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925A - 차량용 컨덴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컨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925A
KR20130063925A KR1020110130551A KR20110130551A KR20130063925A KR 20130063925 A KR20130063925 A KR 20130063925A KR 1020110130551 A KR1020110130551 A KR 1020110130551A KR 20110130551 A KR20110130551 A KR 20110130551A KR 20130063925 A KR20130063925 A KR 2013006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dissipation
gas
receiver dry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6841B1 (ko
Inventor
김재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841B1/ko
Priority to JP2012130445A priority patent/JP2013119373A/ja
Priority to US13/529,829 priority patent/US20130145789A1/en
Priority to DE102012105526A priority patent/DE102012105526A1/de
Priority to CN201210225292.XA priority patent/CN103148642B/zh
Publication of KR2013006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42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liqui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차량용 컨덴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는 팽창밸브, 증발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에서, 상기 압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구비되며, 라디에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압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순환시켜 상호 열교환을 통해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1 방열부; 상기 제1 방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방열부; 및 상기 제1 방열부를 통해 응축된 냉매를 유입시켜 냉매의 기액분리와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 제2 방열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방열부와 상호 연결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열부는 일단부에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제1 방열부의 내부에서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냉매유로; 상기 제1 방열부의 내부에서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매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냉매유로를 통해 유입된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각각 분리시키는 기액 분리부; 상기 기액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자중이 가벼운 기체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냉매유로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냉매유로; 및 상기 기액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자중이 무거운 액체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냉매유로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 냉매유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컨덴서{CONDENS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컨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시버 드라이어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적층식 플레이트 타입으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수냉식이 적용된 차량용 컨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컨 시스템은 외부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컨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여 액화시키는 컨덴서와, 상기 컨덴서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급속히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등을 주요한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덴서는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주행 중,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통해 냉각시켜 저온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컨덴서는 보통 기액분리를 통한 응축효율 향상과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와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차량용 컨덴서는 외부 공기로 방열되는 공랭식이 적용된 핀-튜브 타입 구조로 냉각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크기를 증대시켜야 하는 바, 협소한 엔진룸 내부에서 레이아웃에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냉각수를 냉각유체로 이용하는 수냉식이 적용된 컨덴서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냉식이 적용된 차량용 컨덴서는 공랭식과 비교하여 응축온도가 약 5 ~ 15℃ 낮아 외부기온과의 온도 차이 축소에 따른 서브 쿨 효과 부족으로 응축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냉식이 적용된 차량용 컨덴서는 응축효율을 증대시키거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에이터의 사이즈를 증대시키거나, 냉각팬 용량을 증대시켜야 함에 따라 원가 및 중량이 증대되고, 별도로 구성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와의 연결배관 레이아웃이 복잡해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일체로 구성한 적층식 플레이트 타입으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유입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분리하여 응축하는 수냉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성부품 축소 및 연결배관 레이아웃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고, 리시버 드라이어의 사체적을 축소시켜 방열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컨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는 팽창밸브, 증발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에서, 상기 압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구비되며, 라디에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압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순환시켜 상호 열교환을 통해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1 방열부; 상기 제1 방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방열부; 및 상기 제1 방열부를 통해 응축된 냉매를 유입시켜 냉매의 기액분리와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 제2 방열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방열부와 상호 연결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열부는 일단부에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제1 방열부의 내부에서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냉매유로; 상기 제1 방열부의 내부에서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매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냉매유로를 통해 유입된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각각 분리시키는 기액 분리부; 상기 기액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자중이 가벼운 기체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냉매유로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냉매유로; 및 상기 기액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자중이 무거운 액체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냉매유로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 냉매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2 냉매유로와 복수개의 제3 냉매유로 중, 상, 하부에 인접한 제2, 제3 냉매유로와 연결되며, 다른 제2, 제3 