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111A -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111A
KR20170136111A KR1020160067320A KR20160067320A KR20170136111A KR 20170136111 A KR20170136111 A KR 20170136111A KR 1020160067320 A KR1020160067320 A KR 1020160067320A KR 20160067320 A KR20160067320 A KR 20160067320A KR 20170136111 A KR20170136111 A KR 20170136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data
information collection
welder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기표
Original Assignee
피에프케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프케이 (주) filed Critical 피에프케이 (주)
Priority to KR102016006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111A/ko
Publication of KR2017013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금속과 금속을 고열을 통하여 접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용접기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에 결합되고, 상기 용접기에서 감지되는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용접기 부재;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에서 출력되는 상기 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각 신호를 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서버;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에 저장되는 상기 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각 용접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정보 수집 서버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메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의 상기 각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규모가 큰 용접 작업 환경에서도 각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수집 또는 확인하여, 용접의 품질 및 용접기의 상태와 공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상 신호에 대한 대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Smart welding machin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접기는 금속과 금속 사이를 고열을 통하여 서로 접합해주는 것으로, 금속 사이를 용융 접합시키는 용접 장치이다.
이러한 용접기의 종류는 가스가 연소할 때 높은 열을 이용하여 금속의 일부를 녹여 접합시키는 가스 용접기, 직류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를 이용하는 직류 아크 용접기, 교류 전류를 아크 전원으로 한 교류 아크 용접기 등이 있다.
이러한 용접기의 용접 작업 종류로는 위보기, 아래보기, 수평, 수직 등 다양한 작업 종류가 있다.
이러한 용접 작업을 진행할 때, 용접기의 상태에 따라 용접된 제품의 품질이 달라짐으로 용접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시로 진행하여야 하였다.
또한, 작업실의 온·습도와 같은 용접 환경에 따라서도 용접 작업이 달라짐으로, 매번 동일한 용접 작업을 하기엔 어려우며 그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용접의 이음매 요구조건, 모재 재질에 따른 용접 작업, 두께 용착 금속 형태, 용접기의 전기적 특성, 용접 자세 등을 용접 작업마다 용접절차서(WPS)에 기록하여야 함으로 그에 따른 작업 시간이 더욱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고자,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과 같이 용접기를 제어하는 시스템과 네트워크가 구축된 용접기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용접기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수집한다 하더라도, 다수의 용접기를 사용할 때,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용접기의 상태, 공정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여도 이상 신호에 대한 빠른 대처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 10-2002-0079508호, 공개 일자: 2002.10.19., 발명의 명칭: 전기 아크 용접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공개특허 제 10-2015-0039327호, 공개 일자: 2015,04,10., 발명의 명칭: 요접기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규모가 큰 용접 작업 환경에서도 각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수집 또는 확인하여, 용접의 품질 및 용접기의 상태와 공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상 신호에 대한 대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금속과 금속을 고열을 통하여 접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용접기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에 결합되고, 상기 용접기에서 감지되는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용접기 부재;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에서 출력되는 상기 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각 신호를 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서버;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에 저장되는 상기 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각 용접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정보 수집 서버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메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의 상기 각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금속과 금속을 고열을 통하여 접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용접기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에 결합되고, 상기 용접기에서 감지되는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용접기 부재;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에서 출력되는 상기 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각 신호를 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서버;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에 저장되는 상기 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각 용접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정보 수집 서버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메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의 상기 각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규모가 큰 용접 작업 환경에서도 각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수집 또는 확인하여, 용접의 품질 및 용접기의 상태와 공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상 신호에 대한 대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와,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와, 메인 서버(130)와, 모니터링 시스템(140)을 포함한다.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금속과 금속을 고열을 통하여 접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용접기(10)에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는 상기 용접기(10)에 결합되고, 상기 용접기(10)에서 감지되는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란, 상기 각 용접기(10)의 ON/OFF 시간, 전압 값, 전류 값, 용접 속도, 가스량 등에 대한 신호이다.