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381A -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381A
KR20150070381A KR1020157013119A KR20157013119A KR20150070381A KR 20150070381 A KR20150070381 A KR 20150070381A KR 1020157013119 A KR1020157013119 A KR 1020157013119A KR 20157013119 A KR20157013119 A KR 20157013119A KR 20150070381 A KR20150070381 A KR 2015007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vi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513B1 (ko
Inventor
사토시 네기시
마모루 나가노
Original Assignee
캐논 이미징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이미징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이미징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9Providing operational support to end devices by off-loading in the network or by emulation, e.g. when they are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5Converting image data to a format usable by the connected apparatu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내부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상의 정보 처리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내부 디바이스(40)를 가상화 제어되는 디바이스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식별된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를 정보 처리 장치(10)에 보내고,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10)가 내부 디바이스(40)를 가상화 제어해서 내부 디바이스(40)와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USB 데이터를 사용한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고, 중계되는 USB 데이터를, 내부 디바이스(40)와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제1 데이터 형식과, 정보 처리 장치(10)와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제2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DEVICE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EVIC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의 광범위한 사용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정보 처리 장치인 클라이언트 PC가 프린터, 스토리지 및 스캐너 등의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서버를 개재해서 공유 디바이스로서 이용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몇몇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출원인은, 디바이스 서버가 디바이스 서버 자신에 로컬 접속된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의 변화를 감시하고,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검지하면, 상태 변화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클라이언트 PC에 통지하고, 클라이언트 PC는 이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디바이스가 로컬 접속된 것으로 인식하면서 디바이스를 제어(이하, "가상화 제어(virtualization control)"라고 칭한다)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국제 공개 WO 2011/055831 공보
그러나, 본 출원에 앞서 본 출원인이 제안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프린터 및 복합기 등의 디바이스에 구비되고 있는 조작 패널(키보드 및 숫자판 등)로부터 네트워크 상의 클라이언트 PC를 원격 조작해서 인쇄 또는 스캔을 실행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입력 장치(키보드 및 숫자판 등) 및 표시 장치(이하, "내부 디바이스"라고 칭한다)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상의 클라이언트 PC(정보 처리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디바이스 제어 장치로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기능을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접속된 내부 디바이스로서 인식하기 위해 식별된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식별 정보 송신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내부 디바이스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요구에 따라, 상기 내부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제1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제2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제어하는 가상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의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기능을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접속된 내부 디바이스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식별된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정보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식별 정보 송신 단계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내부 디바이스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요구에 따라서, 상기 내부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제1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제2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제어하는 가상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기능인 내부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의 가상화 제어 하에 있는 경우, 내부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제1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고, 정보 처리 장치와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제2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내부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상의 정보 처리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정보 처리 장치가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를 가상화 제어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정보 처리 장치가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를 가상화 제어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흐름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하여지는 외부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흐름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하여지는 내부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a는 도 9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기억 유닛 및 터치 패널이 정보 처리 장치의 가상화 제어 하에 있을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
도 10b는 도 9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기억 유닛 및 터치 패널이 정보 처리 장치의 가상화 제어 하에 있을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9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에 정보 처리 장치에서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암호화 정보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9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기억 유닛 및 터치 패널이 정보 처리 장치의 가상화 제어 하에서 MFP가 구비하는 프린터 및 스캐너를 사용할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가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개재해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접속되고 있다. LAN은 유선 회선 또는 무선 회선으로 구성된다.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또는 HDMI)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30)가 로컬 접속되고 있다.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장치인 정보 처리 장치(10)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30) 및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40)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를 포함한다. 이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는 전형적으로 제조사에 의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이며, 정보 처리 장치(10)는 각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를 사용하여 상기의 내부 디바이스(40) 및 외부 디바이스(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30) 및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40)를, 이들 디바이스(30, 40)가 정보 처리 장치(10)에 직접 접속되는(로컬 접속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30)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외장형으로 접속되고 있다. 또한, 내부 디바이스(40)는 내부 버스(206)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각 하드웨어 구성요소에 접속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는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10), 하나의 디바이스 제어 장치(20) 및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30)만이 나타나고 있지만, 정보 처리 장치(10), 디바이스 제어 장치(20) 및 외부 디바이스(30)의 수는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예를 들어 프린터 또는 복합기 등의 사무용 기기로 나타나 있지만,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사무용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내장 장치, 휴대 전화기,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이어도 된다.
외부 디바이스(30)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USB 또는 HDM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내부 디바이스(40)가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를 포함하고 있지만, 입력 장치(208)로서 표시 장치(210)에 구비된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외부 디바이스(30)를 접속하지 않고,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정보 처리 장치(10) 및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는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정보 처리 장치(10)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CPU, 입력 유닛, 표시 유닛, 메모리, 통신 유닛 및 기억 유닛 등을 포함하고, 이들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내부 버스를 통해 서로 접속되고 있다.
