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112A -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112A
KR20150072112A KR1020130159406A KR20130159406A KR20150072112A KR 20150072112 A KR20150072112 A KR 20150072112A KR 1020130159406 A KR1020130159406 A KR 1020130159406A KR 20130159406 A KR20130159406 A KR 20130159406A KR 20150072112 A KR20150072112 A KR 20150072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erminal
controlling
input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523B1 (ko
Inventor
박명은
서동규
윤희성
허지영
박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5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하고 촬영할 수 있는 원격촬영 방법, 시스템, 단말기 그리고 단말기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촬영방법은, 제 1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METHOD AND SYSTEM FOR REMOTE-CONTROLLING PICTUR-TAK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촬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시스템, 단말기 그리고 단말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도 한 해에 수차례 병원을 방문해서 진료를 받고 질환이나 증상에 따라 처방을 받게 마련이다. 여러 가지 불편함 때문에 환자는 가능한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서 진료를 받고자 하는데, 이마저도 쉽지 않을 경우가 많다. 인접한 병원을 찾지 못할 수도 있고 가까운 거리에 병원이 없을 수도 있다. 특히, 섬이나 외딴 곳의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처럼 섬이나 외딴 곳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못해서 큰 병으로 이어지거나 불상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최근의 직장인들은 바쁜 업무로 인해 병원을 방문해서 진료를 받기에 시간이 충분치 않다, 이로 인해, 병원 방문을 미루게 되어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증상에 대해 조회하고 스스로 진단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전문 의료인이 진료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위험한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따라서, 바쁜 현대인에게 원격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환자의 환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하고 촬영할 수 있는 원격촬영 방법, 시스템, 단말기 그리고 단말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촬영방법은, 제 1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아이콘,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포착되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과 조명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이동방향 및 회전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상기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에서 촬영대상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또는 촬영대상의 크기를 판단하기 위한 눈금자 및 격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단말기의 화면에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촬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전송하는 제 1 단말기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2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감지되는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포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포착되는 영상의 색채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제어방법은,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따라 전방 및 후방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포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촬영 방법, 시스템, 단말기 그리고 단말기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진료진이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단말기를 직접 제어하므로 원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서버나 진료진의 단말기에 사용자의 진료부위의 사진/영상, 진료이력 등을 저장하므로 체계적이고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 2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원격촬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원격촬영 시스템을 이용해서 진료부위를 캡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원격촬영 시스템을 이용해서 진료부위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영상에서 진료부위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 1 단말기의 전자 칠판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2 단말기의 다중 촬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단말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진료용 원격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진료용 원격촬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원격촬영 시스템은 통신망(20)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 1 단말기(10)와 제 2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기(10)는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써,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랩탑 또는 태블릿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써, 상기 제 1 단말기(10)는 진료받고자 하는 신체 부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제 2 단말기(30)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단말기(30)의 제어에 따라 진료받고자 하는 부위를 촬영한다.
도 2는 상기 제 1 단말기(1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기(1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11), 조명부(12), 메모리(13), 제어부(14), 통신부(15), 스피커(16), 디스플레이(17)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1)는 사진뿐만 아니라 비디오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12)는 사진이나 영상을 포착하거나 촬영할 때 촬영대상에 플래쉬(flash)나 조명(lighting)을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13)는 촬영되는 사진 및 영상, 상기 카메라(11)의 설정 정보, 상기 제 2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처방정보(예를 들어, 처방된 약품들의 목록, 약품들의 복약기간, 복약횟수, 복약시간, 복약방법, 주의사항 등), 그리고 화상진료에 대한 이력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15)는 원거리 무선통신을 위해 3G나 LTE 등의 통신망(20)을 통해 제 2 단말기(30)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통신부(15)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30)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통신부(15)는 상기 카메라(11)에서 포착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 2 단말기(30)에 전송하고, 제 2 단말기(30)로부터 상기 카메라(1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스피커(16)는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기에서와 같이 소리/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제 2 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안내음성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7)는 뷰파인더와 같이 상기 카메라(11)에 의해 포착된 대상을 화면상에 출력하고 촬영되는 사진이나 영상도 화면상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7)는 상기 제 2 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11)의 이동방향 및 회전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4)는 제 1 단말기(10)에 포함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는 제 2 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1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카메라(11)의 설정을 변경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화상 진료가 시작되면 자동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조명부(12)를 제어한다.
