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544A -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544A
KR20150069544A KR1020140179112A KR20140179112A KR20150069544A KR 20150069544 A KR20150069544 A KR 20150069544A KR 1020140179112 A KR1020140179112 A KR 1020140179112A KR 20140179112 A KR20140179112 A KR 20140179112A KR 20150069544 A KR20150069544 A KR 20150069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base member
piston
clamping devi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194B1 (ko
Inventor
프랑크 호흐만
외르크 호흐만
Original Assignee
프랑크 호흐만
외르크 호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크 호흐만, 외르크 호흐만 filed Critical 프랑크 호흐만
Publication of KR2015006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9/00Accessories
    • B25B29/02Bolt tens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23P19/067Bolt tens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4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maintaining a tensile load
    • F16B31/043Prestressed connections tensioned by means of liquid, grease, rubber, explosive charg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나사산구비 볼트의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 (A) 에서 당김으로써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로서,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를 둘러싸는 언더레이 (8) 에 맞닿아 맞닿음부로서 지지되는 지지 파이프 (2); 상기 지지 파이프 (2) 의 연장부에 배치된 원통형 하우징 (1) 으로서, 상기 하우징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유압 공급 라인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5) 을 가지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 상기 피스톤 (5) 에 의해 축방향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교환가능한 부싱 (10) 으로서,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의 상기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 (A) 에의 나사결합을 위해 내부 나사산 (11) 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피스톤 (5) 에 의한 축방향 운반을 위해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을 구비하는,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5) 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장치 (arrangement : 15);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 (1) 에 고정되는 리드 (lid) 로서, 그 하부측에 상기 탄성 장치 (15) 의 다른 지지부 (47) 가 구성되는, 상기 리드를 포함하는, 클램핑 디바이스가 제안된다. 교환가능한 부싱의 나사결합 및 나사결합해제가 교환가능한 부싱의 교체에 관해서도 간단히 그리고 빠르게 행해질 수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리드는 리드 베이스 부재 (40) 및 폐쇄 리드 (41) 로부터 2-부분으로 구성된다. 리드 베이스 부재 (40) 는 개구 (48) 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폐쇄 리드 (41) 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상기 개구의 반경방향 크기 (W3) 는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의 반경방향 크기 (W1) 보다 더 크다.

Description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CLAMPING DEVICE FOR EXPANDING A THREADED BOLT}
본 발명은, 나사산구비 볼트의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에서 당김으로써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로서,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를 둘러싸는 언더레이에 맞닿아 맞닿음부로서 지지되는 지지 파이프; 상기 지지 파이프의 연장부에 배치된 원통형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유압 공급 라인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을 가지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 상기 피스톤에 의해 축방향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교환가능한 부싱으로서,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의 상기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에의 나사결합을 위해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피스톤에 의한 축방향 운반을 위해 반경방향 팽창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장치 (arrangement);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에 고정되는 리드 (lid) 로서, 그 하부측에 상기 탄성 장치의 다른 지지부가 구성되는, 상기 리드를 포함하는 클램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나사산구비 볼트를 위한 일반적인 클램핑 디바이스는 WO 2008/092768 A2 로부터 알려져 있다.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해, 나사산구비 볼트에의 나사결합을 위한 내부 나사산이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교환가능한 부싱이 클램핑 디바이스의 원통형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교환가능한 부싱은 클램핑 디바이스의 피스톤에 의해 축방향으로 운반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은 유압식으로 작용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플랜지 또는 칼라 (collar) 가 제공된다. 교환가능한 부싱 주위에 배치되는 탄성 장치가 교환가능한 부싱에 맞닿아 또는 피스톤에 맞닿아 상방으로부터 지지된다. 교환가능한 부싱의 교체가 가능하지만, 특히 탄성 장치가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WO 2010/054959 A1 로부터 알려진 클램핑 디바이스의 경우, 나사산구비 볼트의 팽창은 나사산구비 볼트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교환가능한 부싱에 의해 전달된다. 피스톤이 아래에서 맞물리는 캐리어 링이 나사결합될 수 있는 외부 나사산이 교환가능한 부싱의 상단부 가까이에 제공됨으로써, 클램핑 디바이스의 피스톤에 의해 축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교환가능한 부싱 주위에 배치되는 탄성 장치는 캐리어 링에서 그리고 부가적으로 교환가능한 부싱에서 지지되고, 교환가능한 부싱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안쪽으로 오목한 단차부를 구비한다. 교환가능한 부싱을 나사산구비 볼트에 나사결합시키기 위해, 클램핑 디바이스는 나사 연결부에 위치되고 그의 축 주위에서 회전되어서, 교환가능한 부싱은 나사산구비 볼트의 자유 나사산 부분에 나사결합된다. 클램핑 디바이스가 그의 축 주위에서 회전될 때 그러한 나사결합 작용은 시간 소모적이고, 그러한 나사 클램핑 디바이스의 중량의 측면에서 또한 곤란하다.
