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711A -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 Google Patents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711A
KR20150063711A KR1020130148401A KR20130148401A KR20150063711A KR 20150063711 A KR20150063711 A KR 20150063711A KR 1020130148401 A KR1020130148401 A KR 1020130148401A KR 20130148401 A KR20130148401 A KR 20130148401A KR 20150063711 A KR20150063711 A KR 2015006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carriageway
car
displayed
br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수
김재식
이강오
최귀남
손영철
김경태
손영진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102013014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711A/ko
Publication of KR2015006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8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formed in situ, e.g. by painting, by casting into the road surface or by deforming the roa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에 대하여 미리 예고하도록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의 파선에 차로 진행 방향을 예고하는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을 표시함으로써, 주행하는 차량은 전방의 파선에 표시된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을 인식하여 사전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를 피해 직진하거나,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로 주행을 유도함으로써, 주행 중에 갑작스런 차로 변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게 되므로 원활하고 안전한 교통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notice lane mark for direction lane}
본 발명은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에 대하여 미리 예고하도록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로에는 교통의 안전과 원할한 소통을 위해 중앙선, 차선(lane mark)과 같은 노선 표시가 도색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선은 중앙선과 버스전용차선, 일반차선으로 분류되고, 중앙선은 주황색 실선으로 표시되고, 이 중앙선을 기준으로 할당된 구역에 파랑색의 버스전용차선과 흰색의 일반 차선으로 구분되며, 상기 버스전용차선과 차선은 차선 변경이 가능한 파선과 차로 변경이 허락되지 않은 실선으로 구분 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로의 차선은 차량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할 뿐, 차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차로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차로(lane)의 중앙, 즉 차선(lane mark)과 차선 사이의 중앙에는 문자로 현재 주행 중인 차로가 직진 차로인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 인가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주행 차로를 인지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는 간혹 차로의 전방에 설치된 차로 정보 표시판 또는 차로 중앙에 표시된 정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차로 선택의 착오를 일으켜 주행 방해 및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것은 주행을 하다 보면, 차로의 상방 및 차로의 중앙에 표시된 정보는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인식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쉽게 인식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초보 운전자인 경우 인식하기가 쉽지 않아 차로 선택이 잘못하였을 경우 차로 변경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고, 초행길의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당황하여 갑작스럽게 차로 변경을 함으로써, 후방 차량과의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차로는 안전한 주행 및 운행을 위해 운전자에게 지속적인 차로 표시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왕복 차로 또는 교차로(10)에는 중앙선(11)을 기준으로 버스전용차로 또는 좌회전을 위한 진행방향 표시 및 파단된 파선(12)이 표시되고, 우회전 진행방향 표시 및 파단된 파선(13)이 표시되며, 상기 좌회전 및 우회전 차로의 후방에는 차로의 중앙에 직진이 안 된다는 직진금지표시(14)만이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표시된 차로의 파선(12),(13)을 따라 주행하다 보면, 간혹 전방차량에 의해 차로에 표시된 직진, 좌,우회전, 직진금지표시(14)가 가려져 순간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직진이 금지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에 진입하게 되는 낭패를 범하게 되고 상기 차로를 잘못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는 갑작스럽게 차로 변경을 시도하게 됨으로써, 후방 차량은 물론, 좌,우측으로 직진하는 차량과 사고를 유발하는 위험성 및 원활한 교통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전방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가 있는 것을 예고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사전에 진행차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주행하는 차로의 진행 방향을 사전에 예고함으로써,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도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회전 차로 또는 우회전 차로에 인접되며, 차로 진행 방향을 예고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에 있어서, 차로를 변경할 수 있는 구간을 표시하는 파단된 파선; 상기 파선의 파단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좌회전 차로 또는 상기 우회전 차로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차선의 파선과 파선 사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상기 좌회전 차로 또는 우회전 차로의 직진금지표시 이전의 차선으로부터 차로가 변경되지 않는 차선에 이르기까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차로 진행 방향을 향하여 사선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의 사선은 차로 진행 방향을 향하여 30°~ 40°범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선단이 뾰족하고 길이가 긴 삼각형 형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차선과 대비되는 유색도료로 표시하되, 상기 유색도표의 표면에 글라스 비드(glass bead)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의 파선에 차로 진행 방향을 예고하는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을 표시함으로써, 주행하는 차량은 전방의 파선에 표시된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을 인식하여 사전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를 피해 직진하거나,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로 주행을 유도함으로써, 주행 중에 갑작스런 차로 변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게 되므로 원활하고 안전한 교통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차로 진행 방향 예고 표식이 표시된 차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차로 진행 방향 예고 표식의 확대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차로 진행 방향 예고 표식이 표시된 차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차로 진행 방향 예고 표식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로(10)의 중앙선(11)을 기준으로 좌회전 차로에 인접되고 차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표시되며 파단된 파선(12), 우회전 차로에 인접되고 차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표시되며 파단된 파선(13), 상기 좌회전 차로 및 우회전 차로의 후방에 표시되어 직진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직진금지표시(14), 상기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에 인접되고 파단된 파선(12)(13)의 파단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좌회전 차로 또는 상기 우회전 차로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을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에 인접되는 파선(12)(13)은 차로와 차로를 구분하고 경계하기 위하여 표시된 차선을 말하고,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은 통상의 차선 도색 방법으로 도색하여 표시하게 된다.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은 파단된 파선(12),(13)과 파선(12),(13)의 사이에 표시하되, 상기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의 중앙에 표시된 직진금지표시(14) 이전의 파단된 파선(12),(13)으로부터 차선 변경되지 않는 파선(12),(13)의 지점에 이르기까지 표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행하는 차량은 상기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의 파선(12),(13)사이에 표시된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을 사전에 인지하여 주행하고 있는 차로로 변경하여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에 인접되며 파단된 파선(12),(13)사이에 차로 진행 방향을 향해 길이가 30cm ~ 55cm의 삼각형 형상으로 각도(a) 30°~ 40°사선으로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을 각도(a) 30°~ 40°의 사선으로 표시하는 것은 파단된 파선(12),(13)으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에서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표식(20)의 길이를 30cm ~ 55cm의 삼각형 형상으로 표시하는 것은 파선(12),(13)과의 확연한 구별을 통해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전방에 차로의 파단된 파선(12),(13) 사이에 표시된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사전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로의 변경을 유도하여 주행 중에 갑작스런 차로 변경 또는 차로의 인식을 잘못하여 갑작스런 차로 변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은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의 파선(12),(13)의 색상과 대비되는 유색도료로 표시하되, 상기 유색도료의 표면에 글라스비드(glass bead)를 도포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유색도료에 글라스비드를 혼합하여 도색하여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을 유색으로 표시하고 표면에 글라스 비드를 도포하여 표시하는 것은 기존의 파선(12)(13)과의 구분은 물론, 주,야간 또는 비오는 날에도 글라스비드(glass bead)에서 반사되는 광으로 차로 진행방향 예고 표식을 용이하게 인식하는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유색도료에 글라스비드를 도포하여 좌회전 또는 우회전 파단된 파선(12),(13)에 표시된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20)은 주,야간은 물론, 비오는 날에도 전방에 차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하게 되어 사전에 차로 변경을 통해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도하고 아울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0; 교차로 11; 중앙선
12; 좌회전 차로의 파선 13; 우회전 차로의 파선
14; 직진금지표시 15; 직진차로
20;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

