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512A -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512A
KR20150068512A KR1020130153607A KR20130153607A KR20150068512A KR 20150068512 A KR20150068512 A KR 20150068512A KR 1020130153607 A KR1020130153607 A KR 1020130153607A KR 20130153607 A KR20130153607 A KR 20130153607A KR 20150068512 A KR20150068512 A KR 2015006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information
generation
value
weld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춘보
노형주
전은만
박완선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다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다울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512A/ko
Publication of KR2015006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용접기를 비롯하여 용접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용접 현장을 감시하는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용접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를 비롯하여 관리자, 원거리에 있는 상위 관리자, 비상 발생시 출동하는 기관의 단말장치나 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위험상황을 즉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접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의 누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용접기를 비롯하여 용접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용접 현장을 감시하는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용접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를 비롯하여 관리자, 원거리에 있는 상위 관리자, 비상 발생시 출동하는 기관의 단말장치나 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위험상황을 즉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접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의 누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용접은 전기용접에 비해 능률의 향상, 품질의 안전화, 원가절감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짐에 따라 근래 산업현장에서 주요한 용접방식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아크용접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시행상의 기본 사항, 용접공정의 검토, 개선 유무 등을 포함하여 아크용접기를 작업조건에 맞게 설정하여 작업하는 것이 필요하다.
용접 전류, 아크 전압의 선정은 아크용접의 양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아크용접은 전류, 전압의 조정을 각각 별도로 하는 방법(개별조정), 전류를 조정하면 전압이 자동으로 설정되고 이차적으로 전압을 미세조정하는 방법(일원조정)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전류와 전압을 선정하여 조작하게 된다.
용접 전류는 용입과 용착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아크 전압은 비드 형상과 이행방식을 경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양자간에는 상호 관계가 있으므로 한쪽만이 적정하다 하더라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으며, 조건이 맞지 않으면 용입불량이나 과용융, 스패터(spatter)의 발생 원인이 된다.
그리고, 용접 속도 또한 상기 전류, 전압과 함께 중요한 요소로 하나로, 용접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용입은 얕아 지고 비드폭도 감소하여 폭이 좁은 블록형 비드로 되며, 용접 속도를 매우 느리게 하면 용융금속의 유동으로 용입이 감소되고, 오버랩의 원인이 된다.
종래의 용접기는 단순히 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만을 가짐에 따라, 단지 작업자가 설정한 전류치, 전압치에 따른 출력을 수행하고 있어, 여러 인자들에 의한 영향을 받아 실질적으로 최종 출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용접 전류, 아크 전압과 같은 용접인자의 크기, 용접 시간, 장비 사용율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
이에 따라, 지정형상으로 용접각장을 형성하기 위해 적정하게 전류, 전압을 설정하는 것과 같이 아크용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 용접기의 성능이나 사용율, 용접시간 등을 확인, 검토하여 용접관리에 반영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용접부의 상태나 특성을 고려하여 개선, 설정하여 정밀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용접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용접기를 비롯하여 용접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용접 현장을 감시하는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용접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를 비롯하여 관리자, 원거리에 있는 상위 관리자, 비상 발생시 출동하는 기관의 단말장치나 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위험상황을 즉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접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의 누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조선현장과 같이 자동화가 어려우면서도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각각의 용접기의 작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용접 작업장의 작업 시간을 체크하여 작업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시간 체크장치, 용접 작업장에서의 CO2 발생 정도를 감지하여 CO2 발생 값으로 전송하는 CO2 발생 감지장치, 용접 작업장에서의 흄발생 정도를 감지하여 흄발생 값으로 전송하는 흄발생 감지장치,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용접모드로 전환되면 용접모드에서 발생되는 용접공정 정보들을 전송하는 용접장치 및 작업시간 체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작업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CO2 발생 감지장치에서 제공되는 CO2 발생 값을 저장하고, 흄발생 감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흄발생 값을 저장하며, 작업시간, CO2 발생 값, 흄발생 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초과되는 값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를 용접 작업장의 용접 관리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용접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예로서, 용접 관리 서버는 용접기의 사용일을 기반으로 하여 용접기를 검색하고, CO2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CO2 사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예로서, 작업시간 체크장치, CO2 발생 감지장치 및 흄발생 감지장치는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작업시간 또는 CO2 발생 또는 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들을 비교값으로 하여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방법은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용접 관리 서버는 용접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작업시간, CO2 발생 정도 감지값, 흄발생 정도 감지값 중 적어도 하니 이상의 용접공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용접 관리 서버는 수집된 용접공정 정보와 기준 용접공정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발생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용접 관리 서버는 이상 발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용접 작업장으로 그에 대응하는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예로서, 용접 관리 서버는 용접기의 사용일을 기반으로 하여 용접기를 검색하고, CO2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CO2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예로서, 용접 관리 서버는 작업시간 체크장치, CO2 발생 감지장치 및 흄발생 감지장치를 통해 알람 정보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알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용접 공정을 자동으로 종료시키는 한편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장치로 용접 공정 자동 종료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예로서, 용접 관리 서버는 용접 공정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때 용접 공정 이상 발생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회수만큼 용접 작업장의 알람 장치들로 알람정보를 전송하고, 용접 공정 이상 발생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용접 장치로 용접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접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용접기를 비롯하여 용접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용접 현장을 감시하는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 현장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용접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를 비롯하여 관리자, 원거리에 있는 상위 관리자, 비상 발생시 출동하는 기관의 단말장치나 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위험상황을 즉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접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의 누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에너지 관리 조회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에너지 관리 통계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안전관리 조회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안전관리 통계화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시간 체크 장치(100), CO2 발생 감지장치(200), 흄발생 감지장치(300), 용접장치(400), 용접 관리 서버(500), 용접 관리단말장치(600), 통신망(700)으로 이루어진다.