WO 2008/092768 A2 및 WO 2010/054959 A1 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경우, 예컨대 상이한 나사산 형상 또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교환가능한 부싱의 대해 교환가능한 부싱의 교체는 비교적 높은 레벨의 복잡성과 항상 연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가능한 부싱의 나사결합 및 나사결합해제가 교환가능한 부싱의 교체에 관해서도 간단히 그리고 빠르게 행해질 수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클램핑 디바이스는, 리드 베이스 부재 및 폐쇄 리드로부터의 상기 리드의 2-부분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베이스 부재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폐쇄 리드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상기 개구의 반경방향 크기는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의 상기 반경방향 팽창 부분의 반경방향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식으로 구성된 클램핑 디바이스는 클램핑 프로세스의 상황에서 교환가능한 부싱의 빠른 나사결합 및 나사결합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상이한 나사산 형상 또는 길이를 갖는 교환가능한 부싱에 대한 교환가능한 부싱의 교체는 간단하게 그리고 빠르게 행해질 수 있다. 교환가능한 부싱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큰 복잡함없이, 특히 탄성 장치를 분해할 필요없이 클램핑 디바이스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취해질 수 있다. 종래의 클램핑 디바이스에 요구되는 조립 단계의 생략 때문에, 큰 부하의 나사 연결부에서의 나사결합 작업이 대체로 더 간단하고 빠르게 행해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직렬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디스크 스프링들일 수도 있는 탄성 장치가 피스톤에 형성된 탄성 지지부와 맞닿는다. 그러므로, 이 실시형태에서, 탄성 장치에 의해 직접 탄성적으로 부하를 받는 교환가능한 부싱이 아니고, 대신에 피스톤이다. 이 실시형태는, 교환가능한 부싱의 삽입 및 제거를 위해 탄성 장치가 고려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에 또한 기여한다.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부분은 교환가능한 부싱에 직접 형성된 반경방향 칼라이거나, 또는 교환가능한 부싱의 베이스 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환형 축방향 표면 (annular axial face) 을 형성하는 하부측을 갖는 캐리어 링일 수도 있고, 환형 축방향 표면으로 교환가능한 부싱이 피스톤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므로, 피스톤에 의해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교환가능한 부싱은 3 개의 길이방향 부분으로 구성되고, 제 1 길이방향 부분은 나사산구비 볼트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고, 제 2 길이방향 부분은 반경방향 팽창 부분이고, 제 3 길이방향 부분은 저널 (journal) 형으로 구성되고 클램핑 디바이스의 상부측에서 개구를 충전한다.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개구에서 회전에 의해 폐쇄 리드가 잠금될 수 있는 2-부분 리드의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적절한 잠금 시스템은 예컨대 폐쇄 리드와 리드 베이스 부재 사이의 회전 잠금부, 예컨대 바요넷 (bayonet) 연결부를 포함한다.