냉매유로와는 상기 플레이트를 통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방열부와 리시버 드라이어부는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 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상, 하부 커버의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의 반대측 일단부에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열부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 측 일단부에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는 냉매 배출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냉매 유입구에 대응하여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의 반대측 일단부에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팽창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냉매 배출구와 이격된 일측에 냉각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의 반대측 일단부에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열부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매 유입구와,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냉매 유입구에 대응하여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의 반대측 일단부에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팽창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냉매 배출구의 반대측에 냉각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냉매유로는 상기 냉매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방열부에 인접한 각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유로는 상기 냉매 유입구에 대응하는 상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냉매 유입구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는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커버에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건조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기 건조제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로 유입된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캡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부는 유입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분리하여 냉각수와 각각 상호 열교환시켜 응축하고,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제1 연결유로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제2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로 응축된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와 제3 연결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열부로부터 상기 제2, 제3 연결유로로 배출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를 통해 기액분리 및 수분이 제거된 냉매를 유입시켜 냉각수와 2차로 상호 열교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방열부는 냉각수와 냉매의 유동을 대향류(counterflow, 對向流) 시켜 상호 열교환시킬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저온용으로 이루어져 리저버 탱크와 연결되고, 후방에는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덴서는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에 의하면, 리시버 드라이어를 일체로 구성한 적층식 플레이트 타입으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유입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분리해 응축하는 수냉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성부품 축소 및 연결배관 레이아웃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덴서는 각 방열부에서 기액상태로 유입되는 혼합된 냉매를 상분리시켜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분리하여 각각 유동시키면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컨덴서 내부의 사체적을 축소시킴에 따라, 방열면적을 증대시켜 사이즈의 증대 없이도 응축효율 및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가 적용된 차량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가 적용된 차량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01)와, 상기 팽창밸브(101)를 통해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증발시키는 증발기(103)와, 상기 증발기(103)로부터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시키는 압축기(105)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된다.
즉, 상기 컨덴서(100)는 상기 압축기(105)와 팽창밸브(101) 사이에 구비되어 라디에이터(107)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압축기(105)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디에이터(107)는 저온용으로 이루어져 리저버 탱크(108)와 연결되고, 후방에는 냉각팬(109)이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100)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일체로 구성한 적층식 플레이트 타입으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유입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분리하여 응축하는 수냉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성부품 축소 및 연결배관 레이아웃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고, 리시버 드라이어의 사체적을 축소시켜 방열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1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열부(110), 제2 방열부(120), 및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120), 및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는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 커버(140, 150)가 장착되며, 상기 상, 하부 커버(140, 150)의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열부(11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11)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라디에이터(107)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고, 상기 압축기(105)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순환시켜 상호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방열부(120)는 상기 제1 방열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방열부(120)는 상기 제1 방열부(110)를 통해 냉각되어 응축된 냉매를 2차로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120)는 냉각수와 냉매의 유동을 대향류(counterflow, 對向流) 시켜 상호 열교환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120)는 상기 각 플레이트(111)가 적층된 상태로, 사이사이에 엇갈리게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지 않는 각 냉매유로(113)와 냉각수유로(115)를 통해 냉매와 냉각수를 서로 혼합시키지 않은 상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상호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열부(1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냉매유로(113a), 기액 분리부(117), 제2 냉매유로(113b), 및 제3 냉매유로(11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 냉매유로(113a)는 일단부에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제1 방열부(110)의 내부에서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기액 분리부(117)는 상기 제1 방열부(110)의 내부에서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매유로(113a)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냉매유로(113a)를 통해 유입된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냉매를 자중에 의해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각각 분리시키게 된다.
