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779A - 콘덴서 - Google Patents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779A
KR20150060779A KR1020157009850A KR20157009850A KR20150060779A KR 20150060779 A KR20150060779 A KR 20150060779A KR 1020157009850 A KR1020157009850 A KR 1020157009850A KR 20157009850 A KR20157009850 A KR 20157009850A KR 20150060779 A KR20150060779 A KR 20150060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low
refrigerant
flow channel
capac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르베르트 호프만
마르틴 카스파
토마스 마게르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6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conduits; with centrally arranged openings on th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6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spaced plates with inserted elements
    • F28D9/007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spaced plates with inserted elements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1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 F28F9/0253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with multiple channels, e.g. with combined inflow and out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3Condensers made by assembling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1, 60, 70)에 관한 것이다. 콘덴서는 냉매를 위한 제 1 유동 채널(25, 64, 73, 29) 및 냉각제를 위한 제 2 유동 채널(26, 31, 42, 52, 67)을 포함한다. 복수의 판 요소들이 제공되며, 이들은 판 요소들이 상하로 적층될 때 판 요소들 사이에 서로 인접한 채널들을 형성한다. 채널들의 제 1 하위 세트는 제 1 유동 채널(25, 64, 73, 79)과 연관되고 채널들의 제 2 하위 세트는 제 2 유동 채널(26, 31, 42, 52, 67)과 연관된다. 제 1 유동 채널(25, 64, 73, 79)은 증기 냉매를 감온하고 응축하기 위한 제 1 영역(3, 80) 및 응축된 냉매를 과냉각하기 위한 제 2 영역(4, 81, 62)을 갖는다. 콘덴서는 또한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기(2)를 포함한다. 제 1 영역(3, 80)으로부터 제 2 영역(4, 81, 62)으로의 냉매 전달은 수용기(2)를 통하여 유도된다. 콘덴서는 수용기(2)가, 수용기(2)의 유체 입구(12)를 형성하는 제 1 연결 요소에 의해 제 1 영역(3, 80)과 유체 연통하고, 제 2 연결 요소가 수용기(2)의 유체 출구(6)로서 제 2 영역(4, 81, 62)과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덴서 {CONDENSER}
본 발명은 냉매를 위한 제 1 유동 채널 및 냉각제를 위한 제 2 유동 채널을 갖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에는 복수의 판 요소들이 제공되며, 이들은 특히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라, 판 요소들이 상하로 적층될 때 판 요소들 사이에 서로 인접한 채널들을 형성한다.
콘덴서들은 냉매를 응축 온도로 냉각시키고 그 후 냉매를 응축하기 위해 자동차들의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들의 냉매 회로들에 사용된다. 콘덴서들은 냉매 회로의 체적 변동들을 보상하고 냉매의 안정적인 과냉각(subcooling)을 보장하기 위해 냉매 체적이 유지되는 수용기를 종종 갖는다.
냉매의 건조 및/또는 필터링을 위한 부가적인 수단이 수용기에 종종 제공된다. 정상적으로는, 수용기는 콘덴서에 배열된다. 콘덴서의 일부를 통하여 이미 유동된 냉매는 수용기를 통하여 유동한다. 수용기를 통한 유동 후에, 냉매는 콘덴서로 복귀되고 과냉각 섹션의 응축 온도 미만으로 과냉각된다.
종래의 콘덴서들의 핀 및 튜브 구성의 경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냉매는 튜브-핀 블럭의 측면에 배열된 수집 튜브들 중 하나로부터 콘덴서의 밖으로 지나가고 수용기 안으로 지나간다.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인 콘덴서들의 경우, 종래 기술에는 판 요소들의 부가적인 층으로서 콘덴서에 수용기를 부가하기 위한 공지된 가능성들이 있다.
다른 공지된 실행은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의 밖으로 냉매를 지나가게 하고 이 냉매를 특별한 분산기 판을 통하여 외부 수용기로 이송하고, 수용기 후에 냉매를 콘덴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이는 예컨대 공개되지 않은 출원인의 출원 DE 10 2010 026 507 에 개시된다.
US 2009/0071189 A1 은 판 요소들의 제 1 적층물이 제 1 냉각 및 응축 영역을 형성하고 판 요소들의 제 2 적층물이 과냉각 영역을 형성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를 또한 개시한다. 제 1 적층물은 수용기 및 건조기를 갖는 하우징에 의해 제 2 적층물로부터 분리된다.
종래 기술 장치들이 갖는 단점은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들, 수용기들 및 과냉각기들을 사전에 통합하는 것이 매우 복잡한 해결책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복잡한 구성과 별개로, 종래 기술 콘덴서들은 증가된 제작 비용에 의해 구별된다. 이는 콘덴서들의 사용에 있어서 부가적인 비용을 초래하고, 이는 그의 사용을 매력 없게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응축하고, 냉매를 저장하며 또한 냉매를 과냉각하기 적절한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콘덴서는 간단한 구성 및 콤팩트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냉매를 위한 제 1 유동 채널 및 냉각제를 위한 제 2 유동 채널을 갖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에 관한 것이며, 복수의 판 요소들이 제공되며, 이들은 이 판 요소들이 상하로 적층될 때 판 요소들 사이에 서로 인접한 채널들을 형성하고, 채널들의 제 1 하위 세트는 제 1 유동 채널과 연관되고 채널들의 제 2 하위 세트는 제 2 유동 채널과 연관되고, 제 1 유동 채널은 증기 냉매의 감온(desuperheating) 및 응축을 위한 제 1 영역과,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기를 갖는, 응축된 냉매를 과냉각하기 위한 제 2 영역을 가지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의 냉매 전달은 수용기를 통하여 유도되며, 수용기는, 수용기의 유체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연결 요소에 의해 제 1 영역과 유체 연통하고, 제 2 연결 요소는 수용기의 유체 출구로서 제 2 영역과 유체 연통한다.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의 구성은 특히 간단하고 낮은 비용 방식으로 이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동일한 판 요소들이 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지 판 적층물의 외부 경계 판들 또는, 유동 채널의 차단 또는 전환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는 판 적층물 내의 판 요소들만이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냉매를 운반하는 유동 채널을, 냉매를 감온하고 증기 페이스로 응축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영역, 및 응축된 냉매를 과냉각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냉매가 콘덴서의 끝에 존재하는 항상 완전히 과냉각된 냉매인 효과를 갖는다.
