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508A -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508A
KR20150058508A KR1020157010876A KR20157010876A KR20150058508A KR 20150058508 A KR20150058508 A KR 20150058508A KR 1020157010876 A KR1020157010876 A KR 1020157010876A KR 20157010876 A KR20157010876 A KR 20157010876A KR 20150058508 A KR20150058508 A KR 20150058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ing
ring segment
guide
carrier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526B1 (ko
Inventor
프랑크 카르토이저
쟝 클라베
카이 크라비엘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5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3Stationary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3Flange connections; Bol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6Fastening of diaphragms or stator-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60Assembly methods
    • F05D2230/68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70Disassembly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16Impeller making
    • Y10T29/49318Repairing or 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16Impeller making
    • Y10T29/4932Turbomachine making
    • Y10T29/49321Assembling individual fluid flow interacting members, e.g., blades, vanes, buckets, on rotary support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6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3), 특히 가스 터빈의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보조 장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본체(5)와, 인장 수단(28)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홀딩 장치(18)를 구비하며, 홀딩 장치(18)는, 인장 수단(28)을 통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본체(5) 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보조 장치{AID DEVICE}
본 발명은 캐리어, 특히 가스 터빈의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를 조립 및/또는 분해하기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조립 및/또는 분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 수리의 범주 내에서, 수리될 엔진은 각각의 구성 부품들로 분해된다. 엔진 작동 중에 지배적인 높은 온도로 인해, 분해되는 구성 부품들은 통상 상당한 노력을 들여서야만 서로 분리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비틀려 있다. 특히 엔진의 터빈 모듈 내의 가이드 링 세그먼트는 엔진 작동 중에 강한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있다.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의 원주 방향에 차례로 배열되어 있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를 캐리어로부터 해체하기 위해,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가 먼저 두 개의 반부 쉘 유형의 요소들로 분해된다. 이어서, 홈 내에 삽입된 가이드 링 세그먼트가 망치, 웨지 및 플라스틱 블록을 사용하여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로부터 해체된다. 이를 위해, 먼저, 두 개의 인접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들 사이에 웨지가 삽입되어야 한다. 이어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 중 하나를 인접한 가이드 링 세그먼트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망치를 이용하여 측면에서 웨지를 타격한다. 두 개의 가이드 링 세그먼트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는 즉시, 플라스틱 블록을 삽입하고, 플라스틱 블록에 대한 망치질을 통해 캐리어의 홈으로부터 가이드 링 세그먼트가 해체된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조립을 위해서는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의 홈에 가이드 링 세그먼트를 삽입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망치와 플라스틱 블록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의 단점은 수작업의 조립 및 분해가 작업자에 대한 부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링 세그먼트는 플라스틱 블록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망치질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아울러, 조립 및 분해 과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상기 종래 기술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장착 또는 제거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가 작업 과정 중에 손상되지 않으며, 작업자에 대한 부상 위험이 감소되며, 조립 및 분해 과정이 단순화되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본체와, 인장 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홀딩 장치를 구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하며, 홀딩 장치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으로 인장 수단을 통해 작용하는 인장력을 본체 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지 캐리어로부터 가이드 링 세그먼트를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인장 수단을 이용하여, 캐리어로부터 당기거나 캐리어 내로 끼우는 구상을 기초로 한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는 인장 수단을 직접 고정할 수 있는 자체 결합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고정될 수 있고, 인장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홀딩 