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364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364A
KR20150069364A KR1020130155676A KR20130155676A KR20150069364A KR 20150069364 A KR20150069364 A KR 20150069364A KR 1020130155676 A KR1020130155676 A KR 1020130155676A KR 20130155676 A KR20130155676 A KR 20130155676A KR 20150069364 A KR20150069364 A KR 20150069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layer
color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889B1 (ko
Inventor
김종성
정고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8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하는 제 1 기판;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색변환층이 위치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상기 색변환층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색변환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가 성숙해감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대한 시장이 빠른 속도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한 상황이며, 특히 경량 박형의 평판표시장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대표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있다. 이 중 연구 개발 분야에서 최근 눈부신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바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에서 여기자(exiton)가 기저상태로 전이되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물의 밴드갭(band gap)만큼의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면서 화면이 표시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각 화소마다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물이 독립적으로 증착되는 RGB 독립 방식과 백색의 빛을 내는 유기물이 모든 화소에 위치하고 각 화소마다 색변환층을 구비하여 각기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WRGB 방식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WRGB 방식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00)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00)는 제 1 기판(110), 유기발광소자(120), 봉지층(130), 중간층(140), 색변환층(150) 및 제 2 기판(160)을 포함한다.
제 1 기판(110) 상에 유기발광소자(120) 및 봉지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제 2 기판(160) 상에 색변환 부재(151) 및 블랙 매트릭스(152)를 포함하는 색변환층(150)이 위치한다.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60)은 서로 마주하여 중간층(140)을 매개로 접착된다. 즉, 중간층(140)은 색변환층(150) 및 봉지층(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색변환 부재(151)는 블랙 매트릭스(152)가 먼저 형성된 제 2 기판(160) 상에 블랙 매트릭스(152)와 중첩되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152)는 일반적으로 색변환 부재(151)보다 높이가 낮으며, 따라서, 색변환 부재(151)와 블랙 매트릭스(152)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색변환 부재(151)는 블랙 매트릭스(152)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색변환층(150)이 형성되는 경우, 유기발광소자(12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색변환층(150)을 통과하기 전에 인접하는 화소로 새어나가는 빛샘 현상이 발생하여 휘도가 저하되고, 계조 표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한 화소 간 빛샘 현상을 차단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하는 제 1 기판;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색변환층이 위치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상기 색변환층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 기판 상에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제 2 기판 상에 색변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색변환층 상에 중간층 형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판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색변환층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중간층을 변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랙 매트릭스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광 조사만으로 블랙 매트릭스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차광부를 형성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광부가 박막 봉지층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인접한 화소 간 빛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광부에 의해 인접한 화소 간 빛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색변환층과 유기발광소자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봉지층 설계 및 기판 합착 공정에 대한 제한이 없어져,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4a ~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 1 기판(210), 유기발광소자(220), 봉지층(230), 중간층(240), 색변환층(250) 및 제 2 기판(260)을 포함한다.
먼저,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60)은 유리(glass), 플라스틱(plastic), 금속(metal) 또는 SUS(Steel Use Stainless)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6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21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220)가 위치한다. 유기발광소자(220)는 유기 발광층(223)이 빛을 내는 단위 소자로, 제 1 전극(221), 뱅크층(222), 유기 발광층(223) 및 제 2 전극(224)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223)은 제 1 전극(221) 및 제 2 전극(224)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기판(210)과 유기발광소자(220) 사이에는 유기발광소자(220)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미도시)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제 1 기판(210) 상에는 각 화소 영역(PA)별로 제 1 전극(221)이 위치한다. 뱅크층(222)은 제 1 전극(221)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며, 화소 영역(PA)을 구분지어 주고, 발광 영역(EA)을 정의한다. 뱅크층(222) 상에는 유기 발광층(223)이 위치하고, 유기 발광층(223) 상에는 제 2 전극(224)이 위치한다.
