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118A -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118A
KR20150061118A KR1020130144138A KR20130144138A KR20150061118A KR 20150061118 A KR20150061118 A KR 20150061118A KR 1020130144138 A KR1020130144138 A KR 1020130144138A KR 20130144138 A KR20130144138 A KR 20130144138A KR 20150061118 A KR20150061118 A KR 20150061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ys
kidney
bean
measured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775B1 (ko
Inventor
김현영
최만수
심하식
이병원
전명기
이영훈
강범규
구성철
윤홍태
백인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14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7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40Fabaceae, e.g. beans or pea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강낭콩 싹나물 및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 및 상술한 바와 같은 강낭콩 싹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Kidney bean herbs, and cultiv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 및 상술한 바와 같은 강낭콩 싹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콩은 우리의 전통식품으로 그 이용 유래가 깊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 단백질 및 지방의 함량이 높고, 이소플라본(isoflavone), 올리고당, 및 섬유소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콩 종실은 형태학적으로 종피(種皮, seed coat), 자엽(子葉, cotyledon), 배아(胚芽, embryo)로 구성되어 있는데, 종피에 자엽과 배아가 싸여 있다. 배아는 유아(幼芽, epicotyl), 배축(胚軸, hypocotyl), 유근(幼根, radicle)으로 되어 있으며 외견상 다소 도드라져 있고, 콩의 각 부위별 비율은 자엽 90~92%, 종피 6~8%, 배아 2% 정도에 달한다(KeShn Liu, Soybeans: Chemistry, technology and utilization, 1997, Springer, p4~5).
콩은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전통식품 및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이용되는데, 특히 콩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소플라본(isoflavone)과 폴리페놀(polyphenol)이다. 콩의 이소플라본은 C15H10O2의 분자식 가지며 12종의 이성체가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당을 포함한 다이드진(daidzin), 제니스틴(genistin) 및 글리시틴(glycitin) 등의 배당체로 존재한다. 또한 이소플라본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과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 불리며 인체에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am et al., 1998. J. Clin. Endocrinol. Metab.83(7): 2223~35; Miksicek, 1994. J. Steroid Biochem. Mol. Biol. 49: 153-160;Setchell & Cassidy. 1999. J. Nutr., 129: 758S~67S)
콩은 두부, 두유, 메주, 간장, 된장, 고추장, 콩나물을 비롯한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최근 콩과 다양한 콩 가공식품 중에 함유된 각종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면서 세계 각국에서 콩 가공 식품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콩류를 발아시켜 제조한 발아 콩, 싹나물 등의 콩 가공 식품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10-0679848(공개일자: 2008.08.31)에는 상황버섯 추출물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발아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불량한 곡물을 제거하여 발아에 적합한 곡물를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곡물을 세척하는 단계, 상황버섯성분 함유용액에 상기 세척된 곡물을 침지시켜서 대기하는 단계, 상기 침지 및 대기 단계 후, 곡물을 발아시키는 단계, 상기 발아 단계를 거친 곡물을 선별하기 위한 세척단계 및 건조포장 또는 진공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콩에 포함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아방법 및 상기 발아방법으로 제조한 발아 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함량을 향상시킨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 및 다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낭콩을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 및 침지한 강낭콩을 20 ~ 25 ℃에서 3 ~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강낭콩은 기탁번호 IT100888, 기탁번호 IT102849 및 기탁번호 IT231267(기탁기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침지는 강낭콩을 3 ~ 6시간 동안 물에 침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지한 강낭콩을 재배하는 단계는 22 ~ 24 ℃에서 4 ~ 5일 동안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00g 당 800 ㎎ GA eq 이상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낭콩 싹나물은 기탁번호 IT100888, 기탁번호 IT102849 및 기탁번호 IT231267(기탁기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낭콩 싹나물은 배축장 2 ~ 20 ㎝ 및 전장 3 ~ 3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낭콩 싹나물은 2 ~ 3%의 조지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강낭콩 싹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강낭콩 싹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함량을 향상시킨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 및 다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측정한 재배 수율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측정한 재배 수율 결과이다.
도 4는 실험예 1에서 측정한 재배 수율 결과이다.