장치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장 수단이 보조 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조립 또는 분해 시에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인장력이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장착 또는 제거 방향에서 보조 장치 상으로 작용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장치가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조립뿐만 아니라 분해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유닛이 특히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본체에 제공되는데, 상기 래칭 유닛은 본체를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유닛은,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에서 볼 때 본체의 전방 단부면에 배열되며, 적어도 래칭 상태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를 후방 결합 및/또는 하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분해 시, 차례로 배열된 가이드 링 세그먼트가 일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캐리어로부터 또는 반부 쉘 유형의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로부터 연달아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는 그 전방 단부면이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고, 그 후방 단부면이 후속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접한다. 따라서, 본체의 전방 단부면 상에 제공되는 래칭 유닛이 특히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장치는 래칭 유닛의 탈착 가능한 배열을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본체에 측면 장착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원하는 장착- 또는 해체 방향에 상응하게 보조 장치를 측면 장착하기 위해, 두 개의 래칭 유닛이 제공될 수 있는데, 하나는 본체에 대한 왼쪽 배열을 위해 그리고 다른 하나는 오른쪽 배열을 위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유닛은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두 개의 클램핑 조우를 포함하며, 클램핑 조우는 외측 위치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조우들은, 외측 위치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형성된 후크와 결합되도록, 서로에 대해 멀리 향한 외측들에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하부 측에 제공되고 가이드 링 세그먼트를 캐리어의 홈 내로 안내하여 고정하는 후크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래칭 유닛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상 결합되고 인장 저항성을 가지며 탈착 가능한 연결을 보장한다. 또한, 서로 벌어진 클램핑 조우들이 그들의 외측 위치에서, 하향 돌출한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후크 플랭크에 평편하게 가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조 장치와 가이드 링 세그먼트 사이의 연결의 안정성이 더 개선되고, 본체가 가이드 링 세그먼트로부터 멀리 선회하는 것이 방지된다.
외부로부터 래칭 유닛을 조작할 수 있도록, 래칭 유닛은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클램핑 조우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레버 기구를 포함하며, 특히 적어도 래칭 유닛의 래칭 상태에서 레버 기구를 록킹하는 록킹 수단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조우를 그 내측 위치로부터 외측 위치로 운동시키기 위해, 작동 시에 두 개의 클램핑 조우들 사이에서 웨지 유형의 요소를 가압하는, 외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레버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딩 장치는 특히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래칭 유닛에 제공된다. 또한, 홀딩 장치는 리프팅 아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인장 수단이 간단하게 보조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 세그먼트와 적어도 영역별로 평편하게 접촉될 수 있는 지지면이 본체의 하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조 장치가 양호하게 조작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보조 장치의 안정화를 위해 본체가 손으로 또는 다른 보조 수단을 이용하여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대해 가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와 접촉하는 지지면의 확대를 위해, 지지면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외측 만곡부를 갖는다.
특히, 보조 장치를 장방형의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특히 양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본체는 장방형의 기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 있어서, 본체는, 홀딩 장치의 반대쪽에 놓인 본체의 단부면에 형성된, 본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정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망치와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조 장치와 연결된 가이드 링 세그먼트를 해체 또는 설치하기 위해 예를 들면 망치가 충돌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링 세그먼트가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체는 L-형태의 기본 형태를 가지며, L-형태의 본체의 레그는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를 형성한다. 