디지털 용접기 작업시간 체크장치(100)는 용접 작업장의 작업 시간을 체크하여 작업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CO2 발생 감지장치(200)는 용접 작업장에서의 CO2 발생 정도를 감지하여 CO2 발생 값으로 전송한다.
흄발생 감지장치(300)는 용접 작업장에서의 흄발생 정도를 감지하여 흄발생 값으로 전송한다.
용접장치(40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용접모드로 전환되면 용접모드에서 발생되는 용접공정 정보들을 전송한다.
용접 관리 서버(500)는 작업시간 체크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작업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CO2 발생 감지장치(200)에서 제공되는 CO2 발생 값을 저장하고, 흄발생 감지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흄발생 값을 저장하며, 작업시간, CO2 발생 값, 흄발생 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초과되는 값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를 용접 작업장의 용접 관리단말장치(600)로 전송한다.
용접 관리 서버(500)는 용접기의 사용일을 기반으로 하여 용접기를 검색하고, CO2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CO2 사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용접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용접 관리 서버(500)는 복수의 CO2 발생 값을 저장하고 있는 CO2 발생정보 DB(510)와, 복수의 흄발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흄발생 정보 DB(520)와, 복수의 용접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용접공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용접공정정보 DB(530)와, 용접 작업장으로부터 전송되는 용접공정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용접공정 정보 수집부(540)와, 용접공정정보 수집부(40)에 의해 수집된 용접공정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용접공정 모니터링부(550)와, 작업자 또는 관리자들이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용접공정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용접공정 정보 유(530)에 등록된 용접공정 정보 제공부(560)로 이루어진다.
작업시간 체크장치(100), CO2 발생 감지장치(200) 및 흄발생 감지장치(300)는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작업시간 또는 CO2 발생 또는 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들을 비교값으로 하여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관리 서버(500)는 용접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작업시간, CO2 발생 정도 감지값, 흄발생 정도 감지값 중 적어도 하니 이상의 용접공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S110)하고, 용접 관리 서버(500)는 수집된 용접공정 정보와 기준 용접공정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발생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S120)하고 체크 결과 용접공정 이상발생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30)한다.
상기 S130 단계의 판단 결과 용접공정 이상발생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용접 관리판단하는 단계 및 용접 관리 서버(500)는 이상 발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용접 작업장으로 그에 대응하는 알람정보를 전송(S140)한다.