즉, 상기 기액 분리부(117)는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냉매가 유입되면, 기체냉매와 액체냉매의 자중 차이를 이용해 기액을 상분리시키게 되는데, 이 때, 기액 분리부(117)의 내부에서 상부에는 기체냉매가 위치되고, 하부에는 액체냉매가 위치되어 분리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냉매유로(113b)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기액 분리부(117)를 통해 분리된 자중이 가벼운 기체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냉매유로(113a)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냉매유로(113b)는 상기 기액 분리부(117)를 통해 분리된 냉매 중, 기체냉매를 이동시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재 응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냉매유로(113c)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기액 분리부(117)를 통해 분리된 자중이 무거운 액체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냉매유로(113a)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3 냉매유로(113c)는 상기 기액 분리부(117)를 통해 분리된 냉매 중, 액체냉매를 상기 제1 방열부(1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면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액분리부(117)는 상기 복수개의 제2 냉매유로(113b)와 복수개의 제3 냉매유로(113c) 중, 기액분리부(117)의 상, 하부에 인접한 제2, 제3 냉매유로(113b, 113c)와 각각 연결되며, 다른 제2, 제3 냉매유로(113b, 113c)와는 상기 플레이트(111)를 통해 구획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111)는 상기 기액 분리부(117)의 상, 하부에 인접한 제2, 제3 냉매유로(113b, 113c)를 제외한 다른 제2, 제3 냉매유로(113b, 113c)로 기체냉매와 액체냉매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기액분리부(117)의 상, 하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커버(14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의 반대측 일단부에 상기 압축기(105)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열부(110)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매 유입구(1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4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 측 일단부에 상기 라디에이터(107)와 연결되는 냉매 배출구(143)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냉매유로(113b)는 상기 냉매 유입구(141)와 연결되는 제1 방열부(110)에 인접한 각 플레이트(111)의 일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격벽(11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격벽(119)은 상기 냉매 유입구(141)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 상기 제1 방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냉매유로(113b)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연결유로(113c)는 상기 냉매 유입구(141)에 대응하는 상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111)를 통해 상기 냉매 유입구(141)와 구획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매 유입구(141)로 유입되는 혼합된 냉매는 상기 제3 연결유로(113c)의 상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111)를 통해 제3 연결유로(113c)로 바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제1 연결유로(113a)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커버(150)는 상기 냉매 유입구(141)에 대응하여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의 반대측 일단부에 냉매 배출구(151)가 형성되어 상기 팽창밸브(101)와 연결된다.
이러한 하부커버(15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매 배출구(151)와 이격된 일측에 냉각수 유입구(153)가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07)와 연결된다.
즉, 상기 하부커버(150)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저온상태의 냉각수는 바로 상기 제2 방열부(120)로 먼저 유입됨으로써, 제1 방열부(110)를 통과한 냉매를 추가로 냉각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는 상기 제1 방열부(110)를 통해 응축된 냉매를 유입시켜 냉매의 기액분리와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12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120)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방열부(110)는 유입된 냉매를 기액 분리부(117)에서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상분리시킨 후, 제2, 제3 냉매유로(113b, 113c)를 통해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를 각각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응축한다.
그런 후, 상기 제1 방열부(110)는 상부에 형성되어 제2 냉매유로(113b)와 연결되는 제1 연결유로(121)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냉매유로(113c)와 연결되는 제2 연결유로(123)를 통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로 응축된 냉매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방열부(12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와 제3 연결유로(125)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열부(110)로부터 상기 제2, 제3 연결유로(121, 123)로 배출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를 통과하면서 기액분리 및 수분이 제거된 냉매를 유입시켜 저온상태로 선 유입되는 냉각수와 2차로 상호 열교환시켜 냉매를 추가로 냉각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는 상기 컨덴서(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통해 종래 원통형상의 리시버 드라이어와 비교하여 사체적을 축소시키며, 별도의 배관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는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2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각 방열부(110, 120)와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유로(121, 123, 125)를 제외한 컨덴서(100)의 높이방향 중 나머지 부분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는 내부 중앙에 장착공간(131)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131)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커버(150)에는 삽입홀(13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공간(131)에는 상기 삽입홀(133)을 통하여 건조제(135)가 삽입되며, 상기 건조제(135)는 응축된 냉매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건조제(135)는 교체주기에 따라 상기 삽입홀(133)을 통해 교체가 가능하도록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게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의 내부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건조제(135)에는 필터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로 유입된 냉매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되며, 냉매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은 상기 건조제(135)를 통해 수분이 제거되는 동시에, 필터링된 상태로 상기 제2 방열부(120)를 지나 2차로 냉각된 상태로, 냉매 배출구(151)를 통해 팽창밸브(101)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냉매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의해 팽창밸브(201)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133)에는 상기 장착공간(131)에 삽입된 건조제(135)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로 유입된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캡(137)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덴서(1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111)가 적층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컨덴서(100)는 상기 라디에이터(107)를 통해 냉각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유입구(153)를 통해 상기 제2 방열부(120)로 선 유입되며, 상기 각 플레이트(111)의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수유로(115)를 따라 제1 방열부(110)로 이동하여 순환한 후, 상기 냉각수 배출구(143)로 배출된다.