망치를 위한 큰 타격 면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레그는 홀딩 장치의 반대쪽에 놓인 본체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설치 및 해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게 본체에서 안내되는 충돌체가 제공되며, 충돌체의 최종 위치는 정지 요소를 통해 규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링 세그먼트를 캐리어로부터 해체하거나 캐리어 내로 장착하기 위해, 충돌체의 충격이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안내된 충돌체가 가이드 링 세그먼트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충돌체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장착- 또는 해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해체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돌체의 충격이 먼저 본체로 전달되는데, 이때, 충돌체는 수동으로 그 후퇴 위치로부터 강력하게 그 최종 위치로 전방으로 운동하여,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에 충돌된다. 본체에 전달되는 충격은 본체에 고정된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전달된다. 이어서, 충돌체는 다시 수동으로 다시 복귀되어 새롭게 정지 요소에 대해 충격을 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에 고정된 가이드 링 세그먼트가 캐리어로부터 해체되거나 삽입된다. 충돌 중량의 증가 및/또는 후퇴 거리의 확대 및/또는 충돌체 가속도의 증가를 통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대한 충돌 중량의 충격이 상응하게 증가 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충격의 감소를 원할 경우, 충돌 중량 및/또는 후퇴 거리 및/또는 충돌체의 가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U-형상의 기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충돌체가 안내되는, 두 개의 레그를 연결하는 가이드 바가 두 개의 U-레그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충돌체를 왕복 운동시키고 이를 특히 강하게 정지 요소에 대해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충돌체가 두 개의 레그들 사이에서 양호하게 외부로부터 접근될 수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매우 안정적인데, 그 이유는 가이드 바가 양측에서 고정됨으로써, 비교적 무거운 충돌체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또는 해체 방향에서 전방에 배열된 레그는 정지 요소를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후방에 배열된 레그는 후퇴 위치를 규정한다. 따라서, 보조 장치가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분해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조립을 위해서도 해체 방향 또는 장착 방향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두 개의 레그의 각각이 정지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조립 또는 분해 중에,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서 본체를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가이드 유닛이 본체에 특히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가이드 유닛에 의해, 보조 장치가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에 의해 비교적 무거운 보조 장치도 간단하게 취급된다. 가이드 유닛이 없는 경우, 보조 장치는 캐리어의 위치에 따라 상당한 노력을 들여 수동으로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보조 장치는 측면에 놓인 캐리어에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장치에 대한 가이드 유닛의 탈착 가능한 배열로 인해 보조 장치는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해체 또는 장착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본체에 작용하는 힘은 가이드 유닛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가이드 링 세그먼트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특히 확실하고 간단하게 취급 가능한 보조 장치의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가이드 유닛은, 조립 또는 분해될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홈 내에 결합되어 홈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본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해체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홈 내에서 가이드 유닛이 특히 유연하게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은 홈을 향한 가이드 레일의 단부 영역에서 롤러를 지지할 수 있고, 특히 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홈과 결합되는 단부 영역에서 롤러를 지지한다. 홈 내에서 작동하는 롤러를 통해 가이드 레일은 공차 없이 홈 내에서 활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에 대한 가이드 레일의 추가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다른 롤러가 홈의 외부에서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며 캐리어 상부 측에서 홈에 인접하여 작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캐리어, 특히 가스 터빈의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조립 및/또는 분해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에서, 이전에 설명한 보조 장치는, 그 하부 측에 제공된 지지면에 의해, 캐리어로부터 멀리 향한 가이드 링 세그먼트의 외측과 접촉되며, 보조 장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홀딩 장치, 특히 리프팅 아이는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에서 볼 때 본체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인장 수단, 특히, 특히 케이블이 홀딩 장치, 특히 리프팅 아이와 연결되며, 보조 장치를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인장 수단이 인장된다.