발광 영역(EA)은 유기 발광층(223)이 제 1 전극(221)과 제 2 전극(224)과 접하는 영역으로 정의되거나, 뱅크층(222)에 의해 제 1 전극(221)이 오픈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제 1 전극(221)에서 정공(hole)이 공급되고, 제 2 전극(224)에서 전자(electron)가 공급되며, 상기 정공 및 전자는 유기 발광층(223)에서 제 1 전극(221) 및 제 2 전극(224) 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발광 영역(EA)은 유기 발광층(223)이 제 1 전극(221)과 접하면서 동시에 제 2 전극(224)과도 접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는, 발광 영역(EA)은 유기 발광층(223)이 제 1 전극(221)과 중첩되면서, 동시에 제 2 전극(224)과도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전극(224)이 제 1 전극(221) 보다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223)이 제 2 전극(224)과 접하는 영역의 면적이 제 1 전극(221)과 접하는 영역의 면적보다 작으므로, 발광 영역(EA)은 유기 발광층(223)이 제 2 전극(224)과 접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는, 발광 영역(EA)은 유기 발광층(223)이 제 2 전극(224)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소자(220) 상에는 봉지층(230)이 위치한다. 봉지층(230)은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파티클(particle)과 같은 이물질을 덮어 평탄화시키는 유기물층과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무기물층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되는 박막 봉지층 구조일 수 있다. 또는, 파티클(particle)에 의해 유기발광소자(220)의 손상을 방지하는 유기층과 이를 상하에서 둘러싸는 다수의 무기막을 포함하는 페이스실(face seal) 구조일 수 있다.
제 2 기판(260) 상에는 색변환층(250)이 위치한다. 색변환층(25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 화소 영역(PA) 또는 각 화소 영역(PA)의 발광 영역(EA)에 대응된다. 색변환층(250)은 각 화소 영역(PA)의 발광 영역(EA)에서 출사하는 빛을 원하는 색상으로 변화시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외부로 출사시킨다. 유기발광소자(220)의 각 발광 영역(EA)은 백색 혹은 각 화소 영역(PA)마다 상이한 색을 방출할 수 있으며, 현재 도 2에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화이트 알지비(WRGB) 방식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알지비(RGB) 방식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색변환층(250)은 기본적으로 적색 변환층(red), 녹색 변환층(green) 및 청색 변환층(blue)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백색(white), 연청색(light blue), 진청색(dark blue), 하늘색(sky blue), 마젠타색(magenta), 황색(yellow) 등 다양한 색상의 변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색변환층(250)의 색상 구성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60) 사이에는 중간층(240)이 위치하며, 중간층(240)은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60)을 접합한다. 중간층(240)은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60)을 접합하므로, 레진(resin)의 접합 특성을 가지도록 에폭시(epoxy) 또는 아크릴산염(acrylate) 계열의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중간층(240)은 색변환층(250)과 봉지층(230)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층(240)은 투명부(241)과 차광부(242)를 포함한다. 투명부(241)는 각 화소 영역(PA)의 색변환층(250)과 대응되고, 차광부(242)는 투명부(241) 사이 및 색변환층(250) 사이에 위치한다. 즉, 투명부(241)는 색변환층(250)과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며, 차광부(242)도 마찬가지로, 투명부(241)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다. 차광부(242)는 서로 이격된 색변환층(250) 사이에 위치한다. 차광부(242)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차광부(242)는 투명부(241)를 사이에 두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242)는 중간층(240)을 가로질러 제 2 기판(260) 및 봉지층(230)에 접할 수 있다. 차광부(242)의 단면은 그 일단이 제 2 기판(260)에 접하고, 그 타단이 봉지층(230)에 접하는 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차광부(242)가 제 2 기판(260)부터 봉지층(230)까지 길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화소 영역(PA)으로 빛이 새어나가는 빛샘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봉지층(230)은 다수의 박막으로 형성되는 박막 봉지(thin film encapsulation) 또는 페이스 실(face seal) 구조이며, 이들의 두께는 수 마이크로 미터(micro meter)에 불과하기 때문에, 유기발광소자(220)의 발광 영역(EA)에서 출사되는 빛이 인접 화소의 색변환층(250)을 통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외부로 출사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적다.
차광부(242)가 색변환층(250) 사이에 위치하면서 봉지층(230)까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기발광소자(220)의 발광 영역(EA)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외부로 빛이 출사되는 영역인 오픈 영역(OA)이 더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발광 영역(EA)의 면적과 상관없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더 작은 발광 영역(EA)으로도 동일 또는 더 큰 개구율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 저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간층(240)은 투명부(241)와 차광부(242)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광부(242)는 중간층(240)이 특정 파장의 광이 입사된 후 변색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파장의 빛을 받아 물질의 구조가 바뀌면서 흡수 스펙트럼이 변하는 특성을 광색성(photochromic) 이라고 한다. 흡수 스펙트럼이 바뀐다는 것은 그 물질이 변색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빛을 받아서 변색되는 물질을 광색성(photochromic) 물질이라고 한다. 따라서, 중간층(240)은 광색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광색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색성 물질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 중간층(240)의 물질로 쓰일 수 있는 광색성 물질은 비가역적(irreversible) 광색성 물질이어야 한다. 또한, 중간층(240)은 상기 유기발광소자(220)의 발광 파장보다 더 작은 파장의 광에 의해 변색되거나, 상기 유기발광소자(220)의 발광 파장보다 더 큰 파장의 광에 의해 변색될 수 있다.
