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091A -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091A
KR20150071091A KR1020130157530A KR20130157530A KR20150071091A KR 20150071091 A KR20150071091 A KR 20150071091A KR 1020130157530 A KR1020130157530 A KR 1020130157530A KR 20130157530 A KR20130157530 A KR 20130157530A KR 20150071091 A KR20150071091 A KR 20150071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cover
cover
connection portion
flip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봉
이규석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1091A/ko
Priority to US14/546,198 priority patent/US9442519B2/en
Publication of KR20150071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Abstract

개시된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가 수납되는 베이스 커버와, 전면부에 보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플립 커버와, 연결부를 구비한다. 연결부는, 플립 커버를 주 디스플레이 위에 덮힌 닫힌 위치와, 주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보조 디스플레이가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외부로 노출된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커버와 연결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Protection c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가 개시된다.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의 전자 기기(이하, 모바일 기기), 특히 휴대가 가능한 전자 기기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케이스가 채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 케이스는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전자 기기를 수납하는 베이스 커버와, 디스플레이를 개폐하는 플립 커버를 구비한다. 베이스 커버와 플립 커버는 접철될 수 있게 연결된다.
휴대가 가능한 전자 기기의 경우 휴대의 편의성 등의 견지에서 크기가 제한되므로, 디스플레이의 크기 또한 제한될 수 있다.
플립 커버에 마련된 보조 디스플레이를 내부/외부를 향하도록 전환할 수 있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보호 케이스는, 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가 수납되는 베이스 커버; 전면부에 보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플립 커버; 상기 플립 커버를, 상기 주 디스플레이 위에 덮힌 닫힌 위치와 상기 주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 및 상기 닫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가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외부로 노출된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커버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에 연결된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립 커버의 후면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제2단부에 상기 제1, 제2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에는 몰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단부는 상기 몰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몰입부의 깊이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플립 커버와 중첩되는 부분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접철 가능한 제1연결부; 상기 제2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플립 커버와 중첩된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플립 커버에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호 절곡될 수 있게 연결되는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플립 커버에 부착된 위치와 상기 플립 커버를 소정의 경사각도로 지지하는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립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가장자리들은 자기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검출유닛은, 상기 제2연결부에 배치된 자석;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상기 플립 커버에 배치되는 제1, 제2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전자 기기의 배터리 커버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주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를 수납하는 배터리 커버; 전면부에 보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플립 커버; 상기 플립 커버를, 상기 주 디스플레이 위에 덮힌 닫힌 위치와 상기 주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 및 상기 닫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가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외부로 노출된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에 연결된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립 커버의 후면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제2단부에 상기 제1, 제2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에는 몰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단부는 상기 몰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몰입부의 깊이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플립 커버와 중첩되는 부분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접철 가능한 제1연결부; 상기 제2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플립 커버와 중첩된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플립 커버에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호 절곡될 수 있게 연결되는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플립 커버에 부착된 위치와 상기 플립 커버를 소정의 경사각도로 지지하는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립 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가장자리들은 자기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검출유닛은,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상기 플립 커버에 배치되는 제1, 제2자석;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 제2자석을 검출하는 제1, 제2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에 따르면, 플립 커버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보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외부로 노출된 제2위치로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2위치에서 자기력을 이용하여 연결부와 플립 커버를 부착시킴으로서 보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보조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영상 정보를 보조 디스플레이와 전자 기기의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서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를 채용함으로써 보조 디스플레이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커버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로서 플립 커버가 전자 기기의 주 디스플레이를 덮는 닫힌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플립 커버가 일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2c는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로서, 베이스 커버가 전자 기기의 배터리 커버를 대체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플립 커버가 연결부의 제2단부에 대하여 회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보조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보조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플립 커버가 닫힌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6은 플립 커버와 연결부의 제2단부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립 커버와 연결부의 제2단부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힌지 구조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에는 플립 커버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2연결부에 밀착되는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플립 커버가 제1,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서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가 채용된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보조 디스플레이가 베이스 커버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지게 유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보호 케이스(100)의 일 실시예로서 플립 커버(120)가 전자 기기(200)의 주 디스플레이(210)를 덮는 닫힌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보호 케이스(100)의 일 실시예로서, 플립 커버(120)가 일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2c는 보호 케이스(100)의 일 실시예로서, 베이스 커버(110)가 전자 기기의 배터리 커버(230)를 대체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 1b, 2a, 2b, 및 2c를 참조하면, 보호 케이스(100)는 베이스 커버(110)와, 플립 커버(120)를 구비한다. 베이스 커버(110)와 플립 커버(120)는 연결부(1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전자 기기(200)는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주 디스플레이(210)를 구비하는 본체(220)와, 본체(220)의 후면을 덮는 배터리 커버(230)를 포함한다. 배터리 커버(230)는 본체(220)에 장착된 배터리(미도시)를 교체하기 위하여 본체(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그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싱 유닛(미도시) 및 입출력 수단(미도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200)가 영상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영상/음향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수단은 영상/음향 입출력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커버(110)는 개구(112)를 구비한다. 전자 기기(200)가 베이스 커버(110)에 수납되면, 전자 기기(200)에 마련된 주 디스플레이(210)는 개구(112)를 통하여 노출된다.