인장 수단이 외부로부터 간단하게 보조 장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인장 수단에 의해 제공된 인장력을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해체 방향 또는 장착 방향에서 보조 장치의 전방에는 편향 수단, 특히 다른 리프팅 아이가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으로 각각의 타격 시에 충돌체의 충돌이 본체를 통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 상으로 전달되도록, 하나 이상의 충돌체가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에 대해 충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가 조립 및 분해 시에 예를 들어 끼일 경우에, 단시간 동안 충격이 가이드 링 세그먼트 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망치가 충돌체로서 간단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충돌체는 특히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에 대해 충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을 따라 본체에서 안내되고 전진 및 후진 운동하는 충돌 중량이 사용될 수 있으며, 충돌체는 전진 운동 시에,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에 충돌한다. 충돌체의 안내를 통해 보조 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부상 위험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고정된 가이드 수단은, 보조 장치를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대해 상대적인 그의 위치에 지지하고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해, 해체되거나 장착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캐리어 홈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성과 관련하여, 종속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가 참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 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에 체결된 도 1의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보조 장치에 체결된 인장 수단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1)가 도시된다. 보조 장치 (1)는, 캐리어(3), 여기서는 가스 터빈의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에 고정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뿐만 아니라 분해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하, 보조 장치(1)가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분해를 참조로 설명되며, 보조 장치(1)를 이용하여, 가이드 링 세그먼트(2)가 캐리어(3)로부터 해체 방향(X)으로 해체될 뿐만 아니라, 조립을 위해서도 해체 방향(X)의 반대로 캐리어(3) 내로의 장착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도 4에서,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3)가 반부 쉘 유형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4)을 포함하는 것을 잘 볼 수 있다. 홈(4)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스테이터 블레이드 열이 나란히 배열되며, 두 개의 가이드 베인 열 사이의 홈(4) 내에는 각각, 차례로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 링 세그먼트(2)가 삽입된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보조 장치(1)는, 무게 감소를 위해 복수의 보어(6)를 가지며 벌크 재료로 형성된 장방형 본체(5)를 포함한다. 본체(5)는 U-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에 고정된 두 개의 레그들(7, 8) 사이에 가이드 바(9)를 고정한다. 가이드 바(9)에서, 충돌체(10)가 화살표(X)로 표시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해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도 2에서 오른쪽에 도시된 레그(7)는 정지 요소로서 구성되며 충돌체(10)의 최종 위치를 규정한다. 그 반대의 왼쪽에 도시된 레그(8)는 충돌체(10)를 위한 최대 후퇴 위치를 한정한다. 또한, 도 2의 왼쪽에 놓인 본체(5)의 전면에는 외측에서 다른 정지 요소(29)가 형성된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2)와 영역별로 평편하게 접촉될 수 있는 지지면(11)이 본체(5)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보조 장치(1)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제거를 위해 화살표(X)로 표시된 해체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제거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왼쪽에 도시된 레그(8)는 정지 요소를 형성하고, 오른쪽 레그(7)는 충돌체(10)의 최대 후퇴 위치를 한정한다.
해체 방향(X)에서 볼 때 본체(5)의 전방 전면에 배열된 래칭 유닛(12)이 본체(5)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래칭 유닛(12)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2)를 하부에서 결합하는 두 개의 클램핑 조우(14, 15)와 함께 작용하는 레버 기구(13)를 포함한다. 레버 기구의 하부 단부에 지지되는 레버(16)는 웨지 형태의 맨드렐(17)과 작용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레버(16)의 해제 상태에서, 맨드렐(17)은 후퇴하고 클램핑 조우(14, 15)는 그 내측 위치에 위치하는데, 즉, 래칭 유닛(12)이 래칭 해제된다. 레버(16)가 당겨진 상태에서, 도 3에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렐(17)은 두 개의 클램핑 조우(14, 15) 사이로 가압되고 클램핑 조우들을 그 외측 위치로 펼침으로써, 본체(5)가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체결된다. 또한, 레버(16)를 당겨진 상태에서 록킹하는 도시되지 않은 록킹 핀이 제공된다.
클램핑 조우(14, 15)가 그 외측에, 가이드 링 세그먼트(2) 하부 측에 형성된 후크(21a, 21b)와 결합되는 리세스(19, 20)를 포함하는 것을 도 3에서 양호하게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들(21a, 21b)은 L-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후크(21a)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 레그를 포함하며, 이러한 레그는 후크(21b)의 레그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즉, 후크(21a)가 후크(21b)보다 높다. 도 1 및 도 3에서, 리세스(19)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한 후크(21a)의 레그를 형상 결합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클램핑 조우(14)의 전체 깊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조우(14, 15)의 래칭된 상태에서, 후크(21a)의 수평 레그가 클램핑 조우(14)의 하부 측과 평편하게 접촉한다. 이에 반해, 클램핑 조우(15)는, 더 작은 후크(21b)를 형상 결합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대략 그 중간 깊이까지만 홈이 파여있다. 또한, 서로에 대해 벌어진 클램핑 조우(14)는 그 외측 위치에서 그 외측에 의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후크 플랭크(22)와 평편하게 접촉한다.
