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601A -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601A
KR20150068601A KR1020130154414A KR20130154414A KR20150068601A KR 20150068601 A KR20150068601 A KR 20150068601A KR 1020130154414 A KR1020130154414 A KR 1020130154414A KR 20130154414 A KR20130154414 A KR 20130154414A KR 20150068601 A KR20150068601 A KR 20150068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ient
reference value
information
input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익
손세훈
신창규
임광혁
이존하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601A/ko
Publication of KR2015006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9Improvement of gear change, e.g. by synchronisation or smoothing gear sh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노면의 구배나 경사 검출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는 경사정보 수집부와, 상기 수집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보들을 처리하여 노면의 경사나 구배를 검출하는 구배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노면의 구배 정보, 오르막길 정보, 혹은 내리막길 정보를 이용하여 업 시프트 변속 또는 다운 시프트 변속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SHIFT PATTER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의 종단 경사도에 따라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서 변속패턴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아울러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자동 변속 제어를 해제하여 변속패턴을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내리막길 주행 시 일정 구배(즉, 종단 경사) 이상에서 엔진브레이크 작동을 통한 적절한 차속 확보와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해 변속점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 변속점 제어는 여러 가지 입력 변수(예를 들어, 차속, 엔진회전수, 브레이크, 변속단, 변속모드, 작동유 및 냉각수 온도, 엔진토크, 주행부하, 그리고 스로틀 개도 등)를 기준으로 판단되며, TMS(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별 기종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위에 열거한 다양한 입력변수를 기준으로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에서 내부 연산을 통해 어떠한 형태로 변속점 제어를 실시할 것인지 결정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 차량에서 사용되는 종가속도 센서(Longitudinal Acceleration Sensor)는, 차량의 주행 안정 장치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 Anti-lock Brake System)이나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TCS : Traction Control System),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 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주행 안정 장치들은 상기 종가속도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전제를 근간으로 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종가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가 차량의 실제 종가속량을 정확히 나타내지 못하면 종가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의 주행 안정 장치의 제어 동작을 신뢰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종가속도 센서의 신호가 차체 속도의 추정 연산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앤티록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유압은 종가속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신호로부터 추정되는 차체 속도와 차륜 속도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연산된 차륜 속도에 기초하여 감소, 증가 또는 유지된다.
따라서 종가속도 센서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종가속도 센서로부터 연산된 차체 속도가 실제 차체 속도와 다른 경우에는 제동 거리가 불충분한 브레이크 제동 유압에 의해 증가하거나 차륜이 과도한 브레이크 유압에 의해 잠기는(Locking)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에는 휠 속도 센서를 통해 휠 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량의 실제 가속도를 계산한 후 종가속도 센서를 통해 얻는 종가속도와의 차이를 통해 노면의 경사도를 측정하였는데, 상기 종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노면의 경사도를 판단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종가속도 센서의 결함에 의한 심각한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종사속도 센서의 장착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결함 가능성이 많은 종가속도 센서를 대신하여 노면의 종단 경사도(구배)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최적의 변속점(변속시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1539호(2009.08.03.등록, 자동변속기의 내리막 퍼지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노면의 종단 경사도에 따라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서 변속패턴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자동 변속 제어를 해제하여 변속패턴을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 장치는, 노면의 구배나 경사 검출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는 경사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보들을 처리하여 노면의 경사나 구배를 검출하는 구배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노면의 구배 정보, 오르막길 정보, 혹은 내리막길 정보를 이용하여 업 시프트 변속 또는 다운 시프트 변속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에 의해 운전자의 의지를 판단하여 변속 자동 제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정보 수집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지피에스 신호를 처리하여 경사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속도 검출 센서, 지자기 검출 센서, 거리 검출 센서로서 레이더(RADAR)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초음파 거리 센서, 적외선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속기 제어 유닛(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노면의 구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구배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구배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구배 정보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경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노면의 구배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오르막길이면서 상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업 시프트 변속을 금지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면의 구배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내리막길이면서 상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다운 시프트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노면의 구배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오르막길이면서 상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액셀 페달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액셀 페달의 입력과 미리 설정된 액셀 입력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액셀 페달이 액셀 입력 기준치보다 크면 업 시프트 변속 지연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액셀 페달이 액셀 입력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업 시프트 변속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노면의 구배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내리막길이면서 상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 시간과 미리 설정된 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시간이 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보다 크면 다운 시프트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시간이 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다운 시프트 변속의 자동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피에스 정보를 이용하여 경사로에서의 종단 경사도를 판단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으로 종단 경사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면의 종단 경사도에 따라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서 최적의 변속패턴을 자동으로 제어하며, 또한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자동 변속 제어를 해제하여 변속패턴을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 장치는, 경사정보 수집부(110), 구배 검출부(120), 제어부(130) 및 변속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정보 수집부(110)는 노면의 경사(즉, 종단 경사 또는 구배) 검출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한다.