CPU는 정보 처리 장치(1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입력 유닛은, 예를 들어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고 있다. 표시 유닛으로서, 예를 들어 액정 모니터가 사용된다. 메모리는, 예를 들면 RAM 및 ROM이다.
LAN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통신 유닛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고,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로컬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30) 및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40)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억 유닛(11)에는, 소프트웨어인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라고 칭하며, 도시하지 않는다), 통신 제어 유닛(104), 가상화 제어 유닛(103), 디바이스 드라이버(102) 및 애플리케이션(101)이 기억됨과 함께, 다른 기능에 관한 소프트웨어 또한 기억되고 있다. 또한, 이들 소프트웨어의 세트는 메모리에 판독되어서, CPU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애플리케이션(101)은, 디바이스 드라이버(102)에 대하여 데이터 입출력 요구를 발행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30) 및 내부 디바이스(4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는, OS 또는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 요구를, 외부 디바이스(30) 및 내부 디바이스(40)에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의 데이터(이하, "제어 명령"이라고 칭한다)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가상화 제어 유닛(103)에 보낸다. 또한,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는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을 애플리케이션(101)에 통지한다.
가상화 제어 유닛(103)은,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로부터 보내어진 제어 명령(즉, 데이터 입출력 요구)을 USB 데이터 형식에 준거한 패킷 데이터(이하 "USB 데이터"라고 칭한다)로 변환한다. 또한, 가상화 제어 유닛(103)은 통신 제어 유닛(104)으로부터 보내어진 USB 데이터를 제어 명령과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이 변환된 USB 데이터를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로 보낸다.
또한, 가상화 제어 유닛(103)은 외부 디바이스(30) 및 내부 디바이스(40)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 요구에 응답하여, 외부 디바이스(30) 및 내부 디바이스(40)가 정보 처리 장치(10)에 직접 접속(로컬 접속)되는 경우와 동일한 거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기능(이하, "가상화 제어 기능"이라고 칭한다)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상화 제어 기능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는 외부 디바이스(30) 및 내부 디바이스(40)의 접속 상태가, 이들 디바이스(30, 40)가 로컬 접속된 경우와 동일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유닛(104)은, 가상화 제어 유닛(103)으로부터 보내어진 USB 데이터와 LAN을 개재하여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와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패킷 간의 변환 처리를 행하면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와 정보 처리 장치(10)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 유닛(104)은 가상화 제어 유닛(103)을 개재해서 애플리케이션(10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로부터 보내어진 데이터 송수신 요구에 따라,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와 정보 처리 장치(10)의 사이의 세션의 개시 및 접속해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 및 복합기 등의 주변 기기인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CPU, 메모리, 통신 유닛 및 기억 유닛 등(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내부 디바이스(40) 또한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내부 디바이스(40)(입출력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되는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는 각각 입력 인터페이스(I/F)(207) 및 디스플레이 I/F(209)를 통해서 내부 버스(206)에 접속되고 있다.
CPU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입력 장치(208)는, 예를 들어 키보드, 숫자판 및 마우스 등의 입력 기기, 혹은 이들 기능을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실현한 소프트웨어 키보드이다. 표시 장치(210)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모니터가 사용된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RAM 및 ROM이다.
LAN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통신 유닛은 정보 처리 장치(10)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기억 유닛에는, 소프트웨어인 OS(도시하지 않음), 통신 제어 유닛(201) 및 가상화 제어 유닛(202)이 기억되고, 다른 기능에 관한 소프트웨어 또한 기억된다. 이들 소프트웨어의 세트는 메모리에 판독되어서, CPU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통신 제어 유닛(201)은 정보 처리 장치(10)와의 사이에 행하여지는 입출력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30) 및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내부 디바이스(40)가 마치 정보 처리 장치(10)에 로컬 접속된 것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에게 인식시키면서 정보 처리 장치(10)가 제어를 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정보 처리 장치(10)의 가상화 제어 유닛(103)으로부터의 제어 요구에 따라서(연동해서) 외부 디바이스(30) 및 내부 디바이스(40)를 제어한다.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 및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을 포함한다. 또한,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내부 디바이스(40)를 가상적인 USB 디바이스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전환 유닛(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4 참조)을 포함한다.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는, 정보 처리 장치(10)에게 내부 디바이스(40)를 외부 디바이스(30)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내부 디바이스(40)인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는, 외부 디바이스(30)의 개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정보 처리 장치(10)는 내부 디바이스(40)를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를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의 각각에 할당하고, 정보 처리 장치(10)에게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를 외부 디바이스(30)와 동일하게 USB 디바이스로서 인식시킨다. 여기에서는, USB 디바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구성 정보(이하 "USB 디스크립터"라고 칭한다)를 의사적으로 작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를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로 정의한다.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는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에 미리 기억되지만,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는 USB 디스크립터로 이루어진다.