다른 예로서, 도 2c를 참조하면, 베이스 커버(110)는 전자 기기(200)의 배터리 커버(230)를 대체할 수 있다. 즉, 본체(220)로부터 배터리 커버(230)를 제거하고, 베이스 커버(110)를 본체(220)의 후면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며 베이스 커버(110)가 배터리 커버(230)로서 기능하며, 보호 케이스(100)가 전자 기기(200)의 일 구성요소가 된다. 이하에서 베이스 커버(110)는 베이스 커버(110) 또는 배터리 커버(230)를 의미하며, 도면에 베이스 커버를 나타내는 참조부호 110과 배터리 커버를 나타내는 참조부호 230를 병기한다.
연결부(130)는 플립 커버(120)를 주 디스플레이(210)를 덮는 닫힌 위치(도 1a, 도 1b)와, 주 디스플레이(210)를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도 2a, 도 2b)로 이동될 수 있도록 베이스 커버(110)와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한다. 플립 커버(120)는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배치되는 전면부(121)와 그 반대면인 후면부(12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120)가 닫힌 위치에 위치되면 주 디스플레이(210)를 덮어 주 디스플레이(2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120)가 완전히 열리면, 주 디스플레이(21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노출되어 주 디스플레이(21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호 케이스(100)는, 플립 커버(120)가 닫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내부로 숨겨진 위치(제1위치: 도 1a, 도 1b)와 외부로 노출된 위치(제2위치: 도 4a, 도 4b)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연결부(130)를 채용한다.
도 3a와 도 3b는 플립 커버(120)가 연결부(130)의 제2단부(132) 에 대하여 회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플립 커버(120)가 닫힌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연결부(130)는 베이스 커버(110)와 연결되는 제1단부(131)와, 제1단부(131)로부터 연장되어 플립 커버(120)의 후면부(122)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단부(132)를 구비한다. 플립 커버(120)는 제2단부(132)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여기서 중앙부는 접철 방향의 중앙부를 의미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120)가 베이스 커버(110)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열린 상태에서, 플립 커버(120)를 제2단부(132)에 대하여 화살표시 A1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120)의 후면부(122)가 주 디스플레이(210)를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립 커버(120)를 닫힌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외부로 노출된 제2위치에 위치된다.
반대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서, 플립 커버(120)를 제2단부(132)에 대하여 화살표시 A2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플립 커버(120)의 전면부(121)가 주 디스플레이(210)를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립 커버(120)를 완전히 열면 도 2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디스플레이(21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120)를 완전히 닫으면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에 위치된다.