예컨대 상기 경사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경사 검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예 : 속도 검출 센서, 거리 검출 센서, 지자기 검출 센서 등)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리 센서는 레이더(RADAR)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초음파 거리 센서, 적외선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센서 이외에도 지피에스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 거리, 위치 등에 따른 경사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구배 검출부(120)는 상기 경사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보들(즉, 경사 검출에 관련된 정보들)을 처리하여 노면의 경사(즉, 종단 경사 또는 구배)를 검출(또는 산출)한다.
만약 구배 정보가 포함된 지도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그 지도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구배 정보를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내비게이션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를 전달받거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를 인출하여 구배 정보를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배(Slope)는, 노선이나 절개, 성토면의 경사를 일컫는 말이며, 기울어 있는 면과 수평면 사이의 각의 탄젠트(Tan) 값이나 사인(Sin) 값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또는 기울기(구배(%)=길이/높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종단 구배는 도로의 수평선상에 연접된 길이에 대한 하향 또는 상향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구배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라서 오르막길이 될 수도 있고 내리막길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구배 검출부(120)는 상기 검출(또는 산출)된 노면의 경사(즉, 종단 경사 또는 구배) 정보를 상기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구배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노면의 경사(즉, 종단 경사 또는 구배) 정보 및 차량의 주행 방향 정보 등을 참조하여 현재 주행 중인 도로(노면)가 오르막길(Uphill)인지 아니면 내리막길(Downhill)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어느 정도의 경사도를 갖는 오르막길(또는 내리막길)인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판단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변속부(140)(또는 변속기)를 제어한다. 즉, 상기 변속기를 업 시프트(Up shift) 또는 다운 시프트(Down Shift) 제어한다. 이때 상기 변속부(140)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어부(13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변속부(140)의 제어를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듀티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구배 정보를 바탕으로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업 시프트와 다운 시프트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또한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타임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자동 변속 제어를 해제하여 변속패턴을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어부(130)의 변속 제어 동작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구배(종단 경사)를 검출(또는 산출)한다(S101).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검출된 구배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한다(S102).
상기 구배 정보와 기준치(즉, 구배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구배 정보가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S102의 아니오)에는 기 설정된 노멀(Normal)한 변속패턴으로 변속 제어를 수행한다(S103).
그러나 상기 구배 정보와 기준치의 비교 결과, 상기 구배 정보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S102의 예), ACC(Adaptive Cruise Control) 및 SCC(Smart Cruise Control)가 활성화(Active)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04).
즉, 현재 자동으로 변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구동중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S104) 결과, 상기 ACC 및 SCC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S104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오르막길인지 아니면 내리막길인지 판단한다(S105).
상기 판단(S105) 결과, 현재 도로가 오르막길인 경우(즉, 자동 변속 기능이 구동중이고 현재 도로가 오르막길인 경우)(S105의 예), 자동 업 시프트 변속을 금지한다(S106). 그러나 상기 판단(S105) 결과, 현재 도로가 내리막길인 경우(즉, 자동 변속 기능이 구동중이고 현재 도로가 내리막길인 경우)(S105의 아니오), 다운 시프트를 수행한다(S107).
즉, 상기 제어부(130)는 구배가 기준치 보다 큰 오르막길에서는 자동 업 시프트 변속을 금지하고, 구배가 기준치보다 큰 내리막길에서는 다운 시프트 변속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S104) 결과, 상기 ACC 및 SCC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S1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30)는 오르막길인지 아니면 내리막길인지 판단한다(S108).
상기 판단(S108) 결과, 현재 도로가 오르막길인 경우(즉, 자동 변속 기능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현재 도로가 오르막길인 경우)(S108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액셀 페달(가속 페달)의 입력과 기준치(즉, 액셀 입력 기준치)를 비교한다(S109).
그리고 상기 비교(S109) 결과, 액셀 페달의 입력이 기준치(즉, 액셀 입력 기준치) 보다 큰 경우(S109의 예), 업 시프트 변속 지연을 해제한다(S110).
즉, 운전자의 액셀 페달 입력 즉시 가속에 대응하여 업 시프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운전자의 가속 의지를 반영하여 곧바로 업 시프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비교(S109) 결과, 액셀 페달의 입력이 기준치(즉, 액셀 입력 기준치) 보다 크지 않으면(S109의 아니오), 업 시프트 변속을 지연한다(S111).
즉, 운전자의 액셀 페달 입력에 곧바로 대응하지 않고 소정 시간 지연된 후의 상태에 대응하여 업 시프트를 수행하게 한다. 다시 말해, 운전자의 가속 의지가 좀 더 명확해질 때까지 시간 지연된 후 업 시프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S108) 결과, 현재 도로가 오르막길이 아닌 경우(즉, 자동 변속 기능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현재 도로가 오르막길이 아닌 경우)(S108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30)는 브레이크 타임(즉, 브레이크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의 시간)과 기준치(즉, 브레이크가 입력되고 있는 시간의 기준치)를 비교한다(S112).
