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010A -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010A
KR20150065010A KR1020130150023A KR20130150023A KR20150065010A KR 20150065010 A KR20150065010 A KR 20150065010A KR 1020130150023 A KR1020130150023 A KR 1020130150023A KR 20130150023 A KR20130150023 A KR 20130150023A KR 20150065010 A KR20150065010 A KR 2015006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cceleration
time
unit
erro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169B1 (ko
Inventor
우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1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흔들림(Yaw, Roll, Pitch)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오입력을 사용자의 터치 유지시간을 기반으로 검출함으로써, 이전 단계로의 복귀, 재입력 등 불필요한 조작을 제거하여 운전자 주의 분산에 의한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에 있어서,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감지부; 상기 가속도 감지부가 감지한 3축 가속도의 단위시간당 변위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구간을 가속도의 급변구간으로서 산출하는 급변구간 산출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터치유지시간 측정부; 및 상기 터치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연속 터치가 감지됨에 따라 첫 번째 터치의 유지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첫 번째 터치가 발생한 시점이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포함되면 오입력으로 판단하는 오입력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INCORRECT INPUT OF TOUCH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중인 차량의 흔들림(Yaw, Roll, Pitch)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오입력을 사용자의 터치 유지시간을 기반으로 검출 및 학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 및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구현 추세에 따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입력 인터페이스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이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상에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포함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키보드 등과 같은 별도의 입력 수단 없이도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크기의 제약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소형 단말기(예를 들면, 이동 전화기, MP3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표시부로서의 모니터, 상기 모니터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거하여 단말기에 구비된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구체적으로 특수 처리된 전극 유리(ITO Grass)와 전극 필름(ITO Film)을 포함한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 또는 펜 등이 그 표면에 접촉되면 그 위치를 좌표값으로서 인식한다. 제어부는 이렇게 인식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처리하도록 일 이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한편,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단말기에 구비되는 표시부 또한 그 크기가 작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 또한 차지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때에는 날카로운 도구(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오입력이 자주 발생하기 마련이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정보를 입력할 때에는 입력하고자 하는 키의 주변 키를 잘못 터치하게 되어 오입력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오입력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였던 문자정보를 삭제하고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였어야 했다. 특히, 주행중인 차량에서는 도로의 환경에 따라 흔들림(Yaw, Roll, Pitch)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오입력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진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를 통해 정보를 입력할 시에 사용자의 오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흔들림(Yaw, Roll, Pitch)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오입력을 사용자의 터치 유지시간을 기반으로 검출함으로써, 이전 단계로의 복귀, 재입력 등 불필요한 조작을 제거하여 운전자 주의 분산에 의한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에 있어서,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감지부; 상기 가속도 감지부가 감지한 3축 가속도의 단위시간당 변위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구간을 가속도의 급변구간으로서 산출하는 급변구간 산출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터치유지시간 측정부; 및 상기 터치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연속 터치가 감지됨에 따라 첫 번째 터치의 유지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첫 번째 터치가 발생한 시점이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포함되면 오입력으로 판단하는 오입력 검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감지부가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급변구간 산출부가 상기 감지된 3축 가속도의 단위시간당 변위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구간을 가속도의 급변구간으로서 산출하는 단계;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터치유지시간 측정부가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오입력 검출부가 상기 사용자의 연속 터치가 감지됨에 따라 첫 번째 터치의 유지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첫 번째 터치가 발생한 시점이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포함되면 오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흔들림(Yaw, Roll, Pitch)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오입력을 사용자의 터치 유지시간을 기반으로 검출함으로써, 이전 단계로의 복귀, 재입력 등 불필요한 조작을 제거하여 운전자 주의 분산에 의한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사중인 도로, 요철로 등과 같이 열악한 주행 환경에서도 고객이 원하는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3축 가속도에 대한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3축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대한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는, 가속도 감지부(10), 급변구간 산출부(20), 터치 감지부(30),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40), 및 오입력 검출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가속도 감지부(10)는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일례로 3축 자이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3축 가속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Vertical Axis)을 기준으로 차량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Yaw)의 가속도, 세로축(Longitudinal Axis)을 기준으로 차량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Roll)의 가속도, 가로축(Lateral Axis)을 기준으로 차량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Pitch)의 가속도를 각각 의미한다.
3축 자이로 센서는 상술한 3개의 가속도(Yaw, Roll, Pitch)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급변구간 산출부(20)는 가속도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3축 가속도의 급변구간을 산출한다. 즉, 급변구간 산출부(20)는 3축 가속도의 단위시간당 변위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구간을 가속도의 급변구간으로서 산출한다. 이때, 급변구간 산출부(20)는 3축 가속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속도를 대상으로 급변구간을 산출할 수도 있고, 3축 가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속도를 대상으로 급변구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렇게 산출된 급변구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시간에 가속도의 변위량이 급변한다. 도 3에서 "310"은 가속도의 일반구간을 의미하고, "320"은 가속도의 급변구간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터치 감지부(30)는 일예로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터치유지시간 측정부(40)는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이하, 터치유지시간)을 측정한다. 즉, 터치유지시간 측정부(40)는 사용자의 터치가 시작된 시점부터 터치가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일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널에 닿은 시점부터 터치 패널로부터 떨어진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오입력 검출부(50)는 터치 감지부(30)에 의해 사용자의 연속 터치가 감지됨에 따라 터치유지시간 측정부(40)를 통해 첫 번째 터치의 유지시간을 확인하고, 급변구간 산출부(20)를 통해 첫 번째 터치가 발생한 시점이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오입력 검출부(50)는 첫 번째 터치의 유지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첫 번째 터치가 발생한 시점이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포함되면 오입력으로 판단한다.
물론, 터치유지시간 조건과 급변구간 조건 중 어느 하나만 만족해도 오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이는 오입력 판단에 있어서 그 정확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오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속 터치란 사용자의 첫 번째 터치가 종료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두 번째 터치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 형태, 터치 간격, 터치유지시간, 급변구간 등을 모니터링하여 학습에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오입력을 판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정확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가속도 감지부(10)가 3축 가속도를 측정한다(401).
이후, 급변구간 산출부(20)가 가속도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3축 가속도의 단위시간당 변위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구간을 가속도의 급변구간으로서 산출한다(402).
이후, 터치 감지부(30)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403).
이후, 터치유지시간 측정부(40)가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한다(404).
이후, 오입력 검출부(50)가 사용자의 연속 터치가 감지됨에 따라 첫 번째 터치의 유지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첫 번째 터치가 발생한 시점이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포함되면 오입력으로 판단한다(40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가속도 감지부
20 : 급변구간 산출부
30 : 터치 감지부
40 : 터치유지시간 측정부
50 : 오입력 검출부