냉매 회로의 냉매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냉매를 부가적으로 건조 및/또는 여과하기 위해, 수용기를 냉매 회로와 통합하는 것이 부가적으로 유리하다. 이 수용기가 냉매의 완전한 응축 이후의 지점에서 그리고 냉매의 수집, 건조 및/또는 필터링 전에 냉매 유동 채널과 통합된다면 유리하다.
제 1 연결 요소가 채널로서 디자인되고, 이 채널이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을 통하여 수용기의 유체 입구로 유도한다면 특히 유리하며, 채널은 단지 제 1 유동 채널의 제 1 영역과 유체 연통한다.
제 2 연결 요소가 채널로서 디자인되고, 이 채널이 수용기의 유체 출구로부터, 제 1 영역을 통하여 제 2 영역 안으로 유도한다면 또한 유리하다.
여기서 채널이 튜브라면 편의적이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 1 연결 요소 또는 제 2 연결 요소가 판 요소들의 개구들에 의해 복수의 판 요소들을 통과하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기를 제 1 유동 채널에 연결하기 위해 튜브를 사용하여서, 콘덴서 외측의 수용기의 배열에도 불구하고 콘덴서는 주로 동일한 판 요소들로 이루어지는 판 적층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튜브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 판 요소들을 직렬로 통과한다. 여기서,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판 요소들의 개구들을 통과한다. 이러한 경우, 튜브는 원하는 유동 채널과 연관된 채널들 중 하나 안으로 개방될 때까지 판 적층물 안으로 삽입된다. 본 경우에, 이 채널은 제 1 유동 채널의 채널이다.
제 1 연결 요소가 튜브로서 디자인되고 이 튜브가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을 통하여 수용기의 유체 입구로 유도한다면 또한 바람직하고, 튜브는 단지 제 1 유동 채널의 제 1 영역과 유체 연통한다.
콘덴서의 모든 작업 프로세스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한 지점에 수용기를 통합하기 위해, 수용기가 감온 및 응축 영역에 직접 연결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콘덴서의 이러한 제 1 영역은,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과냉각이 일어나는 제 2 영역 앞에 있다.
모든 냉매가 제 1 유동 채널의 제 1 영역으로부터 수용기 안으로 지나가기 위해, 튜브는 제 2 영역의 모든 판 요소들을 통과하고 제 1 영역의 채널 안으로 개방되는 방식으로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매는 제 2 영역을 우회하여, 수용기 안으로 직접 운반된다.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냉매가 제 1 유동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들을 통하여 직렬로 및/또는 병렬로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달성되는 열 절단에 대한 이점들은 직렬 및/또는 병렬 관통 유동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냉매가 제 1 유동 채널을 통하여 냉각제에 대하여 병류 유동(co-current flow) 또는 향류 유동(counter current flow)으로 유동하는 영역들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냉각제가 제 2 유동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들을 통하여 직렬로 및/또는 병렬로 유동할 수 있다면 유리할 수 있다.
제 1 유동 채널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점들은 얻어지는 열 전달에서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유동 채널의 관통 유동 방향의 선택적인 영향력을 통하여, 냉매 및 냉각제의 연속적인 향류 관통 유동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관통 유동 원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콘덴서의 유체 입구들 및 유체 출구들의 유리한 구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개량에 따르면, 제 2 유동 채널의 유체 입구 또는 유체 출구가, 제 2 유동 채널의 다른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제 2 튜브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유동 채널을 유체 입구 또는 유체 출구로서의 튜브에 연결함으로써,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 모두가 판 적층물의 공통 단부 영역에 배열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유동 채널이, 판 적층물의 튜브의 삽입 측에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놓이는 제 2 유동 채널의 마지막 채널들 중 하나라면 또한 유리하다.
이는 냉매 또는 냉각제가 전체 콘덴서를 통하여 또는 전체 콘덴서를 통하는 튜브를 통해 다시 유동되기 전에 내부에 제공되는 유동 경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또한 냉매 또는 냉각제가 판 적층물 안으로 유동되는 판 적층물의 동일한 단부 영역에서 다시 밖으로 유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제 2 유동 채널이 직렬 유동을 가능하게 하고, 제 2 유동 채널의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가 판 적층물의 동일한 단부 영역에 각각 배열된다면 또한 바람직하다.
판 적층물의 동일한 단부 영역에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를 배열하는 것은 콘덴서가 특히 콤팩트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 유동 채널의 제 2 영역이 제 3 유동 채널을 갖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내부 열 교환기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예상되고, 냉매는 제 1 유동 채널 및 제 3 유동 채널을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영역의 과냉각 섹션은 내부 열 교환기에 의해 대체된다. 여기서, 냉매의 과냉각은 냉매와 냉각제 사이의 열 전달에 의해 달성되지 않는다.
내부 열 교환기에 의해, 콘덴서의 냉매의 냉각을 더욱더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전체적으로 콘덴서의 더 높은 용량을 유도한다. 내부 열 교환기에서, 냉매는 2 개의 상이한 유동 채널들에서,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향류로 유동한다.
이러한 경우, 이 프로세스 동안 2 개의 유동 채널들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냉매 회로의 상이한 섹션들로부터 내부 열 교환기로 이송되고, 이에 의해 2 개의 유동 채널들 사이에 가능한 한 큰 온도 차이가 달성된다.
제 1 유동 채널이, 제 2 영역을 뒤따르고 냉매를 과냉각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3 영역을 갖는다면 또한 편의적이며, 제 3 영역은 유체를 위한 제 3 유동 채널을 갖고, 제 1 및 제 3 유동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열 교환기들로서, 바람직하게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내부 열 교환기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과냉각이 일어나는 제 2 영역 후의 내부 열 교환기의 배열은 냉매의 온도를 더욱더 낮춘다. 오로지 과냉각 섹션 또는 내부 열 교환기의 사용을 통한 것보다 냉매는 더 강화되어 과냉각된다.
이러한 경우, 콘덴서는 열 전달이, 냉매가 감온되고 응축되는 제 1 영역에서 냉매와 냉각제 사이에서 일어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냉매가 수용기를 통하여 유동한 후에 과냉각되는 제 2 영역에서, 열 전달이 마찬가지로 냉매와 냉각제 사이에서 일어난다. 제 3 영역에서, 열 전달은 제 1 온도 범위의 냉매와 제 2 온도 범위의 냉매 사이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경우, 냉각제의 제 2 유동 채널은 냉각제가 단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통하여 유동하고 그 후 콘덴서의 밖으로 지나가는 방식으로 콘덴서를 통과한다.