입력 장치(208)는 키보드 및 마우스에 대응하고, 표시 장치(210)는 디스플레이에 대응하고 있다. 키보드, 마우스 및 디스플레이를 USB 디바이스로서 인식시키기 위해서, 키보드, 마우스 및 디스플레이 각각에 의사적인 USB 디스크립터(즉,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할당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의사적인 USB 디스크립터 각각은, 벤더 ID, 프로덕트 ID, 일련 번호, 클래스, 서브클래스,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벤더 ID는, 각 기업이나 제조 회사마다 할당되는 식별 정보이며, 프로덕트 ID는, 벤더 ID를 갖는 기업 및 회사가 각 제품이나 기종마다 서로 중복하지 않도록 할당하는 코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할당되고 있는 벤더 ID 및 프로덕트 ID가 사용된다.
또한, 클래스, 서브클래스,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마우스 및 디스플레이 등의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USB 규격에 의해 규정되는 정보이다. 벤더 ID, 프로덕트 ID, 클래스, 서브클래스,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를 관련시킨 의사적인 USB 디스크립터가 작성되어서,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에 의해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로서 보유(기억)된다.
여기서, 입력 장치(208)에 대하여 유저 조작 등에 의해 내부 디바이스(40)에의 접속을 개시시키기 위한 접속 조작이 행하여지면,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를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보낸다. 한편, 종료 조작이 행하여지면,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를 종료한다.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은, 가상화 제어 유닛(202)으로부터 보내어지는 USB 데이터 형식에 준거한 패킷 데이터(USB 데이터)와 내부 디바이스(40)에 의해 처리가능한 데이터 형식의 데이터 간의 변환 처리를 행하여, 내부 디바이스(40)에 접속된 입력 I/F(207) 및 디스플레이 I/F(209)와, 정보 처리 장치(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208)에 관한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로서, HID 클래스를 식별한 USB 디스크립터를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보낸다. 또한,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은, 입력 장치(208)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HID 클래스의 USB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USB 데이터를 입력 I/F(207)를 개재해서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보낸다.
또한,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210)에 관한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로서, 벤더 고유 정보(벤더 클래스)가 식별된 USB 디스크립터를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보낸다. 또한,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은, 가상화 제어 유닛(202)으로부터 보내어지는 USB 데이터를 표시 장치(210)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USB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I/F(209)를 개재해서 표시 장치(210)에 보낸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터치 패널로부터 네트워크 상의 정보 처리 장치(10)를 원격 조작하는 때에는, 터치 패널로부터의 전환 조작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가 네트워크 상의 정보 처리 장치(10)에 보내어져, 내부 디바이스(40)인 터치 패널의 제어(즉, 키보드 입력 및 디스플레이 출력)가 네트워크 상의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의 가상화 제어로 전환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터치 패널로부터 네트워크 상의 정보 처리 장치(10)를 원격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디바이스(40)는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 등의 입출력 장치이며, 입력 장치 및 표시 장치는 각각 입력 I/F(207) 및 디스플레이 I/F(209)를 개재해서 내부 버스(206)에 접속된다. 입력 장치(208)는, 키보드, 마우스 및 숫자판 등으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고,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조작 시에 사용된다.
표시 장치(210)에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사용된다. 표시 장치(210)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210)는 입력 유닛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내부 버스(206)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각 블록을 서로 접속해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함과 함께, 전력을 공급한다.
외부 디바이스(30)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및 숫자판 등의 입력 장치, CRT 및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USB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 등이며,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USB 인터페이스 등의 통신 I/F(302)를 통해 접속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정보 처리 장치(10)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40)를 가상화 제어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이다.
먼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로부터 유저 조작에 의해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미리 정해진 조작을 행하여 표시 장치(210)에게 조작 화면을 표시시키고, 입력 장치(208)를 조작(접속 조작)해서 내부 디바이스(40)와의 접속을 개시한다(단계 S101).
도 4는, 표시 장치(210)인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가상화 제어의 개시 및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조작 패널(400)이나 숫자판(410)을 사용해서 유저가 미리 정해진 조작을 실행하면 조작 패널(400) 위에 조작 화면이 표시된다. 조작 화면은,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의 개시를 지시하는 접속 버튼(401), 종료를 지시하는 종료 버튼(402),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의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영역(403)으로 구성된다.
유저가 접속 버튼(401)을 누르면,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한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가 개시된다. 한편, 유저가 종료 버튼(402)을 누르면,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한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가 종료하고,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조작 패널(400)이 통상의 표시 상태로 전환된다. 화면 표시 영역(403)에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보내어진 화면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이 화면 데이터는,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의 화면 표시 영역(403)에 표시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여 얻어진다.
도 3의 시퀀스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유저가 조작 패널(400)의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접속 버튼(401)을 누르면,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의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를 송신해서 접속을 통지한다(식별 정보 송신: 단계 S102). 계속해서,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103).
정보 처리 장치(10)는, 가상화 제어 유닛(202) 및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을 개재해서 입력 장치(208)의 가상화 제어를 개시하고, 가상화 제어 유닛(202)과 데이터 송수신(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단계 S104).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105).
