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455A -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455A
KR20070014455A KR1020050069102A KR20050069102A KR20070014455A KR 20070014455 A KR20070014455 A KR 20070014455A KR 1020050069102 A KR1020050069102 A KR 1020050069102A KR 20050069102 A KR20050069102 A KR 20050069102A KR 20070014455 A KR20070014455 A KR 2007001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isplay
image
displayed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4455A/ko
Publication of KR2007001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와,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로 촬영되어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촬상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촬영한 후,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대상물의 크기를 정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측정 기구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 측정 기구, 줄자 디스플레이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SYSTEM OF MEASUREMENT FOR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할 경우 정보 표시부의 화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측정 시스템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카메라로 기준 물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도 3의 기준 물체가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측정 시스템으로 촬상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카메라로 촬상물을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도 5의 촬상물이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말기 본체 11 : 입력부
20 : 폴더부 21 : 정보 표시부
23 : 줄자 디스플레이 24 : 기준선 디스플레이
25 : 디지털 디스플레이 30 : 카메라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촬영한 후,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대상물의 크기를 정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측정 기구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초기의 음성 송수신에 한정되었던 기능이 게임, MP3 청취, 인터넷 및 TV 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해상도가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엘시디를 통하여 고화질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분야는, 대상물의 정지 상태를 촬영하여 디지털 사진으로 활용하는 것과, 대상물의 활동 상태를 일정 시간동안 촬영하여 동영상으로 활용하는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개인 홈페이지에 사용자가 촬영한 디지털 사진 또는 동영상 을 게시하는 등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분야는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사진 또는 동영상만을 촬영하는데 그쳤던 종래의 기술 분야는 촬영된 대상물의 크기를 측정하여 실험 분야 또는 측량 분야 등에 활용되는 기술 발전으로는 이어지지 못하였다.
즉,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대상물의 크기를 휴대 단말기 자체에서 측정하여 그 크기(길이, 높이, 두께 등)를 사용자에게 통보해주는 시스템은 현재로서는 전혀 개발된 바 없다.
이 측정 시스템의 이용 분야는, 예를 들어서, 연구자가 실험 대상물을 연구하다가 필요에 의하여 실험 대상물의 사진을 촬영하고 이와는 별도로 실험 대상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실험 대상물의 사진을 촬영함과 동시에 실험 대상물의 크기를 바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연구분야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건설 및 제작 현장에서도 상기한 바와 유사하게 물체의 사진을 촬영함과 동시에 물체의 크기를 바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전혀 시사되거나 시도되지 않았던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상물의 크기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촬영한 후,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대상물의 크기를 정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측정 기구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와,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로 촬영되어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촬상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되어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촬상물의 크기를 기준치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촬상물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측정 기구는 정보 표시부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촬상물을 대비하여 촬상물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는 줄자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촬영되어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촬상물의 크기를 줄자 디스플레이에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상물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측정 기구는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촬상물의 끝단과 줄자 디스플레이의 눈금을 일치시키는 기준선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촬상물의 크기를 줄자 디스플레이에 비교할 경우, 기준선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눈금을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측정 기구는 기준선 디스플레이가 지시하는 줄자 디스플레이의 눈금을 정보 표시부에 표시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표시부의 화면에 숫자로 촬상물의 크기를 표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정확하고 편하게 촬상물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은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할 경우 정보 표시부의 화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측정 시스템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카메라로 기준 물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기준 물체가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측정 시스템으로 촬상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카메라로 촬상물을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촬상물이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1)는,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폴더부(20)와, 단말기 본체(1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카메라(30)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단말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어 휴대 단말기(1)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회로기판(미도시)과, 단말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어 번호를 입력하거나 메뉴를 이동시키는 입력부(11)와, 단말기 본체(10)의 배면 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와, 단말기 본체(1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안테나(13)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부(20)는 폴더부(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21)와, 정보 표시부(21)의 상부에 형성된 스피커(22)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30)는, 단말기 본체(10)의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 몸체(31)와, 카메라 몸체(31)의 일면에 노출된 카메라 렌즈(32)와, 카메라 몸체(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요철 형성된 손잡이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30)는 회로기판을 통하여 정보 표시부(21)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데, 회로기판은 카메라(30)가 촬영한 촬상물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 표시부(21)로 송신하며, 정보 표시부(21)는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사진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측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그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자가 입력부(11)의 버튼을 이용하여 크기 측정 모드를 선택하면 정보 표시부(21)의 화면이 카메라(30)에 포착되는 화상으로 전환되고 그와 동시에 정보 표시부(21)의 화면 일측에 눈금이 표시된 줄자 디스플레이(23)와, 줄자 디스플레이(23)의 눈금과 일치하는 직선으로 구성된 기준선 디스플레이(24)가 표시된다.
이 경우, 기준선 디스플레이(24)는 입력부(11)의 상하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정보 표시부(21)의 화면 속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1)의 측정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휴대 단말기(1)의 개발 단계에서, 측정을 위한 기준치 설정 작업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의 회로기판에 프로그램된 여러가지 모드 중에서 크기 측정 모드를 선택한 후, 미리 그 높이(h)를 알고 있는 기준 물체(100)를 세워두고 그 기준 물체(100)로부터 카메라(30)의 초점거리(f)만큼 떨어져서 기준 물체(100)를 카메라(30)로 촬영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표시부(21)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줄자 디스플레이(23)가 표시되며, 촬영된 기준 물체(100)의 영상이 그 줄자 디스플레(23)이 옆에 표시된다.