판 적층물의 제 3 영역은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를 갖고, 이를 통하여 제 3 유동 채널에 냉매가 공급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유동 채널에 제 1 유동 채널과 독립적으로 냉매가 또는 제 2 유동 채널과 독립적으로 냉각제가 공급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 3 유동 채널에 냉각제 또는 냉매를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특히 유리한데,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더 높은 온도 차이가 제 3 유동 채널과 제 1 유동 채널 사이에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3 유동 채널에 부가적으로 냉각된 유체가 공급된다면 특히 그러하다.
수용기가 판 적층물의 일부를 통하여 유도되고 수용기 안으로의 유체 입구를 형성하는 튜브를 통하여 단지 제 1 유동 채널의 제 1 영역과 유체 연통하고, 수용기의 유체 출구가 다른 튜브에 의해 형성되고, 이는 판 적층물의 일부를 통하여 유동하고 단지 제 1 유동 채널의 제 2 영역과 유체 연통한다면 또한 바람직하다.
튜브들에 의한 제 1 유동 채널의 제 1 및 제 2 영역으로의 수용기의 이러한 연결에 의해, 수용기는 판 적층물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동시에 판 적층물의 간단한 구성이 다수의 동일한 판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튜브들은 이들이 유체 연통하지 않게 되는 판 적층물의 영역들의 판 요소들을 통과하고, 이들은 그 후 이들이 유체 연통하게 되는 판 적층물의 채널들 안으로 개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기에는 냉매가 이미 완전히 응축된 제 1 유동 채널의 영역으로부터 냉매가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수용기를 통한 유동 후에, 냉매는 제 1 영역에 뒤따르는 제 1 유동 채널의 영역으로 또한 다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튜브들은 냉매가 제 1 유동 채널의 채널들 중 하나로부터 수용기 안으로 배출되고 그 후 뒤따르는 제 1 유동 채널의 채널 안으로 다시 지나가는 방식으로 치수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유동 채널의 2 개의 채널들은 단지 수용기를 통하여 서로 유체 연통한다.
이 목적을 위해, 냉매가 전환되는 채널의 판 요소의 개구들은 뒤따르는 채널 안으로의 직접적인 유체 전달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방식으로 폐쇄된다.
내부 열 교환기의 유체 입구 및/또는 유체 출구가 튜브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예상된다.
하나 또는 2 개의 튜브들에 의한 내부 열 교환기의 연결이 유리한데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콘덴서의 판 적층물의 간단한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내부 열 교환기의 제 3 채널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매는 튜브에 의해 제어된 방식으로 제 3 유동 채널의 채널 안으로 지나갈 수 있고 또한 제어된 방식으로 제 3 유동 채널의 채널 밖으로 지나갈 수 있다.
판들이 인접한 채널들 사이의 유체 연결을 발생하거나 밀봉하기 위해 림을 갖는 또는 림이 없는 개구들을 갖는다면 또한 바람직하다.
서로 바로 인접한 판 요소들이 림들을 갖는 상호 대향하는 개구들을 갖는다면, 유체는 옆에 있는 채널 안으로 직접 하지만 판 적층물 중 하나로 유동한다. 이는 판 적층물의 제 1 유동 채널에 속하는 채널들과 제 2 유동 채널에 속하는 채널들 사이의 교대가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경우, 제 1 유동 채널의 채널이 항상 제 2 유동 채널의 채널에 뒤따르는 것에 의해, 균일한 분산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이로부터 상이한 분산들을 발생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튜브들이 판 요소들의 개구들을 통과하고 판 요소들의 적어도 하위 세트에, 특히 림들에 납땜된다면 또한 유리하다.
개구들 안으로 튜브를 삽입하고 판 요소들, 특히 림들에 튜브들을 납땜함으로써, 높은 강도에 의해 구별되는 콤팩트한 구조적 유닛이 달성된다. 여기서, 튜브들은 유리하게는 단일 작업 단계로 판 적층물에 납땜될 수 있다.
이는 최적화된 제조 프로세스에 관하여 특히 유리하다.
제 1 연결 요소가 튜브이고 제 2 연결 요소는 플랜지이거나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제 1 및 제 2 연결 요소를 디자인함으로써, 콘덴서에 대한 수용기의 유리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튜브가 콘덴서 안으로의 유체의 제어된 이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플랜지에 의해 매우 안정적인 결합을 달성하는 것이 여기서 특히 가능하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기가 냉매를 여과 및/또는 건조하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저장 업무 외에, 수용기가 건조를 위한 적절한 수단에 의해 냉매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냉매의 필터링을 수행한다면 또한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매로부터 과도한 습기를 제거하고 또한 불순물들이 없게 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이다. 이러한 기능들을 단일 구성요소에 통합하는 것은, 특히 상이한 구성요소들의 개수 및 설치 공간의 사용에 대하여 유리하다.
제 2 채널의 제 1 섹션이 유체가 연속으로 통하여 유동하고 유동 방향이 각각의 경우에 교대로 역전되는 복수의 유동 경로들을 갖는다면 특히 유리하다.
제 2 채널의 제 2 섹션이 유체가 연속으로 통하여 유동하고 유동 방향이 각각의 경우에 교대로 역전되는 복수의 유체 경로들을 갖는다면 또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그리고 이후의 도면들의 설명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냉매를 감온하기 위한 영역 및 냉매를 과냉각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콘덴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수용기는 콘덴서 아래에 배열되며,
도 2는 2 개의 유동 채널들을 예시하는 도 1에 따른 콘덴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냉매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고 냉각제는 콘덴서를 통하여 병렬로 유동하며,
도 3은 2 개의 유동 채널들을 예시하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콘덴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냉매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고 냉각제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며,
도 4는 2 개의 유동 채널들을 예시하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콘덴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냉매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고 냉각제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렬과 병렬 모두로 유동하며,
도 5는 2 개의 유동 채널들을 예시하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콘덴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냉매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고 냉각제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며, 냉각제는 튜브에 의해 콘덴서를 통과하며,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콘덴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영역이, 2 개의 유동 채널들을 예시하는 내부 열 교환기에 의해 형성되며, 냉매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고 냉각제는 콘덴서를 통하여 병렬로 유동하며,
도 7은 콘덴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감온 영역에는, 내부 열 교환기가 연결되는 과냉각 영역이 뒤따르며,
도 8은 튜브가 콘덴서 내부의 채널들 중 하나의 안으로 개방하는 연결 지점을 통한 섹션을 도시하고,
도 9는 2 개의 튜브들이 콘덴서의 2 개의 상호 인접한 채널들에서 개방하는 연결 지점을 통한 섹션을 도시한다.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1, 60, 70)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이후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이들은 자동차용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콘덴서(1, 60, 70)들이다. 도시된 모든 콘덴서(1, 60, 70)들은 복수의 판 요소들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은 상하로 적층될 때 판 적층물(11, 68, 87)을 형성한다.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1, 60, 70)로서의 구조의 본질적인 이점은 판 요소들이 주로 동일하고, 내부 유동 채널들을 편향시키거나 차단하는, 적층물에 설치된 개별 편향 또는 차단 판들 및 외부 연결 판들만이 판 요소들의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상과 상이하다는 것이다. 이는 낮은 비용 및 간단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콘덴서(1, 60, 70)들은 단지 개략적인 도면으로 표시된다. 감온 영역(3, 80) 또는 과냉각 영역(4, 81) 및 내부 열 교환기(61, 82)의 영역과 같은 콘덴서(1, 60, 70)들의 개별 하위 영역들은 도면들에서 단지 직육면체 요소들로서 표시된다.