계속해서,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입력 I/F(207)를 개재해서 수신한 입력 데이터를 USB 데이터(제2 데이터 형식)로 변환하고, 이 USB 데이터를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송신한다(단계 S106). 입력 장치(208)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하여 입력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107).
정보 처리 장치(10)는, 가상화 제어 유닛(202) 및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을 개재해서 표시 장치(210)의 가상화 제어를 개시하고, 가상화 제어 유닛(202)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108).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109).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의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은, 가상화 제어 유닛(202)으로부터 보내어진 USB 데이터를 표시 장치(210)의 데이터 형식(제1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I/F(209)를 개재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110). 표시 장치(21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보내어진 화면 데이터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111). 이와 같이, 가상화 제어 유닛(202) 및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내부 디바이스(40)와 정보 처리 장치(1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한다.
가상화 제어가 개시되면, 도 4의 조작 패널(400)의 화면 표시 영역(403)에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보내어진 화상 데이터(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에 접속된 액정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상)가 표시된다. 또한, 숫자판(410) 등을 조작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의 키보드 및 숫자판을 통해서 행해지는 조작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유저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한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를 종료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400)에 표시되어 있는 종료 버튼(402)을 누른다(단계 S112). 이러한 수단에 의해,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내부 디바이스(40)의 제어의 종료를 통지하고,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종료한다(단계 S113). 계속해서,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내부 디바이스(40)의 제어가 종료된 것을 통지한다(종료 통지)(단계 S114). 이러한 수단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한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가 종료하고,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조작 패널(400)이 통상의 표시 상태로 전환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정보 처리 장치(10)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30)를 가상화 제어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외부 디바이스(30)를 USB 인터페이스 등의 통신 I/F(302)를 통해 접속함으로써 가상화 제어가 개시된다.
먼저, 유저는 외부 디바이스(30)를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접속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30)의 개체 식별 정보(301)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송신되어서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201).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하여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202). 이러한 통지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는 가상화 제어 유닛(202)을 개재해서 외부 디바이스(30)의 가상화 제어를 개시하고, 가상화 제어 유닛(202)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203).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통신 I/F(302)를 개재해서(즉, 제3 데이터 형식으로) 외부 디바이스(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204). 계속해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를 개재해서 정보 처리 장치(10)와 외부 디바이스(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한 후, 유저 조작 등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30)를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로부터 접속해제한다(단계 S205).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이 접속해제를 검지하면, 정보 처리 장치(10)에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해제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206). 이러한 통지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한 외부 디바이스(30)의 가상화 제어가 종료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행하여지는 가상화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디바이스 접속의 통지 검출 처리에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로부터 디바이스 접속의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2). 디바이스 접속의 통지가 없으면(단계 S302에서, 아니오), 정보 처리 장치(10)는 대기한다.
한편, 디바이스 접속의 통지가 있으면(단계 S302에서, 예), 정보 처리 장치(10)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와의 가상화 제어를 개시한다(단계 S303).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304).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디바이스의 접속해제 혹은 제어 종료의 검출 처리 시에, 정보 처리 장치(10)가 디바이스의 접속해제 통지, 혹은 제어 종료의 통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5). 디바이스가 접속 중이라면(단계 S305), 정보 처리 장치(10)는 단계 S304의 처리로 복귀해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계속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10)가 디바이스의 접속해제 통지, 혹은 제어 종료의 통지를 받으면(단계 S305에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와의 가상화 제어를 종료한다(단계 S306).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는 단계 S302로 복귀되어서 디바이스 접속의 통지 검출 처리를 재개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의해 행하여지는 외부 디바이스(30)의 가상화 제어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외부 디바이스 접속의 통지 검출 처리 시에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단계 S402). 외부 디바이스(30)의 접속이 검지되지 않으면(단계 S402),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접속이 검지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30)의 접속을 검지하면(단계 S402),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403).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한 외부 디바이스(30)의 가상화 제어가 개시되면(단계 S404), 정보 처리 장치(10)와 외부 디바이스(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중계)한다(단계 S405).
계속해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외부 디바이스의 접속해제의 검출 처리 시에,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단계 S406).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 중이면(단계 S406),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단계 S405의 처리로 복귀해서 정보 처리 장치(10)와 외부 디바이스(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계속한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30)의 접속해제를 검지하면(단계 S406),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가상화 제어되고 있는 외부 디바이스(30)와의 데이터 송수신(중계)을 종료하고(단계 S407),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하여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해제된 것을 통지하고, 외부 디바이스(30)의 가상화 제어를 종료한다(단계 S408).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다시 단계 S402로 복귀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접속의 검출 처리를 재개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서 행하여지는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에 관한 처리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흐름도이며,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유저 조작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조작 화면을 표시 장치(210)의 조작 패널(400)에 표시하고, 유저에 의한 입력을 대기한다(단계 S502).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내부 디바이스의 접속 검지 처리 시에, 예를 들어 유저가 접속 버튼(401)의 누름에 의해 내부 디바이스(40)에 접속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03).
