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141A - 차량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141A
KR20150068141A KR1020130153996A KR20130153996A KR20150068141A KR 20150068141 A KR20150068141 A KR 20150068141A KR 1020130153996 A KR1020130153996 A KR 1020130153996A KR 20130153996 A KR20130153996 A KR 20130153996A KR 20150068141 A KR20150068141 A KR 2015006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module
light source
vehic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793B1 (ko
Inventor
한효진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21S41/365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successively reflecting th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 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광을 상향 조사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제1 광모듈부;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집광하는 옵틱렌즈를 구비하는 복수의 광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광모듈부; 상기 제1 광모듈부의 상기 제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 및 상기 쉴드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이 투과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옵틱렌즈는, 상기 렌즈부의 후방 초점에 광을 집광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램프{Head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차량용 헤드 램프로 다양한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 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헤드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사용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진 차량용 헤드 램프들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부품의 수 및 조립 공정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조립 과정에 있는 작업자에게 시간 소요 및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 램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유럽공개특허 EP 2,434,204 (2012.03.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광을 상향 조사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제1 광모듈부;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집광하는 옵틱렌즈를 구비하는 복수의 광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광모듈부; 상기 제1 광모듈부의 상기 제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 및 상기 쉴드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이 투과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옵틱렌즈는, 상기 렌즈부의 후방 초점에 광을 집광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광유닛을 통해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옵틱렌즈를 도입하여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집광하므로 광효율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배광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광원(110, 222)과 리플렉터(120)와 옵틱렌즈(224)를 포함하는 광모듈부(100, 200), 쉴드부(300), 렌즈부(400) 및 히트싱크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전조등 또는 브레이크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램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는 타측 차량용 헤드 램프는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거나 좌우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원(110, 222)은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벌브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란, 반도체의 p-n접합을 이용하여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하면 n영역에 있는 전자가 p영역의 양공과 만나서 재결합 발광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용해 전류를 직접 광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소자이다.
일반적으로 사방 1mm 정도 크기의 단일의 발광 칩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광원(110, 222)은 멀티칩 엘이디 패키지(Multi-chip LED Package)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발광 칩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에 비해 풍부한 광량을 얻을 수 있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자유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리플렉터(120)의 제1 초점에 광원(1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110)은, 차량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 각도 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되는 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되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면 상기 소정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플렉터(120)가 광원(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리플렉터(120) 전체가 광원(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리플렉터(120) 중 일부가 광원(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옵틱렌즈(224)는 광원(222)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원(222)에서 조사된 광을 렌즈부(400)의 후방 초점에 광을 집광한다. 옵틱렌즈(224)의 내부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누설되는 광을 반사하여 렌즈부(400)의 후방 초점에 광을 집광함으로써,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옵틱렌즈(224)는 광원(2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광원(222)에서 조사되는 광을 렌즈부(400)의 후방 초점에 광을 집광하여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옵틱렌즈(224)의 재질, 곡률, 크기, 형상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쉴드부(300)는 광원(110)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배광 패턴에 컷오프 라인(Cut-off Line)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쉴드부(300)는 일단에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홈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쉴드부(300)의 상면은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을 단순히 차단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광 효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쉴드부(300)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금속 코팅층 등을 형성시킴으로써, 쉴드부(300)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을 재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금속 코팅층은, 예를 들어 크롬 코팅, 알루미늄 코팅 또는 금속 산화물 층이 코팅된 형태일 수 있으고, 이러한 금속 코팅층은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퍼터링 증착, 진공 증착, 플라즈마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400)는 광원(110, 222)에서 조사된 광을 투영시키는 것으로,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400)는 렌즈홀더에 설치되는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부(400)를 투과한 광은 차량의 외부로 배광되어 하향등, 상향등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광원(110, 222) 또는 리플렉터(120)에서 조사 또는 반사된 광을 투영시킬 수 있다면 렌즈부(400)의 크기, 재질 및 굴절률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110, 222)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거나 옵틱렌즈(224)에서 집광되어 렌즈부(400)의 전방으로 투과한다. 이 때, 광원(110, 222)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 광이 투과되는 방향은 일정하지만, 설계 의도에 따라 광의 상하 또는 좌우로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에이밍 스크류(미도시 됨)에 의해 차량용 헤드 램프(10) 전체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히트싱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10, 222)으로서 발광다이오드가 사용 될 수 있는데, 발광다이오드는 고온의 열에 취약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히트싱크부(500)를 필요로 한다. 히트싱크부(500)는 지지 플레이트들에 결합되어, 광원(110, 222)이 발하는 열을 방열함으로써 차량용 헤드 램프(1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이 때, 히트싱크부(500)는 방열 면적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광원(110, 222)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면 히트싱크부(500)의 위치,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우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광을 상향 조사하는 제1 광원(110)과 제1 광원(110)에서 조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120)를 포함하는 제1 광모듈부(100),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2 광원(222)과 제2 광원(222)에서 조사된 광을 집광하는 옵틱렌즈(224)를 구비하는 복수의 광유닛(210, 220, 230)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광모듈부(200),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300) 및 쉴드부(300)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이 투과되는 렌즈부(400)를 포함한다.