폐쇄 리드는, 교환가능한 부싱의 고장의 경우에, 위쪽 방향으로 배출되어 근처의 사람에게 해를 입일 수 있는 것을 방지하므로, 특히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폐쇄 리드는, 리드 베이스 부재의 개구에 대해 동축인 개구를 갖는 환형 디스크로서 구성되고, 폐쇄 리드의 개구는 교환가능한 부싱의 저널형 길이방향 부분에 의해 충전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교환가능한 부싱의 저널형 길이방향 부분은, 클램핑 디바이스의 초기 상태에서 클램핑 디바이스의 상부측과 함께 종결되는 외부 단부 면을 구비하고, 저널형 길이방향 부분은 외부 단부 면 아래의 마킹을 구비한다. 클램핑 디바이스의 작동 동안, 마킹이 먼저 보이게 되는 때에 클램핑 디바이스가, 따라서 나사산구비 볼트의 팽창이 특정 축방향 치수에 도달하였음이 조작자에게 표시된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다른 세부 및 이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나사산구비 볼트에 위치되고 또한 언더레이에 지지되는, 유압식으로 기능하는 나사산구비 볼트 클램핑 디바이스의 간략화된 단면도이고, 폐쇄 리드가 클램핑 디바이스 위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교환가능한 부싱이 클램핑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도 1 에 따른 대상물들을 보여준다.
도 3 은 유압식으로 기능하는 나사산구비 볼트 클램핑 디바이스의 제 2 실시형태의 상측 부분을 보여주며, 여기서 교환가능한 부싱은 제거되어 있다.
도 4 는 리드 베이스 부재에서 폐쇄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비한 대안적인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5 는 리드 베이스 부재에서 폐쇄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비한 대안적인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6 은 리드 베이스 부재에서 폐쇄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비한 대안적인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7 은 리드 베이스 부재에서 폐쇄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비한 대안적인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8 은 리드 베이스 부재에서 폐쇄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비한 대안적인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9 는 리드 베이스 부재에서 폐쇄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비한 대안적인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10 은 리드 베이스 부재에서 폐쇄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비한 대안적인 변형예를 보여준다.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클램핑 디바이스는 조이는 역할을 하고, 또한 선택적으로는 많이 부하를 받는 나사 연결부를 해제하는 역할도 한다. 클램핑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나사산구비 볼트 (3) 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 연결부의 너트 (4) 를 조이거나 또는 다시 조이기 위해, 특정 시간 동안 볼트의 길이방향에서 나사산구비 볼트 (3) 에 미리 결정된 프리텐셔닝 힘 (pretensioning force) 을 가할 수 있다.
클램핑 디바이스 내에 배치되는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내부 나사산 (11) 을 구비한다. 이 내부 나사산은 나사산구비 볼트 (3) 의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 (A) 에 나사결합되고, 이 부분은 너트 (4) 를 넘어 돌출한다. 다음으로, 이런 식으로 나사산구비 볼트에 나사결합된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유압식으로 트랙션 (traction) 하에 놓여서, 나사산구비 볼트 (3) 는 길이방향으로 팽창한다.
클램핑 메커니즘은 원통형 하우징 (1) 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는 또한 다수의 원통형 부분들로부터 모듈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래쪽 방향으로 원통형 하우징 (1) 의 강성 연속부는 너트 (4) 를 둘러싸는 지지 파이프 (2) 를 형성한다. 또한, 지지 파이프 (2) 는 대안적으로는, 원통형 하우징 (1) 에 대해 분리된 부품, 예컨대 원통형 하우징에 놓일 수 있는 부품일 수도 있다.