이 경우, 미리 기준 물체(100)의 높이(h)를 알고 있으므로, 정보 표시부(21)에 표시된 줄자 디스플레이(23)의 눈금 간격의 길이(x)를 아래 식 (1)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눈금 간격의 길이) = (기준 물체의 높이)/(눈금의 개수)………………(1)
즉, 카메라(30)의 초점거리(f)에서 어떠한 물체를 촬영하였을 때, 그 물체의 크기에 해당하는 눈금의 개수만 사용자가 알아내면, 그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하여 촬상물(200)의 크기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력부(11)의 버튼을 이용하여 크기 측정 모드를 선택하면, 정보 표시부(21)의 화면은 카메라(30)에 포착되 는 화상으로 전환되고 그와 동시에 정보 표시부(21)의 화면 일측에 줄자 디스플레이(23)와 기준선 디스플레이(24)가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촬상물(200)의 하단과 줄자 디스플레이(23)의 최하단 눈금을 수평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카메라(30)로 촬상물(200)을 촬영하면, 정보 표시부(21)의 화면에 정지 상태의 촬상물(200)의 모습이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입력부(11)의 상하 버튼을 이용하여 기준선 디스플레이(24)가 촬상물(20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줄자 디스플레이(23)의 최하단 눈금으로부터 기준선 디스플레이(24)와 일치되는 눈금까지의 눈금 개수를 확인하여 하기 식(2)에 의하여 촬상물(200)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촬상물의 크기) = (눈금 개수) × (눈금 간격의 길이)…………(2)
즉, 상기 식(1)로부터 (눈금 간격의 길이)를 얻어내고, 줄자 디스플레이(23)의 최하단 눈금으로부터 기준선 디스플레이(24)와 일치되는 눈금까지의 (눈금 개수)를 확인하면 상기 식(2)로부터 촬상물(200)의 크기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회로기판은 상기와 같은 계산 절차를 스스로 계산하여 그 계산 결과를 정보 표시부(21)에 디지털 숫자로 표시되도록 프로그램되어, 그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25)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알고리즘은 당업자라면 적절히 구성할 수 있는 정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준 물체(100)로부터 초점거리(f) 만큼 떨어져서 카메라(30)로 촬영하여 줄자 디스플레이(23)의 눈금 간격의 길이(x)를 구하고 그 눈금 간격의 길이(x)를 이용하여 촬상물(200)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나, 그것은 가장 바람직한 방법일 뿐이며, 초점거리(f)가 아니라 특정 거리에서 기준 물체(100)를 촬영한 경우라 하여도, 측정 대상인 촬상물(200)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촬영한다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기준 물체(100)로부터 초점 거리(f)가 아닌 다른 거리만큼 떨어져서 촬영함으로써 눈금 간격의 길이(x)를 구해내었다면, 실제 촬상물(200)의 크기를 측정할 경우에는, 촬상물(200)로부터 초점 거리(f)가 아닌 상기 다른 거리만큼 떨어져서 촬영하고 상기 눈금 간격의 길이(x)를 이용하여 촬상물(200)의 크기를 구해낼 수 있는 것이다.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기준 물체(100)와 카메라(30) 사이의 거리를, 실제 측정 단계에서 촬상물(200)과 카메라(3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만 해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촬영한 후,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대상물의 크기를 정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측정 기구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하여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히 변경 가 능한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상기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촬상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물은 상기 카메라의 초점 거리에서 촬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구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고, 상기 촬상물을 대비하여 상기 촬상물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는 줄자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구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촬상물의 끝단과 상기 줄자 디스플레이의 눈금을 일치시키는 기준선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구는,
    상기 기준선 디스플레이가 지시하는 상기 줄자 디스플레이의 눈금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KR1020050069102A 2005-07-28 2005-07-28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KR20070014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102A KR20070014455A (ko) 2005-07-28 2005-07-28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102A KR20070014455A (ko) 2005-07-28 2005-07-28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455A true KR20070014455A (ko) 2007-02-01

Family

ID=3808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102A KR20070014455A (ko) 2005-07-28 2005-07-28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44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4616A (zh) * 2011-11-22 2012-06-13 捷开通讯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长度测量装置与方法
KR20150072112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4616A (zh) * 2011-11-22 2012-06-13 捷开通讯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长度测量装置与方法
KR20150072112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진료를 위한 원격촬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79643B (zh) 视频合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769561B (zh) 视频录制方法及装置
US9721346B2 (en) Image assessment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3-dimensional measuring and capturing of image pair range
WO2012115253A1 (ja) 電子機器、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CN111601148B (zh) 信息展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7426428A (zh) 电子设备及显示亮度调节方法
JP2019041390A (ja) 撮像装置
CN109922356B (zh) 视频推荐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616691B (zh) 基于自动白平衡的拍照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20130088619A1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and game apparatus
CN112667835A (zh) 作品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192223B (zh) 音频对齐的方法和装置
CN110996167A (zh) 在视频中添加字幕的方法及装置
CN111083526B (zh) 视频转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165628A (zh) 直播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932604A (zh) 人耳特征距离测量的方法和装置
CN109819314B (zh) 音视频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833689B (zh) 一种电学实验的评分方法及装置
KR20070014455A (ko) 휴대 단말기의 측정 시스템
JP2012175694A (ja) 電子機器
CN108801161A (zh) 测量系统、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
CN111370096A (zh) 交互界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060209197A1 (en) Camera devices
JP2006320063A (ja) 充電システム
CN105430273A (zh) 一种利用移动终端拍照测距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