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338A -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338A
KR20150071338A KR1020130158240A KR20130158240A KR20150071338A KR 20150071338 A KR20150071338 A KR 20150071338A KR 1020130158240 A KR1020130158240 A KR 1020130158240A KR 20130158240 A KR20130158240 A KR 20130158240A KR 20150071338 A KR20150071338 A KR 20150071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phosphate
heat resistance
coating composi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6452B1 (ko
Inventor
박노범
고경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58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4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6/00Coat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3C2/00 - C23C24/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25 내지 55 중량%,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17 내지 42중량%, 콜로이달실리카 15 내지 40중량%, 브롬 화합물 5 내지 25중량% 및 실란 커플링제 0.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열 코팅 강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액 안정성이 향상된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내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얇은 코팅층에 의해 원하는 내열성을 충분히 획득할 수 있어 코팅층 형성 시의 건조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나아가, 인산염층과 함께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내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강판의 내열성 및 내식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Coating solution having high heat-resistance and coa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으로, 내열성이 우수하여 열원 근처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며, 가열 시 냄새 및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내열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내열 코팅된 강판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가전 제품인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전기오븐 등의 열원 근처에 사용되는 부품은 내열성을 구비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강판이나 세라믹코팅 강판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소재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저가인 강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이 주방용 가전 제품들은 습윤 분위기에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이들의 제조에 사용되는 강판은 내식성도 구비하여야 한다. 강판의 내식성이 열화하는 경우에는 제품에 부식이 발생하여 외관 및 성능을 저해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강판을 획득하기 위해 도장용으로 개발된 내열 도료를 강판에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열 도료들은 고온 및 장시간의 열처리 조건이 필요하므로, 연속 및 대량생산 공정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저온 및 단시간 조건의 열처리 과정에서도 피막이 건조될 수 있어 연속 및 대량생산 공정에서의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내식성과 내열성이 우수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내열 강판을 대체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며,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코팅 강판이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용액 안정성이 향상되고, 건조 시간이 단축되며, 강판의 내열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내열성 및 내식성이 향상된 코팅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25 내지 55 중량%,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17 내지 42중량%, 콜로이달실리카 15 내지 40중량%, 브롬 화합물 5 내지 25중량% 및 실란 커플링제 0.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규소가 메틸기, 페닐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BDP),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트(TIPP 65),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DMMP),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RDP),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E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트리스(1,3-디클로로-2-프로필)포스페이트(TDCPP),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CEP), 및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TCP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롬 화합물은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HBCD),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TBBA),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DBDPO), 브롬화 폴리스티렌(BPS), 및 트리스(트리브로모페녹시)-s-트리아진(FR-245)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3-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소지 강판; 상기 소지강판 상에 소지 강판의 편면을 기준으로 1 내지 5g/㎡의 부착량으로 형성된 인산염층; 및 상기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상기 소지 강판의 편면을 기준으로 1 내지 5g/㎡의 부착량으로 코팅된 내열 코팅층을 포함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강판이 제공된다.