실제로, 이러한 직육면체 요소들의 각각은 복수의 판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 요소들은 상하로 적층되고, 림들을 가질 수 있는 개구들의 특별한 배열을 통하여 복수의 개별 채널들을 형성하며, 이들은 개별 판 요소들의 구성에 의해 냉각제 또는 냉매를 운반하는 유동 채널들로 조합된다.
이러한 경우, 냉각제의 유동 채널들 및 냉매의 유동 채널들은 모든 경우들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간단한 실시예들에서, 냉매를 위한 채널들 및 냉각제를 위한 채널들은 균일하게 분산된 교대하는 순서로 있을 수 있다. 균일한 분산과는 상이한 냉각제 채널들에 대한 냉매 채널들의 분산을 선택하는 것을 마찬가지로 고려할 수 있다. 1:1 의 비율과 상이한 냉각제 채널들과 냉매 채널들 사이의 교대 빈도를 실행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제 및 냉매의 유동 채널들은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7에 단지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도면들에서, 직육면체 요소들의 각각은 냉매 및 냉각제 유동 채널에 의해 단지 한번 횡단된다. 이러한 예시는 단지 개별 콘덴서(1, 60, 70)들을 통한 유동 원리를 명확하게 하려는 것이며 제한적인 효과를 갖지 않는다.
냉매들의 유동 채널(25, 64, 73, 79)들은 파선에 의해 각각 표시된다. 냉각제의 유동 채널(26, 42, 52, 67, 76)들은 연속적인 실선에 의해 각각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냉매 및 냉각제의 유동 방향들은 각각 단지 예를 나타내며, 실제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향들에 대향하여 동일하게 양호하게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감온 영역(3) 및 과냉각 영역(4)으로 이루어지는 콘덴서(1)를 도시한다. 감온 영역(3)은 냉매를 감온하고 냉매의 증기 페이스로부터 액체 페이스로 냉매를 응축하는데 사용된다. 감온의 목적을 위해, 냉매는, 마찬가지로 감온 영역(3)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제와 열 교환을 겪게 된다. 과냉각 영역(4)이 감온 영역(3)에 바닥부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과냉각 영역(4)에서, 완전한 액체 냉매가 냉각제와의 추가의 열 교환에 의해 더 냉각된다.
콘덴서(1) 아래에 수용기(2)가 배열되며, 이를 통하여 냉매가 유동한다. 수용기(2)의 기능은 냉매를 저장하고, 여과하고 건조하는 것이다. 냉매 회로 안으로 수용기(2)를 유입하는 것은 항상 냉매 회로의 일정한 양의 냉매를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수용기(2)가 보상 저장소를 나타내기 때문이며, 이에 의해 냉매 회로의 냉매의 체적의 변동들을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의 유체 입구(12)에서, 수용기(2)는 과냉각 영역(4)을 통과하고 감온 영역(3)의 냉매의 유동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튜브(5)를 갖는다. 수용기(2)의 유체 출구(6)는 그 후 과냉각 영역(4)의 냉매의 유동 채널과 유체 연결된다. 이는 모든 냉매가 감온 영역(3)의 밖으로 수용기(2) 안으로 지나가는 것을 보장한다.
수용기(2)를 통한 유동 후에, 모든 냉매는 다시 과냉각 영역(4) 안으로 지나간다. 수용기(2)는 따라서, 특히 냉매를 위한 감온 영역(3)으로부터 과냉각 영역(4)으로의 유체 전달 지점을 나타낸다.
개구(8, 9, 10)들은 콘덴서(1)의 판 적층물(11)의 상부 단부 영역에 배열된다. 내부 유동 채널들의 구성에 의존하여, 상기 개구들은 유체 입구들 및 유체 출구들을 형성할 수 있다. 개구(7)가 마찬가지로 판 적층물(11)의 하부 단부에 도시되며, 이는 마찬가지로 내부 유동 채널들의 구성에 의존하여 유체 입구 또는 유체 출구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덴서(1)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콘덴서(1)를 마찬가지로 도시한다. 도 1에 대한 부가로서, 냉각제 및 냉매를 위한 유동 채널(25, 26)들이 이제 도 2에 도시된다. 냉매는 판 적층물(11)의 상부 단부 영역에 배열되는 유체 입구(21)를 통하여 유동하고 콘덴서(1)의 감온 영역(3) 안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냉매는 판 요소들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들을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채널들은 냉매의 유동 채널(25)에 속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동안, 냉매는 그 중에서도 개별 판 요소들 사이에 배열되는 개구(24)들을 통하여 유동한다. 감온 영역(3)을 통한 유동 후에, 냉매는 튜브(5)를 통하여 수용기(2) 안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냉매는 저장, 여과 및 건조의 목적을 위해 수용기(2)를 통하여 유동하고, 그 후 수용기(2)의 유체 출구(6)를 통하여 콘덴서(1)의 과냉각 영역(4) 안으로 유동한다. 과냉각 영역(4)을 통한 유동 후에, 냉매는 유체 출구(23)를 통하여 과냉각 영역(4)의 밖으로 유동한다.