중간층(240)은 유기발광소자(220)에서 출사되는 가시광선(visible rays) 영역의 광이 통과되므로, 중간층(240)은 유기발광소자(220)에서 출사되는 광의 범위 밖에 있는 광, 예를 들어 적외선(infrared rays) 혹은 자외선(ultraviolet rays)에 의해, 폭 넓게는 가시광선 영역 밖의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에 의해 변색될 수 있다. 상기 비가역적 광색성 물질로는 염화은(AgCl), 다이아릴에텐 이리듐(Ⅲ) 복합체(Diarylethene Iridium (Ⅲ) Complex), 옥시 염화 비스무트(Bismuth Oxychloride, BiOCl) 및 옥시 요오드화 비스무트(Bismuth Oxyiodide, BiOI)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간층(240)은 광의 조사에 노출된 영역에 형성되므로, 제 2 기판(260)에서부터 제 1 기판(210)의 최상부에 위치한 봉지층(230)까지 위치할 수 있다. 즉, 중간층(240)이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60)과 접하는 영역까지 형성되므로, 인접한 화소 간 빛샘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제 1 기판(210)과 제 2 기판(260)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도 빛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색변환층(250)과 유기발광소자(220)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도 빛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240)의 차광부(242)에 의해 정의되는 색변환층(250)의 개구 영역(OA)은 유기발광소자(220)의 뱅크층(222)에 의해 정의되는 발광 영역(EA)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더 작은 유기발광소자(220)의 발광 영역(EA)으로 더 큰 개구 영역(OA)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차광부(242)의 단면이 제 1 기판(210)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차광부(242)를 형성하기 위해 제 2 기판(260)에 광을 조사할 때, 광의 조사 시간을 조절하여, 차광부(242)의 제 2 기판(260) 방향인 상면보다 제 1 기판(210) 방향의 면인 하면의 폭이 더 큰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차광부(242)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접 화소 간 빛샘 현상을 더욱 잘 방지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보다 제 1 기판(210)과 제 2 기판(260) 사이의 공간을 더 크게 확보하여도, 빛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보다 더 큰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광부(242)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더 작은 발광 영역(EA)으로 더 큰 개구 영역(OA)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보다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더 크다.
도 4a ~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210) 상에 유기발광소자(220) 및 봉지층(230)이 형성된다. 일단, 제 1 기판(210) 상에 제 1 전극(221)을 형성한다. 제 1 전극(221)이 정공(hole)을 공급하는 양극(anode)일 경우, 일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로 형성되며, 제 1 전극(221)이 전자(electron)를 공급하는 음극(cathode)일 경우, 일함수가 낮은 금속(metal)로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되는 물질에 따라, 제 1 전극(221)은 열 증착(thermal deposition), 진공 증착(vacuum deposition) 및 스퍼터링 방식(sputtering method)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전극(221) 상에 유기 발광층(223)이 형성되며, 유기 발광층(223) 상에 제 2 전극(224)이 형성된다. 즉, 제 1 전극(221) 및 제 2 전극(224) 사이에 유기 발광층(223)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전극(224)은 제 1 전극(221)이 양극일 경우 음극으로, 제 1 전극(221)이 음극일 경우 양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 증착, 진공 증착 및 스퍼터링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223)은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물질을 포함하거나,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223)은 인광 또는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을 발광하는 물질로는 CBP(carbazole biphenyl) 또는 mCP(1,3-bis(carbazol-9-yl)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PIQIr(acac)(bis(1-pheny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bis(1-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tris(1-phenylquinoline)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펀트를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PBD:Eu(DBM)3(Phen) 또는 Perylene을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녹색을 발광하는 물질로는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Ir(ppy)3(factris(2-phenylpyridine)iridium)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을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청색을 발광하는 물질은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4,6-F2ppy)2Irpic 를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spiro-DPVBi, spiro-6P, 디스틸벤젠(DSB), 디스트릴아릴렌(DSA), PFO계 고분자 및 PPV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열 증착법, 레이저 열 전사법, 스크린 프린팅법 및 진공 증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223) 상에 봉지층(230)이 형성되며, 봉지층(230)은 유기물층과 무기물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기물층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 에폭시(epoxy) 계열의 폴리머(polymer) 및 이미드(imide) 계열의 폴리머 등의 물질로 스크린 프린팅법 및 열증착법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무기물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 이나 실리콘 질화물(SiNx) 등의 물질로 상기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증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판(260) 상에 색변환층(250)이 형성된다. 색변환층(250)은 각 화소 영역(PA)에 별도의 색상으로 형성되며, 각 색상에 맞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로 형성될 수 있다. 색변환층(250)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포토레지스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같은 색상의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여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PA)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출사시키는 경우, 총 3회의 포토레지스트 패터닝 공정을 통해 색변환층(250)을 형성할 수 있다.