상기 소지 강판은 아연도금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염층을 구성하는 인산염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망간, 아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인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액 안정성이 향상된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내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얇은 코팅층에 의해 원하는 내열성을 충분히 획득할 수 있어 코팅층 형성 시의 건조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나아가, 인산염층과 함께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내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내열 코팅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코팅층 형성 시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판의 내열성 및 내식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도금 강판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용액 안정성이 향상된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획득하였으며, 나아가 도금 강판 상에 인산염층을 먼저 형성한 후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강판의 내열성 및 내식성이 보다 현저하게 향상되어 내열 코팅층의 두께가 얇아도 원하는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내열 코팅층의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코팅층의 형성에 소요되는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이 단축되어, 용융아연도금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과 같은 연속 대량 생산 공정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품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은,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25 내지 55 중량%,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17 내지 42중량%, 콜로이달실리카 15 내지 40중량%, 브롬 화합물 5 내지 25중량% 및 실란 커플링제 0.5 내지 7중량%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함량은 모두 고형분을 기준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기에 기술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내열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로서, 그 분자구조는 규소와 산소가 번갈아 있는 실록산 결합(Si-O 결합)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규소는 메틸기, 페닐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촉매를 사용하여 금속 규소와 염화메틸을 약 300℃에서 반응시키면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얻어지는데, 이것을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이, 고형분을 기준으로,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 특성을 부여하는 다른 성분들을 충분히 고용할 수 없게 되어 용액 안정성이 저하되고, 내열 코팅 조성물에 침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이 고형분을 기준으로 5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 특성을 부여하는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내열 특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BDP),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트(TIPP 65),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DMMP),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RDP),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E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트리스(1,3-디클로로-2-프로필)포스페이트(TDCPP),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CEP), 및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TCP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이 고형분 기준으로 17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내열성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4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액 안정성이 저하되어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콜로이달실리카는 본 발명 코팅 조성물의 내식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 성분으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루독스(Ludox) 콜로이달실리카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으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콜로이달실리카가 고형분 기준으로 1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내식성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액 안정성이 저하되어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브롬 화합물은 본 발명 코팅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HBCD),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TBBA),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DBDPO), 브롬화 폴리스티렌(BPS), 및 트리스(트리브로모페녹시)-s-트리아진(FR-245)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롬 화합물이 고형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충분한 내열성을 발휘할 수 없으며, 2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용액 안정성이 저하되어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콘 수지와 그 외 성분들을 서로 가교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내열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고형분 기준으로 0.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본 발명 코팅 조성물이 충분한 내열성 및 내식성을 발휘할 수 없으며, 그 함량이 고형분 기준으로 7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액 안정성이 저하되어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내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소지 강판의 내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소지 강판; 상기 소지강판 상에 소지 강판의 편면을 기준으로 1 내지 5g/㎡의 부착량으로 형성된 인산염층; 및 상술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상기 소지 강판의 편면을 기준으로 1 내지 5g/㎡의 부착량으로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강판이 제공된다.
상기 소지 강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적용될 수 있는 어떠한 강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지 강판은 아연도금강판일 수 있으며, 즉 소지 강판 상에 아연계 도금층이 형성된 아연도금강판일 수 있다.
상기 아연계 도금층의 형성 방법은 전기아연도금 방법 및 용융아연도금 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아연계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아연계 도금층의 성분계 역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전기아연도금강판 혹은 용융아연도금강판에 적용된 도금층의 성분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층은 강판의 내열성과 내식성을 동시에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내열 코팅층의 두께가 얇아질 때의 내열성과 내식성 저하 문제를 보상하기 위해 사전에 형성시키는 피막이다.