냉각제는 콘덴서(1)의 상부 단부 영역의 유체 입구(20)를 통하여 감온 영역(3) 안으로 유동한다. 개별 채널들을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는 냉매와 대조적으로, 냉각제는 감온 영역(3) 및 과냉각 영역(4)의 개별 채널들을 병렬로 유동한다. 이 목적을 위해, 냉각제는 정상부로부터 아래로 판 적층물(11)을 통하여, 냉각제의 유체 입구(20)의 대략 직선의 가상 연장부에 놓이는 내부 개구(24)를 통하여 지나가고, 그 후 콘덴서(1)의 폭에 걸쳐 분산된다. 냉각제가 콘덴서(1)의 전체 폭에 걸쳐 유동된 후에, 냉각제는 그 후 바닥부로부터 위로 판 요소들의 복수의 개구(24)들을 통하여, 냉각제의 유체 출구(22)를 통하여 그리고 콘덴서(1)의 밖으로 유동한다.
병렬 관통 유동을 갖는 냉각제의 유동 채널(26) 및 직렬 관통 유동을 갖는 냉매의 유동 채널(25)의 실시예는 냉매가 냉각제에 대하여 향류로 유동하는 영역 하지만 또한 냉각제가 냉매에 대하여 병류로 유동하는 영역들의 콘덴서(1)의 형성을 유도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이미 예시된 것과 유사한 구성을 도시한다. 냉매의 유동 채널(25)은 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 3의 콘덴서(1)를 통하여 배열된다. 도 2로부터 벗어나서, 도 3의 냉각제는 이제 더 이상 콘덴서(1)의 채널들을 통하여 병렬 배열로 유동하지 않지만, 냉매와 유사하게 콘덴서(1)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한다.
이 목적을 위해, 냉각제는 콘덴서(1)의 하부 영역의 유체 입구(30)를 통하여 과냉각 영역(4) 안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냉각제는 콘덴서(1)의 폭에 걸쳐 분산되고 내부 개구(24)를 통하여 감온 영역(3) 안으로 상방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냉각제는 마찬가지로 콘덴서(1)의 전체 폭에 걸쳐 분산되고 다른 내부 개구(24)를 통하여 감온 영역(3)의 상부 영역 안으로 상방으로 유동하며, 최종적으로 콘덴서(1)의 폭에 걸친 새로운 분산 후에 유체 출구(31)를 통하여 콘덴서(1)의 밖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냉매의 유동 채널(25)과 유사하게, 냉각제의 유동 채널(32)은 콘덴서(1)의 내부의 개별 채널들을 통하여 직렬로 지나간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에서, 냉매 스트림은 콘덴서(1)를 통한 냉각제에 대하여 향류 구성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과 유사한 콘덴서(1)를 다시 도시한다. 냉매 유동 채널(25)은 도 2 및 도 3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벗어나서, 냉각제의 유동 채널(42)은 이제 콘덴서를 통하는 유동이 병렬로 일어나는 영역들과 이러한 유동이 직렬로 일어나는 영역들 모두가 있도록 콘덴서(1) 내에 배열된다.
이 목적을 위해, 냉각제는 유체 입구(40)를 통하여 콘덴서(1)의 과냉각 영역(4) 안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냉각제는 콘덴서(1)의 폭에 걸쳐서 그리고 내부 개구(24)를 통하여 상방으로 감온 영역(3) 안으로 분산된다. 감온 영역(3)에서, 냉각제는 마찬가지로 콘덴서(1)의 전체 폭에 걸쳐 분산된다. 과냉각 영역(4)의 냉각제 스트림은 마찬가지로 내부 개구(24)를 통하여 상방으로 감온 영역(3) 안으로 유동하고, 여기서 과냉각 영역(4)으로부터의 냉각제 스트림과 감온 영역(3)으로부터의 냉각제 스트림이 재결합한다. 함께, 냉각제는 여기서 다른 내부 개구(24)를 통하여 감온 영역(3)의 상부 영역 안으로 유동하고 여기서 콘덴서(1)의 전체 폭에 걸쳐 다시 분산되고, 최종적으로 냉각제의 유체 출구(41)를 통하여 콘덴서(1)의 밖으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각제의 일부가 콘덴서(1)를 통하여 병렬로 유동하고 냉각제의 일부가 콘덴서(1)를 통하여 직렬로 유동한다. 따라서 냉각제가 냉매에 대하여 향류로 유동하는 영역들과 냉각제가 냉매에 대하여 병류로 유동하는 영역들이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들과 유사한 콘덴서(1)를 마찬가지로 도시한다. 다시 한번, 냉매의 유동 채널(25)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대하여 변하지 않는다. 이전의 도면들로부터 벗어나서, 냉각제는 이제 콘덴서(1)를 통하여 단지 직렬로 지나가고, 상기 콘덴서의 단부 영역들 중 하나에 배열되는 유체 입구(50) 및 유체 출구(51)를 통하여 콘덴서에 이송되고 배출된다.
하지만, 냉각제는 이전의 도면들에서와 같이, 콘덴서(1)의 폭에 걸쳐 분산되지 않으며, 유체 입구(50)에 연결된 튜브(53)에 의해 판 요소들의 개구(54)들을 통하여 콘덴서(1)의 과냉각 영역(4) 안으로 하방으로 운반된다. 단지 과냉각 영역(4)에서 냉각제가 튜브(53)를 떠나고 그 자체가 콘덴서(1)의 폭에 걸쳐 분산된다.
콘덴서(1)의 대향 측에서, 냉각제는 다시 내부 개구(24)를 통하여 상방으로 감온 영역(3) 안으로 유동하고, 여기서 냉각제는 콘덴서(1)의 폭에 걸쳐 다시 분산된다. 냉각제는 그 후 다른 개구(24)를 통하여 감온 섹션의 상부 영역 안으로 유동하고, 여기서 마찬가지로, 냉각제가 냉각제의 유체 출구(51)를 통하여 콘덴서(1)의 밖으로 유동하기 전에 콘덴서(1)의 폭에 걸쳐 분산된다.
따라서 냉각제는 콘덴서(1)의 모든 영역들을 통하여 직렬로 유동한다. 따라서 유동 채널(52) 내에서 유동하는 냉각제는 유동 채널(25) 내의 냉매에 대하여 항상 향류로 유동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콘덴서(1)들로부터 벗어나서, 이제 상부 영역에 감온 영역(3)을 갖고, 감온 영역 아래에, 도 2 내지 도 5의 과냉각 영역(4)을 대체하는 내부 열 교환기(61)를 갖는 콘덴서(60)를 도시한다. 냉매의 유동 채널(25)은 도 2 내지 도 5와 유사한 방식으로 콘덴서(60)를 통과한다.