지지 파이프 (2) 는 그의 하측에서 개방되어 있고, 대개 너트 (4) 가 또한 지지되는 기계 부품인 언더레이 (8) 에서 지지된다. 더욱이, 지지 파이프 (2) 의 개구 (9) 를 통해 작동하는 기어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도 있고, 기어 메커니즘에 의해, 나사산구비 볼트 (3) 에 나사결합된 너트 (4) 가 회전할 수 있다. 이 회전은 본질적으로 단지 클램핑 디바이스가 작동 중이어서 너트 (4) 가 큰 마찰을 받지 않는 때에만 가능하다.
내압식으로 구성된 원통형 하우징 (1) 에 측방향으로 유압 연결부 (7) 가 위치되고, 유압 연결부에 의해, 클램핑 디바이스의 유압 작동 공간이 밸브 제어로 외부 유압 공급부에 연결된다.
원통형 하우징 (1) 은 하나의 또는 대안적으로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유압 실린더는 유압 연결부 (7) 및 가요성의 내압식 유압 라인에 의해 외부 유압 공급부에 연결된다. 각 유압 실린더에는, 내부 실린더 벽에 대해 실링된 피스톤 (5) 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 묘사되는 실시형태에서, 단 하나의 원통형 단차부가 제공되고, 따라서 단 하나의 피스톤 (5) 이 제공된다.
작동 공간에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유압 피스톤 (5) 이 들어 올려진다. 이는 피스톤에서 상방으로부터 지지되는 탄성 장치 (15) 의 압력에 대항하여 행해진다. 탄성 장치 (15) 는 이 경우에 하나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어서 직렬로 연결된 환형 디스크 스프링들을 포함한다.
탄성 장치 (15) 는 피스톤 (5) 에 직접 형성된 탄성 지지부에서 상방으로부터 가압되고, 유압 작동 공간이 최소가 되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기본 위치에 피스톤 (5) 을 유지하려는 힘으로 직접 피스톤 (5) 에 이런 식으로 작용한다.
피스톤 (5) 은 환형이고, 그의 내측 에지에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단차부 (12) 가 제공된다. 단차부 (12) 는, 언더레이 (8) 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여, 축방향 표면을 형성하고, 축방향 표면에는 교환가능한 부싱 (10) 이 표면상에 일체로 형성된 팽창 부분 (25) 에 의해 지지된다. 이런 식으로,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피스톤 (5) 에 의해 축방향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2 에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는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언더레이 (8) 로부터 보았을 때, 제 1 길이방향 부분 (31), 제 2 길이방향 부분 (32) 및 제 3 길이방향 부분 (33) 으로 구성된다.
제 1 길이방향 부분 (31) 에는,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내부 나사산 (11) 을 갖고, 이 내부 나사산은 높은 부하를 받을 수 있고 또한 교환가능한 부싱을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산구비 볼트 (3) 의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 (A) 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내부 나사산 (11) 의 축방향 길이, 따라서 이용가능한 나사결합 깊이는 볼트 (3) 의 나사산 직경과 적어도 동일하여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직경의 1.5 배이다.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제 2 길이방향 부분 (32) 은, 도 1 및 도 2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일체로 형성된 칼라로서 구성된다. 이 길이방향 부분 (32) 은 반경에 있어서 교환가능한 부싱의 가장 넓은 부분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 (5) 에서 교환가능한 부싱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길이방향 부분 (33) 은 저널형으로 구성되고, 제 2 길이방향 부분 (32)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교환가능한 부싱 (10) 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 3 길이방향 부분 (33) 에서 손으로 용이하게 잡힐 수 있다.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폐쇄부는 평평한 외부 단부 면 (34) 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설명되는 실시형태에서, 클램핑 디바이스의 초기 상태의 외부 단부 면 (34) 은 클램핑 디바이스의 상부측 (35) 을 갖는 평면에서 종료된다. 단부 면 (34) 에는,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모터식 (motorised) 회전을 위한 폴리곤 (polygon) 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측 (35) 위로 명확하게 돌출하여 교환가능한 부싱 (10) 을 회전시키기 위해 그 위치에서 손으로 잡힐 수 있을 때까지, 길이방향 부분 (33) 을 위쪽으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길이방향 부분 (33) 은 마찰증가 파형부 (friction-increasing corrugation) 를 구비할 수도 있다.