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의 상기 신호를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용접기 통신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용접기 통신부(111)는 예를 들어, TCP/IP통신이 가능한 모듈이 포함되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와 상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는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에서 출력되는 상기 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각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가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5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가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의 상기 데이터 저장 공간이 과부하가 걸리지 않은 한도 내에서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는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의 상기 각 신호가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전송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의 상기 각 신호가 또 다른 대응되는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가 1 개일 때보다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 수신되는 상기 각 신호의 양이 줄어듦으로, 상기 각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 상기 각 신호로 인한 과부하가 걸리지 않으므로, 상기 각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와 그에 대응하는 상기 각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와의 통신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의 모든 상기 신호를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보내는 것보다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를 복수 개로 구성하고, 그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를 일정 갯수로 나누어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전송시, 과부하가 걸리지 않아 상기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5개의 상기 각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에서 출력되는 상기 각 신호가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송신되고, 상기 각 신호는 상기 데이터로 전환되어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 1차적으로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 상기 각 신호가 상기 데이터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으므로 용접절차서(WPS)에 대한 기록을 작업자가 직접 기록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가 상기 용접기(10)의 상기 용접절차서(WPS)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가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 상기 데이터 형태로 저장됨으로 작업자가 상기 용접절차서(WPS)를 직접 기록하지 않아도 되어 그에 따른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가 3개로 제시된 것은 예시이고,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의 갯수에 따라, 즉, 작업 환경의 규모에 따라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의 갯수가 다른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의 갯 수가 늘어나도, 그에 따라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를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소규모 작업 현장에서는 물론이며 대규모 작업 현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는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 또는 상기 메인 서버(130)와 서로 무선 통신 환경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는 예를 들어, TCP/IP통신이 가능한 모듈이 포함되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와 상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서버(130)와는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30)는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 저장되는 상기 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각 용접기(10)를 제어하도록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서버이다.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서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용접의 품질이나 용접기(10)의 상태나 공정의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데이터란, 상기 각 데이터가 이상이 생기거나, 상기 데이터가 기준 값에 벗어난 경우의 상기 용접기(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어 데이터의 값이 계산되고, 상기 제어 데이터가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전송되고,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로 전달하여 이상 신호가 발생된 상기 용접기(10)를 제어하여 정상적인 작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메인 서버(130)에서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고, 작업자가 임의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메인 서버(130)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30)는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의 값을 관리하고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30)는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와 서로 무선 통신 환경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메인 통신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메인 통신부(131)는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의 상기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와 1대 다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의 상기 데이터가 상기 무선 메인 통신부(131)로의 실시간 송신이 가능함으로,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가 형성된 상기 각 용접기(10)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메인 통신부(131)에서 상기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 신호로 빠르게 변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용접기 통신부(111)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된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의 상기 용접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140)은 상기 메인 서버(130)에서 저장되는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140)은 상기 메인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모니터링부(142)와, 상기 각 용접기(10)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제어 입력 부재(143)와, 작업자에게 이상 신호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이상 신호 알림부(144)와, 상기 메인 서버(130)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통신부(141)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부(142)에서는 상기 메인 서버(130)에 저장되는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재의 작업 현황, 기간별 작업 현황, 각 용접기(10)에 대한 상태 등의 용접 작업 환경을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입력 부재는 작업자가 임의로 용접 작업의 형태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용접기(10)를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는 모재 재질이 변경되어 상기 각 용접기(10)의 용접 작업에 대한 기준 값을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 부재가 키보드 부재로 제작되었으나, 상기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다른 입력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서 상기 메인 서버(130)로 송신된 상기 데이터 값이 기준에 응하는 값이 아닐 경우, 사기 메인 서버(130)에서 상기 이상 신호 알림부(144)에 이상 신호를 알리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상 신호가 상기 이상 신호 알림부(144)에 입력되면, 상기 이상 신호 알림부(144)가 작업자에게 상기 이상 신호에 대한 감지를 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여기서 상기 이상 신호 알림부(144)는 예를 들어, 알림음을 울릴 수 있는 부저가 포함된 알림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이상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142)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모니터링부(142)에 표시된 상기 이상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한 후, 상기 제어 입력 부재(143)에서 임의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부저와 같은 알림 장치로 작업자에게 작업 환경에 대한 이상 신호를 알려주고 상기 메인 서버(130)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의 값을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 수신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상 신호가 발생한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에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이상 신호에 대한 값을 상기 작업 현장의 원하는 기준 값으로 소환하면, 상기 이상 신호 알림부(144)에서의 알림 장치의 작동이 중지된다.