Claims (7)

  1.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감지부;
    상기 가속도 감지부가 감지한 3축 가속도의 단위시간당 변위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구간을 가속도의 급변구간으로서 산출하는 급변구간 산출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터치유지시간 측정부; 및
    상기 터치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연속 터치가 감지됨에 따라 첫 번째 터치의 유지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첫 번째 터치가 발생한 시점이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포함되면 오입력으로 판단하는 오입력 검출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변구간 산출부는,
    3축 가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속도를 대상으로 급변구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변구간 산출부는,
    3축 가속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속도를 대상으로 급변구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축 가속도는,
    요(Yaw), 롤(Roll), 피치(P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5. 가속도 감지부가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급변구간 산출부가 상기 감지된 3축 가속도의 단위시간당 변위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구간을 가속도의 급변구간으로서 산출하는 단계;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터치유지시간 측정부가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오입력 검출부가 상기 사용자의 연속 터치가 감지됨에 따라 첫 번째 터치의 유지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첫 번째 터치가 발생한 시점이 가속도의 급변구간에 포함되면 오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급변구간 산출 단계는,
    3축 가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속도를 대상으로 급변구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급변구간 산출 단계는,
    3축 가속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속도를 대상으로 급변구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방법.
KR1020130150023A 2013-12-04 2013-12-04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23A KR102030169B1 (ko) 2013-12-04 2013-12-04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23A KR102030169B1 (ko) 2013-12-04 2013-12-04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010A true KR20150065010A (ko) 2015-06-12
KR102030169B1 KR102030169B1 (ko) 2019-10-08

Family

ID=5350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023A KR102030169B1 (ko) 2013-12-04 2013-12-04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1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8907A (zh) * 2015-08-17 2017-03-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的感应控制装置、方法和家用电器
CN110275636A (zh) * 2019-06-11 2019-09-24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防抖方法、装置、系统、终端设备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9261A (ja) * 2007-06-27 2009-01-15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
KR20100001170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JP2013020532A (ja) * 2011-07-13 2013-01-31 Jvc Kenwood Corp タッチパネル操作装置、タッチパネル操作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53882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이로 센서 측정값 및 가속도 센서 측정값을 보정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9261A (ja) * 2007-06-27 2009-01-15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
KR20100001170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JP2013020532A (ja) * 2011-07-13 2013-01-31 Jvc Kenwood Corp タッチパネル操作装置、タッチパネル操作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53882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이로 센서 측정값 및 가속도 센서 측정값을 보정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8907A (zh) * 2015-08-17 2017-03-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的感应控制装置、方法和家用电器
CN110275636A (zh) * 2019-06-11 2019-09-24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防抖方法、装置、系统、终端设备及车辆
CN110275636B (zh) * 2019-06-11 2022-12-13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防抖方法、装置、系统、终端设备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169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21077C1 (en) Disambiguating touch-input based on variation in characteristic such as speed or pressure along a touch-trail
US9207801B2 (en) Force sensing input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orce information
US20150193912A1 (en)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ed image
US8599159B2 (en) Touch panel type operation device, touch panel oper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42388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lidity of touch key input used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JP6323960B2 (ja) 入力装置
EP2701052A2 (en) Portable device and guid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thereof
US201202998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8197934A (ja) 操作者判別方法
JP2012099005A (ja)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入力プログラム
US9524050B2 (en) Disambiguating touch-input based on variation in pressure along a touch-trail
JP6202874B2 (ja) 電子機器、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28992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EP2771766B1 (en) Pressure-based interaction for indirect touch input devices
KR102030169B1 (ko)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320430A1 (en) Input device
EP287654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6639745B2 (ja) タッチ操作判定装置およびタッチ操作の有効性判定方法
JP2022133602A (ja) タッチ入力装置、タッチ入力方法、及びタッチ入力プログラム
JP6014370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7546B2 (ja) タッチ操作判定装置およびタッチ操作の有効性判定方法
CN107567612A (zh) 数字笔相对于计算装置的入射角
KR102082696B1 (ko) 정보 처리장치 및 터치패널의 조작 관리방법
JP2015014949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40070264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