외부 단부 면 (34) 아래에는, 그루브 형태의 마킹 (37) 이 제 3 길이방향 부분 (33) 에 형성된다. 클램핑 디바이스의 상부측 (35) 에 대한 마킹 (37) 의 위치 때문에, 사용자가 클램핑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리드 베이스 부재 (40) 및 탄성 장치 (15) 를 미리 제거할 필요없이, 교환가능한 부싱 (10) 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기 위해,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탄성 장치 (15) 를 구성하는 환형 디스크 스프링의 내부 크기 (W2) 보다 더 작은 최대 반경방향 크기 (W1) 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팽창 부분 (25 또는 32) 에서 그의 최대 직경을 갖는다.
도 1 및 도 2 의 실시형태에서 3 개의 길이방향 부분 (31, 32, 33) 을 포함하는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일체이고, 바람직하게는 단지 내부 나사산 (11) 이 부가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회전 부품으로서 생성된다.
원통형 하우징 (1) 의 상부 폐쇄부는 환형 리드 베이스 부재 (40) 및 폐쇄 리드 (41) 로 구성되는 2-부분 리드에 의해 형성된다. 피스톤 (5) 을 마주보는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하부측에는, 다른 탄성 지지부 (47), 즉 피스톤 (5) 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탄성 장치 (15) 의 단부를 위한 탄성 지지부가 있다. 2-부분 리드의 리드 베이스 부재 (40) 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하우징 (1) 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원통형 하우징 (1) 에 고정 연결된다.
리드 베이스 부재 (40) 는 그의 중심에, 폐쇄 리드 (41) 를 삽입하기 위한 둥근 개구 (48) 을 구비한다. 이 개구 (48) 의 반경방향 크기 (W3) 는 적어도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팽창 부분 (25) 의 반경방향 크기 (W1) 만큼 크다. 그러므로,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개구 (48) 를 통해, 탄성 장치 (15) 가 원통형 하우징에 남은 상태에서, 완전한 교환가능한 부싱 (10) 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폐쇄 리드 (41) 는 크기 W4 의 개구 (50) 를 갖는 환형 디스크로서 구성되고, 이 개구는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개구 (48) 에 대해 동축을 이룬다. 폐쇄 리드 (41) 의 개구 (50) 는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저널형 길이방향 부분 (33) 에 의해 채워진다. 그러므로, 대체로, 클램핑 디바이스의 상부측은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상부측 (35), 환형 폐쇄 리드 (41) 의 상부측 (51),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환가능한 부싱의 외부 단부 면 (34) 으로 구성된다.
도 1 에 따르면, 폐쇄 리드 (41) 의 개구 (50) 의 직경 또는 반경방향 크기 (W4) 가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의 크기 (W1) 보다 더 작으므로, 폐쇄 리드 (41) 가 고정되는 때, 교환가능한 부싱 (10) 은 클램핑 디바이스 밖으로 위쪽으로 배출될 수 없다. 그러한 상황은 예외적인 경우로서 교환가능한 부싱의 고장의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리드 베이스 부재 (40) 에서의 폐쇄 리드 (41) 의 길이방향에서의 고정은 중요한 안전 특징이다.
폐쇄 리드 (41) 는 예컨대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개구 (48) 에서의 회전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회전 잠금 시스템의 요소, 이 경우에는 바요넷 잠금 시스템이 리드 베이스 부재 (40) 에 그리고 폐쇄 리드 (41) 에 형성되어 있다. 잠금까지의 회전 각도가 작고, 바람직하게는 15°내지 60°이다. 이를 위해,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 개구 (48) 의 영역에, 폐쇄 리드 (41) 의 주변에 형성된 그루브 (55) 에 바요넷 방식으로 잠금식으로 맞물리는 스터드 (57) 가 존재한다. 폐쇄 리드 (41) 를 폐쇄하기 위해, 개구 (48) 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된 후,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다.