내부 디바이스(40)의 접속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단계 S503),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단계 S502의 처리로 복귀해서 대기한다. 한편,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접속 버튼(401)의 누름에 의해 내부 디바이스(40)의 접속을 검지한 경우(단계 S503),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내부 디바이스(40)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504).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와의 가상화 제어를 개시한다(단계 S505). 가상화 제어가 개시되면, 정보 처리 장치(10)와 내부 디바이스(4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실행된다.
계속해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관한 입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입출력 데이터를 내부 디바이스(40)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단계 S506), 입력 I/F(207) 및 디스플레이 I/F(209)를 개재해서 내부 디바이스(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507).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내부 디바이스의 제어 종료 검출 처리 시에 내부 디바이스(40)의 제어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단계 S508). 내부 디바이스(40)의 제어 종료를 검지하지 않으면, 즉, 내부 디바이스(40)가 접속 중인 경우(단계 S508),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단계 S506의 처리로 복귀하고, 데이터 형식의 변환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종료 버튼(402)의 누름에 의한 내부 디바이스(40)의 제어의 종료를 검지하면(단계 S508),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가상화 제어되고 있는 내부 디바이스(40)와의 데이터 송수신(중계)을 종료하고(단계 S509), 정보 처리 장치(10)에 내부 디바이스(40)의 제어가 종료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510). 이러한 수단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한 내부 디바이스(40)의 가상화 제어가 종료하고,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조작 패널(400)이 통상의 표시 상태로 전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40)를 가상화 제어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102)를 사용해서 내부 디바이스(40)가 정보 처리 장치(10)에 직접 접속(로컬 접속)된 경우에 행해지는 거동과 마찬가지의 거동을 가상화 제어 유닛(103)이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40)(예를 들어, 키보드, 숫자판 및 디스플레이)를 사용해서 정보 처리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30) 및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40)에 관한 디바이스 드라이버(102)가 정보 처리 장치(10)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디바이스(30) 및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내부 디바이스(40)에 관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는 LAN을 개재해서 복합기(MFP)(50)에 접속되고, MFP(50)에는 USB에 의해 기억 장치(60)가 접속된다. MFP(50)는 내부 디바이스로서 터치 패널(501)을 갖고 있으며, 이 터치 패널은 입력 I/F(207) 및 디스플레이 I/F(209)를 통해 내부 버스(206)에 접속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MFP(50)는 프린터(502), 스캐너(503) 및 팩스(50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기억 장치(60)는 암호화 정보 기억 유닛(602), 암호화 데이터 유닛(603), 복호화 모듈(604) 및 통신 I/F(302)를 갖고, 후술하는 매체 식별 정보(601)가 기억 장치(60)에 설정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MFP(50)는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10)의 기능을 겸비한 터치 패널(501)을 갖고 있다. 입력 장치(208)에 대응하는 기능은 입력 I/F(207)를 개재해서 내부 버스(206)에 접속되고, 표시 장치(210)에 대응하는 기능은 디스플레이 I/F(209)를 개재해서 내부 버스(206)에 접속되며, 이 기능들은 CPU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터치 패널(501)을 정보 처리 장치(10)를 사용하여 가상화 제어함으로써, 터치 패널(501)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원격 조작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MFP(50)에 접속된 기억 장치(60)를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가상화 제어하여, MFP(50)의 터치 패널(501)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10)를 원격 조작해서 기억 장치(60)의 암호화를 해제한다. MFP(50)의 스캐너 기능과 제휴해서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기억 장치(60)에 보존한다. 또한, 기억 장치(60)의 암호화 데이터를 MFP(50)의 프린터 기능과 제휴해서 인쇄한다.
정보 처리 장치(10)의 애플리케이션(101)에는 기억 장치(60)를 사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포함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30)가 접속된 것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면, 그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기동한다(이후, 설명의 편의상, 상기 소프트웨어도 간단히 "애플리케이션(101)”이라고 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억 장치(60)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암호화 기능을 구비한 이동식 기억 매체(이하, "USB 메모리"라고 칭한다)이며, 매체 식별 정보(601)를 포함하고, 암호화 정보 기억 유닛(602), 암호화 데이터 유닛(603), 복호화 모듈(604) 및 통신 I/F(302)를 갖고 있다.
매체 식별 정보(601)로서, 예를 들어 기억 장치(60)에 할당되고 있는 벤더 ID, 프로덕트 ID 및 일련 번호 등의 식별 정보가 사용된다. 암호화 정보 기억 유닛(602)에는, 기억 장치(60)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하기 위한 암호화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암호화 정보 기억 유닛(602)은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암호화 해제 요구를 수신해서 암호화 데이터 유닛(603)에 대하여 데이터의 판독/ 기입을 허가한다. 암호화 데이터 유닛(603)은 암호화 정보 기억 유닛(602)에 저장된 암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억한다.