이 때, 옵틱렌즈(224)는, 렌즈부(400)의 후방 초점에 광을 집광한다. 옵틱렌즈(224)는 제2 광원(222)과 일체로 결합되어 누설되는 광을 줄이고, 집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광모듈부(200)의 복수의 광유닛(210, 220, 230)은, 렌즈부(400)의 후방 초점을 기준으로하여 곡면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광유닛(210, 220, 230)이 직선배치된 경우에 비해 제2 광원(222)에서 조사된 광의 집광효율이 높아진다. 다만, 집광효율이 높아진다면 상기 곡면배치된 복수의 광유닛(210, 220, 230)의 배치, 개수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광모듈부(100)는 광원(110), 리플렉터(120)를 구비하고, 제2 광모듈부(200)는 광원(222), 옵틱렌즈(224)를 구비하지만, 지지 플레이드 등 다른 구성의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모듈부(100, 200)의 광원(110, 222)은 멀티칩 엘이디 패키지(Multi-chip LED Package)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과 제2 광모듈부(200)는 차량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 각도 틸팅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도 광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광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광량 및 광효율이 향상된다면, 상기 소정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쉴드부(30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는 반사면을 포함하여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을 렌즈부(400)로 재 반사시키고, 옵틱렌즈(224)에서 집광되지 않고 누설되는 광을 렌즈부(400)로 재 반사시켜 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다만, 리플렉터(120)와 옵틱렌즈(224)에서 쉴드부(30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면, 상기 반사면의 재질, 크기, 위치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배광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이 점등되어 로우 빔 배광패턴(PL)을 형성한다.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에서 조사된 광은, 제1 광모듈부(100)의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어 렌즈부(400)를 투과하거나, 쉴드부(300)의 반사면에서 재 반사되어 렌즈부(400)를 투과하여 로우 빔 배광패턴(PL)을 형성한다. 이 때, 쉴드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컷오프 라인(CL)은 대향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이 점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2 광모듈부(200)의 제2 광원(222)이 점등되는 경우에도 로우 빔 배광패턴(PL)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우 빔 배광패턴(PL)을 형성하는 경우,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에서 조사되어 제1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가 쉴드부(300)에 구비된 시그널 플레이트(미도시)을 지나 시그널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 빔이란 야간에 차량 주행시 도로 표지판 등의 식별을 위하여 전방 시야를 증대시키고, 야간 운전자의 원거리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빔이다. 일반적으로 시그널 빔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좌우폭이 20mm이고 전후 폭이 15mm 정도 요구되지만, 시그널 빔을 형성하기 위한 시그널 플레이트의 폭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3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광모듈부(100, 200)의 제1 및 제2 광원(110, 222)이 점등되어 하이 빔 배광패턴(PH)을 형성한다.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에서 조사된 광은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어 렌즈부(400)를 투과하거나 쉴드부(300)의 상면에서 재 반사되어 렌즈부(400)를 투과하고, 제2 광모듈부(200)의 제2 광원(222)에서 조사된 광은 제2 광모듈부(200)의 옵틱렌즈(224)를 통해 집광되어 렌즈부(400)를 투과하거나 쉴드부(300)에서 재 반사되어 렌즈부(400)를 투과하여 하이 빔 배광패턴(PH)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제1 광모듈부(100)에서 렌즈부(400)를 투과하는 광과 제2 광모듈부(200)에서 렌즈부(400)를 투과하는 광은 각각 스팟 배광패턴과 스프레드 배광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프레드 배광 패턴이란, 차량의 근방을 비추는 배광 패턴이고, 스팟 배광 패턴이란 차량의 원방을 비추는 배광 패턴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하나의 램프로 로우 빔 배광패턴(PL)을 형성하는 로우 빔 모드뿐만 아니라, 하이 빔 배광패턴(PH)을 형성하는 하이 빔 모드 등 복수의 빔 모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모듈부(200)는 광축(C)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고, 제1 광모듈부(100)와 제2 광모듈부(200)는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짐으로써, 누설되는 광을 줄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원하는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광모듈부(100)가 광축(C)과 평행하고 제2 광 모듈부(200)가 광축과 소정 각도로 틸팅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하나의 차량용 헤드 램프(10)로 원하는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면 제1 및 제2 광모듈부(100, 200)가 광축(C)과 이루는 상기 서로 다른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의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과 제2 광모듈부(200)의 제2 광원(222)은 수직축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과 제2 광모듈부(200)의 제2 광원(222)이 수직축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광원(110, 222)에서 조사되는 광을 집광하는데 효율적이고, 원하는 배광패턴을 형성함에 있어 풍부한 광량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광모듈부(100)의 제1 광원(110)과 제2 광모듈부(200)의 제2 광원(222)이 수직축을 기준으로 같은 거리로 배치되는 것 또한 배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광모듈부(100, 200)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 광원(110, 22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부(500)가 제1 및 제2 광모듈부(100, 200) 모두에 연결됨으로써, 차량용 헤드 램프(10)의 공간 효율뿐만 아니라 방열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제1과 제2 광모듈부(100, 200) 각각에 히트싱크부(500)가 별도로 배치되는 것도 배제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차량용 헤드 램프(10)로 하이 빔 배광패턴(PH) 및 로우 빔 배광패턴(PL)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광모듈이나 차량용 헤드 램프를 부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존재하며, 부품 수가 줄어 많은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로우 빔 배광패턴(PL)과 하이 빔 배광패턴(PH)을 형성하는 경우만 설명되어 있지만, 로우 빔 모드와 하이 빔 모드뿐만 아니라 DRL(Day Running Lamp) 모드, 및 환영 모드 등 복수의 빔 모드 등으로 동작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용 헤드 램프
