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637A - 의약품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의약품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637A
KR20150063637A KR1020130148213A KR20130148213A KR20150063637A KR 20150063637 A KR20150063637 A KR 20150063637A KR 1020130148213 A KR1020130148213 A KR 1020130148213A KR 20130148213 A KR20130148213 A KR 20130148213A KR 20150063637 A KR20150063637 A KR 20150063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dicine
new
medicines
medic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14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637A/ko
Publication of KR2015006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는 외관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의약품이 각각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위셀을 구비하는 의약품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셀을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의약품이 수용되지 않은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에 새로운 의약품이 투입되도록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안착되는 의약품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보관 장치{Medicine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보관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출에 의한 의약품 소진 시 새로운 의약품의 보충을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구현토록 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약제가 불출되어 소진되고 나면, 새로운 약제의 보충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약제의 특성 상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등의 경우 사용자가 약제 하나씩 개별적으로 보충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즉,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등과 같은 약제의 경우 파손의 위험성으로 인해 박스 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수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충 작업 시 매우 조심스럽게 하나하나씩 박스 내로 보충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보충 작업에 의해 보충에 필요한 시간은 증가하기 마련이며, 이는 박스가 장착되어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약제가 불출되도록 하는 불출장치의 불출효율을 저감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박스 내에 수용되는 약제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는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등의 특성 상 소정의 공간 내에서 한정된 개수의 약제가 수용될 수 밖에 없는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또한, 미리 약제가 수용된 수용된 박스를 복수개 보유하여 박스의 교체로 불출장치의 불출효율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박스의 비용으로 인해 복수의 박스를 보유하기에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등과 같은 약제에 있어서, 약제의 보충 작업을 개선하여 불출장치의 불출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보관 장치에 있어서 불출에 의한 의약품이 소진되고 난 뒤 새로운 의약품을 보충하는 경우 별도의 보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충 작업을 구현토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는 외관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의약품이 각각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위셀을 구비하는 의약품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셀을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의약품이 수용되지 않은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에 새로운 의약품이 투입되도록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안착되는 의약품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안착된 후 각각의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하여 각각의 상기 새로운 의약품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새로운 의약품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복수의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단위셀층을 형성하며,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하나의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의 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의약품안착부와 대응되는 단위셀에 투입되도록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통과하는 의약품통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의약품안착부와 대응되는 단위셀로의 투입을 차단하는 의약품투입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의약품통과부는,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의 위치 이동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는, 회동 여부에 따라 의약품통과부를 구현시킬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의약품이 수용되지 않은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에 투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의약품이 수용되지 않은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에 투입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복수의 단위셀은, 동일한 개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을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에 반복적으로 투입시키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위치 이동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동된 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단위셀에 투입된 후,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또 다른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된 단위셀에 투입되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위치 이동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동된 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특정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의 일부에 투입되도록 상기 새로운 의약품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 소진에 따른 의약품 보충 시 별도의 보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충작업을 구현토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보충 시 간편하게 보충작업을 구현하는 동시에 보충 시 의약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을 보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의약품 보관 장치가 장착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의 불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불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가 의약품 보충을 위해 의약품 보충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가 의약품 보충 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가 의약품 보충 장치에 장착된 후 의약품 보충을 위해 커버부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에 의해 새로운 의약품이 보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통과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에 의해 새로운 의약품이 보충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불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10)는 다른 의약품 보관 장치와 함께 의약품 불출 장치(미도시)에 장착되어 의약품 불출 요청, 즉,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 시 보관 중인 의약품을 불출되도록 하는 일종의 구조물로, 외관을 제공하는 본체부(100), 복수의 의약품(M)을 수용하는 의약품수용부(200),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커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의 의약품수용부(200)에 수용되는 상기 의약품(M)은 앰플(ampule) 또는 바이알(vial) 등과 같이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약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약품(예, 정제, 산제, 파우치형 등)이나 주사기 등의 의료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는 대략 육면체의 외관을 제공하는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의약품수용부(200)에 수용되었던 의약품(M)이 외부로 불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불출구(110) 및 