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170A -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170A
KR20100001170A KR1020080060981A KR20080060981A KR20100001170A KR 20100001170 A KR20100001170 A KR 20100001170A KR 1020080060981 A KR1020080060981 A KR 1020080060981A KR 20080060981 A KR20080060981 A KR 20080060981A KR 20100001170 A KR20100001170 A KR 20100001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sensor
user
measur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3305B1 (ko
Inventor
안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2008006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3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Abstract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시에 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 등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입력을 오류로 처리하므로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감소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잘못된 입력을 수정하는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가속도 센서, 임계값, 오류,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패드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Method of Input Error Control Processing of Mobile Equipment and Mobile Equipment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가 가능한 정보 단말기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는 정보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용 전화기, 무선 전화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HHP(Hand Held Personal Computer) 및 휴대용 게임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를 가진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터치 패드, 키패드 및 무선 입력장치 등의 입력 장치를 갖는다.
터치스크린이란 화면상의 한 지점을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하면 접촉점의 좌표값을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가 내장된 화면을 말하며, 터치스크 린에는 압력 감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AW: Surface Acoustic Wave) 방식 및 적외선 방식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터치패드란 평판 모양의 센서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는 것으로, 마우스 포인터의 조작을 하는 포인팅 장치의 하나이다. 노트북 컴퓨터에 채용되기도 하지만,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이동 전화기 등의 제품에 많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에서 쓰이는 키보드에 터치 패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키패드는 키버튼으로 숫자와 특수문자 등을 가지며,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에 의하여 원하는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이동 전화기에 사용되는 키패드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으며, 이동 전화기에 사용되는 키패드는 특수문자와 숫자로 구성된다. 또한, 방향 키버튼을 추가로 구성하여 스크롤이나 편집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입력장치의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2003-0075739호가 존재하며, 이는 터치스크린의 입력 종료 전에는 입력을 실행하지 아니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입력을 종료하는 동작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입력 오류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의 오류를 감소 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입력 오류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 간격인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오류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 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시에 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 등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입력을 오류로 처리하므로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감소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잘못된 입력을 수정하는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 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오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오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가 가능한 정보 단말기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는 정보기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휴대용 전화기, 무선 전화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HHP(Hand Held Personal Computer) 및 휴대용 게임기 등이 이동 단말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인 힘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가속도 센서는 자동차, 기차, 선박, 비행기 등의 운반수단, 공장자동화, 로봇 등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장치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통신기기 등에 내장하는 가속도 센서는 나날이 소형화되고 있으며 용도도 다양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것일 수 있으나 이동 단말기와 별도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S110)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구성하는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터치스크린 이외에도 터치패드, 키패드 및 무선 입력장치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및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받는 하나 이상의 입력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터치스크린 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받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은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는 동작에 의한 터치입력,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며 누르는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입력 또는 터치입력은 하나의 지점을 누른 후에 특정한 궤적을 그리는 터치입력일 수 있다. 더불어 터치입력은 동시에 또는 일정한 시간간격 이내에 입력되는 멀티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터치패드를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받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터치스크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터치패드를 통한 터치입력은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는 동작에 의한 터치입력, 누르는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입력 또는 궤적을 그리는 터치입력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터치입력은 터치스크린과 마찬가지로 멀티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키패드를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키입력을 받는 것일 수 있다. 키패드를 구성하는 숫자 또는 특수문자를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은 동시에 또는 일정한 시간간격 이내에 입력되는 멀티 키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및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모든 입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과 터치패드의 터치입력이 조합되어 입력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과 키패드의 키입력이 함께 조합되어 입력될 수도 있으며, 터치패드의 터치입력과 키패드의 키입력이 함께 조합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과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 터치스크린 상의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는 터치입력과 키패드를 이용하여 숫자 '1'을 누르는 키입력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및 키패드를 모두 구비한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며 누르는 터치입력,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터치패드 상의 하나의 지점부터 다른 지점까지 궤적을 그리는 터치입력 및 키패드를 이용하여 특수문자 '#'을 누르는 키입력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이 동일할 확률은 매우 적으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삼아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에 발생한 입력은 일단 유효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한 시각이 12:00 정각이라 하고, 정해진 시간 간격이 1초라고 한다면, 12:00 정각을 기준으로 1초 간격 이내에 발생한 모든 입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으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정해진 시간 간격일 수 있다. 즉,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관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의 원인 이 되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받는 시간간격 이내에 발생한 입력이어야 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은 측정값의 시각보다 빠르거나 늦은 시간까지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 간격일 경우에만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5'에 해당되고,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이 '4'인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이 12:00 정각이라면, 상기 정해진 시간간격은 12:00 정각을 포함하는 시간간격 즉, 12:00 정각보다 0.5초 빠른 시간부터 12:00 정각보다 0.5초 늦은 시간까지의 시간간격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12:00 정각을 포함하는 경우에만 측정값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오류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정해진 시간간격은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 및 운동 능력을 고려하여 넓게 또는 좁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운동능력이 뛰어난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므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간격을 0.5초로 좁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운동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므로 정해진 시간간격을 1.5초로 넓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능력의 측면에서 볼 때, 두 개 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입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입력을 멀티 입력이라고 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처리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멀티 입력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입력이 두 개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동시에 멀티 터치 입력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키패드와 일반화면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도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키입력 즉, 숫자 '3'과 특수문자 '*'의 입력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멀티 입력의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는 멀티 입력 모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S120)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측정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을 독출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인터럽트를 제어부로 제공하여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값을 측정한 경우에 이에 대응되는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받아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값이 저장된 메모리 영역을 독출하여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습관 또는 행동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거나 적게 받는 차이점을 반영할 수 있도록 임계값을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소에 이동 단말기를 단단하게 쥐고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것이므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크더라도 입력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줄어들고, 평소에 이동 단말기를 느슨하게 쥐고 이동 단말기의 조작을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므로 입력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많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단단하게 쥐고 조작하는 사용자는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크게 설정할 필요성이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임계값을 작게 설정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하여 임계값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오류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이동 단말기의 오류 처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단계(S140)는 무선 단말기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클 것이고, 이 경우의 입력은 오류일 확률이 높으므로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기에 큰 움직임이 있었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7'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이 '4'로 지정된 경우라면, 정해진 시간간격 이내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은 오류일 확률이 높을 것이다. 이 경우에 정해진 시간간격 이내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은 오류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오류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단계(S130)는 무선 단말기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도 정해진 시간간격 이내의 입력이 오류가 아닐 수 있으므로, 이때의 입력은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단계이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기에 큰 움직임이 있었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6'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이 '4'로 지정된 경우라면, 정해진 시간간격 이내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은 오류일 확률이 높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오류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 의한 입력은 오류로 처리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류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류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211), 터치패드(212), 키패드(213) 및 무선 입력장치 등일 수 있다.
입력부(21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11), 터치패드(212) 및 키패드(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받는 것을 말하며, 멀티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정해진 시간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220)는 무선 단말기의 움직임 특히,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220)의 측정값은 제어부(230)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값과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상기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정해진 시간간격 이내의 사용자 입력을 무효로 처리한다. 여기에서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뿐만 아니라 크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오류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류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입력부 211: 터치스크린
212: 터치패드 213: 키패드
220: 가속도 센서 230: 제어부