폐쇄 리드 (41) 의 회전을 위한 유리한 양태가 폐쇄 리드 (41) 의 상부측 (51) 의 핑거 리세스 (56) 이다.
폐쇄 리드 (41) 의 다른 고정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폐쇄 리드 (41) 는 탄성 장치 (15) 에 의해 부하를 받지 않는다. 후자는 환형 폐쇄 리드 (41) 에 대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내부측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3 은 클램핑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은, 교환가능한 부싱 (10) 이 2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또한 베이스 부재 (10A) 의 외부 나사산 (59) 에 상방으로부터 나사결합될 수 있는 캐리어 링 (32A) 및 베이스 부재 (10A) 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개구 (48) 의 반경방향 크기 (W3) 및 탄성 장치 (15) 의 반경방향 내부 크기 (W2) 는 또한 반경방향 팽창 부분을 형성하는 캐리어 링 (32A) 의 반경방향 크기 (W1) 보다 더 크다.
도 4 내지 도 10 은 폐쇄 리드 (41) 를 리드 베이스 부재 (40) 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4 에서, 폐쇄 리드 (41) 의 주변의 대응 리세스에 탄성 방식으로 맞물려서 리드를 잠그는 탄성 부하식 (resiliently loaded) 고정 요소 (60) 가 리드 베이스 부재 (40) 내에 위치된다.
도 5 에서, 폐쇄 리드 (41) 는 그 주변에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고, 이 외부 나사산은 나사 연결부 (610 가 형성되도록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대응 내부 나사산에 나사결합된다.
도 6 에서, 리드 베이스 부재 (40) 에, 탄성 부하식 볼트 형태의 고정 요소 (60) 가 위치된다. 볼트는 리드 베이스 부재 (40) 밖으로 길이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따라서 잠금을 풀기 위해 바깥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도 7 에서, 폐쇄 리드 (41) 에 고정 위치되고 또한 약간의 회전에 의해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에지에 형성된 바요넷에 의해 간단히 잠금해제될 수 있는 스터드 (57) 가 고정 요소로서 작용한다.
도 8 에서, 폐쇄 리드 (41) 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탄성 부하식 바아 (62) 가 위치된다. 바아 (62) 의 부품은 반경방향 안쪽으로 당겨짐으로써 고정을 해제시키는 버튼 (63) 이다.
도 9 에서, 리드 베이스 부재 (40) 에 대한 폐쇄 리드 (41) 의 고정은 마그넷에 의해 행해진다. 도시된 것처럼, 이는 리드 베이스 부재 (40) 에 또는 대안적으로는 폐쇄 리드 (41) 에 고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 에서, 폐쇄 리드 (41) 는 리드 베이스 부재 (40) 에서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바아 (65) 에 의해 잠금된다. 바아 (65) 는 각 경우에 그의 잠금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1 : 원통형 하우징
2 : 지지 파이프
3 : 나사산구비 볼트
4 : 너트
5 : 피스톤
7 : 유압 연결부
8 : 언더레이
9 : 개구
10: 교환가능한 부싱
10A : 교환가능한 부싱의 베이스 부재
11 : 내부 나사산
12 : 단차부
15 : 탄성 장치
16 : 탄성 지지부
25 : 팽창 부분
31 : 길이방향 부분
32 : 길이방향 부분
32A : 캐리어 링
33 : 길이방향 부분
34 : 외부 단부 면
35 : 상부측
37 : 마킹
40 : 리드 베이스 부재
41 : 폐쇄 리드
47 : 탄성 지지부
48 : 개구
50 : 개구
51 : 상부측
55 : 그루브
56 : 핑거 리세스
57 : 스터드
59 : 외부 나사산
60 : 고정 요소
61 : 나사 연결부
62 : 바아
63 : 버튼
64 : 마그넷
65 : 바아
A :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
W1 : 반경방향 크기
W2 : 내부 크기
W3 : 반경방향 크기
W4 : 반경방향 크기

Claims (12)

  1. 나사산구비 볼트의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 (A) 에서 당김으로써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로서,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를 둘러싸는 언더레이 (8) 에 맞닿아 맞닿음부로서 지지되는 지지 파이프 (2);
    상기 지지 파이프 (2) 의 연장부에 배치된 원통형 하우징 (1) 으로서, 상기 하우징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유압 공급 라인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5) 을 가지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