복호화 모듈(604)은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억 유닛에 로딩되어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이며, 암호화 정보 입력 화면(후술함)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접속되고 있는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 또한, 복호화 모듈(604)은 암호화 정보 입력 화면에 입력된 암호화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10)에 기억된 암호화 정보를 대조한다. 통신 I/F(302)는 MFP(50)와의 암호화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도 10a 및 10b는, 도 9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기억 장치(60) 및 터치 패널(501)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가상화 제어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이다.
여기서, 유저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조작 화면이 터치 패널(501)에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은, 표시 장치(210)인 터치 패널(501)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프트웨어 키보드(510) 이외의 구성요소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의 조작 화면은, 유저가 미리 정해진 조작을 실행하면 터치 패널(501) 상에 표시되고, 접속 버튼(401), 종료 버튼(402), 화면 표시 영역(403) 및 입력 조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키보드(510)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 키보드(510)는 접속 버튼(401) 및 종료 버튼(402)과 동일한 방식으로 터치 패널(501) 상에 표시되고, 물리적인 키보드 및 마우스에 의해 행해지는 것과 동등한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유저는, 터치 패널(501)에 표시된 접속 버튼(401)을 누름함으로써, 터치 패널(501)의 가상화 제어를 지시한다(단계 S601). 즉, 유저는 조작 화면의 접속 버튼(401)을 누름으로써 접속을 요구한다.
상기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터치 패널(501)에 관련된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를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보냄으로써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접속을 통지한다(단계 S602). 예를 들어, 도 2에서 설명한 키보드, 마우스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3개의 USB 디스크립터를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204)로서 보낸다. 그리고,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터치 패널(501)이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603).
정보 처리 장치(10)는 가상화 제어 유닛(202)을 개재해서 터치 패널(501)의 가상화 제어를 개시하고, 가상화 제어 유닛(202)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604). 이러한 수단에 의해,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605).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의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은, 가상화 제어 유닛(202)으로부터 보내어진 USB 데이터를 터치 패널(501)을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입력 I/F(207) 및 디스플레이 I/F(209)를 개재해서 터치 패널(501)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606). 터치 패널(501)의 화면 표시 영역(403)에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보내어진 화면 데이터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고, 터치 패널(501)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한 입력의 대기 상태로 된다(단계 S607).
기억 장치(60)가 MFP(50)에 접속되면(단계 S608), 기억 장치(60)에 기억된 매체 식별 정보(601)가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보내어져, 기억 장치(60)의 접속을 통지한다. 그리고,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기억 장치(60)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609).
정보 처리 장치(10)는 가상화 제어 유닛(202)을 개재해서 기억 장치(60)의 가상화 제어를 개시하고, 가상화 제어 유닛(202)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610).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통신 I/F(302)를 개재해서 기억 장치(6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611).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의해 기억 장치(60)의 가상화 제어가 개시되면, 정보 처리 장치(10)의 애플리케이션(101)이 자동으로 기동하여, 정보 처리 장치(10)에 접속된 액정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 액정 모니터에 표시된 화면 데이터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에 보내어지고,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보내어진 화상 데이터가 터치 패널(501)에 표시된다.
도 12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터치 패널(50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정보 처리 장치(10)에서 기동된 애플리케이션(101)의 화면은, USB 메모리 내의 파일의 일람을 나타내는 파일 일람 화면(404), 선택된 파일의 프리뷰를 나타내는 프리뷰 화면(407), 선택된 파일의 인쇄를 지시하기 위한 인쇄 버튼(405), 스캔된 화상을 USB 메모리 내에 보존하기 위한 스캔 버튼(406)로부터 구성되고, 터치 패널(501)의 화면 표시 영역(403)에 표시된다. 터치 패널(501)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510)를 조작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가 키 입력, 파일 선택, 인쇄 및 스캔의 실행을 지시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유저는 터치 패널(501)을 사용해서 정보 처리 장치(10)를 원격 조작하여, 기억 장치(60)의 복호화 모듈(604)(소프트웨어)을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억 유닛(11)에 로드함으로써, 암호화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터치 패널(501)의 화면 표시 영역(403)에 정보 처리 장치(10)에 표시되어 있는 암호화 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S612).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터치 패널(501)의 화면 표시 영역(403)에 표시되는 암호화 정보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호화 정보 입력 화면에는, 복호화를 위한 암호화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텍스트 박스(408)와, 입력의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완료 버튼(409)이 표시된다. 유저는 소프트웨어 키보드(510)를 사용하여 기억 장치(60)에 관련된 암호화 정보를 텍스트 박스(408)에 입력한다. 또한, 암호화 정보의 입력이 완료했을 때, 유저는 완료 버튼(409)을 눌러서 암호화 정보의 입력을 결정한다.