도 5는 실험예 2에서 측정한 전장 및 배축장 결과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서 측정한 전장 및 배축장 결과이다.
도 7은 실험예 2에서 측정한 전장 및 배축장 결과이다.
도 8은 실험예 3에서 측정한 불완전 발아 및 부패율 결과이다.
도 9는 실험예 3에서 측정한 불완전 발아 및 부패율 결과이다.
도 10은 실험예 3에서 측정한 불완전 발아 및 부패율 결과이다.
도 11은 실험예 5에서 측정한 폴리페놀 함량 결과이다.
도 12는 실험예 5에서 측정한 폴리페놀 함량 결과이다.
도 13은 실험예 5에서 측정한 폴리페놀 함량 결과이다.
도 14는 실험예 6에서 측정한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결과이다.
도 15는 실험예 6에서 측정한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결과이다.
도 16은 실험예 6에서 측정한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결과이다.
도 17은 실험예 6에서 측정한 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이다.
도 18은 실험예 6에서 측정한 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이다.
도 19는 실험예 6에서 측정한 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가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 콩과 다양한 콩 가공식품 중에 함유된 각종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면서 세계 각국에서 콩 가공 식품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콩류를 발아시켜 제조한 발아 콩, 싹나물 등의 콩 가공 식품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콩에 포함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아방법 및 상기 발아방법으로 제조한 발아 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강낭콩을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 및 침지한 강낭콩을 20 ~ 25 ℃에서 3 ~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함량을 향상시킨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 및 다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강낭콩을 세척 및 침지한다(S1).
본 발명의 강낭콩은 통상적으로 강낭콩 싹나물에 사용되는 원료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강낭콩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탁번호 IT100888, 기탁번호 IT102849 및 기탁번호 IT231267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낭콩을 세척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재배하기 전에 콩 세척에 사용되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은 콩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정도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이상 수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침지는 통상적으로 강낭콩 싹나물 재배를 위해 콩을 불리는 정도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 ~ 6시간 동안 침지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5시간 동안 침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침지한 콩을 20 ~ 25 ℃에서 3 ~ 7일 동안 재배한다(S2).
상기 재배는 통상적으로 콩과작물(두류작물)을 재배하는데 사용되는 배지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항온 수조장치가 설치된 발아상, 콩나물 재배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재배 기간인 3 ~ 7일 동안 통상적으로 콩과작물을 발아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분을 첨가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 ~ 6시간 간격으로 150 ~ 450 ㎖의 물을 5 ~ 15 분 동안 살수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5시간 간격으로 250 ~ 350 ㎖의 물을 7 ~ 12 분 동안 살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는 20 ~ 25 ℃에서 3 ~ 7일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 24 ℃에서 4 ~ 5일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만약, 22 ~ 24 ℃에서 4 ~ 5일 동안 재배할 경우, 도 8 내지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불완전 발아율 및 부패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며, 도 14 내지 1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항산화 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을 놀랍게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20 ℃ 이하에서 재배할 경우, 불완전발아율 및 수율이 낮아지고 성장 속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25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재배할 경우, 오히려 유용성분이 줄어들거나, 발아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3일 이하의 일수로 재배할 경우, 전장 및 배축장의 길이가 완전하지 못하여 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7일을 초과하여 재배할 경우, 수율이 높아질 수는 있으나 전장 및 배축장의 길이가 일반 발아콩 보다 불필요하게 길어지고 배축직경 또한 얇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수득된 본 발명의 강낭콩 싹나물은 100g 당 800 ㎎ GA eq 이상의 폴리페놀을 포함한다.
도 14 내지 1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방법을 통해 강낭콩을 발아시킬 경우, 항산화 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이 많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상기 강낭콩 싹나물은 배축장 2 ~ 20 ㎝ 및 전장 3 ~ 30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축장 5 ~ 19 ㎝ 및 전장 10 ~ 28 ㎝일 수 있다.