후술할 의약품이송부(120)에 외부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3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는 상기 본체부(100)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의약품(M)이 각각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위셀(C)을 구비하는 의약품수용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위셀(C)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단위셀층(F1~F3)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복수의 단위셀(C)은 동일한 개수의 단위셀(C)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편의상 상기 복수의 단위셀(C)이 제1 내지 제3 단위셀층(F1~F3)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3 단위셀층(F3)의 하측에는 의약품(M)을 불출구(110)로 이동시키는 의약품이송부(1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이송부(120)의 무한궤도 상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의약품(M)은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불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불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이송부(120)는 격벽에 의해 의약품(M)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일종의 컨베이어로, 제3 단위셀층(F3)으로부터 낙하하는 의약품(M)을 수용한 뒤 수용된 의약품(M)을 외부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130)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한편, 제3 단위셀층(F3)으로부터 상기 의약품수용부(200)로의 의약품(M)의 낙하는 상기 제3 단위셀층(F3)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셔터(X3)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셔터(X3)는 상기 의약품(M)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셔터(X3)의 이동에 의해 상기 통과홀은 제3 단위셀층(F3)에 포함된 단위셀(C)에 수용된 의약품(M)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의약품(M)의 낙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과홀이 상기 의약품(M)과 어긋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의약품(M)이 낙하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3 셔터(X3)의 위치 이동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제3 셔터(X3)의 위치 이동은 캠부(2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캠부(210)는 캠축(211), 제1 캠(212), 제2 캠(213) 및 제3 캠(2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212), 상기 제2 캠(213) 및 상기 제3 캠(214)은 각각 상기 캠축(211)을 중심으로 장반경 부분과 단반경 부분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캠축(21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캠축(211)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캠(212), 상기 제2 캠(213) 및 상기 제3 캠(214)의 장반경 부분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3 셔터(X3), 제2 셔터(X2) 및 제1 셔터(X1)의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순차적으로 제3 단위셀층(F3)으로부터 의약품이송부(120)로의 의약품(M)의 낙하, 제2 단위셀층(F2)으로부터 상기 제3 단위셀층(F3)으로의 의약품(M) 낙하 및 제1 단위셀층(F1)으로부터 상기 제2 단위셀층(F2)으로의 의약품(M) 낙하가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우선, 제1 단위셀층(F1), 제2 단위셀층(F2) 및 제3 단위셀층(F3)에 포함된 모든 단위셀(C)에 의약품(M)이 수용된 경우 캠축(211)의 회전에 의해 제3 단위셀층(F3)으로부터 의약품이송부(120)로의 의약품(M)의 낙하가 구현되며, 상기 의약품이송부(120)로 낙하된 의약품(M)은 동력전달부(130)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불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캠축(211)은 계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단위셀층(F2)으로부터 상기 제3 단위셀층(F3)으로의 의약품(M) 낙하 및 제1 단위셀층(F1)으로부터 상기 제2 단위셀층(F2)으로의 의약품(M) 낙하가 순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에 의해 모든 의약품(M)은 외부로 불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모든 단위셀(C)에 수용된 의약품(M)이 외부로 불출되어 새로운 의약품(M1, 도 7 참조)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은 본체부(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커버부(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가 의약품 보충을 위해 의약품 보충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가 의약품 보충 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가 의약품 보충 장치에 장착된 후 의약품 보충을 위해 커버부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의약품 보충 장치(400)는 의약품 보관 장치(10)에 수용된 의약품(M)이 소진되어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을 위해 커버부(300)를 위치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잠금해제장치로, 접근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보충 작업을 구현토록 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 보충 장치(400)는 의약품의 보충 작업 및 사용자의 접근 권한 인증을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병원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장착이 되면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의 커버부(300)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상기 의약품 보충 장치(400)의 장착부(410)에 장착이 되면, 상기 장착부(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는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버부(300)가 장착된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의 일측면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는, 의약품을 보충하는 사용자에게 보충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으로, 상기 장착부(410)의 회전 각도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회전되면, 커버부(30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00)의 위치 이동은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상기 의약품 보충 장치(400)에 장착되면, 잠금 해제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300)의 위치 이동은 장착부(41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회전되기 이전, 동시 또는 이후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에 의해 새로운 의약품이 보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로, 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통과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의약품 보충 장치(400)에 장착되고 나면,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의 커버부(3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300)의 상기 본체부(100)로부터의 위치 이동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착부(410)의 회전과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00)는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을 위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안착되는 의약품안착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의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복수의 단위셀(C) 중 의약품이 수용되지 않은 단위셀(C)의 적어도 일부에 투입되도록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안착되는 의약품안착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안착부(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3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00)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00)는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을 위해 회동되고 난 뒤 본체부(100)로부터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즉,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회동되고 난 뒤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는 수단에는 도 6에 도시된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안착부(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의약품(M1)이 안착된 후 각각의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하여 각각의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의 안착된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품안착부(310)는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과 