상기 제 2 단말기(30)는 진료 및 상담을 위한 의료진의 단말기로써,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폰, 랩탑,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써, 상기 제 2 단말기(30)는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상에 출력하고, 상기 제 1 단말기(10)의 카메라(11)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말기(30)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의료진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11)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거나 이를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30)는 마이크(31), 메모리(32), 제어부(33), 통신부(34), 디스플레이(35)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31)는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기에서와 같이 소리와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화상진료중 의료진의 음성을 감지한다. 상기 메모리(32)는 상기 제 1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사진 및 영상, 환자별 질환 및 증상, 환자별 화상진료 이력, 환자별 처방정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34)는 원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10)와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5)는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단말기(10)의 카메라(11)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제공한다. 여기서, 화면에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카메라(1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아이콘,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의료진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11)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거나 이를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카메라(11)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캡쳐하도록 상기 제 1 단말기(10)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11)의 줌 기능과 조명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카메라(11)의 이동방향 및 회전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포착되는 영상에서 진료부위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상기 제 1 단말기(10)의 화면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는 진료부위의 크기를 판단하기 위한 눈금자 및 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착되는 영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 1 단말기(10)를 제어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도 1의 원격촬영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통신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진료받고자 하는 부위에 제 1 단말기(10)의 카메라(11)를 접근시키면, 상기 카메라(11)에 의해 포착되는 진료부위의 영상은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제 2 단말기(30)에 실시간으로 전송된다(S11).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11)에 포착되는 영상은 상기 제 1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7)의 화면에 출력되며, 상기 제 2 단말기(30)의 화면에도 실시간으로 출력된다(S12). 따라서, 의료진, 즉 의사는 상기 제 2 단말기(30)를 통해서 사용자의 진료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말기(30)는 화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11)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35)의 화면에 제공한다(S13).
그리고, 상기 제 2 단말기(30)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의사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11)의 설정을 변경할 뿐만 아니라 진료부위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11)를 제어한다(S14). 그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5 내지 도 7).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의사는 상기 제 2 단말기(30)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영상에서 터치나 마우스를 이용해서 원하는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고, 유저인터페이스의 캡쳐 버튼을 이용해서 원하는 영상을 캡쳐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캡쳐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단말기(10)는 의사가 선택한 영상을 캡쳐하고 이를 메모리(13)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단말기(3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말기(30)에 전송된 사진과 영상은 메모리(32)에 저장된다. 이처럼, 의사가 상기 제 1 단말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해서 직접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상처 등의 진료부위의 히스토리, 치료이력, 회복경과 등을 직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부위에 대해 여러 방향에서의 사진이나 영상을 상기 제 2 단말기(30)에 저장하므로 의사는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가 상기 제 2 단말기(30)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의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제 1 단말기(10)의 화면상에는 상기 카메라(11)의 이동방향 및 회전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예를 들어, 화살표나 문자)가 표시되고 이와 함께 음성 가이드('카메라를 위 방향으로 비추세요')가 스피커(16)을 통해 출력된다.
또한, 의사는 상기 제 2 단말기(30)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영상을 터치하거나 유저인터페이스의 확대 아이콘을 이용해서 영상을 확대하면, 상기 카메라(11)가 줌-인(zoom-in) 된다. 반대로, 화면상의 영상을 축소하면 상기 카메라(11)는 줌-아웃(zoom-out) 된다. 마찬가지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조명 아이콘을 이용해서 상기 제 1 단말기(10)의 조명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11) 제어는 상기 제 2 단말기(30)의 제어부(33)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30)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의사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11)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에서 진료부위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상기 제 1 단말기(10)의 화면상에 제공된다. 또한, 이와 함께 음성 가이드('노란 영역에 팔을 가져다 놓으세요')가 스피커(16)을 통해 출력된다. 또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의사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기(30)는 진료부위의 크기를 판단하기 위한 눈금자 및 격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메라(11)에 포착되는 영상에 표시한다. 이처럼, 진료부위의 모양에 대한 가이드라인, 눈금자, 격자를 이용하여 크기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11)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이용한 진단이 더 정확해 질 수 있다.