유저가 암호화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서 기억 장치(60)에 관련된 암호화 정보를 입력하면(단계 S613),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억 유닛(11)에 로딩된 복호화 모듈(604)은, 단계 S613에서 입력된 암호화 정보와 암호화 정보 기억 유닛(602)에 기억된 암호화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미리 대조하고(단계 S614), 2개의 암호화 정보가 서로 일치할 경우, 기억 장치(60)가 복호화를 행할 것을 요구한다(단계 S615). 이러한 수단에 의해, 이후에 기억 장치(60)가 복호화된다(단계 S616).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기억 장치(60)에 대하여 암호화 데이터의 판독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617). 이러한 수단에 의해, 기억 장치(6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암호화 데이터의 판독 응답을 송신한다(단계 S618).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는 기억 장치(60)로부터 판독된 암호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파일 일람 데이터를 생성해서, 이 파일 일람 데이터를 MFP(50)에 송신한다. MFP(50)는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205)이 수신된 파일 일람 데이터를 변환 처리하게 해서, 변환된 파일 일람 데이터가 터치 패널(501)의 화면 표시 영역(403)에 표시되게 하고(단계 S619), 터치 패널(501)이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한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단계 S620).
여기서, 도 14의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를 원격 조작해서 MFP(50)가 구비하는 스캐너(503)를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기억 장치(60)에 기억(기입)시키고, 기억 장치(60)로부터 이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프린터(502)를 사용하여 이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도 9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기억 장치(60) 및 터치 패널(501)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가상화 제어함으로써, MFP(50)가 구비하는 프린터(502) 및 스캐너(503)를 사용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시퀀스도이다.
여기서, 터치 패널(501)에는,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 애플리케이션(101)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유저가 소프트웨어 키보드(510)를 통해 스캔 버튼(406)을 선택하면, 즉, 누르면(단계 S701), 정보 처리 장치(10)는 스캔 요구를 수신해서 화상 데이터의 판독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702).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는 스캐너(503)에 화상 데이터 판독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703).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스캐너(503)는 화상 데이터의 판독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704).
계속해서, 스캐너(503)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화상 데이터의 판독 응답을 송신한다(단계 S705).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정보 처리 장치(10)는 단계 S705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행한다(단계 S706). 정보 처리 장치(10)는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기억 장치(60)에 대하여 기입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707).
기억 장치(60)는, 기입 요구에 응답하여, 정보 처리 장치(10)에 기입 응답을 송신한다(단계 S708). 계속해서, 유저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화면에서 인쇄 버튼(405)을 선택한다(단계 S709). 이러한 수단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는 인쇄 요구를 수신하고, 화상 데이터에 관련된 인쇄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710).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기억 장치(60)에 암호화 데이터의 판독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711). 기억 장치(6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암호화 데이터의 판독 응답을 송신한다(단계 S712).
정보 처리 장치(10)는 단계 S712의 응답에 따른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행한다(단계 S713). 정보 처리 장치(10)는 프린터(502)에 화상 데이터의 인쇄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714).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프린터(502)는 화상 데이터(즉, 처리된 화상 데이터인 인쇄 데이터)에 따라서 인쇄를 행한다(단계 S715). 그리고, 프린터(502)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화상 데이터의 인쇄 응답을 송신하고(단계 S716),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b의 시퀀스도로 복귀하여, 유저 조작 등에 의해 기억 장치(60)가 MFP(50)로부터 접속해제되면(단계 S621), 디바이스 제어 장치(20)의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기억 장치(60)가 접속해제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622). 또한, 유저는 터치 패널(501)에 표시되어 있는 종료 버튼(402)을 눌러서 터치 패널(501)의 가상화 제어를 종료시킨다(단계 S623).
계속해서,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203)은, 가상화 제어 유닛(202)에 터치 패널(501)의 가상화 제어가 종료된 것을 통지하고, 터치 패널(501)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종료한다(단계 S624). 그리고, 가상화 제어 유닛(202)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터치 패널(501)의 가상화 제어가 종료한 것을 통지한다(단계 S625).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를 사용하여 MFP(50)에 구비된 터치 패널(501)과 MFP(50)에 접속되는 기억 장치(60)(USB 메모리)를 가상화 제어함으로써, MFP(50)의 기능(프린터, 스캐너, 팩스) 및 가상화 제어되고 있는 터치 패널 및 기억 장치를 서로 제휴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 형태의 기능의 제어 방법을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실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갖는 제어 프로그램을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처리, 즉,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록 매체를 개재해서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MPU 등)에 의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10 정보 처리 장치
20 디바이스 제어 장치
30 외부 디바이스
40 내부 디바이스
101 애플리케이션
102 디바이스 드라이버
104, 201 통신 제어 유닛
103, 202 가상화 제어 유닛
203 가상 디바이스 제어 유닛
204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
205 데이터 형식 변환 처리 유닛
206 내부 버스
207 입력 I/F
208 입력 장치
209 디스플레이 I/F
210 표시 장치

Claims (9)

  1.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디바이스 제어 장치로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기능을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접속된 내부 디바이스로서 인식하기 위해 식별된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식별 정보 송신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내부 디바이스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요구에 따라, 상기 내부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제1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제2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제어하는 가상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접속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식별 정보 송신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접속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종료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가상화 제어 수단이 상기 내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종료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 송신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개체 식별 정보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가상화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요구에 따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5.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6.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기능을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접속된 내부 디바이스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식별된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정보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식별 정보 송신 단계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내부 디바이스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요구에 따라서, 상기 내부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제1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제2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제어하는 가상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접속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식별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접속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식별 정보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되는,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종료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가상화 제어 단계에서, 상기 내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종료하는, 제어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개체 식별 정보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되고,
    상기 가상화 제어 단계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디바이스가,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요구에 따라서 제어되는, 제어 방법.