예를 들어, 소지 강판으로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하는 경우, 아연도금층 상에 인산염층을 형성시킨 후 본 발명의 내열 코팅 조성물로 코팅 처리를 하는 경우, 소지 강판의 내열성 및 내식성이 더욱 향상되어, 내열 코팅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충분히 원하는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내열 코팅층의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이 단축되어 용융아연도금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과 같은 강판의 연속 대량생산 공정에서의 적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인산염층을 구성하는 인산염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망간, 아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인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도장하지용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인산염계가 주성분인 어떠한 인산염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층의 형성 방법은 침지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인산염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산염층은 소지 강판의 편면을 기준으로 1 내지 5g/㎡의 부착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산염층의 부착량이 1 g/m2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 및 내식성의 확보가 불충분해지며, 5g/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연속적 대량 생산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예 1: 코팅 조성물의 조성에 따른 내열 코팅 강판의 물성 평가
도금 부착량이 편면 기준 25/㎡인 전기아연도금강판 상에 파카라이징사의 인산아연계 인산염 처리제인 PALBOND 3050을 이용하여 인산염층을 3g/m2 부착량으로 형성시킨 후, 상기 인상염층 상에 나아가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조성된 코팅 조성물을 3g/m2 부착량으로 도포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강판의 내열성, 내식성 및 용액 안정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내열성 평가는 시료를 500℃ 전기 오븐에서 24시간 유지한 후 피막에 X-컷(cut)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박리폭 3mm 이하
X : 박리폭 3mm 초과
상기 내식성 평가는 평판 상태에서 염수 농도 5%, 온도 35℃, 분무압 1kg/cm2의 조건에서 백청이 5% 발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96시간 이상
X : 96시간 미만
상기 용액안정성 평가는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초기 대비 20% 이상 상승하거나 육안 관찰 결과 용액의 침전, 분해 및 젤화가 진행되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불량(X)으로 판단하였다
구분 코팅 조성물(중량%) 품질 특성
실리콘 수지 인산에스테르화합물 콜로이달
실리카
브롬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내열성 내식성 용액
안정성
비교예 1 20 28 22 10 3 X
실시예 1 25 28 22 10 3
실시예 2 37 28 22 10 3
실시예 3 55 28 22 10 3
비교예 2 60 28 22 10 3 X
비교예 3 37 15 22 10 3 X
실시예 4 37 17 22 10 3
실시예 5 37 42 22 10 3
비교예 4 37 45 22 10 3 X
비교예 5 37 28 10 10 3 X X
실시예 6 37 28 15 10 3
실시예 7 37 28 40 10 3
비교예 6 37 28 45 10 3 X
비교예 7 37 28 22 3 3 X
실시예 8 37 28 22 5 3
실시예 9 37 28 22 25 3
비교예 8 37 28 22 30 3 X
비교예 9 37 28 22 10 0.3 X X
실시예 10 37 28 22 10 0.5
실시예 11 37 28 22 10 7
비교예 10 37 28 22 10 10 X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팅 조성물의 경우에는 내열성, 내식성 및 용액안정성이 모두 우수하게 평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부착량에 따른 내열 코팅 강판의 물성 평가
아연 부착량 15g/㎡인 전기아연도금강판 표면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의 인산염층을 형성하였으며, 다만 그 부착량을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0.8 내지 6g/m2의 범위로 조절하여 코팅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부착량을 0.8 내지 6g/m2의 범위로 조절하여 도포하여 부착량에 따른 내열성, 내식성 및 조업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내열성 및 내식성의 평가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조업성은 인산염 피막의 형성 속도와 내열 코팅층의 건조 속도를 측정하여 평가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 중 어느 하나의 속도가 20초를 초과할 경우 연속 라인에서 생산성이 극히 저하되기 때문에 불량(X)으로 판단하였다.
구분 부착량 (g/㎡) 품질특성
인산염층 내열코팅층 내열성 내식성 작업성
비교예 11 0.8 3 X X
실시예 12 1 3
실시예 13 3 3
실시예 14 5 3
비교예 12 6 3 X
비교예 13 3 0.8 X X
실시예 15 3 1
실시예 16 3 5
비교예 14 3 6 X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 및 인산염층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부착량으로 코팅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내열성 및 내식성과 함께 나아가 조업성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8)

  1.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25 내지 55 중량%,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17 내지 42중량%, 콜로이달실리카 15 내지 40중량%, 브롬 화합물 5 내지 25중량% 및 실란 커플링제 0.5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는 규소가 메틸기, 페닐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갖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BDP),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트(TIPP 65),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DMMP),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RDP),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E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트리스(1,3-디클로로-2-프로필)포스페이트(TDCPP),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CEP), 및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TCP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 화합물은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HBCD),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TBBA),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DBDPO), 브롬화 폴리스티렌(BPS), 및 트리스(트리브로모페녹시)-s-트리아진(FR-245)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3-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인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6. 소지 강판;
    상기 소지강판 상에 소지 강판의 편면을 기준으로 1 내지 5g/㎡의 부착량으로 형성된 인산염층; 및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내열 코팅 조성물이 상기 소지 강판의 편면을 기준으로 1 내지 5g/㎡의 부착량으로 코팅된 코팅층
    을 포함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강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 강판은 아연도금강판인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강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층을 구성하는 인산염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망간, 아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인산염인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강판.