상기 배축장(embryonic axis length)은 종자인 강낭콩이 재배하였을 때 뿌리와 줄기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서부터 줄기 끝까지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전장(whole length)은 강낭콩 싹나물 전체 길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강낭콩 싹나물은 2 ~ 3%의 조지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강낭콩 싹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 건강 기능성 식품은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 강낭콩 싹나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항산화 건강 기능성 식품의 경우, 항산화 건강 기능성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식품 및/또는 음료에 포함되는 강낭콩 싹나물은 분쇄 및/또는 파쇄된 분말 형태, 또는 상기 분말 형태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발효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C1 ~ C4의 알코올 중 어느 한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강낭콩 싹나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들은 천연 과일 쥬스,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강낭콩 싹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제 조성물은 강낭콩 싹나물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이의 함량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산화제 조성물 중량 중 강낭콩 싹나물 10 ~ 7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강낭콩 싹나물은 그 형태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강낭콩 싹나물을 동결건조 후 분쇄 및/또는 파쇄된 분말 형태, 또는 상기 분말 형태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발효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C1 ~ C4의 알코올 중 어느 한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제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소립 강낭콩 3 품종인 IT100888, IT102849, IT231267(학명 : Phaseolus vulgaris L., 일반명 : Common bean, 분양받은 곳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을 물로 3회 세척 후 콩나물 재배상((주)가라뫼 제품)에 세척한 강낭콩을 치상하고 4시간 동안 물에 침지하였다. 이후 침지하였던 물을 배수하여 제거하고, 4시간 간격으로 300 ㎖의 물을 살수하면서 20 ℃에서 3일 ~ 7일 동안 재배하였다.
실시예 2.
23 ℃에서 3일 ~ 7일 동안 재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하였다.
실시예 3.
25 ℃에서 3일 ~ 7일 동안 재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하였다.
실험예 1. 발아 수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3에서 치상한 강낭콩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후 재배 시작 3일 후, 4일 후, 5일 후, 6일 후 및 7일 후 재배한 강낭콩 싹나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발아 수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면 2 내지 4에 나타내었으며, 도 2는 실시예 1의 발아 수율, 도 3은 실시예 2의 발아 수율 및 도 4는 실시예 3의 발아 수율이다.
Figure pat00001
도 2 내지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품종 별로 소폭 차이는 있으나 실시예 2의 조건인 23 ℃에서 재배한 도 3이 도 2 및 도 4보다 높은 발아 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23 ℃에서 재배한 것이 발아 수율에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강낭콩 싹나물의 전장 및 배축장 측정
실시예 1 내지 3에서 치상한 강낭콩의 전장 및 배축장을 측정하고, 이후 재배 시작 3일 후, 4일 후, 5일 후, 6일 후 및 7일 후의 강낭콩 싹나물 중 10개체를 무작위로 취하여 자엽 및 배축의 길이를 야미 캘리퍼(0.01 ~ 150㎜, 제품명: VMS 150, Japan 소재 기업)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면 5 내지 7에 나타내었으며, 도 5는 실시예 1, 도 6은 실시예 2 및 도 7는 실시예 3의 결과이다.
도 5 내지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재배 온도와는 무관하게 재배 기간이 길어질수록 전장 및 배축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재배 4일까지는 전장 및 배축장의 길이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5일 차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재배 기간은 4 ~ 7일이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불완전 발아 및 부패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3에서 치상한 강낭콩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후 재배 시작 3일 후, 4일 후, 5일 후, 6일 후 및 7일 후 불완전 발아 및 부패한 강낭콩의 무게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불완전 발아 및 부패율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도면 8 내지 10에 나타냈으며, 도 8은 실시예 1, 도 9는 실시예 2 및 도 10은 실시예 3의 결과이다.