KR1020157013119A 2012-10-22 2013-10-18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101764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2740 2012-10-22
JPJP-P-2012-232740 2012-10-22
JP2013208659A JP6282434B2 (ja) 2012-10-22 2013-10-03 デバイス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JPJP-P-2013-208659 2013-10-03
PCT/JP2013/078888 WO2014065388A1 (en) 2012-10-22 2013-10-18 Device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evice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381A true KR20150070381A (ko) 2015-06-24
KR101764513B1 KR101764513B1 (ko) 2017-08-02

Family

ID=5054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119A KR101764513B1 (ko) 2012-10-22 2013-10-18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22782A1 (ko)
JP (1) JP6282434B2 (ko)
KR (1) KR101764513B1 (ko)
CN (1) CN104769566B (ko)
WO (1) WO20140653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236B1 (ko) * 2019-01-08 2020-05-28 주식회사 오성전자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제어 대상기기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100A1 (ja) * 2015-06-19 2016-12-22 キヤノン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611B1 (en) * 1998-05-08 2001-05-15 Sony Corporation Media manag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media devices within a network environment and managing the flow and format of data between the devices
JP2002342255A (ja) * 2001-05-14 2002-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sb機器接続装置
JP4298600B2 (ja) * 2004-07-05 2009-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機器構築装置および機器構成管理ユニットおよび機器構成管理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506343B2 (en) * 2004-08-19 2009-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ssing information from one device driver to another
US20060107269A1 (en) * 2004-11-17 2006-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device hub
US7640382B2 (en) * 2005-04-29 2009-12-29 Avocent Corporation Virtual media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070005867A1 (en) * 2005-06-30 2007-01-04 Nimrod Diamant Virtual peripheral device interface and protocol for use in peripheral device redirection communication
JP4873987B2 (ja) * 2006-05-02 2012-02-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JP4613328B2 (ja) * 2007-05-17 2011-01-19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Usbデバイスサーバおよびusbデバイスサーバシステム
US8250254B2 (en) * 2007-07-31 2012-08-21 Intel Corporation Offloading input/output (I/O) virtualization operations to a processor
JP5446522B2 (ja) * 2009-07-07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共有管理システム及び共有管理サーバー
JP5745424B2 (ja) * 2009-11-04 2015-07-08 キヤノン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デバイス制御方法、および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TWI436218B (zh) * 2011-04-01 2014-05-01 Ralink Technology Corp 於非通用序列匯流排裝置建立虛擬通用序列匯流排介面之方法及其裝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236B1 (ko) * 2019-01-08 2020-05-28 주식회사 오성전자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제어 대상기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02817A (ja) 2014-06-05
KR101764513B1 (ko) 2017-08-02
JP6282434B2 (ja) 2018-02-21
WO2014065388A1 (en) 2014-05-01
CN104769566B (zh) 2017-10-31
US20150222782A1 (en) 2015-08-06
CN104769566A (zh)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355B2 (e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665328B2 (en) Image recording system, image record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image record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mobile terminal
KR101590034B1 (ko) 인쇄 제어 단말장치,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방법
USRE47876E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US20210352748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180020120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06010423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etup method
JP6686321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第二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EP2461562B1 (en) Scanning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scan job performing method thereof
EP295834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8153500B (zh) 能够进行近场无线通信的打印装置及打印装置的控制方法
US10855879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of image forming devic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image forming device for performing same
CN110221793B (zh) 搜索图像形成设备的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764513B1 (ko)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CN110312050B (zh) 打印系统、打印方法、图像形成装置及其控制方法和介质
JP6216510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US11656809B2 (en)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terminal device to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over a specific screen that displays a message to bring the terminal device closer to a function execution devic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specific screen is caused to be displayed
JP5930945B2 (ja) 画像形成装置、携帯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29666B1 (ko) 인쇄 제어 단말장치,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방법
JP6626559B2 (ja) 通信装置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98292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009239A (ja) 画像形成装置、ドライバー、及びボックス機能を用いた印刷出力方法
KR20190094742A (ko)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장치에서 사용자 정보를 보호
KR20180001294A (ko) 모바일 프린팅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611901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