용접 관리 서버(500)는 용접기의 사용일을 기반으로 하여 용접기를 검색하고, CO2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CO2 사용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용접 관리 서버(500)는 작업시간 체크장치, CO2 발생 감지장치 및 흄발생 감지장치를 통해 알람 정보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알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용접 공정을 자동으로 종료시키는 한편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장치로 용접 공정 자동 종료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용접 관리 서버(500)는 용접 공정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때 용접 공정 이상 발생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회수만큼 용접 작업장의 알람 장치들로 알람정보를 전송하고, 용접 공정 이상 발생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용접 장치로 용접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에너지 관리 조회 화면으로서, 실시간으로 용접기 시간, 용접기 사용시간, 전압, 전류, 소비전력, 소비 와이어, 소비 CO2 소비량의 용접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시간별 최근 사용된 용접기 CO2 소비량이 그래프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에너지 관리 통계화면으로서, 용접기 사용일을 바탕으로 용접기를 검색하여 CO2 사용량을 실선 그래프로 제공받아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안전관리 조회 화면으로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환경 변수 알람을 바탕으로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안전관리 통계화면으로서, CO2 발생과 흄 발생 이력을 시간대별로 실시간 변화를 바 챠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조선현장과 같이 자동화가 어려우면서도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각각의 용접기의 작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용접 작업장의 작업 시간을 체크하여 작업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시간 체크장치;
    용접 작업장에서의 CO2 발생 정도를 감지하여 CO2 발생 값으로 전송하는 CO2 발생 감지장치;
    용접 작업장에서의 흄발생 정도를 감지하여 흄발생 값으로 전송하는 흄발생 감지장치;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용접모드로 전환되면 용접모드에서 발생되는 용접공정 정보들을 전송하는 용접장치; 및
    상기 작업시간 체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작업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CO2 발생 감지장치에서 제공되는 CO2 발생 값을 저장하고, 상기 흄발생 감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흄발생 값을 저장하며, 상기 작업시간, CO2 발생 값, 흄발생 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초과되는 값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를 용접 작업장의 용접 관리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용접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용접기의 사용일을 기반으로 하여 용접기를 검색하고, CO2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CO2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시간 체크장치, 상기 CO2 발생 감지장치 및 상기 흄발생 감지장치는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작업시간 또는 CO2 발생 또는 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들을 비교값으로 하여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각각 포함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시스템.
  4.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용접 관리 서버는 용접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작업시간, CO2 발생 정도 감지값, 흄발생 정도 감지값 중 적어도 하니 이상의 용접공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수집된 용접공정 정보와 기준 용접공정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발생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이상 발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용접 작업장으로 그에 대응하는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용접기의 사용일을 기반으로 하여 용접기를 검색하고, CO2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CO2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상기 작업시간 체크장치, 상기 CO2 발생 감지장치 및 상기 흄발생 감지장치를 통해 알람 정보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알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용접 공정을 자동으로 종료시키는 한편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장치로 용접 공정 자동 종료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관리 서버는 용접 공정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때 용접 공정 이상 발생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회수만큼 용접 작업장의 알람 장치들로 알람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용접 공정 이상 발생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용접 장치로 용접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용접기 통합 관리 방법.
KR1020130153607A 2013-12-11 2013-12-11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 KR20150068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07A KR20150068512A (ko) 2013-12-11 2013-12-11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07A KR20150068512A (ko) 2013-12-11 2013-12-11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512A true KR20150068512A (ko) 2015-06-22

Family

ID=5351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607A KR20150068512A (ko) 2013-12-11 2013-12-11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5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3898A (zh) * 2016-11-11 2017-04-19 南京理工大学 数字化焊装车间管理系统
KR102620752B1 (ko) 2022-11-07 2024-01-02 이성관 인공지능 분석 기반의 용접 및 접합 공정 고도화를 위한 용접 및 접합 변수 데이터 수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3898A (zh) * 2016-11-11 2017-04-19 南京理工大学 数字化焊装车间管理系统
KR102620752B1 (ko) 2022-11-07 2024-01-02 이성관 인공지능 분석 기반의 용접 및 접합 공정 고도화를 위한 용접 및 접합 변수 데이터 수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9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ersonally allocated interface for use in a welding system
KR102295274B1 (ko) 용접 자원 성능 목표 시스템 및 방법
CN201098775Y (zh) 监测焊接设备状态的系统
EP3542943B1 (en) Method of and non 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weld quality by realising a weld signature analysis
KR20150129655A (ko) 용접 자원 성능 비교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9654A (ko) 용접 자원 추적 및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487169B1 (ko) 로봇 작업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CN103817406B (zh) 焊接电源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N103861222A (zh) 一种混合预警机柜灭火装置及其预警方法
CN112570854B (zh) 电焊机拉弧异常的保护方法和保护器以及电焊机
KR20170136111A (ko)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CN111865680A (zh) 一种工厂生产加工设备故障预警系统
KR101573500B1 (ko) 무선통신 데이터 로거 및 이를 이용한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8512A (ko)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
CN110262362B (zh) 一种agv工作温度监控方法、系统及装置
CN112276371B (zh) 一种切割头随动控制系统及方法
CN111070694B (zh) 一种基于大数据的管道焊接质量监控方法及系统
WO2018232850A1 (zh) 一种基于物联网的建筑工地远程监控方法及系统
KR20210107948A (ko) 스마트 용접 시스템
CN101374080A (zh) 短信网关服务器的监控方法
TW201424964A (zh) 機器人控制系統
JP2007330070A (ja) 電子機器監視システム
CN210690722U (zh) 一种配电电路设备故障定位系统
KR101883672B1 (ko)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hmi 시스템
CN113704066A (zh) 机房设备监控管理方法、存储介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