대응되도록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키고 난 뒤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새로운 의약품(M1)을 안착시키고 나면, 상기 커버부(300)를 하나의 단위셀층(예를 들어 제1 단위셀층)에 위치시켜 상기 하나의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C)에 새로운 의약품(M1)을 낙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단위셀층은 상기 의약품수용부(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셀(C)의 적어도 일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안착부(310)는 상기 하나의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C)에 새로운 의약품(M1)을 낙하시키도록 상기 하나의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C)의 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와 대응되는 단위셀(C)에 투입되도록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통과하는 의약품통과부(3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통과부(320)로 인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와 대응되는 단위셀(C)에 투입되는 과정에서의 이탈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통과부(320)는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커버부(3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부분인 상기 커버부(300)의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의 일측단과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상기 커버부(300)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의약품통과부(320)는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의 일측단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부(300)의 일측단을 따라 연속적인 단일개의 홀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의약품통과부(320')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300)의 의약품투입차단부(330)의 위치 이동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33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와 대응되는 단위셀(C)로의 투입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330)는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의 일측단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300)의 일측단을 막아,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단위셀(C)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새로운 의약품(M)을 상기 단위셀(C)로 투입시키려고 하는 경우, 도 7의 (b)인 도 7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330)를 회동시켜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통과하는 공간인 상기 의약품통과부(320')를 구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330)는 상기 커버부(300)의 일측단을 막는 단일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새로운 의약품(M1)의 일측단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330)의 회동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커버부(300)의 경사각도에 따라 회동이 결정되는 자동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자유롭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미도시하였으나,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의약품통과부(320)를 통과한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해당 단위셀(C)로 투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의약품통과부(320)로부터 연장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수용부(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셀(C)은 동일한 개수의 단위셀(C)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은 3일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를 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의약품안착부(310)에 새로운 의약품(M1)을 안착시킨 후 제1 단위셀층(F1)에 포함된 단위셀(C)에 낙하시켜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새로운 의약품(M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의약품통과부(32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단위셀층(F1)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투입차단부(330)를 위치 이동, 즉,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동 시킴으로 인해 제공되는 의약품통과부(32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단위셀층(F1)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될 수도 있다.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셀층(F1)에 포함된 단위셀(C)에 새로운 의약품(M1)이 투입되고 나면,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새로운 의약품(M1)을 재차 안착시킨 후 제2 단위셀층(F2)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시킬 수 있으며, 결국,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에 의해 제3 단위셀층(F3)에 포함된 단위셀(C)까지 새로운 의약품(M1)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든 단위셀(C)에 새로운 의약품(M1)을 투입하고 나면,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본체부(100)에 다시 장착한 후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시키고 난 뒤,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를 의약품 보충 장치(400)로부터 분리시키고 나면, 의약품 불출 장치에 장착될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다만,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된 커버부(300)의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새로운 의약품(M1)이 투입되는 단위셀층의 순서는 일정하게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된 후,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또 다른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임의의 다른 하나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단위셀층(F1~F3)에 포함된 단위셀(C) 중 일부에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 의약품안착부(310)에 형성되는 배출조절부(미도시)에 의해 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조절부는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적어도 일부의 새로운 의약품(M1)과 대응되는 의약품통과부(320)를 막아 새로운 의약품(M1)이 이미 의약품(M)이 수용된 단위셀(C)로의 투입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특정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C)의 일부에 투입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배출조절부에 의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의 배출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10)는 의약품 소진에 따른 새로운 의약품(M1) 보충 시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의 일 구성요소인 커버부(300)를 통해 보충작업을 구현토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약품안착부(310)에 의한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으로 인해 보충 시 의약품(M, M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에 의해 새로운 의약품이 보충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우선,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의약품 보충 장치(400)에 장착되고 나면,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의 커버부(3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 즉,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0)가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을 위해 회동되고 나면, 상기 커버부(300)의 일면에 형성된 의약품안착부(310)에 새로운 의약품(M1)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안착된 새로운 의약품(M1)은 상기 커버부(300)의 회동에 의해 의약품통과부(320)를 통과한 후 낙하되어 제1 단위셀층(F1)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새로운 의약품(M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의약품통과부(32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단위셀층(F1)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투입차단부(330)를 위치 이동, 즉,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동 시킴으로 인해 제공되는 의약품통과부(32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단위셀층(F1)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회동된 커버부(300)의 의약품안착부(310)에는 새로운 