도 6은 플립 커버(120)와 연결부(130)의 제2단부(132)와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립 커버(120)와 제2단부(132) 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플립 커버(120)의 후면부(122)에는 그로부터 내측으로, 즉 전면부(121)를 향하여 몰입된 몰입부(123)가 마련된다. 몰입부(123)의 몰입 깊이와 폭은 연결부(130)의 플립 커버(120)와 중첩되는 부분(후술하는 제2연결부(3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중첩되는 부분(후술하는 제2연결부(320))의 두께와 폭과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부(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부(131)로부터 연장된 제1연결부(310)와, 제2단부(132)로부터 연장되어 제1연결부(310)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320)를 구비한다. 제2연결부(320)는 플립 커버(120)와 중첩된다. 제1연결부(320)는 접철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제2연결부(320)는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제1연결부(310)는 접철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연한 폴리머, 인조가죽, 가죽, 다수의 마디가 있는 관절구조 등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단부(132)와 플립 커버(120)와의 회동 가능한 연결구조는 유연한 마디(16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연결부(320)는 평판형 심재(321)와, 심재(321)를 둘러싸는 유연한 피복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한 피복재(322)는 예를 들어 유연한 직물, 가죽, 인조가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복재(322)는 심재(321)에 접착, 융착 등의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피복재(322)는 제2단부(132) 로부터 연장되어 플립 커버(120)의 후면부(122)에 부착된다. 이때, 제2단부(132)와 플립 커버(120)의 후면부(122) 는 서로 간격(G)을 두고 이격된다. 이 간격(G) 내의 피복재(322)에 의하여 유연한 마디(161)가 구현된다. 피복재(322)와 플립 커버(120)의 후면부(122)와의 부착은 예를 들어 접착, 융착 등의 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마디(16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단부(132)와 플립 커버(120)와의 연결 위치는 플립 커버(120)의 접철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며, 플립 커버(120)의 두께를 감안하여 일측으로 약간 치우칠 수 있다. 치우침 양은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1위치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플립 커버(120)와 베이스 커버(110)의 외곽이 어긋나지 않고 정렬되도록 결정되며, 그 치우침 양은 플립 커버(120)의 두께의 1.5배 이내일 수 있다.
전자 기기(20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를 연결하는 신호선(170)은 베이스 커버(110)로부터 연결부(130) 를 따라 연장되어, 플립 커버(120)를 관통하여 보조 디스플레이(14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선(170)은 심재(321)와 피복재(322) 사이로 연장되어 플립 커버(120)에 마련된 슬롯(125)을 통과하여 보조 디스플레이(140)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선(170)은 전자 기기(200)가 베이스 커버(110)에 장착될 때에 전자 기기(200)에 마련된 접속단자(미도시)와 접촉방식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호선(170)은 그 일단부가 전자 기기(200)에 마련된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전자 기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부(130)의 제2단부(132)와 플립 커버(120)는 힌지 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은 힌지 구조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단부(132)에는 제1관통공(163a)을 구비하는 다수의 제1힌지부(163)가 마련되고, 플립 커버(120)의 몰입부(123)에는 제2관통공(124a)을 구비하는 다수의 제2힌지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관통공(163a)(124a)을 정렬한 후에 제1, 제2관통공(163a)(124a)에 회동축(164)을 삽입함으로써 플립 커버(120)를 연결부(130)의 제2단부(132) 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다. 회동축(164)은 플립 커버(120)에 보조 디스플레이(140)를 조립하기 전에 전면부(121) 측으로부터 제1, 제2관통공(163a)(124a)에 삽입될 수 있다. 참조부호 125는 신호선(170)이 통과되는 슬롯이다. 제2연결부(320) 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321)와 피복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1힌지부(163)는 심재(321)에 마련될 수 있다. 신호선(170)은 심재(321)와 피복재(322) 사이로 연장되어 슬롯(125)을 통하여 보조 디스플레이(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신호선(170)이 심재(321)와 피복재(322) 사이에 배치되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신호선(170)은 연결부(130) 의 내측면, 즉 베이스 커버(110)와 대향되는 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선(170)은 연결부(130) 의 내측면, 즉 베이스 커버(110)와 대향되는 면에 패턴화된 도선의 형태로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유연한 케이블의 형태로 베이스 커버(110)와 플립 커버(1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본체(220) 및 보조 디스플레이(1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주 디스플레이(21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닫힌 위치(제1위치: 도 1a, 도 1b), 주 디스플레이(21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도록 열린 위치(도 2b의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 및 보조 디스플레이(140)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닫힌 위치(제2위치: 도 5a, 도 5b)가 구현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200)는 주 디스플레이(21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의 외부로의 노출 상태에 따라서 주 디스플레이(21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에 적절한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플립 커버(120)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연결부(130)의 플립 커버(120)와 중첩되는 부분, 즉 제2연결부(32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립 커버(120)와 제2연결부(320)는 자기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는 플립 커버(120)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2연결부(320)와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320)에 자석(180)이 배치되고,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120)에는 자석(180)에 부착될 수 있는 제1, 제2부착부재(126a)(126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부착부재(126a)(126b)는 예를 들어 철판일 수 있다. 