상기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같이, 상기 각 용접기(10)에 대한 무선 통신 환경이 조성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전선의 소비가 줄어들고, 복수 개의 상기 용접기(10)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상기 용접기(10)의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간접적으로 상기 용접기(1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용접의 품질에 따른 기준 값을 측정해줌으로써, 품질이 향상된 용접을 할 수 있다.
또한, 용접 작업 시, 용접의 이음매 요구조건, 모재 재질, 두께 용착 금속 형태, 용접의 전기적 특성, 용접 자세 등을 기록해야하는 용접절차서(WPS)도 작업자가 직접 기록하지 않아도 상기 데이터로 상기 메인 서버(130)에 안전하게 저장됨으로써, 이에 따른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에 대한 관리가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각 용접기(10)의 용접 작업에 대한 기준 값을 정하여 상기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입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접 작업이 진행되고, 상기 용접 작업이 진행되면 상기 각 용접기(10)에 대한 상기 각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각 신호는 상기 무선 용접기 통신부(111)를 통하여 상기 무선 용접기 통신부(111)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상기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로 송신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용접기(10)에 대한 각 신호가 전송가능하게 대응되는 상기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에 송신되고, 상기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로 수신된 상기 각 신호는 상기 데이터로 변환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의 상기 각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와 상기 메인 서버(130)의 무선 메인 통신부(131)가 1대 다 통신을 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의 상기 각 데이터가 상기 각 무선 정보 통신부(121,151,161)에서 출력되어 상기 메인 서버(130)의 무선 메인 통신부(131)로 송신된다.
상기 무선 메인 통신부(131)로 입력된 복수 개의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서버(130)가 상기 제어 데이터 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의 용접 작업 상태에 대한 정보를 누적해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통신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통신부(141)에 입력하여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모니터링부(142)에는 상기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표시해줌으로써,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상태를 임의로 상기 작업자가 제어하고 싶을 때, 상기 제어 입력 부재(143)를 통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데이터가 상기 시스템 통신부(141)에서 출력되어 상기 메인 서버(130)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메인 서버(130)에 상기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어야 할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송신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상기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어야 할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로 송신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에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용접기(10)가 상기 제어 신호에 맞게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상기 용접기(10)의 기준 값을 벗어난 이상 작동, 또는 작업 현장의 변화로 인하여 상기 용접기(10)에 상기 이상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이상 신호가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전송되고,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서는 상기 이상 신호를 이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이상 데이터가 상기 메인 서버(130)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서버(130)에서 상기 이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값과 대비 계산을 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 입력 부재(143)로 상기 작업자가 임의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메인 서버(130)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 데이터가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로 전송되고, 상기 정보 수집 서버(120,150,160)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할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110)로 전송시킴으로써, 상기 이상 신호가 발생한 상기 용접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이상 데이터가 상기 메인 서버(130)에 저장되면, 상기 신호 알림부(144)에서 상기 이상 데이터가 처리가 될 때까지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이상 데이터가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상기 모니터링부(142)에서는 상기 이상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작업자에게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문제가 발생한 상기 용접기(10)의 상기 이상 신호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규모가 큰 용접 작업 환경에서도 각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수집 또는 확인하여, 용접의 품질 및 용접기의 상태와 공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상 신호에 대한 대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110 : 디지털 용접기 부재
120 : 정보 수집 서버
130 : 메인 서버
140 :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5)

  1. 금속과 금속을 고열을 통하여 접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용접기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에 결합되고, 상기 용접기에서 감지되는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용접기 부재;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에서 출력되는 상기 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각 신호를 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서버;