이 때, 냉매는 상기 냉매 유입구(141)를 통해 상기 압축기(105)로부터 상기 제1 방열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각 냉각수유로(115)의 사이사이에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는 냉매유로(113) 중, 제1 냉매유로(113a)를 따라 기액 분리부(117)로 이동된다.
상기 기액 분리부(117)로 이동된 냉매는 기액 분리부(117)에서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상분리 된 상태로, 제2 냉매유로(113b)와 제3 냉매유로(113c)를 통해 각각 유동되면서 냉각수와 각각 열교환된다.
이 때, 상기 제1 방열부(110)는 상분리된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를 냉각수유로(115)를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와 서로 대향류 되도록 유동시키면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방열부(110)는 각 냉매의 열교환 후, 냉각되어 응축된 냉매를 상기 제1 연결유로(121)와 제2 연결유로(123)를 통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응축된 냉매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로 순환되면서 기액분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제(135)를 통해 냉매 내부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제3 연결유로(125)를 통해 제2 방열부(120)로 유입된다.
상기 제2 방열부(12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2 방열부(120)로 선 유입되는 저온의 냉각수와 서로 대향류 되면서 유동되어 2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져 추가로 냉각된다.
그런 후, 상기 제2 방열부(120)에서 추가로 냉각된 냉매는 상기 냉매 배출구(153)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팽창밸브(101)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는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120)의 일단부에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연결배관을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컨덴서(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의해 사체적 없이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100)를 설명하는데 있어, 도면상에는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120)와 리시버 드라이어부(130)가 상, 하부 커버(140, 150)의 사이에 다수개의 플레이트(111)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상, 하부 커버(140, 150)가 없이 적층된 다수개의 플레이트(111)만으로도 상기 제1, 제2 방열부(110, 120) 및 리시버 드라이어부(120)의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컨덴서(100)를 적용하면, 리시버 드라이어를 일체로 구성한 적층식 플레이트 타입으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유입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분리해 응축하는 수냉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성부품 축소 및 연결배관 레이아웃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덴서(100)는 각 방열부(110, 120)에서 기액상태로 유입되는 혼합된 냉매를 상기 기액 분리부(117)를 통해 상분리시켜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분리하여 각각 유동시키면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컨덴서(100) 내부의 사체적을 축소시킴에 따라, 방열면적을 증대시켜 사이즈의 증대 없이도 응축효율 및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컨덴서 110 : 제1 방열부
111 : 플레이트 113 : 냉매유로
113a : 제1 냉매유로 113b : 제2 냉매유로
113c : 제3 냉매유로 115 : 냉각수 유로
117 : 기액 분리부 119 : 격벽
120 : 제2 방열부 121 : 제1 연결유로
123 : 제2 연결유로 125 : 제3 연결유로
130 : 리시버 드라이어부 131 : 장착공간
133 : 삽입홀 135 : 건조제
137 : 고정캡 140 : 상부커버
141 : 냉매 유입구 143 : 냉각수 배출구
150 : 하부커버 151 : 냉매 배출구
153 : 냉각수 유입구

Claims (15)

  1. 팽창밸브, 증발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에서, 상기 압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구비되며, 라디에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압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순환시켜 상호 열교환을 통해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1 방열부;
    상기 제1 방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방열부; 및
    상기 제1 방열부를 통해 응축된 냉매를 유입시켜 냉매의 기액분리와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 제2 방열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방열부와 상호 연결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열부는
    일단부에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제1 방열부의 내부에서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냉매유로;
    상기 제1 방열부의 내부에서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매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냉매유로를 통해 유입된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각각 분리시키는 기액 분리부;
    상기 기액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자중이 가벼운 기체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냉매유로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냉매유로; 및