Claims (6)

  1. 좌회전 차로와 우회전 차로에 인접되며 차로 진행 방향 예고하도록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에 있어서:
    차로 변경할 수 있는 구간을 나타내기 위하여 파단 된 파선;
    상기 파선의 파단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좌회전 차로와 상기 우회전 차로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상기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의 직진금지표시 이전의 파선으로부터 차로가 변경되지 않는 파선에 이르기까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차로 진행 방향을 향하여 사선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의 사선은 차로 진행 방향을 향하여 30°~ 40°범위의 각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삼각형 형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진행방향 예고표식은 파선과 대비되는 유색 도료, 상기 유색도료의 표면에 글라스 비드(glass bead)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KR1020130148401A 2013-12-02 2013-12-02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KR20150063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401A KR20150063711A (ko) 2013-12-02 2013-12-02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401A KR20150063711A (ko) 2013-12-02 2013-12-02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11A true KR20150063711A (ko) 2015-06-10

Family

ID=5350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401A KR20150063711A (ko) 2013-12-02 2013-12-02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7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8802A (zh) * 2015-12-18 2016-05-11 吉林大学 十字型交叉口左转引导线设计方法
CN115083206A (zh) * 2022-04-28 2022-09-20 同济大学 一种用于道路车辆变道的过渡预告标线及变道决策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8802A (zh) * 2015-12-18 2016-05-11 吉林大学 十字型交叉口左转引导线设计方法
CN105568802B (zh) * 2015-12-18 2017-12-12 吉林大学 十字型交叉口左转引导线设计方法
CN115083206A (zh) * 2022-04-28 2022-09-20 同济大学 一种用于道路车辆变道的过渡预告标线及变道决策方法
CN115083206B (zh) * 2022-04-28 2023-09-26 同济大学 一种用于道路车辆变道的过渡预告标线及变道决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680B2 (en) Traffic light safety zone
CN105976642A (zh) 车辆产生光分布以发出行驶指示的方法和驾驶员辅助系统
CN103325262A (zh) 提高路口交通通行能力的方法
US20090060647A1 (en) Traffic merging system
US20150339926A1 (en) Traffic warning apparatus and traffic warning method for warning traffic participants about a hazard region
CN106320210B (zh) 一种信号交叉口进口段车道导向装置
CN111341126A (zh) 一种适用于信号交叉路口的路面信号指示系统
CN108660962B (zh) 一种平面斜十字交叉口路面导向系统
KR20150063711A (ko)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JP2012031637A (ja) 道路標示シート
JP4917836B2 (ja) 車両誘導方法およびその車両誘導装置
JP3143361U (ja) 道路の下り坂表示装置
CN115083182A (zh) 快速路左侧出入口影响区车速管理及路径指引系统
US20010046413A1 (en) Roadway marking safety system
JP3190905U (ja) 道路標示シート
KR20060123049A (ko) 좌회전차로 예고표지 방법
KR101848279B1 (ko) 시인성과 시공 비용이 개선된 횡단보도
KR20230043392A (ko) 방향지시부가 구비된 기능성 도로
KR101358572B1 (ko) 반사표시를 통한 안전운전 방법 및 차선지킴이
CN219671125U (zh) 一种基于自适应的高速公路出口分流区域诱导指示系统
KR200318075Y1 (ko) 도로표시판 및 도로면
CN117144739A (zh) 一种不对称信息流的三岔型互通出口视线诱导系统
KR200220436Y1 (ko) 서행표시부를 구비한 전주도색판
KR200388788Y1 (ko) 고속도로 위치 표시판
TW201632689A (zh) 道路速限識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