    상기 피스톤 (5) 에 의해 축방향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교환가능한 부싱 (10) 으로서, 상기 나사산구비 볼트의 상기 나사산구비 단부 부분 (A) 에의 나사결합을 위해 내부 나사산 (11) 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피스톤 (5) 에 의한 축방향 운반을 위해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을 구비하는,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5) 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장치 (arrangement : 15);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 (1) 에 고정되는 리드 (lid) 로서, 그 하부측에 상기 탄성 장치 (15) 의 다른 지지부 (47) 가 구성되는, 상기 리드
    를 포함하고,
    리드 베이스 부재 (40) 및 폐쇄 리드 (41) 로부터의 상기 리드의 2-부분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베이스 부재 (40) 는 개구 (48) 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폐쇄 리드 (41) 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상기 개구의 반경방향 크기 (W3) 는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상기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의 반경방향 크기 (W1) 보다 더 큰, 클램핑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장치 (15) 의 내부 크기 (W2) 는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상기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의 반경방향 크기 (W1)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장치 (15) 는 상기 피스톤 (5) 에 형성된 탄성 지지부 (16) 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은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에 일체로 형성된 반경방향 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은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베이스 부재 (10A) 에 나사결합된 캐리어 링 (32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에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면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의 면에 의해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이 상기 피스톤 (5) 의 단차부 (12) 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이 3 개의 길이방향 부분 (31, 32, 33) 으로 구성되고, 제 1 길이방향 부분 (31) 은 상기 내부 나사산 (11) 을 구비하고, 제 2 길이방향 부분 (32) 은 상기 반경방향 팽창 부분 (25) 이고, 제 3 길이방향 부분 (33) 은 저널 (journal) 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의 상부측에서 개구 (50) 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리드 (41) 는 상기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상기 개구 (48) 에서 회전에 의해 잠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리드 (41) 는, 상기 리드 베이스 부재 (40) 의 상기 개구 (48) 에 대해 동축이고 또한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저널형 길이방향 부분 (33) 에 의해 충전되는 개구 (50) 를 가지는 환형 디스크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 (10) 의 최대 반경방향 크기 (W1) 는 상기 폐쇄 리드 (41) 의 상기 개구 (50) 의 반경방향 크기 (W4)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한 부싱의 저널형 길이방향 부분 (33) 은,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의 상부측 (35) 과 함께 종결되는 외부 단부 면 (34) 및, 상기 외부 단부 면 (34) 아래의 마킹 (37)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베이스 부재 (40) 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 (1) 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디바이스.