Figure pat00002
도 8 내지 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콩과 작물을 재배할 때 가장 중요한 인자인 불완전 발아 및 부패율은 발아 온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20 ℃ 및 실시예 3의 25 ℃, 재배 5일차 강낭콩의 경우 4 ~ 50%의 불완전 발아율 및 부패율을 나타냈으나, 실시예 2의 23℃ 경우 품종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1 ~ 20%의 불완전 발아율 및 부패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23 ℃에서 콩을 재배한 것이 20 ℃ 또는 25 ℃에서 발아시키는 것보다 불완전 발아율 및 부패율이 낮아 가장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재배 기간에 따른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 측정
실시예 1 내지 3에서 치상한 강낭콩의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이후 재배 시작 3일 후, 4일 후, 5일 후, 6일 후 및 7일 후 강낭콩의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4-1: 조지방 함량 측정
조지방 함량은 재배한 강낭콩 시료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고 이 중 2.0 g을 자동유지추출장치(Buchi사, 모델명: B-811) 시스템으로 조지방을 추출했다. 추출 용매는 핵산(Hexane)을 사용하였으며, 추출한 조지방은 분쇄시료 대비 %로 산출했다. 측정한 조지방 함량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조지방 함량은 재배 조건(온도 및 기간) 및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재배 온도 및 기간, 강낭콩의 품종에 따라 함량의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2: 조단백질 함량 측정
조단백질 함량은 재배한 강낭콩 시료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고 이 중 0.2 g을 질소/단백질분석기(제품명: Rapid N CUBE, 제조사: Elementar, Germany 소재)로 조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측정한 조단백질 함량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조단백질 함량은 조지방 함량과 유사하게 재배 조건(온도 및 기간) 및 품종에 따른 차이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배 조건(온도 및 기간) 및 품종에 따라 조지방 및 조단백질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실시예 1 내지 3에서 치상한 강낭콩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이후 재배 시작 3일 후, 5일 후 및 7일 후 강낭콩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강낭콩 시료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물기를 빼고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추출시료로 사용하였다. 동결건조 후 분쇄한 시료 10 g에 발효 주정 150 ㎖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2회 진탕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물은 감압 여과하여 회전 진공농축기로 40 ℃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발효액 100 ㎕에 2% Na2CO3 용액 2 ㎖를 가한 후 3분 동안 방치하고, 이후 50% 폴린-쇼칼데우 페놀 시약(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100 ㎕를 가하고 30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50 ㎚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탄닌산(tannic acid; Sigma사 제품,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시료 100 g 중 ㎎ 갈산(garlic acid; GA)으로 표시하였다. 측정한 폴리페놀 함량은 도면 11 내지 13에 나타냈다.
도 11 내지 1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재배 기간이 증가할수록 폴리페놀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20 ℃(실시예 1) 및 25 ℃(실시예 3)에서 재배할 경우보다 23 ℃(실시예 2)에서 재배하였을 경우, 폴리페놀 함량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배 기간별로 보았을 땐 7일차 강낭콩 싹나물의 경우 5일차 강낭콩 싹나물 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23 ℃에서 4 ~ 5일 동안 재배한 강낭콩이 폴리페놀 함량이 놀랍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가장 적합한 재배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산화 활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3에서 치상한 강낭콩의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고, 이후 재배 시작 3일 후, 5일 후 및 7일 후 강낭콩의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강낭콩 시료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물기를 빼고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추출시료로 사용하였다. 동결건조 후 분쇄한 시료 10 g에 발효 주정 150 ㎖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2회 진탕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물은 감압 여과하여 회전 진공농축기로 40 ℃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6-1: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igma사 제품, ST. Louis, MO, USA)을 99.9% 메탄올(methanol)에 용해하여 1×10-4 M의 DPPH 용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1×10-4 M DPPH 용액 0.8 ㎖에 발효액 0.2 ㎖를 첨가하였다. 이후 520 ㎚에서 60분 후에 흡광도 감소치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할 때 셀에 분주하는 각 발효액에 의한 흡광도의 차이는 메탄올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보정해 주고, 이때 표준물질로서 트로록스(Trolox)를 동량 첨가하며, 총 항산화력은 트로록스 당량 항산화 용량(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을 ㎎ Trolox eq/100g, sample로 표현하여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는 도면 14 내지 16에 나타냈다.
실험예 6-2: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나아가,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리딘-6-설포닉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Sigma사 제품, ST. Louis, MO, USA) 7.4 mM 및 포타슘 펄설파이트(potassium persulphate) 2.6 mM을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5 ㎚에서 흡광도 값이 1.4 ~ 1.5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104 M-1-1)를 이용하여 메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한 ABTS 용액 1 ㎖에 발효액 50 ㎕를 가하여 60분 후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로서 트로록스(Trolox)를 동량 첨가하며, 총 항산화력은 트트로록스 당량 항산화 용량(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을 ㎎ Trolox eq/100g, sample로 표현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는 도면 17 내지 19에 나타냈다.