도 8은 제 1 단말기(10)의 전자 칠판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1)에 포착되는 영상이 상기 제 2 단말기(30)에 제공되는 동안이나 상기 메모리(13)에 저장된 이후에, 사용자는 상기 제 1 단말기(10)의 화면상의 사진이나 영상에서 실제 아픈 부위를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서 가리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말기(10)의 화면상에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서 가리키면 디스플레이(17)가 이를 인식하고 상기 제 2 단말기(30)의 화면상에 실제 아픈 부위가 표시된다(a). 또한, 실제로 사진이나 영상을 찍을 수 없는 부위(예를 들어, 갈비뼈, 내부장기 등)의 경우, 상기 메모리(13)에 저장된 인체사진을 상기 제 1, 2 단말기(10, 30)의 화면상에 표시되고, 위와 같이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서 아픈 부위를 가리킬 수 있다(b).
도 9는 제 2 단말기(30)의 다중 촬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 2 단말기(30)는 화면을 분할해서 이전 촬영된 사진/영상과 현재 촬영된 사진/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의 사진/영상을 다른 환자의 사진/영상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의사는 사용자의 증상이 호전되었는지 경과를 확인하거나 또는 타 환자와의 증상과 비교할 수 있다.
도 10은 제 1 단말기(1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기(10)는 전방카메라(111), 후방카메라(112), 센서(113), 제어부(114), 메모리(115), 통신부(116), 스피커(117),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카메라 조명을 위한 조명부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15), 통신부(116), 스피커(117), 디스플레이(118)는 도 2의 제 1 단말기(10)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상기 전방카메라(111)는 상기 디스플레이(118)와 함께 상기 제 1 단말기(10)의 전면에 위치하고, 반대로 상기 후방카메라(112)는 후면에 위치한다. 상기 전방카메라(111) 및 후방카메라(112)는 사진뿐만 아니라 비디오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113)는 상기 제 1 단말기(10)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113)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는 상기 제어부(114)에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114)는 감지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전방카메라(111) 및 후방카메라(112)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4)는 감지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1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 가까운지 지면과 수직인 상태에 가까운지를 판단하고,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 가깝다면 상기 후방카메라(112)를 선택하고 지면과 수직인 상태에 가깝다면 상기 전방카메라(111)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포착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카메라가 후방카메라(112)이면 지면에 가까운 발을 포착하고, 반대로 상기 선택된 카메라가 전방카메라(111)이면 사용자의 얼굴을 포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의 색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그대로 온(on) 상태로 유지할지 또는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이 기설정된 색채(예를 들어, 피부색)를 포함한다면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 포착을 계속 유지하고, 반대로 상기 영상 기설정된 색채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114)는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로 전환해서 영상을 포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전환된 카메라를 통해 포착되는 영상의 색채에 따라 상기 전환된 카메라를 계속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환된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이 기설정된 색채를 포함하면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전환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 포착을 계속 유지하고, 반대로 상기 영상이 기설정된 색채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전방카메라(111) 및 후방카메라(112)에 포착되는 영상에 신체부위가 없다고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처럼, 화상 진료 중에 사용자의 전/후방 카메라가 기울기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되고 진료부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준다.
도 1의 원격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치료 가이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의 카메라(11)에 의해 포착되는 진료부위의 영상은 제 2 단말기(3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단말기(10)의 화면과 상기 제 2 단말기(30)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된다. 의사는 상기 제 2 단말기(30)를 통해서 사용자의 진료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세밀한 진단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진료부위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11)를 제어한다.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 1, 2 단말기(10, 30)에 저장되는데, 이때 상기 제 2 단말기(30)는 저장되는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증상에 해당하는 응급처치 가이드를 자동으로 써치(search)해서 화면에 표시한다. 의사는 상기 제 2 단말기(30)에서 제안된 응급처치 가이드를 확인 및 선택하면, 상기 제 2 단말기(30)는 선택된 응급처치 가이드를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송된 응급처치 가이드를 참조해서 응급처치를 취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간으로 응급처치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신속하고 적합한 응급처치가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진료용 원격촬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원격촬영 시스템은 제 1 단말기(210), 서버(220), 제 2 단말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기(210)는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써,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랩탑 또는 태블릿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써, 상기 제 1 단말기(210)는 진료받고자 하는 신체 부위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상기 서버(22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말기(210)는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또는 ID),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상기 서버(220)는 환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것으로, 환자별 질환 및 증상, 환자별 화상진료 이력, 환자별 처방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서버(220)는 상기 제 1 단말기(2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이미지 전처리과정을 통해 처리하고, 상기 영상에 포함된 환부/상처의 이미지 패턴을 자동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220)는 상기 전송된 영상과 함께 제공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기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패턴을 기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패턴은 상기 서버(220)에 저장되어 있던 타인의 데이터와도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말기(230)는 상기 서버(220)의 분석결과를 수신하고 화면을 통해 의사에게 제공한다. 의사는 상기 서버(22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유사 진료 이력을 확인하고, 동일한 증상을 보였던 시기, 원인, 부위, 사용자의 상태 및 특징, 처방내역, 회복기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상기 서버(220)를 통해 해당 사용자와 유사한 증상을 보였던 타 환자의 이미지 및 사례, 처방내역, 치료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환부/상처를 포함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자동 분석되고, 사용자는 자신이나 타인의 유사 사례를 상기 서버(220)를 통해서 검색하고 이를 의사에게 보여줄 있다. 또한, 의사는 이전 사례를 통해 정확한 진단 및 처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210 : 제 1 단말기 11: 카메라