또한, 래칭 유닛(12)에는 리프팅 아이(23)를 갖는 홀딩 장치(18)가 제공된다. 리프팅 아이(23)는 래칭 유닛(12)의 전방 측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 U-형상의 중간 편(24) 내로 나사 결합된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2)가 어느 방향으로 해체 또는 장착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보조 장치(1)를 상응하게 측면 장착하기 위해, 래칭 유닛(12)이 홀딩 장치(18)와 함께 보조 장치(1)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체(5)에는 가이드 유닛(25)이 고정된다. 가이드 유닛(25)은, 제거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캐리어(3)의 홈(4) 내로 결합하여, 홈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구성된, 측면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26)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유닛(25)은 동일한 크기의 두 개의 가이드 레일(26)을 포함할 수 있다. 홈(4) 내로 결합하는 가이드 레일의 단부 영역에서 가이드 레일(26)은 롤러(27a)를 지지하는데, 이 롤러는 해체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6)의 하부 측에 배열된다. 롤러(27a)의 직경은 홈(4)의 폭과 거의 같다. 또한, 본체로부터 멀리 향한 가이드 레일(26)의 외측에 롤러(27b)가 배열되며, 그 직경은 롤러(27a)의 직경보다 크다. 롤러(27b)는 캐리어(3)에 고정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보조 장치(1)가 체결되는 경우, 캐리어(3)의 외측과 접촉된다. 롤러(27a, 27b)를 통해, 가이드 유닛(21)은 굽은 캐리어(3) 내에서 더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도 4에서, 캐리어(3), 여기서는 가스 터빈의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에 고정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제거를 위해, 보조 장치(1)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26)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하는 캐리어(3)의 홈(4) 내로 삽입되는 것을 잘 볼 수 있다. 이어서, 보조 장치(1)는 분해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까지 안내된다.
그곳에서, 본체(5)의 하부 측에 제공된 지지면(11)은 캐리어(3)로부터 멀리 향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외측과 접촉된다. 그 다음, 레버(16)를 당김으로써 래칭 기구(12)가 작동된다. 레버(16)의 작동을 통해, 맨드렐(17)이 두 개의 클램핑 조우들(14, 15) 사이에 가압되고 이 클램핑 조우들을 그 내측 위치로부터 외측 위치로 펼친다. 두 개의 클램핑 조우(14, 15)는 리세스(19, 20)의 범위 내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후크(21a, 21b)와 결합된다. 또한, 클램핑 조우(14)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후크 플랭크(22)에 대해 가압된다. 의도하지 않은 레버 기구(13)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록킹 핀이 가압되고, 이에 의해 레버(16)가 그 당겨진 위치에서 록킹된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2)로부터 멀리 향한 보조 장치(1)의 단부에 배열된 리프팅 아이(23)에는 케이블(28)이 연결된다. 케이블(28)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해체 방향(X)을 따라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케이블(28)을 해체 방향(X)의 외부에 배열할 수 있도록, 해체 방향(X)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2) 전방에 다른 리프팅 아이(30)가 편향 수단으로서 캐리어(3)에 제공된다.
이어서, 케이블(28)이 인장되고 인장력이 해체 방향(X)을 따라 보조 장치(1) 상으로 인가된다. 인장력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체결된 본체(5)를 통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2) 상으로 전달된다. 인장력이 가이드 링 세그먼트(2)와 캐리어(3) 사이의 마찰 저항을 초과하는 즉시, 가이드 링 세그먼트(2)가 해체 방향(X)으로 캐리어(3)의 홈(4)으로부터 당겨진다.
그 동안에 가이드 링 세그먼트(2)가 홈(4) 내에 걸린 경우, 한 번의 충격 또는 여러 번의 충격이 레그(7)에 대한 충돌체(10)의 강한 충돌에 의해 본체(5)를 통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2)로 전달될 수 있다. 충돌 중량의 질량, 두 개의 레그들(7, 8) 사이의 최대 후퇴 길이 및 충돌체(10)의 최대 달성 가능한 가속도를 통해 제한되는 최대 달성 가능한 충격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망치를 이용하여 정지 요소(29)를 타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해체 방향(X)으로부터 벗어나고 본체(5) 상으로 작용하는 충돌력 및 인장력은, 가이드 링 세그먼트(2) 상으로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유닛(25) 내에 흡수되고, 가이드 링 세그먼트(2)와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된 클램핑 조우(14, 15)로부터 멀어진다.