    상기 기액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자중이 무거운 액체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냉매유로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 냉매유로;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2 냉매유로와 복수개의 제3 냉매유로 중, 상, 하부에 인접한 제2, 제3 냉매유로와 연결되며, 다른 제2, 제3 냉매유로와는 상기 플레이트를 통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방열부와 리시버 드라이어부는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 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상, 하부 커버의 사이에 구성되는 차량용 컨덴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의 반대측 일단부에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열부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 측 일단부에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는 냉매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냉매 유입구에 대응하여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의 반대측 일단부에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팽창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냉매 배출구와 이격된 일측에 냉각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매유로는
    상기 냉매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방열부에 인접한 각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유로는
    상기 냉매 유입구에 대응하는 상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냉매 유입구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는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커버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건조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기 건조제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로 유입된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캡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는
    유입된 냉매를 기체냉매와 액체냉매로 분리하여 냉각수와 각각 상호 열교환시켜 응축하고,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제1 연결유로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제2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로 응축된 냉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와 제3 연결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열부로부터 상기 제2, 제3 연결유로로 배출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를 통해 기액분리 및 수분이 제거된 냉매를 유입시켜 냉각수와 2차로 상호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방열부는
    냉각수와 냉매의 유동을 대향류(counterflow, 對向流) 시켜 상호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저온용으로 이루어져 리저버 탱크와 연결되고, 후방에는 냉각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덴서는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덴서.
KR1020110130551A 2011-12-07 2011-12-07 차량용 컨덴서 KR101326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51A KR101326841B1 (ko) 2011-12-07 2011-12-07 차량용 컨덴서
JP2012130445A JP2013119373A (ja) 2011-12-07 2012-06-08 車両用コンデンサ
US13/529,829 US20130145789A1 (en) 2011-12-07 2012-06-21 Condenser for vehicle
DE102012105526A DE102012105526A1 (de) 2011-12-07 2012-06-25 Kondensator für ein Fahrzeug
CN201210225292.XA CN103148642B (zh) 2011-12-07 2012-06-29 用于车辆的冷凝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51A KR101326841B1 (ko) 2011-12-07 2011-12-07 차량용 컨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925A true KR20130063925A (ko) 2013-06-17
KR101326841B1 KR101326841B1 (ko) 2013-11-11

Family

ID=4846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551A KR101326841B1 (ko) 2011-12-07 2011-12-07 차량용 컨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45789A1 (ko)
JP (1) JP2013119373A (ko)
KR (1) KR101326841B1 (ko)
CN (1) CN103148642B (ko)
DE (1) DE1020121055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27Y1 (ko) 2019-03-07 2020-04-06 권우희 조립식 문턱받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0955B2 (ja) 2010-12-03 2016-08-0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車両用コンデンサ
KR101886075B1 (ko) * 2012-10-26 2018-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EP3004756B1 (en) * 2013-05-29 2018-04-11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ion circuit
CN104949385B (zh) * 2014-03-31 2017-08-25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用热泵系统
FR3035710B1 (fr) * 2015-04-29 2018-09-07 Carrier Corporation Echangeur thermique a plaques et machine frigorifique reversible comprenant un tel echangeur
