소기 제어부

Claims (24)

  1. 제1 기능과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기능을 가진 촉각 신호 발생부; 및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가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신호는 진동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이벤트는 상기 가전기기의 설정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 및 상기 가전기기의 점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점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하는 가전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전기기의 설정 입력이 정상적인 입력인지 판단하고, 비정상적으로 판단되면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가전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가전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과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하는 가전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결정하는 가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청각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신호의 패턴은 상기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결정된 것인 가전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청각 신호 및 촉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만이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는 세탁조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물을 수용하는 터브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및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 및 상기 도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 내에 잔존 세탁물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잔존 세탁물이 있다면 상기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가전기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펌프는 터브에서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펌프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펌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펌프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면 상기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가전기기.
  14. 제6항에 있어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조의 세척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세탁조의 세척이 필요하면 상기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가전기기.
  15. 제6항에 있어서,
    터브에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급수필터를 포함한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상 급수 시간과 실제 급수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급수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급수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면 상기 점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가전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는 청소기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7. 제1 기능과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기능을 가진 촉각 신호 발생부를 구비한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촉각 신호 발생부를 구동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 이벤트 및 상기 가전기기의 점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점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과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촉각 신호의 패턴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청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신호의 패턴은 상기 촉각 신호의 패턴에 따라 결정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162087A 2013-12-24 2013-12-24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4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87A KR20150074371A (ko) 2013-12-24 2013-12-24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4/479,780 US9542819B2 (en) 2013-12-24 2014-09-08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87A KR20150074371A (ko) 2013-12-24 2013-12-24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71A true KR20150074371A (ko) 2015-07-02

Family

ID=5340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087A KR20150074371A (ko) 2013-12-24 2013-12-24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42819B2 (ko)
KR (1) KR20150074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39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851A (ko) * 2014-07-04 2016-01-13 지유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활용하는 제어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US9985796B2 (en) * 2014-12-19 2018-05-29 Smartlabs, Inc. Smart sensor adaptive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cloud data
US11489690B2 (en) 2014-12-19 2022-11-01 Smartlabs, Inc. System communication utilizing path between neighboring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7313A (en) * 1998-02-19 2000-12-05 Motorola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a multifunction remote appliance sensor
US20040189462A1 (en) * 2001-08-02 2004-09-30 Frank Eilers Signalling device for the operating state of an appliance
US6813911B2 (en) * 2001-08-06 2004-11-09 Emerson Electric Company Appliance control system with cycle selection detection
CA2558613A1 (en) * 2004-03-02 2005-09-15 Mattel, Inc. Interactive electronic learning system with tactile objects
US20060017691A1 (en) * 2004-07-23 2006-01-26 Juan Manuel Cruz-Hernandez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associated with haptic effects
US20090044137A1 (en) * 2005-06-09 2009-02-12 Whirlpool Corporation Consumable holder with user interface data
DE102007057087B4 (de) * 2007-11-21 2009-10-08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edieneinrichtung
US20090267892A1 (en) 2008-04-24 2009-10-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nergy from activation of an input device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00095107A (ko) * 2009-02-20 2010-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JP5229110B2 (ja) * 2009-05-22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携帯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23043B1 (ko) * 2009-10-30 2011-03-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햅틱 기능을 갖는 다이얼링 장치 및 그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US20110148651A1 (en) * 2009-12-21 2011-06-23 Whirlpool Corporation Substance Communicating Device with Sensor Enabled Connector
KR20110074333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진동 발생 방법 및 장치
JP5847407B2 (ja) * 2010-03-16 2016-01-20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プレタッチ及びトゥルータッチ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267294A1 (en) * 2010-04-29 2011-11-0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user
US8742883B2 (en) * 2010-08-25 2014-06-03 Ecolab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peration of a dispensing system
KR101980854B1 (ko) * 2012-10-31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3655B1 (ko) * 2013-02-27 2019-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US9202351B2 (en) * 2013-03-11 2015-12-01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s in vibrating environments and devices
KR20140115836A (ko) * 2013-03-22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39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9027A1 (en) 2015-06-25
US9542819B2 (en)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4219B1 (en) Washing machine
KR102270515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EP3138948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A2934870C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9983169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150074371A (ko)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BR112012002582B1 (pt) Método para operar uma lavadora, e, lavadora
JP2015043885A (ja) 洗濯機
KR20180080013A (ko) 세탁 장치 및 세탁 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115749A (ko)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RU2407834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JP6159266B2 (ja) 洗濯機
KR2015005085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444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42968B1 (ko) 세탁기
JP5836550B2 (ja) 洗濯機
JP2004041683A (ja) 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7912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5066328A (ja) 洗濯機
KR20130081839A (ko) 드럼 세탁기
US20190194859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889575B2 (ja) 洗濯機
JP2006204718A (ja) 洗濯機
KR101733860B1 (ko) 세탁기
CN109629168B (zh) 洗涤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