의약품(M1)이 재차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회동된 이후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제2 단위셀층(F2)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300)의 제2 단위셀층(F2)과 대응되는 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본체부(100)에 장착된 채 슬라이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며, 슬라이딩 이외의 방법에 의해 상기 커버부(300)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제2 단위셀층(F2)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2 단위셀층(F2)에 포함된 단위셀(C)에 새로운 의약품(M1)을 투입시키고 나면, 다시 새로운 의약품(M1)을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시키고 상기 커버부(300)를 제3 단위셀층(F3)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3 단위셀층(F3)에 포함된 단위셀(C)에도 새로운 의약품(M1)을 투입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을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C)에 반복적으로 투입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회동된 후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된 후, 상기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또 다른 새로운 의약품(M1)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임의의 다른 하나에 포함된 단위셀(C)에 투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는, 상기 커버부(300)를 회동시켜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시키고 난 뒤,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를 의약품 보충 장치(400)로부터 분리시키고 나면, 의약품 불출 장치에 장착될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한편, 의약품안착부(310)에 안착된 새로운 의약품(M1) 중 일부는 제1 단위셀층(F1)에 포함되는 단위셀(C)에 투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단위셀층(F2) 또는 제3 단위셀층(F3)에 포함되는 단위셀(C)에 투입되어야 하는 경우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배출조절부를 통해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즉, 상기에서는 새로운 의약품(M1)의 보충을 위한 커버부(300)의 본체부(100)로부터의 위치 이동을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의약품 보충 장치(400)에의 장착에 의한 잠금 해제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상기 의약품 보충 장치(400)에 장착되지 않더라도 별도의 잠금해제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의약품 보충 장치(400)는 단일개의 의약품 보관 박스(10)가 장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시에 복수개의 의약품 보관 장치(10)가 장착될 수도록 변경 가능하다.
또한, 커버부(300)가 본체부(100)로부터 회동된 이후 구현되는 위치 이동 방향은 제1 단위셀층으로부터 제N 단위셀층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단위셀층을 따른 방향이어도 무방하다.
10: 의약품 보관 장치
100: 본체부
200: 의약품수용부
300: 커버부
310: 의약품안착부

Claims (13)

  1. 외관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의약품이 각각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위셀을 구비하는 의약품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셀을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의약품이 수용되지 않은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에 새로운 의약품이 투입되도록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안착되는 의약품안착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의약품 보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안착된 후 각각의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하여 각각의 상기 새로운 의약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새로운 의약품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의약품 보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단위셀층을 형성하며,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하나의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의 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의약품 보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의약품안착부와 대응되는 단위셀에 투입되도록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통과하는 의약품통과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의약품안착부와 대응되는 단위셀로의 투입을 차단하는 의약품투입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의약품통과부는,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의 위치 이동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의약품 보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투입차단부는,
    회동 여부에 따라 의약품통과부를 구현시키는 의약품 보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의약품이 수용되지 않은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에 투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의약품 보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의약품이 수용되지 않은 단위셀의 적어도 일부에 투입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의약품 보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셀은, 동일한 개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을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에 반복적으로 투입시키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위치 이동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동된 후 구현되는 의약품 보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단위셀에 투입된 후,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또 다른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된 단위셀에 투입되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위치 이동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동된 후 구현되는 의약품 보관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새로운 의약품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N(N은 자연수) 단위셀층 중 특정 단위셀층에 포함된 단위셀의 일부에 투입되도록 상기 새로운 의약품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KR1020130148213A 2013-12-02 2013-12-02 의약품 보관 장치 KR20150063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13A KR20150063637A (ko) 2013-12-02 2013-12-02 의약품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13A KR20150063637A (ko) 2013-12-02 2013-12-02 의약품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637A true KR20150063637A (ko) 2015-06-10

Family

ID=5350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213A KR20150063637A (ko) 2013-12-02 2013-12-02 의약품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6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943B2 (en) Device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EP22691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products in unit doses or administration units
US200500985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TW200412311A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TW201708046A (zh) 用於自動化藥物施配機的藥物饋入罐
US87125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vials
KR20150063637A (ko) 의약품 보관 장치
KR101994626B1 (ko) 약제 포장장치
KR20150042398A (ko) 의약품 불출 장치
JPH05285200A (ja) 散薬供給装置
KR101265958B1 (ko) 약품공급장치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KR20140112680A (ko) 약제불출장치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KR20140049432A (ko) 블리스터 포장 약제 불출 박스
KR101896911B1 (ko) 약제 포장장치
US20200134962A1 (en) Pill Dispenser for Tapering Dosage
KR2017004978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80016086A (ko) 약제 인출 장치
KR101652172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101014873B1 (ko) 약제포장장치
JPH05285202A (ja) 散薬供給装置
JP4848347B2 (ja) 薬袋投入装置
KR20160074041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50042397A (ko) 의약품 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