냉각제는 콘덴서(60)의 판 적층물(68)의 상부측의 유체 입구(65)를 통하여 콘덴서(60) 안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냉각제는 내부 개구(24)를 통하여 감온 영역(3)에 걸쳐 낮은 레벨에서 분산되고 그 후 냉각제가 개구(24)들 및 유체 출구(66)를 통하여 다시 콘덴서(60)의 밖으로 상방으로 유동하기 전에 콘덴서(60)의 폭에 걸쳐 분산된다.
도 6에서, 냉각제는 감온 영역(3)을 통하여 병렬로 유동한다. 냉매는 또한 감온 영역(3)을 통하여, 냉매의 유동 채널(25)을 통하여 직렬로 유동하고, 이에 의해 냉매와 냉각제 사이의 병류 유동 영역들 및 향류 유동 영역들을 수립한다.
냉각제는 내부 열 교환기를 형성하는 영역(61)을 통하여 유동하지 않는다. 대신, 내부 열 교환기(61)는 제 3 유동 채널(64)을 갖고, 이를 통하여 냉매가 마찬가지로 유동한다. 이 목적을 위해, 냉매는 유체 입구(62)를 통하여 내부 열 교환기(61) 안으로 유동하고, 냉매가 유체 출구(63)를 통하여 콘덴서(60)의 밖으로 유동하기 전에 콘덴서(60)의 폭에 걸쳐 여기서 분산된다. 내부 열 교환기(61)에서, 유동 채널(64) 내의 냉매와 유동 채널(25) 내의 냉매는 서로에 대하여 향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높은 열 교환이 2 개의 유동 채널(64, 25)들 사이에서 달성될 수 있다.
내부 열 교환기(61)의 유동 채널(64)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매는 유동 채널(25)의 냉매와 동일한 냉매 회로로부터 나온다. 유동 채널(64) 내의 냉매는 본질적으로 그 온도가 유동 채널(25) 내의 냉매와 상이하다. 내부 열 교환기(61) 내의 유동 채널(25)의 냉매를 더 냉각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유동 채널(64) 내의 냉매는 더 낮은 온도를 갖고, 이에 의해 추가의 열이 유동 채널(25) 내의 냉매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과냉각 영역(3)을 갖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콘덴서(1)의 실시예들에 대한 대안을 나타낸다. 냉각제와 냉매 사이의 열 교환에 의한 과냉각 대신, 여기서 열 전달은 제 1 온도 레벨의 냉매와 제 2 온도 레벨의 냉매 사이에서 발생된다.
도 7은 그 후 판 적층물(87)로 이루어지는 콘덴서(70)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콘덴서(70)는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조합이다. 과냉각 영역(81)은 상부 감온 영역(80)과 바닥부에서 접한다. 내부 열 교환기(82)는 과냉각 영역(81)의 바닥부에 연결된다.
냉각제는, 감온 영역(80)과 과냉각 영역(81)으로 이루어지는 콘덴서(70)의 상부 영역을 통하여 도 2에서 냉각제에 대하여 이미 도시된 관통 유동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유동한다. 이 목적을 위해, 냉각제는 유체 입구(74)를 통하여 감온 영역(80) 안으로 유동하고 여기서 과냉각 영역(81)까지, 콘덴서(70)의 깊이를 따라 내부 개구들을 통하여 분산된다. 냉각제는 그 후, 냉각제가 대향 단부에서 내부 개구들을 통하여 그리고 유체 출구(75)를 통하여 콘덴서(70)의 밖으로 상방으로 유동하기 전에 콘덴서의 폭을 가로질러 콘덴서(70)를 통하여 균일하게 유동한다. 냉각제는 콘덴서(70)를 통하여 그의 유동 채널(76)에서 완전히 병렬로 유동한다.
냉매는 유체 입구(71)를 통하여 감온 영역(80) 안으로 유동하고 감온 영역(80)을 통하여 직렬로 유동한다. 냉매는 그 후 감온 영역(80)으로부터 과냉각 영역(81)과 내부 열 교환기(82)를 통하여 유도하는 튜브(84)를 통하여 수용기(2) 안으로 직접 유동한다. 수용기(2)로부터, 냉매는 다시 튜브(83)를 통하여 과냉각 영역(81) 안으로 유동하고 여기서 콘덴서(70)의 폭에 걸쳐 분산된다. 냉매는 그 후 내부 개구를 통하여 과냉각 영역(81)으로부터, 상기 영역 아래에 위치되는 내부 열 교환기(82) 안으로 유동하고, 냉매가 유체 출구(72)를 통하여 내부 열 교환기(82)의 밖으로 그리고 콘덴서(70)의 밖으로 유동하기 전에, 내부 열 교환기(82)의 개별 채널들을 통하여 마찬가지로 직렬로 유동한다.
냉매는 또한 내부 열 교환기(82)를 통하여 유동한다. 이 목적을 위해, 냉매는, 튜브(85)로서 디자인될 수 있는 유체 입구(77)를 통하여 내부 열 교환기(82) 안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냉매는 내부 열 교환기(82)의 폭에 걸쳐 분산되고 내부 개구를 통하여 내부 열 교환기(82)의 상부 영역 안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냉매는 마찬가지로 다시 콘덴서(70)의 폭에 걸쳐 분산되고, 최종적으로 내부 열 교환기(82)의 하부 영역을 통하여 유도하는 튜브(86)를 통하여 콘덴서(70) 밖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튜브(86)는 냉매의 유동 채널(79)의 유체 출구(78)를 또한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유체 입구들 및 유체 출구들의 위치들은 각각의 경우 예시적이다. 이들로부터 상이한 배향들, 예컨대 콘덴서에 측방인 배향들이, 콘덴서들의 중앙 영역의 유체 입구 또는 출구의 배열에서 가능한 것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 도 1 내지 도 7은 병류 원리 및 향류 원리 모두에 의해 냉매 스트림 및 냉각제 스트림이 콘덴서(1, 60, 70)들의 개별 영역들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명백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려는 것이다. 유체 입구들 및 유체 출구들의 배열에 대한 상이한 이점들이 이에 의해 얻어진다. 콘덴서(1, 60, 70)들의 판 적층물(11, 68, 87)의 적절한 내부 구성이 콘덴서(1, 60, 70)들의 예상된 적용 영역에 의존하여 이행된다.
콘덴서(1, 60)70)들은 감온 영역(3, 80), 과냉각 영역(4, 81) 및 내부 열 교환기(61, 82)의 조합으로부터 또한 선택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체가 개별 판 요소들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을 갖고 따라서 구성에서 매우 가요적인 최적의 구성들이 의도된 용도에 의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튜브들은 마찬가지로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가장 간단한 경우에 판 요소들의 내부 개구들을 통과하여 판 적층물(11, 68, 87) 안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것이 제조 프로세스의 초기 스테이지에서 일어나서, 판 요소들이 하나의 작업에서 개별 튜브들에 납땜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유리하다. 특히, 튜브들은 림들을 갖는 개구들에 납땜된다.