가이드 링 세그먼트(2)가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3)의 홈(4)의 단부 상으로 빠져나오면, 이를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공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변형예들이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Claims (25)

  1. 캐리어(3), 특히 가스 터빈의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1)이며,
    상기 보조 장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본체(5)와, 인장 수단(28)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홀딩 장치(18)를 구비하며,
    홀딩 장치(18)는, 인장 수단(28)을 통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본체(5) 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래칭 유닛(12)이 특히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본체(5)에 제공되며, 상기 래칭 유닛은 본체(5)를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래칭 유닛(12)은,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에서 볼 때 본체(5)의 전방 단부면에 배열되며, 적어도 래칭된 상태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2)를 하부 결합 및/또는 후방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래칭 유닛(12)은,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두 개의 클램핑 조우(14, 15)를 포함하며, 클램핑 조우(14, 15)는 외측 위치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클램핑 조우들(14, 15)은, 외측 위치에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형성된 후크(21a, 21b)와 결합되도록, 서로로부터 멀리 향한 외측에 리세스(19, 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래칭 유닛(12)은 레버 기구(13)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기구는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클램핑 조우(14, 15)를 왕복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래칭 유닛(12)의 적어도 래칭된 상태에서 레버 기구(13)를 록킹하기 위해 특히 록킹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딩 장치(18)는 특히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래칭 유닛(1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딩 장치(18)는 리프팅 아이(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5)의 하부 측에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와 적어도 영역별로 평편하게 접촉될 수 있는 지지면(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5)는 장방형의 기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5)는 본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정지 요소(29)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정지 요소는 홀딩 요소(23)의 반대쪽에 놓인 본체(5)의 단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5)는 L-형상의 기본 형태를 가지며, L-형상의 본체의 레그(7, 8)는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게 본체(5)에서 안내되는 충돌체(10)가 제공되며, 충돌체(10)의 종료 위치가 정지 요소(7)를 통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5)는 U-형상의 기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5. 제13항 및 제14항에 있어서, U-형상의 본체(5)는, 충돌체(10)가 안내되는, 두 개의 레그(7, 8)를 연결하는 가이드 바(9)를 두 개의 U-레그들(7, 8) 사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6. 제15항에 있어서,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에서 전방에 배열된 레그(7)는 정지 요소를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후방에 배열된 레그(8)는 후퇴 위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또는 분해 중에,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서 본체(5)를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가이드 유닛(25)이 특히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본체(5)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8. 제17항에 있어서, 가이드 유닛(25)은, 조립 또는 분해될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캐리어(3)의 홈(4) 내에 결합되어 홈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구성된, 본체(5)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19. 제18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26)은 홈(4)을 향한 자신의 단부 영역에서 롤러(27a, 27b)를 지지하며, 특히 가이드 레일(26)은 적어도 홈(4)과 결합되는 자신의 단부 영역에서 롤러(27a)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1).
  20. 캐리어(3), 특히 가스 터빈의 터빈 가이드 베인 캐리어에 장착 및/또는 고정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 방법이며,
    상기 방법에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조 장치(1)가, 자신의 하부 측에 제공된 지지면(11)에 의해, 캐리어(3)로부터 멀리 향한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외측과 접촉되며, 보조 장치(1)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홀딩 장치(18), 특히 리프팅 아이(23)가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에서 볼 때 본체(5)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인장 수단(28), 특히, 케이블이 홀딩 장치(18), 특히 리프팅 아이(23)와 연결되며, 보조 장치(1)를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으로 당기기 위해 인장 수단(28)이 인장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인장 수단(28)에 의해 제공된 인장력을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에서 보조 장치(1)의 전방에는 편향 수단(30), 특히 다른 리프팅 아이(30)가 캐리어(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으로 각각의 타격 시에 충돌체(10)의 충격이 본체(5)를 통해 가이드 링 세그먼트(2) 상으로 전달되도록, 하나 이상의 충돌체(10)가,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7, 8, 29)에 대해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망치가 충돌체로서 사용되며, 충돌체는 특히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29)에 대해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을 따라 본체(5)에서 안내되고 전진 및 후진 운동하는 충돌 중량(10)이 사용되며, 충돌체(10)는 전진 운동 시에, 본체에 고정된 정지 요소(7, 8)에 대해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5)에 고정된 가이드 수단(25)은, 보조 장치(1)를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지지하고 장착 방향 또는 해체 방향(X)을 따라 안내하기 위해, 해체되거나 장착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캐리어(3)의 홈(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링 세그먼트(2)의 조립 및/또는 분해 방법.