색변환층(250)이 형성되고 난 후,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60)의 합착을 위해 색변환층(250) 상에 중간층(240) 형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240)이 색변환층(250) 상에 도포되고 난 후,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60)을 합착한다. 합착 후, 열경화 및 자외선 경화 등을 통해 중간층(240)을 경화한다. 상기 경화 과정에서 쓰이는 자외선은 중간층(240)의 색 변환과 관계없는 파장 영역대여야 한다. 또는 경화 과정에서 쓰이는 자외선이 중간층(240)의 색 변환이 가능한 파장대인 경우, 중간층(240)의 경화 과정과 색 변환 과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판(260)에 광(light)을 조사하여 색변환층(25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240)에 광이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광(light)은 유기발광소자(220)의 발광 파장보다 더 작은 파장을 갖거나, 상기 유기발광소자(220)의 발광 파장보다 더 큰 파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기판(260)에 조사되는 광(light)은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더 작은 파장을 갖는 자외선(ultraviolet rays)이나,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더 큰 파장을 갖는 적외선(infrared rays) 혹은 가시광선 영역 밖의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0: 제 1 기판 220: 유기발광소자
221: 제 1 전극 222: 뱅크층
223: 유기 발광층 224: 제 2 전극
230: 봉지층 240: 중간층
241: 투명부 242: 차광부
250: 색변환층 260: 제 2 기판
PA: 화소 영역 EA: 발광 영역
OA: 개구 영역

Claims (10)

  1.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하는 제 1 기판;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색변환층이 위치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상기 색변환층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의 단면은 상기 제 1 기판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층의 개구 영역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투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부는 상기 차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색변환층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비가역적 광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역적 광색성 물질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파장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파장의 광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 1 기판 상에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제 2 기판 상에 색변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색변환층 상에 중간층 형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판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색변환층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중간층을 변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 조사되는 광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파장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파장의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30155676A 2013-12-13 2013-12-13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9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76A KR102196889B1 (ko) 2013-12-13 2013-12-13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76A KR102196889B1 (ko) 2013-12-13 2013-12-13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64A true KR20150069364A (ko) 2015-06-23
KR102196889B1 KR102196889B1 (ko) 2020-12-30

Family

ID=5351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676A KR102196889B1 (ko) 2013-12-13 2013-12-13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8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2877A (zh) * 2016-04-05 2016-06-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05870351A (zh) * 2016-04-05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180099754A (ko) * 2015-12-23 2018-09-05 아반타마 아게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26701A1 (en) * 2017-12-21 2019-06-27 Lumileds Llc Light intensity adaptive led sidewalls
WO2019176457A1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892387B2 (en) 2017-12-21 2021-01-12 Lumileds, LLC Lighting device with switching material
US11054112B2 (en) 2017-12-22 2021-07-06 Lumileds Llc Ceramic phosphor with lateral light barriers
US11574964B2 (en) 2020-04-29 2023-02-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293A (ja) * 1996-07-26 1998-02-13 Canon Inc 液晶用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KR20000064839A (ko) * 1997-02-04 2000-11-06 도미나가 가즈토 유기 전압 발광 표시 장치
JP2005293946A (ja) * 2004-03-31 2005-10-20 Sanyo Electric Co Ltd 有機el表示装置
KR20060081648A (ko) * 2005-01-10 2006-07-13 (주)케이디티 휘어질 수 있는 풀 칼라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그제조방법
KR20060135425A (ko) * 2005-06-25 2006-12-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그 제조방법, 그의 리페어 장치 및 그의리페어 방법
KR20070049172A (ko) * 2004-08-26 2007-05-10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표시 장치