도 8은 연결 요소를 통한 섹션을 도시하며, 이를 통하여 예컨대 수용기(2)가 도 1 내지 도 6의 콘덴서(1, 60)들의 각각의 하부 영역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연결 요소는 튜브(90)를 갖고, 이는 유체 입구(93)와 유체 출구(94) 사이에 유동 채널(96)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이러한 튜브(90)는 수용기(2)를 감온 영역(3)의 하부 부분에 연결하는 튜브(5)에 대응한다. 동시에, 수용기(2)는, 유체 입구(91)와 유체 출구(92)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 채널(97)을 통하여 과냉각 영역(4) 또는 내부 열 교환기(61)와 유체 연통한다.
도 8에 도시된 연결 요소의 주된 기능은 냉매를 콘덴서(1, 60)들 내의 상이한 채널들 밖으로 그리고 감온 영역(3)의 밖으로 운반하고 그 후 이 냉매를 감온 영역(3) 아래에 배열되는 과냉각 영역(4) 또는 내부 열 교환기(61)로 다시 이송하는 것이다.
이미 설명된 것과 같이, 튜브(90)는 콘덴서(1, 60)들의 판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한다. 도 8에서, 콘덴서는 참조 부호 95에 의해 표시된다. 유동 채널(97)이 완전히 튜브(90) 주위로 연장하는 것을 특히 볼 수 있다.
도 9는, 특히 도 7에 대응하는 배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대안적인 연결 요소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제 1 튜브(100)는 제 2 튜브(101)와 평행하게 배열된다. 튜브(100)는 유체 입구(102)와 유체 출구(103)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동 채널(106)을 형성한다. 튜브(101)는 이를테면 튜브가 유체 입구(104)와 유체 출구(105)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동 채널(107)을 형성한다. 도 9에서, 콘덴서는 참조 부호 108에 의해 확인된다.
도 9의 연결 요소의 주된 기능은 콘덴서(1, 60, 70, 108)의 영역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고 이를 수용기(2)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는 더 긴 튜브(101)를 통하여 일어난다. 유체는 더 짧은 튜브(100)를 통하여 수용기(2)로부터 콘덴서(1, 60, 70, 108)로 다시 운반된다. 튜브(100, 101)들의 길이 및 유체 출구(103, 105)들의 높이들의 결과적인 차이들에 의해, 콘덴서(1, 60, 70, 108)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고 이 유체를 콘덴서(1, 60, 70, 108)에 대하여 상이한 레벨들에서 콘덴서로 다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유체 입구들 및 유체 출구들은 유동 방향에 의존하여 또한 각각 역으로 배열될 수 있다.

Claims (19)

  1. 냉매를 위한 제 1 유동 채널(25, 64, 73, 79) 및 냉각제를 위한 제 2 유동 채널(26, 31, 42, 52, 67)을 갖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1, 60, 70)로서,
    복수의 판 요소들이 제공되며, 이들은 상기 판 요소들이 상하로 적층될 때 판 요소들 사이에 서로 인접한 채널들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들의 제 1 하위 세트는 제 1 유동 채널(25, 64, 73, 79)과 연관되고 채널들의 제 2 하위 세트는 제 2 유동 채널(26, 31, 42, 52, 67)과 연관되고, 상기 제 1 유동 채널(25, 64, 73, 79)은 증기 냉매의 감온 및 응축을 위한 제 1 영역(3, 80)과,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기(2)를 갖는 응축된 냉매를 과냉각하기 위한 제 2 영역(4, 81, 62)을 갖고, 상기 제 1 영역(3, 80)으로부터 제 2 영역(4, 81, 62)으로의 냉매 전달은 수용기(2)를 통하여 유도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2)는 수용기(2)의 유체 입구(12)를 형성하는 제 1 영역(3, 80)과 제 1 연결 요소에 의해 유체 연통하고, 제 2 연결 요소가 수용기(2)의 유체 출구(6)로서 제 2 영역(4, 81, 62)과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요소 또는 제 2 연결 요소는 판 요소들의 개구에 의해 복수의 판 요소들을 통과하는 튜브(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요소(5)는 채널로서 디자인되고, 상기 채널은 제 1 영역(3, 80)으로부터 제 2 영역(4, 81, 61)을 통하여 수용기(2)의 유체 입구(12)로 유도되고, 상기 채널은 단지 제 1 유동 채널(25, 64, 73, 79)의 제 1 영역(3, 80)과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 요소(6)는 채널로서 디자인되고, 상기 채널은 수용기의 유체 출구로부터 제 1 영역을 통하여 제 2 영역 안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 채널(26, 31, 42, 52, 67)의 유체 입구(50) 또는 유체 출구는 제 2 유동 채널(26, 31, 42, 52, 67)의 다른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제 2 튜브(5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채널은 판 적층물의 튜브(53)의 삽입 측에 실질적으로 대향하게 놓이는 제 2 유동 채널(26, 31, 42, 52, 67)의 마지막 채널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 채널(52)은 직렬 유동을 허용하고, 제 2 유동 채널(52)의 유체 입구(50) 및 유체 출구(51)는 판 적층물의 동일한 단부 영역에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 채널(25)의 제 2 영역은 제 3 유동 채널(64)을 갖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내부 열 교환기(61)를 형성하고, 냉매가 제 1 유동 채널(25) 및 제 3 유동 채널(64)을 통하여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 채널(73)은 제 2 영역(4, 81)에 뒤따르고 냉매를 과냉각하는데 사용되는 제 3 영역(82)을 갖고, 상기 제 3 영역(82)은 유체를 위한 제 3 유동 채널(79)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3 유동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 교환기들로서, 바람직하게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내부 열 교환기(82)들로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동 채널(79)에는 제 1 유동 채널과 독립적으로 냉매가 또는 제 2 유동 채널과 독립적으로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2)는 판 적층물(87)의 일부를 통하여 유도되고 수용기(2) 안으로의 유체 입구를 형성하는 튜브(84)를 통하여 단지 유동 채널(73)의 제 1 영역(80)과 유체 연통하고, 상기 수용기(2)의 유체 출구는 판 적층물(87)의 일부를 통하여 유도되고 단지 제 1 유동 채널(73)의 제 2 영역(81)과 유체 연통하는 다른 튜브(8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열 교환기(82)의 유체 입구(77) 및/또는 유체 출구(78)는 튜브(85, 8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들은 인접한 채널들 사이의 유체 연결을 발생 또는 밀봉하기 위해 림을 갖는 또는 림이 없는 개구(24)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5, 50, 83, 84, 86, 87)들은 판 요소들의 개구(24)들을 통과하고 판 요소들의 적어도 하위 세트, 특히 림들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요소는 튜브이고 제 2 연결 요소는 플랜지이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2)는 냉매를 여과 및/또는 건조하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의 제 1 섹션은 복수의 유동 경로들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유동 경로들을 통하여 유체가 연속으로 유동하고 유동 경로 내부에서의 유동 방향은 각각의 경우 교대로 역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의 제 2 섹션은 복수의 유동 경로들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유동 경로들을 통하여 유체가 연속으로 유동하고 유동 경로 내부에서의 유동 방향은 각각의 경우 교대로 역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평판형 디자인의 콘덴서.