    복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 서버에 저장되는 상기 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각 용접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정보 수집 서버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메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의 상기 각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의 상기 신호를 상기 정보 수집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정보 수집 서버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용접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서버는
    상기 디지털 용접기 부재 또는 상기 메인 서버와 서로 무선 통신 환경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정보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정보 수집 서버와 서로 무선 통신 환경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메인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의 값을 관리하고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각 용접기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제어 입력 부재와, 작업자에게 이상 신호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이상 신호 알림부와, 상기 메인 서버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067320A 2016-05-31 2016-05-31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36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20A KR20170136111A (ko) 2016-05-31 2016-05-31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20A KR20170136111A (ko) 2016-05-31 2016-05-31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11A true KR20170136111A (ko) 2017-12-11

Family

ID=6094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320A KR20170136111A (ko) 2016-05-31 2016-05-31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11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4544A (zh) * 2018-08-17 2018-12-18 龙岩学院 微型电阻点焊质量在线监测方法
WO2019210726A1 (zh) * 2018-05-04 2019-11-07 成都熊谷加世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内焊的远程监控和诊断系统
KR20200009683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682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686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2005A (ko) * 2020-02-11 2021-08-1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기용 네트워크 카드, 디지털 용접기, 및 서버를 포함한 용접기 관리 시스템
CN117798498A (zh) * 2024-02-29 2024-04-02 深圳市艾雷激光科技有限公司 智能激光焊接机焊接异常自动调整的方法及系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0726A1 (zh) * 2018-05-04 2019-11-07 成都熊谷加世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内焊的远程监控和诊断系统
KR20200009683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682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686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9014544A (zh) * 2018-08-17 2018-12-18 龙岩学院 微型电阻点焊质量在线监测方法
CN109014544B (zh) * 2018-08-17 2020-07-28 龙岩学院 微型电阻点焊质量在线监测方法
KR20210102005A (ko) * 2020-02-11 2021-08-1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기용 네트워크 카드, 디지털 용접기, 및 서버를 포함한 용접기 관리 시스템
KR20210102004A (ko) * 2020-02-11 2021-08-1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기용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한 디지털 용접기와 상호작용하는 서버
CN117798498A (zh) * 2024-02-29 2024-04-02 深圳市艾雷激光科技有限公司 智能激光焊接机焊接异常自动调整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6111A (ko) 스마트 용접기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3469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ersonally allocated interface for use in a welding system
CN109844662B (zh) 手动工作站单元、远程数据处理装置、手动工作站运营系统、手动工作站运营方法和手动工作站提供方法
KR101482767B1 (ko) 자동화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86668B1 (ko) 용접작업의 원격 모니터링시스템
JP2019530084A (ja) アクティブブラックボックスを利用した工場設備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395031A (zh) 用于检测焊接及切割参数的系统和方法
US20150277431A1 (en) Saw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saw
JP2016525016A (ja) 溶接システム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351496B2 (ja) 溶接条件自動計測記録システム及び溶接条件自動計測記録方法
KR101230432B1 (ko) 용접기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2016057794A (ja) 管理装置、制御装置、繊維機械管理システム、及び繊維機械の管理方法
US20060132321A1 (en) Universal equipment process monitor
KR20140028201A (ko) 스폿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3048A (ko) 용접 품질 관리 시스템
JP6540973B2 (ja) 溶接システム及び溶接システムにおける溶接電流通流経路上の異常検出方法
EP3451306A1 (en) Remote diagnostics for flame detectors using fire replay technique
KR101613573B1 (ko) 용접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제어 방법
CN111431954B (zh) 一种生产设备的远程故障解决系统和方法
CN106330566A (zh) 一种在线监控供电状态与网络状态的设备
KR101883672B1 (ko)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hmi 시스템
KR20150068512A (ko) 디지털 용접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통합관리 방법
JP2012257376A (ja) 変電所監視システム
KR100967061B1 (ko) 고장 정보 통보 및 처리 시스템
KR20210069896A (ko) 최적 전류 전압을 찾아 세팅하는 머신 러닝 기반의 용접 품질 관리 시스템 및 용접 품질 관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