12: 조명부 13, 32, 115: 메모리
14, 33, 114: 제어부 15, 34, 116 : 통신부
16, 117: 스피커 17, 35, 118: 디스플레이
20 : 통신망 30, 230 : 제 2 단말기
31: 마이크 111: 전방카메라
112: 후방카메라 113: 센서
220: 서버

Claims (15)

  1. 제 1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아이콘,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포착되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이동방향 및 회전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상기 제 1 단말기의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에서 촬영대상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상기 제 1 단말기의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또는 상기 가이드라인과 함께 안내음성을 상기 제 1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에 따라 촬영대상의 크기를 판단하기 위한 눈금자 및 격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촬영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촬영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전송하는 제 1 단말기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 2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감지되는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포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시스템.
  12.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감지되는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포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포착되는 영상의 색채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포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카메라을 통해 포착되는 영상의 색채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KR1020130159406A 2013-12-19 2013-12-19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KR102138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06A KR102138523B1 (ko) 2013-12-19 2013-12-19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06A KR102138523B1 (ko) 2013-12-19 2013-12-19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112A true KR20150072112A (ko) 2015-06-29
KR102138523B1 KR102138523B1 (ko) 2020-08-11

Family

ID=5351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406A KR102138523B1 (ko) 2013-12-19 2013-12-19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5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455A (ko) * 2005-07-28 200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JP2007228177A (ja) * 2006-02-22 2007-09-06 Fujifilm Corp 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
JP2008199460A (ja) * 2007-02-15 2008-08-2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遠隔撮影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044540A (ja) * 2010-08-20 2012-03-01 Canon Inc 撮影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撮影方法
JP2013183306A (ja) * 2012-03-02 2013-09-1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455A (ko) * 2005-07-28 200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JP2007228177A (ja) * 2006-02-22 2007-09-06 Fujifilm Corp 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
JP2008199460A (ja) * 2007-02-15 2008-08-2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遠隔撮影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044540A (ja) * 2010-08-20 2012-03-01 Canon Inc 撮影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撮影方法
JP2013183306A (ja) * 2012-03-02 2013-09-1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523B1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60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euvering a data acquisition device based on image analysis
US9690908B2 (en) Method for managing medicine taking by a user terminal in a system comprising the user terminal, a server, and a medicine container, and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ES2736966T3 (es) Manejo -sin contacto táctil- de dispositivos usando sensores de profundidad
EP3195797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total body imaging
US20170323053A1 (en) Efficient management of visible light still images and/or video
US10607340B2 (en) Remote image transmission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guide displaying method thereof
JP582254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51244B2 (ja) 情報端末装置、遠隔測定システム、情報端末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727776B2 (ja) 支援システム、支援方法、プログラム
JP5698293B2 (ja) 携帯型医用画像表示端末及びその作動方法
JP6368885B1 (ja) 内視鏡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70804B1 (ko) 모바일 스마트 엑스선 의료영상 시스템 및 방법
JPWO201822106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368821B2 (ja)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16375B2 (ja) 診断支援システム
KR20150072112A (ko)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JP2021509298A (ja) 損傷に関連付けられたデータを取得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3218097U (ja) 被支援者用情報処理装置、被支援者用支援システム、サーバ、及び支援者用情報処理装置
KR20140074159A (ko) 의료 영상 장치와 연동되는 컨트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JP2022073686A (ja) 眼科システム、眼科装置遠隔操作方法、眼科装置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2006277486A (ja) 医療映像情報処理装置、及び医療映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4070625A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74879A (ja) 経時変化確認システム、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3500246A (ja) 子宮頸部画像獲得装置
JP2015039615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