즉, 내리막길에서 운전자가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를 입력할 경우, 그 브레이크가 입력되는 동안의 시간이 기준치(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보다 큰지 혹은 작은지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S112) 결과, 브레이크 타임이 기준치(즉, 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 보다 큰 경우(S112의 예), 다운 시프트를 수행한다(S113).
즉,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감속 페달) 입력 시간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자동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되어 엔진 브레이크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비교(S112) 결과, 브레이크 타임이 기준치(즉, 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 보다 크지 않은 경우(S112의 아니오), 다운 시프트 변속의 자동제어를 해제한다(S114).
즉,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감속 페달) 입력 시간이 기준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다운 시프트 변속의 자동제어를 해제하여 자동으로 다운 시프트 변속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 실시예로서 보다 정확한 차량의 속도와 가속도 및 도로의 상황과 노면의 경사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INS(Inertia Navigator System) 및 DMI(Distance Measurement Indicator)와 결합하여 ACC 및 SCC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경사로 정지상태 유지 제어 HAC(Hill Start Assistant Control)가 장착된 차량에서 경사정도를 판단하여 등판시 뒤로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TCS(Traction Control System)에도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경사도에 따라 변속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가속도 센서의 노후화에 따른 결함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향후 적응순항제어 ACC(Adaptive Cruise Control)가 보편화됨에 따라 레이다 및 지피에스가 장착된 차량에 적용하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기존의 고정된 변속패턴을 따라 변속하지 않고 경사구배에 따라 최적의 변속제어를 수행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자동 변속 제어 기능이 작동되고 있는 중이라고 하더라도 경사로에서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변속제어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경사정보 수집부 120 : 구배 검출부
130 : 제어부 140 : 변속부

Claims (8)

  1. 노면의 구배나 경사 검출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는 경사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보들을 처리하여 노면의 경사나 구배를 검출하는 구배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노면의 구배 정보, 오르막길 정보, 혹은 내리막길 정보를 이용하여 업 시프트 변속 또는 다운 시프트 변속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패턴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에 의해 운전자의 의지를 판단하여 변속 자동 제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패턴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정보 수집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지피에스 신호를 처리하여 경사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패턴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속도 검출 센서, 지자기 검출 센서, 거리 검출 센서로서 레이더(RADAR)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초음파 거리 센서, 적외선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패턴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속기 제어 유닛(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패턴 제어 장치.
  6. 제어부가 노면의 구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구배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구배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구배 정보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경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노면의 구배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오르막길이면서 상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업 시프트 변속을 금지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면의 구배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내리막길이면서 상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다운 시프트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패턴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의 구배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오르막길이면서 상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액셀 페달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액셀 페달의 입력과 미리 설정된 액셀 입력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액셀 페달이 액셀 입력 기준치보다 크면 업 시프트 변속 지연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액셀 페달이 액셀 입력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업 시프트 변속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패턴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의 구배가 구배 기준치보다 큰 내리막길이면서 상기 자동 변속 수행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 시간과 미리 설정된 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시간이 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보다 크면 다운 시프트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시간이 브레이크 입력 시간 기준치보다 크지 않으면 다운 시프트 변속의 자동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패턴 제어 방법.
KR1020130154414A 2013-12-12 2013-12-12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68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414A KR20150068601A (ko) 2013-12-12 2013-12-12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414A KR20150068601A (ko) 2013-12-12 2013-12-12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01A true KR20150068601A (ko) 2015-06-22

Family

ID=5351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414A KR20150068601A (ko) 2013-12-12 2013-12-12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6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57A (ko) * 2016-12-23 2018-07-0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내리막길에서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57A (ko) * 2016-12-23 2018-07-0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내리막길에서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550B1 (ko)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속 제어 방법
US6249735B1 (en) Vehicle state estimation method and vehicular auxiliary brak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509692B1 (ko)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09693B1 (ko) 운전자의 단기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EP3072761B1 (en) Control device of vehicle
US1111867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06226178A (ja) オートクルーズ制御装置
KR101588759B1 (ko)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90919B1 (ko) 운전자의 단기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064330A (ja) 自発的な燃料/ペダルオフ時の自動車の自動変速機を制御する方法
WO2015197609A1 (en) Control of a multi-speed vehicle transmission
US1090773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1724475B1 (ko) 자차와 전방 차량 사이의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변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038078A (ja) 車両の減速制御装置
KR101734252B1 (ko) 차량 자동변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24882A (ja) 車両の減速制御装置
KR20150068601A (ko) 변속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18891B1 (ko)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19294B1 (ko)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TR201701354A2 (tr) Motor frenlemesi̇ni̇ arttirmak i̇çi̇n yöntem ve si̇stem
JP2017141883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843967B2 (ja) 車両の減速制御装置
JP2005147215A (ja) 車両用変速制御装置
WO2021220443A1 (ja) 車両走行制御装置、及び車両走行制御方法
CN115419707B (zh) 一种变速箱升挡的控制方法、装置、车辆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