제1, 제2부착부재(126a)(126b)는 제2단부(132) 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립 커버(12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자석(180)과 제1부착부재(126a)가 서로 부착된다. 또한, 플립 커버(12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자석(180)과 제2부착부재(126b)가 서로 부착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립 커버(120)에 제1, 제2부착부재(126a)(126b) 대신에 두 개의 자석(180)이 배치되고, 제2연결부(320)에 자석(180) 대신에 부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플립 커버(120)가 제1,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치검출유닛은 예를 들어, 자석(180)의 자기력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센서는 예를 들어, 홀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320)에 자석(180)이 배치되고 플립 커버(120)에 제1, 제2부착부재(126a)(126b)가 배치된 구조에서, 제1, 제2홀 소자(127a)(127b)가 제2단부(132) 가 연결되는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립 커버(12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자석(180)과 제1홀 소자(127a)가 서로 대향되어, 제1홀 소자(127a)에 의하여 자석(180)의 자기력이 검출된다. 또한, 플립 커버(12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자석(180)과 제2홀 소자(127b)가 서로 대향되어 제2홀 소자(127b)에 의하여 자석(180)의 자기력이 검출된다. 그러므로, 제1, 제2홀 소자(127a)(127b)에 의한 자기력의 검출 여부에 의하여 플립 커버(120)가 제1,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제2홀 소자(127a)(127b)의 검출신호는 예를 들어 신호선(170)을 통하여 전자 기기(2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200)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보조 디스플레이(140)의 위치를 확인하고 주 디스플레이(210)와 보조 디스플레이(140)에 적절한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200)는 자체에 내장된 근접 센서(도 11: 240)와 제1, 제2홀 소자(127a)(127b)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플립 커버(120)의 상태(열린 상태/닫힌 상태)와, 플립 커버(120)의 위치(제1위치/제2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표 1에서 "ON"과 "OFF"는 근접센서(240)/제1, 제2홀 소자(127a)(127b)에 의하여 플립 커버(120)/자석(180)가 검출된 상태와 검출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플립 커버 상태 플립 커버 위치 근접센서 제1홀 소자 제2홀 소자
열린 상태 제1위치 ON ON OFF
제2위치 ON OFF ON
닫힌 상태 제1위치 OFF ON OFF
제2위치 OFF OFF ON
제1, 제2홀 소자(127a)(127b)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된 경우에도 그 하나의 ON, OFF 여부에 따라서 플립 커버(120)의 위치(제1, 제2위치)를 검출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전자 기기(200)는, 보호 케이스(100)가 플립 커버(120)의 위치를 제1, 제2위치로 전환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인지 아닌지 여부를 구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1, 제2홀 소자(127a)(127b)를 배치하여 둘 중에서 어느 하나는 항상 "ON"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전자 기기(200)가 플립 커버(120)의 위치를 제1, 제2위치로 전환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100)임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플립 커버(120)가 제1,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의 (a)와 (b)는 각각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에서 제2연결부(320)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립 커버(120)에 제1, 제2자석(191)(192)이 배치되며, 전자 기기(200)에 제1, 제2홀 소자(127a)(127b)가 배치된다. 이 경우 제2연결부(320) 에는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각각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2, 제1자석(192)(191)에 부착되는 부착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제1, 제2자석(191)(192)은 플립 커버(120)의 중앙부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자석(191)과 제1홀 소자(127a)가 서로 대향된다. 또,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2자석(192)과 제2홀 소자(127b)가 서로 대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홀 소자(127a)(127b)의 검출 신호와 근접 센서(240)의 검출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위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보호 케이스(100)는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주 디스플레이(210)를 향하는 상태, 즉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커버(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연결부(320)는 서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서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320)가 채용된 보호 케이스(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베이스 커버(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지게 유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연결부(320)는 제2단부(132)로부터 연장된 제1분절부재(330)와, 제1분절부재(330)와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제2분절부재(3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분절부재(340)는 제1연결부(310)와 연결된다. 도 12에서, 제1분절부재(330)와 제2분절부재(340)의 연결구조, 및 제2분절부재(340)와 제1연결부(310)와의 연결구조로서, 도 7에 도시된 마디(161)(162)와 동일한 연결구조가 채용된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연결구조들 중 적어도 일부에는 도 8에 도시된 힌지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제1, 제2분절부재(330)(340)는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력에 의하여 플립 커버(120)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1, 제2분절부재(330)(340)에 자석(18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플립 커버(120)에 자석(180)이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플립 커버(12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분절부재(330)는 플립 커버(120)에 부착되고, 제2분절부재(340)는 제1분절부재(330)에 대하여 회동되어 플립 커버(120) 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다. 