도 14 내지 1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재배 기간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라디칼소거능 활성은 3일차 강낭콩 싹나물의 경우 0일차 강낭콩에 비해 그 활성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 ℃(실시예 1) 및 25 ℃(실시예 3)에서 재배한 경우보다 23 ℃(실시예 2)에서 재배하였을 경우, 항산화 활성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배 기간별로 보았을 땐 7일차 강낭콩 싹나물의 경우 5일차 강낭콩 싹나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23 ℃에서 4 ~ 5일 동안 재배한 강낭콩 싹나물이 항산화 활성인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놀랍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가장 적합한 재배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본원 발명의 재배 조건인 20 ~ 25 ℃에서 3 ~ 6일 동안 재배한 것은 강낭콩의 불완전 발아 및 부패율이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인 ABTS 라디칼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강낭콩을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 및
    침지한 강낭콩을 20 ~ 25 ℃에서 3 ~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낭콩은 기탁번호 IT100888, 기탁번호 IT102849 및 기탁번호 IT231267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는 강낭콩을 3 ~ 6시간 동안 물에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한 강낭콩을 재배하는 단계는 22 ~ 24 ℃에서 4 ~ 5일 동안 재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낭콩 싹나물 재배방법.
  5. 100g 당 800 ㎎ GA eq 이상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강낭콩 싹나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낭콩 싹나물은 기탁번호 IT100888, 기탁번호 IT102849 및 기탁번호 IT231267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낭콩 싹나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낭콩 싹나물은 배축장 2 ~ 20 ㎝ 및 전장 3 ~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낭콩 싹나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강낭콩 싹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건강 기능성 식품.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강낭콩 싹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KR1020130144138A 2013-11-25 2013-11-25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KR10156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138A KR101560775B1 (ko) 2013-11-25 2013-11-25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138A KR101560775B1 (ko) 2013-11-25 2013-11-25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118A true KR20150061118A (ko) 2015-06-04
KR101560775B1 KR101560775B1 (ko) 2015-10-19

Family

ID=5349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138A KR101560775B1 (ko) 2013-11-25 2013-11-25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5891A (zh) * 2017-08-09 2017-10-27 李晓枫 一种四季豆无公害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2518B2 (ja) 2006-11-21 2015-05-20 株式会社果実堂 発芽分化植物種子の製造方法、発芽分化植物種子の易水溶性ポリフェノール及び/又は抗酸化物質を含む食品及び植物種子の発芽分化を行うための装置
JP4888744B2 (ja) 2008-08-12 2012-02-29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穀物のポリフェノール富化加工方法、それらの穀物が含まれた食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5891A (zh) * 2017-08-09 2017-10-27 李晓枫 一种四季豆无公害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775B1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Hadrami et al. Socioeconomic and traditional importance of date palm.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1901268B1 (ko)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버섯 발효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4161B1 (ko) 나무딸기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1021A (ko)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60775B1 (ko)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KR100217884B1 (ko) 메밀나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24466B1 (ko)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Ahlawat et al. Black mulberry (Morus nigra)
CN103040062B (zh) 红象草花青素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50117974A (ko) 참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Chadha et al. Prospect of indigenous perennial plants as source of vegetable
KR101337525B1 (ko)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33050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이용한 저염 기능성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8214B1 (ko) 들깨싹 추출물, 유채싹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Yalcin et al. Wild edible small fruits in Turkey and their fruit characteristics
KR102579978B1 (ko) 실리디아닌 고함량 밀크씨슬 신품종 '실리퀸'
Verma et al. A study on Stevia Rebaudiana: A review
Pathak et al. Underutilized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of Asia
Allai et al. Black Currant
KR102604905B1 (ko) 새싹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1812125B1 (ko) 와송과 복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5884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어묵의 제조방법
KR101188557B1 (ko)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