100: 제1 광모듈부
200: 제2 광모듈부
300: 쉴드부
400: 렌즈부
500: 히트싱크부

Claims (8)

  1. 광을 상향 조사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제1 광모듈부;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집광하는 옵틱렌즈를 구비하는 복수의 광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광모듈부;
    상기 제1 광모듈부의 상기 제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 및
    상기 쉴드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이 투과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옵틱렌즈는, 상기 렌즈부의 후방 초점에 광을 집광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모듈부의 상기 복수의 광유닛은, 상기 렌즈부의 후방 초점을 기준으로하여 곡면 배치된, 차량용 헤드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은 멀티칩 엘이디 패키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모듈부는, 차량의 상방으로 소정각도 틸팅된, 차량용 헤드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모듈부의 상기 제1 광원이 점등되어 로우 빔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모듈부의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이 점등되어 하이 빔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모듈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130153996A 2013-12-11 2013-12-11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9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996A KR102099793B1 (ko) 2013-12-11 2013-12-11 차량용 헤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996A KR102099793B1 (ko) 2013-12-11 2013-12-11 차량용 헤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41A true KR20150068141A (ko) 2015-06-19
KR102099793B1 KR102099793B1 (ko) 2020-04-10

Family

ID=5351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996A KR102099793B1 (ko) 2013-12-11 2013-12-11 차량용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377A (ko) * 2016-10-25 2018-05-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80045384A (ko) * 2016-10-25 2018-05-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EP3366982A1 (en) * 2017-02-28 2018-08-29 Farba Otomotiv Aydinlatma ve Plastik Fabrikalari Anonim Sirketi A lighting apparatus and a vehicle front headlight equipped therewit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7228A (ja) * 2006-02-24 2007-09-06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2008288224A (ja) * 2008-09-05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前照灯
WO2010006428A1 (en) * 2008-07-15 2010-01-21 Trojan Technologies Fluid treatment system
JP2010055888A (ja) * 2008-08-27 2010-03-11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EP2434204A2 (de) 2010-09-27 2012-03-28 Audi AG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7228A (ja) * 2006-02-24 2007-09-06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WO2010006428A1 (en) * 2008-07-15 2010-01-21 Trojan Technologies Fluid treatment system
JP2010055888A (ja) * 2008-08-27 2010-03-11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08288224A (ja) * 2008-09-05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前照灯
EP2434204A2 (de) 2010-09-27 2012-03-28 Audi AG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377A (ko) * 2016-10-25 2018-05-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80045384A (ko) * 2016-10-25 2018-05-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N108375048A (zh) * 2016-10-25 2018-08-07 Sl株式会社 车载灯具
US10330285B2 (en) 2016-10-25 2019-06-25 Sl Corporation Lamp for vehicle
CN108375048B (zh) * 2016-10-25 2020-10-20 Sl株式会社 车载灯具
EP3366982A1 (en) * 2017-02-28 2018-08-29 Farba Otomotiv Aydinlatma ve Plastik Fabrikalari Anonim Sirketi A lighting apparatus and a vehicle front headlight equipp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793B1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742B2 (en) Vehicle lighting unit
US8162507B2 (en) Lamp unit having a parabola optical system reflector
US8858049B2 (en) Vehicle lighting unit
US7441928B2 (en) Lighting device
JP2015216020A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を備える自動車
US7736035B2 (en) Seven inch round LED headlamp
KR10138186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09979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US7789545B2 (en) Vehicle headlight assembly
EP2187117B1 (en) Vehicle headlamp
KR102099793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48681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97957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30047575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68143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122412B1 (ko) 차량용 램프
KR101461552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6378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10532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13395128U (zh) 前照灯远光照明系统
CN216693396U (zh) 双光透镜车灯
KR2015013486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145647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166854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