KR1020157010876A 2012-10-30 2013-10-01 보조 장치 KR101679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0629.1A EP2728130A1 (de) 2012-10-30 2012-10-30 Hilfsvorrichtung
EP12190629.1 2012-10-30
PCT/EP2013/070430 WO2014067736A1 (de) 2012-10-30 2013-10-01 Hilf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508A true KR20150058508A (ko) 2015-05-28
KR101679526B1 KR101679526B1 (ko) 2016-11-24

Family

ID=4732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876A KR101679526B1 (ko) 2012-10-30 2013-10-01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20657B2 (ko)
EP (2) EP2728130A1 (ko)
KR (1) KR101679526B1 (ko)
CN (1) CN104769234B (ko)
WO (1) WO2014067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9001B2 (ja) * 2015-08-03 2020-01-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組立体製造装置及び組立体製造方法
US10472990B2 (en) * 2016-11-08 2019-11-12 General Electric Company Nozzle maintenance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720Y1 (ko) * 2003-12-04 2004-03-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의 회전날개 분리기구
EP2107219A1 (de) * 2008-04-03 2009-10-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scheibensegment und Leitschaufelträger für ein horizontal geteiltes Turbomaschinengehäuse
US8677591B2 (en) * 2008-04-28 2014-03-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 for disassembling a machine
US8381379B2 (en) * 2009-04-17 2013-02-26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tools for use with compressors
GB2489003B8 (en) * 2011-03-15 2013-08-07 Rolls Royce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aerofoil structure from a casing section of a rotary machine
US8757962B2 (en) * 2011-06-16 2014-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shroud block in a casing
US8826520B1 (en) * 2012-07-26 2014-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extracting a rotor from a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7736A1 (de) 2014-05-08
CN104769234B (zh) 2016-06-15
EP2904219B1 (de) 2020-09-16
EP2904219A1 (de) 2015-08-12
CN104769234A (zh) 2015-07-08
US9920657B2 (en) 2018-03-20
EP2728130A1 (de) 2014-05-07
KR101679526B1 (ko) 2016-11-24
US20150292364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4969B2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及びそのブラケット
US7963054B2 (en) Coupling configuration with a device for connecting energy transmission lines
JP2017038034A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及びそのブラケットデバイス
KR101679526B1 (ko) 보조 장치
RU2018138470A (ru) Быстросменный посадоч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узел или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узел и моторизова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прежде всего мотороллер
PL68002Y1 (pl) Urządzenie regulacyjne panelu szuflady
KR101552536B1 (ko) 낙하물 방지 장치
CA2735723A1 (en) Quick release mounting assembly
CA2610279A1 (en) Tool fastening device for a wedge drive
US20110158742A1 (en) Connection assembly
JP5247849B2 (ja) 引出形遮断器挿入/引出装置
KR101918503B1 (ko) 암벽 절단기의 견인대 지지용 서포터와 이를 구성한 암벽 절단기의 암
RU2010134879A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екции желоба добы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екция желоба и навесная часть для нее
KR20160061162A (ko) 그리퍼 통합형 레일 돌리
GB2516471A (en) Clamping Wire Fence Material
CN117444592B (zh) 插拔销装置及作业机械
KR101809406B1 (ko) 굴삭기용 다기능 집게장치
KR101354934B1 (ko) 연주 세그먼트의 해체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조립방법
JP2008094162A (ja) 自動車ボディの鈑金用牽引装置
CN213247621U (zh) 一种不锈钢橱柜型材的组装装置
JP6552379B2 (ja) トラクタ、及び、フロントローダ
CN216444536U (zh) 一种应用于挂具输送轨道的阻挡器
CN220605677U (zh) 一种抽油机电机电动移位装置
CN218376423U (zh) 一种皮带抽油机移机装置及皮带抽油机
CN105201519A (zh) 一种台车推进梁护道板的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