KR1020130158240A 2013-12-18 2013-12-18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KR10153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240A KR101536452B1 (ko) 2013-12-18 2013-12-18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240A KR101536452B1 (ko) 2013-12-18 2013-12-18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338A true KR20150071338A (ko) 2015-06-26
KR101536452B1 KR101536452B1 (ko) 2015-07-13

Family

ID=5351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240A KR101536452B1 (ko) 2013-12-18 2013-12-18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4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27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포스코 내고온고습성이 우수한 내열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CN113294613A (zh) * 2021-04-30 2021-08-24 江苏龙山管件有限公司 一种耐高温合金弯头及其加工工艺
WO2023115656A1 (zh) * 2021-12-22 2023-06-29 上海国玻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具有耐热冲击性能的保温毡及其制备方法
CN113294613B (zh) * 2021-04-30 2024-05-31 江苏龙山管件有限公司 一种耐高温合金弯头及其加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013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포스코 방청 피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232A (ja) * 2005-06-28 2007-01-18 Jfe Steel Kk 表面処理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13432B2 (ja) * 2005-12-28 2013-10-09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金属表面処理用組成物、金属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された亜鉛めっき鋼板
JP2007246775A (ja) * 2006-03-17 2007-09-27 Nisshin Steel Co Ltd 耐熱塗料およびプレコート鋼板
KR101049966B1 (ko) * 2010-10-05 2011-07-15 (주)조은데코 불연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 도장 강판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27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포스코 내고온고습성이 우수한 내열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CN113294613A (zh) * 2021-04-30 2021-08-24 江苏龙山管件有限公司 一种耐高温合金弯头及其加工工艺
CN113294613B (zh) * 2021-04-30 2024-05-31 江苏龙山管件有限公司 一种耐高温合金弯头及其加工工艺
WO2023115656A1 (zh) * 2021-12-22 2023-06-29 上海国玻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具有耐热冲击性能的保温毡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452B1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6900B (en)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insulating co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steel sheet
TWI500814B (zh) 金屬表面處理用組成物、金屬表面處理方法及金屬材料之塗裝方法
KR101536452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BRPI0620726A2 (pt) chapa de aço para fins elétricos tendo revestimento de isolamento d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mesma
KR102209545B1 (ko) 내고온고습성이 우수한 내열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
KR20120074841A (ko) 판상형 지르코늄포스페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6091059A1 (zh) 一种热镀铝锌钢板用表面处理剂、热镀铝锌钢板及其制造方法
JPWO2015075792A1 (ja) 耐黒変性と耐食性に優れた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20032A (ko) 방열특성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처리 방법
TW201525027A (zh) 無機鈍化塗料、其形成方法、及所形成之無機鈍化保護膜
KR10137274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코팅 강판 및 이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
KR101220679B1 (ko) 아연도금강판 코팅용 복합수지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처리된 아연도금강판
CN104369495B (zh) 一种自粘性丙烯酸乳液涂布的镀氧化铝膜及其制造方法
US10421865B2 (en) Rubber-metal adhesive
JP2001341229A (ja) 加工性、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耐熱プレコート鋼鈑
JP2010022911A (ja) プレコート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プレコート鋼板。
JP2009190369A (ja) 絶縁被膜を有する電磁鋼板
KR101459854B1 (ko) 실리카졸을 포함하는 금속 표면 처리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KR101435290B1 (ko) 금속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표면처리 방법
JP6343505B2 (ja) 建築用外装材
KR101534571B1 (ko) 강판코팅용액 및 그 제조방법
JP4892997B2 (ja) プレコート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750861A (zh) 一种耐磨阻燃装饰用塑料材料
KR101645063B1 (ko) 판상형 지르코늄포스페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8319437A (ja) 無毒性かつ耐食性に優れる塗料およびそれを塗布したプレコート金属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