Claims (16)

  1.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10.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 오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오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오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오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오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오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오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80060981A 2008-06-26 2008-06-26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KR101483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0981A KR101483305B1 (ko) 2008-06-26 2008-06-26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0981A KR101483305B1 (ko) 2008-06-26 2008-06-26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70A true KR20100001170A (ko) 2010-01-06
KR101483305B1 KR101483305B1 (ko) 2015-01-15

Family

ID=4181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0981A KR101483305B1 (ko) 2008-06-26 2008-06-26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3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5017A (zh) * 2012-07-25 2013-01-02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防止终端误输入的方法
CN103324098A (zh) * 2012-03-21 2013-09-2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输入装置
KR20150065010A (ko) * 2013-12-04 2015-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05867622A (zh) * 2016-03-30 2016-08-17 深圳还是威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生活能源用量监测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43B1 (ko) 2019-01-07 2020-10-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의 터치센서 측정 오류 보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7983A1 (en) * 2004-10-25 2006-05-11 Nokia Corporation Tapping input on an electronic device
KR101314943B1 (ko) * 2006-08-24 201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4098A (zh) * 2012-03-21 2013-09-2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输入装置
GB2502178A (en) * 2012-03-21 2013-11-20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Touch screen with means to compensate for the acceleration movements of the host device.
US9256318B2 (en) 2012-03-21 2016-02-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put device
CN102855017A (zh) * 2012-07-25 2013-01-02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防止终端误输入的方法
CN102855017B (zh) * 2012-07-25 2015-07-0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防止终端误输入的方法
KR20150065010A (ko) * 2013-12-04 2015-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터치 오입력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05867622A (zh) * 2016-03-30 2016-08-17 深圳还是威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生活能源用量监测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305B1 (ko)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9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230220B1 (ko)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CN102119376B (zh) 触敏显示器的多维导航
US8508476B2 (en) Touch-sensitiv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81080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2009016080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20150185850A1 (en) Input detection
KR2009002292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JP2015513148A (ja) 感圧キー
US20120007816A1 (en) Inpu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 Software Keyboard
US20100302175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uchscreen
TWI659353B (zh) 電子設備以及電子設備的工作方法
US8928611B2 (en) Touch sensor usability enhancement on clamshell notebook
KR101483305B1 (ko) 이동 단말기의 입력 오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US20100039375A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of Multi-Finger Touch Supported Touch Apparatus having Hidden Physical Button
CN102725710A (zh) 便携式信息终端及其按键布置变更方法
KR20090015259A (ko)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US20140105664A1 (en) Keyboard Modification to Increase Typing Speed by Gesturing Next Character
TWI709876B (zh) 可切換輸入法的電子裝置及其輸入法切換方法、系統
US20150103010A1 (en) Keyboard with Integrated Pointing Functionality
JP2012141650A (ja) 携帯端末
KR101013219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219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날로그 조작을 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236630B1 (ko)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TWI478017B (zh) 觸控裝置及其觸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