JP2007157404A (ja) * 2005-12-01 2007-06-21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104969A (ja) * 2007-10-25 2009-05-14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100020A (ko) * 2008-03-19 2009-09-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9950A (ko) * 2010-12-30 2012-08-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22534A (ko) * 2011-04-29 2012-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WO2013051428A1 (ja) * 2011-10-03 2013-04-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293A (ja) * 1996-07-26 1998-02-13 Canon Inc 液晶用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KR20000064839A (ko) * 1997-02-04 2000-11-06 도미나가 가즈토 유기 전압 발광 표시 장치
JP2005293946A (ja) * 2004-03-31 2005-10-20 Sanyo Electric Co Ltd 有機el表示装置
KR20070049172A (ko) * 2004-08-26 2007-05-10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표시 장치
KR20060081648A (ko) * 2005-01-10 2006-07-13 (주)케이디티 휘어질 수 있는 풀 칼라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그제조방법
KR20060135425A (ko) * 2005-06-25 2006-12-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그 제조방법, 그의 리페어 장치 및 그의리페어 방법
JP2007157404A (ja) * 2005-12-01 2007-06-21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104969A (ja) * 2007-10-25 2009-05-14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100020A (ko) * 2008-03-19 2009-09-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9950A (ko) * 2010-12-30 2012-08-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22534A (ko) * 2011-04-29 2012-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WO2013051428A1 (ja) * 2011-10-03 2013-04-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8345A (zh) * 2015-12-23 2021-03-26 凡泰姆股份公司 显示设备
KR20180099754A (ko) * 2015-12-23 2018-09-05 아반타마 아게 디스플레이 장치
CN105870351A (zh) * 2016-04-05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05702877A (zh) * 2016-04-05 2016-06-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US11489095B2 (en) 2017-12-21 2022-11-01 Lumileds Llc Method of addressing an LED array with light intensity adaptive LED sidewalls
CN111712918B (zh) * 2017-12-21 2023-11-07 亮锐有限责任公司 光强度自适应led侧壁
CN111712918A (zh) * 2017-12-21 2020-09-25 亮锐有限责任公司 光强度自适应led侧壁
US10892387B2 (en) 2017-12-21 2021-01-12 Lumileds, LLC Lighting device with switching material
KR20200103049A (ko) * 2017-12-21 2020-09-01 루미레즈 엘엘씨 광 강도 적응형 led 측벽들
US11437553B2 (en) 2017-12-21 2022-09-06 Lumileds Llc Lighting device with switching material
WO2019126701A1 (en) * 2017-12-21 2019-06-27 Lumileds Llc Light intensity adaptive led sidewalls
US11557703B2 (en) 2017-12-21 2023-01-17 Lumileds Llc Light intensity adaptive LED sidewalls
US11888100B2 (en) 2017-12-21 2024-01-30 Lumileds Llc LED array with light intensity adaptive LED sidewalls
KR20230056055A (ko) * 2017-12-21 2023-04-26 루미레즈 엘엘씨 광 강도 적응형 led 측벽들
US11791445B2 (en) 2017-12-21 2023-10-17 Lumileds Llc Lighting device with switching material
US11054112B2 (en) 2017-12-22 2021-07-06 Lumileds Llc Ceramic phosphor with lateral light barriers
US11480315B2 (en) 2017-12-22 2022-10-25 Lumileds Llc Phosphor with light barriers
WO2019176457A1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1574964B2 (en) 2020-04-29 2023-02-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889B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88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196804B2 (en) Display apparatus
WO2015169040A1 (zh)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EP3163623B1 (en)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82780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57383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3535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508933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08272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12635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70080445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50010232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591566B (en) Full color display panel and color-separating substrate thereof
JPWO2020175235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40084919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83074B1 (ko) 전계발광소자
US11950450B2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JP2011054424A (ja)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色フィルター
KR1024494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3593B1 (ko) 백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665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1033621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18006370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38906B1 (ko) 백색 유기발광 소자 및 컬러 필터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40085973A (ko) 가변 차광부가 내장된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