따라서, 제2분절부재(320)가 지지대의 역할을 하여 플립 커버(120)는 도 12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분절부재(340)는 바닥면에 지지되고 제1분절부재(330)가 플립 커버(120)로부터 이격되어 플립 커버(120)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다. 따라서, 제1분절부재(330)가 지지대 역할을 하여 플립 커버(120)가 도 13에 도시된 상태보다 더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립 커버(120)를 경사진 상태로 더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플립 커버(120)와 베이스 커버(110)의 연결부(130), 즉 제1단부(131)와 인접한 가장자리부가 서로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커버(110)의 제1단부(131) 와 인접한 가장자리부에는 자석(113)이 배치되고, 이와 대향되는 플립 커버(120)의 가장자리부에는 철판 등의 부착부재(128)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플립 커버(120)가 베이스 커버(110)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연결부(320)가 서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두 개의 분절부재(330)(340)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는 셋 이상의 분절부재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320)를 채용함으로써 보조 디스플레이(140)가 베이스 커버(110)에 대하여 더 다양한 경사 각도를 갖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보호 케이스 110...베이스 커버
113...자석 120...플립 커버
121, 122...전면부, 후면부 123...몰입부
163. 124...제1, 제2힌지부 126a, 126b...제1, 제2부착부재
127a, 127b...제1, 제2홀 소자 128...부착부재
130...연결부 140...보조 디스플레이
161, 162...마디 164...회동축
180...자석 191, 192...제1, 제2자석
310, 320...제1, 제2연결부 321...심재
322...피복재 330, 340...제1, 제2분절부재

Claims (20)

  1. 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가 수납되는 베이스 커버;
    전면부에 보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플립 커버;
    상기 플립 커버를, 상기 주 디스플레이 위에 덮힌 닫힌 위치와 상기 주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 및 상기 닫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가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외부로 노출된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커버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에 연결된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립 커버의 후면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제2단부에 상기 제1, 제2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몰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단부는 상기 몰입부에 연결되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몰입부의 깊이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플립 커버와 중첩되는 부분의 두께 이상인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접철 가능한 제1연결부;
    상기 제2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플립 커버와 중첩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플립 커버에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호 절곡될 수 있게 연결되는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플립 커버에 부착된 위치와 상기 플립 커버를 소정의 경사각도로 지지하는 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가장자리들은 자기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유닛을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유닛은,
    상기 제2연결부에 배치된 자석;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상기 플립 커버에 배치되는 제1, 제2자기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전자 기기의 배터리 커버인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12. 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주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를 수납하는 배터리 커버;
    전면부에 보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플립 커버;
    상기 플립 커버를, 상기 주 디스플레이 위에 덮힌 닫힌 위치와 상기 주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 및 상기 닫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가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외부로 노출된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에 연결된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립 커버의 후면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제2단부에 상기 제1, 제2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몰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단부는 상기 몰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몰입부의 깊이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플립 커버와 중첩되는 부분의 두께 이상인 전자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접철 가능한 제1연결부;
    상기 제2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플립 커버와 중첩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플립 커버에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전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호 절곡될 수 있게 연결되는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플립 커버에 부착된 위치와 상기 플립 커버를 소정의 경사각도로 지지하는 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가장자리들은 자기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는 전자 기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제1,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유닛을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유닛은,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상기 플립 커버에 배치되는 제1, 제2자석;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 제2자석을 검출하는 제1, 제2자기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30157530A 1920-12-17 2013-12-17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KR20150071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530A KR20150071091A (ko) 2013-12-17 2013-12-17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US14/546,198 US9442519B2 (en) 1920-12-17 2014-11-18 Protection c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530A KR20150071091A (ko) 2013-12-17 2013-12-17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091A true KR20150071091A (ko) 2015-06-26