KR1020157009850A 2012-09-21 2013-09-02 콘덴서 KR201500607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7090.1 2012-09-21
DE102012217090.1A DE102012217090A1 (de) 2012-09-21 2012-09-21 Kondensator
PCT/EP2013/068092 WO2014044520A1 (de) 2012-09-21 2013-09-02 Kondens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779A true KR20150060779A (ko) 2015-06-03

Family

ID=4908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850A KR20150060779A (ko) 2012-09-21 2013-09-02 콘덴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60658B2 (ko)
EP (1) EP2909563B1 (ko)
KR (1) KR20150060779A (ko)
CN (1) CN104641199B (ko)
DE (1) DE102012217090A1 (ko)
WO (1) WO2014044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0183B1 (fr) * 2012-12-21 2018-09-14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avec reserve de fluide frigorigene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DE102016001607A1 (de) * 2015-05-01 2016-11-03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Flüssigkeit-zu-Kältemittel-Wärmetauscher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FR3059400A1 (fr) * 2016-11-25 2018-06-01 Valeo Systemes Thermiques Echangeur de chaleur entre un fluide refrigerant et un liquide caloporteur
CN109000389B (zh) * 2017-11-03 2021-07-27 株式会社电装 冷凝器及具备该冷凝器的制冷系统
CN107883616A (zh) * 2017-11-29 2018-04-06 上海加冷松芝汽车空调股份有限公司 过冷式水冷冷凝器
WO2019175616A1 (en) * 2018-03-13 2019-09-19 Carrier Corporation Condenser architecture with multiple segments
EP3572754B1 (en) * 2018-05-24 2020-12-16 Valeo Autosystemy SP. Z.O.O. Heat exchanger
EP3572753B1 (en) * 2018-05-24 2020-12-16 Valeo Autosystemy SP. Z.O.O. Heat exchanger
CN108731307A (zh) * 2018-07-04 2018-11-02 浙江银轮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叠片式冷凝器
JP2020016379A (ja) * 2018-07-25 2020-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US11965700B2 (en) 2018-11-27 2024-04-23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eat exchanger for cooling multiple fluids
JP7400234B2 (ja) * 2019-07-16 2023-12-19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5417B1 (en) * 1998-10-19 2005-08-30 Ebara Corporation Solution heat exchanger for absorption refrigerating machine
FR2846733B1 (fr) * 2002-10-31 2006-09-15 Valeo Thermique Moteur Sa Condenseur, notamment pour un circuit de c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et circuit comprenant ce condenseur
FR2924490A1 (fr) * 2007-11-29 2009-06-05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avec partie de sous-refroidissement
FR2947041B1 (fr) * 2009-06-23 2011-05-27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avec reserve de fluide frigorigene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FR2950682B1 (fr) * 2009-09-30 2012-06-01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pour vehicule automobile a integration amelioree
DE102010026507A1 (de) * 2010-07-07 2012-01-12 Behr Gmbh & Co. Kg Kältemittelkondensatormodul
JP5960955B2 (ja) * 2010-12-03 2016-08-0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車両用コンデンサ
DE102011008429A1 (de) * 2011-01-12 2012-07-12 Behr Gmbh & Co. Kg Vorrichtung zur Wärmeübertragung für ein Fahrzeug
US9239193B2 (en) * 2011-02-17 2016-01-19 Delphi Technologies, Inc.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having a heat exchanger with an integral receiver and sub-cooler
US8899062B2 (en) * 2011-02-17 2014-12-02 Delphi Technologies, Inc. Plate-type heat pump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for a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DE102011005177A1 (de) * 2011-03-07 2012-09-13 Behr Gmbh & Co. Kg Kondensator
KR101316859B1 (ko) * 2011-12-08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컨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41199A (zh) 2015-05-20
US20160161160A1 (en) 2016-06-09
US10060658B2 (en) 2018-08-28
DE102012217090A1 (de) 2014-03-27
EP2909563A1 (de) 2015-08-26
CN104641199B (zh) 2017-03-01
WO2014044520A1 (de) 2014-03-27
EP2909563B1 (de)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0779A (ko) 콘덴서
US10717338B2 (en) Heating and cooling module
US7469554B2 (en) Condenser,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ir conditioning circuit, and circuit comprising same
JP6041424B2 (ja) 車両用コンデンサ
US10625572B2 (en) Heating/cooling module
CN103256759B (zh) 热交换器
CN103727709B (zh) 用于车辆的冷凝器
US10088204B2 (en) Condenser
US20150226469A1 (en) Condenser
JP4052706B2 (ja) サブクールシステムコンデンサ
US20140374072A1 (en) Kit for a heat exchanger, a heat exchanger core, and heat exchanger
KR20200010357A (ko) 냉각 시스템
KR20130063925A (ko) 차량용 컨덴서
JP6554182B2 (ja) 重ねられた複数のプレートを有する熱交換器
KR20200006489A (ko) 특히 전기 자동차용 콤팩트 열 교환기 유닛 및 공기 조화 모듈
KR101144262B1 (ko) 응축기
KR20240096569A (ko) 증기 분사 시스템을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이코노마이저의 통합장치
KR20180060285A (ko) 냉수기
JP6477306B2 (ja) 冷媒蒸発器
CN107606825A (zh) 冷凝器
US20070068665A1 (en) Heat exchanger comprising an integrated supply and discharge
KR100858516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CN107806723B (zh) 壳管式冷凝器
US20240133633A1 (en) Heat exchanger
KR10108196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