CN110986332B (zh) * 2019-10-21 2021-12-03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判别冷媒三通阀调节死区及自动跳过死区的控制方法
US20230173874A1 (en) * 2021-12-07 2023-06-08 Mahle International Gmbh Plate ihx as mounting plate for refrigerant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5861B2 (ja) * 1989-02-17 1998-11-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水冷式インタークーラ付内燃機関
JPH06137726A (ja) * 1991-05-31 1994-05-20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の高低圧スイッチと溶栓の取付配置
JPH0510633A (ja) * 1991-07-04 1993-01-19 Nippondenso Co Ltd 凝縮器
JPH0840054A (ja) * 1994-08-01 1996-02-13 Zexel Corp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2900898B2 (ja) * 1996-10-28 1999-06-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100264815B1 (ko) * 1997-06-16 2000-09-01 신영주 다단기액분리형응축기
KR100872468B1 (ko) * 2002-05-24 2008-12-08 한라공조주식회사 다단 기액분리형 응축기
FR2846733B1 (fr) * 2002-10-31 2006-09-15 Valeo Thermique Moteur Sa Condenseur, notamment pour un circuit de c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et circuit comprenant ce condenseur
JP4334965B2 (ja) * 2003-09-30 2009-09-30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4323307B2 (ja) * 2003-12-26 2009-09-0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熱交換器システム
DK1616610T3 (da) * 2004-07-13 2012-10-22 Byeong-Seung Lee Plade-varmeveksler med en adskillelsesfunktion med hensyn til kondenseret fluidum og fremgangsmåde til dens fremstilling
JP4367294B2 (ja) * 2004-09-02 2009-11-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US7237406B2 (en) * 2004-09-07 2007-07-03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Condenser/separator and method
JP3812582B2 (ja) * 2005-01-20 2006-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US7753105B2 (en) * 2006-05-16 2010-07-13 Delphi Technologies, Inc. Liquid cooled condenser having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JP2008064455A (ja) * 2007-11-23 2008-03-21 Denso Corp 冷却用熱交換器モジュール
KR101188226B1 (ko) * 2009-10-13 2012-10-05 한라공조주식회사 판형 열교환기
JP2011152827A (ja) 2010-01-26 2011-08-1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空調システムの冷媒体貯留構造
KR101590194B1 (ko) * 2010-01-29 2016-01-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1172158B1 (ko) 2010-05-28 2012-08-07 김광석 내부 엠보를 가진 적층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5960955B2 (ja) * 2010-12-03 2016-08-0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車両用コンデンサ
CN201983538U (zh) * 2011-03-22 2011-09-21 芜湖精博热传导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式汽车空调冷凝器
US20120291478A1 (en) * 2011-05-20 2012-11-22 Kia Motors Corporation Condenser for vehicl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FR3001796A1 (fr) * 2013-02-07 2014-08-08 Delphi Automotive Systems Lux Agencement d’un condenseur et d’un sous-refroidisseur de climatis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27Y1 (ko) 2019-03-07 2020-04-06 권우희 조립식 문턱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48642A (zh) 2013-06-12
KR101326841B1 (ko) 2013-11-11
US20130145789A1 (en) 2013-06-13
JP2013119373A (ja) 2013-06-17
CN103148642B (zh) 2016-09-14
DE102012105526A1 (de)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858B1 (ko) 차량용 컨덴서
KR101316859B1 (ko) 차량용 컨덴서
KR101326841B1 (ko) 차량용 컨덴서
JP6022156B2 (ja) 車両用コンデンサ
US9851154B2 (en) Condenser for vehicle
KR101461872B1 (ko) 차량용 응축기
KR101461871B1 (ko) 차량용 응축기
KR20160147352A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KR101173157B1 (ko) 수냉식 응축기 및 과냉각용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CN111114243A (zh) 用于车辆的冷却模块
KR20120061671A (ko) 차량용 컨덴서
JP5733866B1 (ja) 冷媒熱交換器
KR20120061676A (ko) 차량용 컨덴서
KR10212385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1734281B1 (ko) 차량용 컨덴서
KR10213115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50098835A (ko) 응축기
KR102173383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50144358A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209256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108196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2161475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