KR1020140179112A 2013-12-13 2014-12-12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KR102354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13982.5 2013-12-13
DE102013113982.5A DE102013113982A1 (de) 2013-12-13 2013-12-13 Spannvorrichtung zum Dehnen eines Gewindebolz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44A true KR20150069544A (ko) 2015-06-23
KR102354194B1 KR102354194B1 (ko) 2022-01-20

Family

ID=5202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112A KR102354194B1 (ko) 2013-12-13 2014-12-12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44656B2 (ko)
EP (1) EP2883653B1 (ko)
KR (1) KR102354194B1 (ko)
CN (1) CN104708589B (ko)
DE (1) DE102013113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4133A1 (de) * 2015-03-19 2016-09-22 Frank Hohmann Spannvorrichtung zum Dehnen eines Gewindebolzens
DE102015116484A1 (de) * 2015-09-29 2017-03-30 Jörg Hohmann Spannvorrichtung für eine Schraubverbindung, Verfahren zum Anziehen einer Schraubverbindung sowie Gewindemutter
JP6381840B1 (ja) * 2018-02-28 2018-08-29 株式会社東日製作所 引張装置
JP6381842B1 (ja) * 2018-02-28 2018-08-29 株式会社東日製作所 引張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4959A1 (de) * 2008-11-14 2010-05-20 Wagner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Schraubenspann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6810A (en) * 1979-05-10 1981-01-27 Caterpillar Tractor Co. Tool for pre-tensioning a fastener
US4523742A (en) * 1982-01-25 1985-06-18 Gripper, Inc. Apparatus for tensioning a stud and method of doing same
EP0224622A3 (en) * 1985-11-20 1987-11-11 Haskel, Inc. Apparatus for tensioning a threaded stud or like member
DE4300664C2 (de) * 1993-01-13 1996-07-25 Frank Hohmann Gerät zum Lösen einer Schraubverbindung
DE102004043145B3 (de) * 2004-09-03 2006-05-18 Hohmann, Jörg Hydraulische Schraubenspannvorrichtung
DE102007005284A1 (de) 2007-02-02 2008-08-07 Wagner, Paul-Heinz Verfahren zum Zusammenfügen von Bauteilen durch Spannbolzen
CN202037441U (zh) * 2011-01-25 2011-11-16 南通高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复位螺栓液压预紧装置
CN202517262U (zh) * 2012-01-27 2012-11-07 南通高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只用一个复位弹簧的自动复位螺栓液压预紧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4959A1 (de) * 2008-11-14 2010-05-20 Wagner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Schraubenspann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5610A1 (en) 2015-06-18
EP2883653B1 (de) 2016-07-13
DE102013113982A1 (de) 2015-06-18
US9744656B2 (en) 2017-08-29
CN104708589A (zh) 2015-06-17
EP2883653A1 (de) 2015-06-17
CN104708589B (zh) 2018-04-10
KR102354194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9544A (ko) 나사산구비 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US10239194B2 (en) Tensioning device for extending a threaded bolt
AU681294B2 (en) Improved reaction nut
CN103648651B (zh) 用于锥形破碎机的锁紧螺母组件
EP2361722B1 (en) Rod tensioning device.
JP6219499B2 (ja) 係止装置
US10322478B2 (en) Tensioning device for a screw connection, method for tightening a screw connection, and threaded nut
KR101907654B1 (ko) 컨테이너 래싱 장치
CN103303080B (zh) 车轮夹持装置和可逆地夹持车轮的方法
CA1230030A (en) Operating wrench for tamperproof hydrants
KR20150137910A (ko) 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
CN104390064A (zh) 管线支撑装置及其配套工具
JP5190130B2 (ja) ボルト及びボルト締め付け具
CN205218997U (zh) 用于液力耦合器的内置端盖的拆卸工具
KR101831895B1 (ko) 크레인용 샤클
JP2005201442A (ja) 内部セグメントを付設した座金
JP3140085U (ja) ロックナット装置
CN105518317B (zh) 具有绝热砖瓦的可逆紧固装置的燃气涡轮机燃烧室
JP5255688B2 (ja) ナット及びナット締め付け具
TWM498677U (zh) 車輪轂組裝用固定工具
US6908273B2 (en) Security fixing for machine guard
KR20160031122A (ko) 체결부재 조임풀림장치
JP5759769B2 (ja) 流体圧シリンダの取付け装置
JP6446575B1 (ja) ナット装置
JP6338241B2 (ja) 圧延ロール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