Family

ID=5336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530A KR20150071091A (ko) 1920-12-17 2013-12-17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42519B2 (ko)
KR (1) KR201500710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01A (ko) * 2015-07-15 2017-01-25 박진우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US11073871B2 (en) 2017-11-21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hin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0347B1 (en) * 2012-04-18 2016-03-29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A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JP6087423B2 (ja) * 2013-03-08 2017-03-01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剤注入装置
US9473192B2 (en) * 2015-03-10 2016-10-18 Incipio, Llc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having cover with opaque and transparent regions
WO2017127536A1 (en) * 2016-01-19 2017-07-27 Beam Authentic, Inc. Mobile device case for holding a display device
US9929763B1 (en) * 2016-03-28 2018-03-27 Amazon Technologies, Inc. Proximity sensor arrangement for wireless devices
EP3531229B1 (en) * 2016-11-03 2022-11-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evention of protective case turning screen off by mistake in terminal using hall sensors
CN109844682A (zh) * 2016-11-03 2019-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保护壳及终端
WO2018196890A1 (en) * 2017-04-28 2018-11-01 Vladimir Kranz Additive equipment to multimedia equipment with adjustable display
TWI639375B (zh) 2017-11-24 2018-10-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可於摔落時提供保護的手持電子裝置
USD976250S1 (en) * 2021-01-14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CN113966908A (zh) * 2021-11-25 2022-01-25 广东虹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设备的多功能放置箱
US20240036602A1 (en) * 2022-07-31 2024-02-01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0325B1 (en) * 1996-04-19 2003-01-21 Mack, Ii Gawins A. Convertible portable telephone
KR20030063638A (ko)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덮개에 보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휴대정보단말 장치
US7864524B2 (en) * 2008-12-24 2011-01-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fo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93409B1 (ko) 2009-01-12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KR20110028148A (ko) 2009-09-11 201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00089017A (ko) 2009-12-29 2010-08-11 이창주 휴대폰 배터리 덮개
US8634873B2 (en) * 2010-03-17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interchangeable second devices
KR101328028B1 (ko) 2010-07-09 2013-11-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세션 기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43982B1 (en) 2010-09-17 2012-03-27 Apple Inc. Foldable accessory device
KR101260940B1 (ko) 2011-01-11 2013-05-06 주식회사 티모넷 휴대단말기의 RF 안테나 장치와 접속되는 Micro-SD 메모리
KR101935038B1 (ko) 2011-02-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124194A (ko) 2011-05-03 2012-11-13 신두일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US20130050164A1 (en) 2011-08-23 2013-02-28 Nicholaus R. Rericha Electronic device cases and covers having a reflective display, and methods thereof
KR101188978B1 (ko) 2012-04-19 2012-10-09 고돈호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커버
KR101212133B1 (ko)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01A (ko) * 2015-07-15 2017-01-25 박진우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US11073871B2 (en) 2017-11-21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42519B2 (en) 2016-09-13
US20150169010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1091A (ko)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JP6539409B2 (ja)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フレキシブルなキーボードアクセサリ
JP4286735B2 (ja) 携帯機器
JP2004310659A (ja) 情報処理装置
KR20040025809A (ko) 휴대전화기
US755143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display panel
KR2015009967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0677300B1 (ko) 휴대용 단말기
JP2007208149A (ja) 携帯型電子機器
US9426911B2 (en) Protective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JP2008182596A (ja) 携帯端末装置
JP2017054353A (ja) 携帯用情報機器
JP2009164760A (ja) 電子機器
JP2008182601A (ja) 携帯端末装置
JP4585906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5333219A (ja) 携帯型情報表示装置
JP2007274602A (ja)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WO2010035765A1 (ja)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そのヒンジ機構およびオープン方法
KR1006780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JP4284230B2 (ja) 電子機器
KR101258472B1 (ko) 거치대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단말기
JP2004232754A (ja) 携帯端末装置
JP2004221776A (ja) 情報端末機器
JP2012161055A (ja) 遮光フード、及び電子機器
JP2014075539A (ja) 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