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943A -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943A
KR20150057943A KR1020140074080A KR20140074080A KR20150057943A KR 20150057943 A KR20150057943 A KR 20150057943A KR 1020140074080 A KR1020140074080 A KR 1020140074080A KR 20140074080 A KR20140074080 A KR 20140074080A KR 20150057943 A KR20150057943 A KR 2015005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connector
insulat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228B1 (ko
Inventor
히로아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복수회 접속한 경우에서도 고정금구와 플러그 커넥터를 견고하게 결합가능하면서, 커넥터가 소형화한 경우에서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대한 고정금구의 고정강도가 우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서트성형에 의한 고정금구(37)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를 일체화하여 고정금구가 자유상태에서 외주벽(52)의 내주측의 표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이격하는 탄성접촉편(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Receptac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탑형 PC(퍼스널 컴퓨터), 노트형 PC,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 혹은 태블릿형 PC 등의 전자기기와 전기기기는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을 실장된 회로기판과 다른 전자부품을 실장된 다른 회로기판을 내장하고 있다.
특허문헌 1,2의 커넥터는 상기한 두 개의 회로기판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회로기판(리지드 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다른 회로기판(리지드 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한 쌍의 고정금구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는 환상의 외주벽과 외주벽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요부를 구비한다.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된다. 한 쌍의 고정금구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고정공에 압입되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금구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접촉편을 구비한다.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실장되며, 고정금구는 해당실장면에 형성된 접지패턴에 실장된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한 쌍의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구비한다. 플러그 인슐레이터는 상기 결합요부에 결합가능한 환상의 결합돌출부를 구비한다. 각 플러그 컨택트는 회로기판의 실장면의 회로패턴에 실장되며,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해당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실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요부에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돌출부를 결합(접속)하면, 각 플러그 컨택트가 각 리셉터클 컨택트에 각각 접촉하면서 리셉터클 커넥터측의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플러그 커넥터측의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은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되면, 고정금구의 탄성접촉편에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접촉되며, 고정금구와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결합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고정금구의 탄성접촉편에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접촉했을 때에 작업자가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고정금구가 탄성 접촉편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한 후에 양자를 분리하고, 그 후에 재차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시켜도 고정금구와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즉, 고정금구 및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탄성접촉편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1회 접속하는 것만으로 고정금구 및(또는)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상처를 입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만일 고정금구 및(또는)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상처를 입거나 파손되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한 후에 양자를 분리하고 그 후에 재차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의 고정금구와 플러그측 고정금구의 결합력이 저하되므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 유지력이 저하되거나 작업자가 클릭감을 느끼지 못할 우려가 있다.
JP 2013-206771 A JP 5250450 B
최근 전자기기와 전기기기의 박형화에 따라서 커넥터의 소형화(특히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고정금구도 소형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2와 같이 고정금구를 압입에 의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고정하는 구조에서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고정공)에 대한 고정금구의 고정강도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만일 고정강도가 작아지면, 리셉터클 커넥터의 회로기판에 대한 박리강도,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사이의 결합유지력 및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할 때에 작업자가 느끼는 클릭감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고정공의 주변부 등의) 형상이 복잡해지면서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탄성이 저하되기 쉽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변형과 파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더욱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형상이 복잡화하기 때문에 수지의 유동성(성형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생산성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복수로 접속시킬 경우에도 고정금구와 플러그 커넥터를 견고하게 결합가능하면서, 커넥터가 소형화된 경우에서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대한 고정금구의 고정강도가 우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내주측에 결합요부를 형성하는 환상의 외주벽을 가진 수지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대하여 실장가능하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하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요부에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플러그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실장가능하며 해당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고정금구에 접촉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가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화되고, 상기 고정금구가 자유상태에서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이격되는 탄성접촉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주벽은 한 쌍의 단변구성부와 한 쌍의 장변구성부를 가진 구형형상이며, 상기 고정금구는 상기 단변구성부에 고정된 해당 단변구성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변측 고정부와 해당 단변측 고정부의 양단부에서 해당 외주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장변구성부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장변측 고정부와 한 쌍의 상기 장변측 고정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기 탄성접촉편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결합요부에 상기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상기 단변측 접촉편과, 한 쌍의 상기 탄성접촉편에 접촉하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는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요부에 상기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환형을 이루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와, 해당 결합돌출부가 상기 결합요부에 상기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접촉하는 경사안내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주측에 결합요부를 형성하는 환상의 외주벽을 가진 수지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대하여 실장가능하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하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요부에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플러그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실장가능하며 해당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고정금구에 접촉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성형금형에 의해 상기 고정금구의 탄성접촉편을 외주측에 탄성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의 형상을 상기 탄성접촉편에 의해 규정하면서 인서트성형에 의해 상기 고정금구의 상기 고정부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일체화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금형을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상기 고정금구에서 분리하여 상기 탄성접촉편을 자유상태에서 복귀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탄성접촉편을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에서 내주측에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고정금구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를 소형화한 경우에 있어서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고정금구의 고정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고정금구용 고정공들을 성형하는 경우에 비하여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금구 근방의 탄성이 높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변형과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금구가 자유상태에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이격되는 탄성접촉편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할 때에 양자를 분리하고 그 후에 재차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결합하고 제거하여도 고정금구와 플러그 커넥터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성형금형에 의해 고정금구의 탄성접촉편을 외주측에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을 수행하므로,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의 형상을 탄성접촉편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금형을 리셉터클인슐레이터 및 고정금구에서 분리하여 탄성접촉편을 자유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에 의해 탄성접촉편을(강화한)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면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의 형상이 탄성접촉편에 의해 규정되므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저면)에 관통공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의 형상을 탄성접촉편에 의해 규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금형과 다른 성형금형으로 탄성접촉편을 끼워넣으면서 인서트성형을 수행하여, 상기 다른 성형금형에 의해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의 형상을 규정하게 된다. 그러나 본 제조방법에서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가 강화했을 때에, 상기 다른 성형금형에 의해 리셉터클 인슐레터(의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만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저면)에 관통공을 형성하면 고정금구의 탄성접촉편과(리셉터클 커넥터를 실장하는) 회로기판을 절연하기가 어려워지거나 리셉터클 인슐레티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3은 접속상태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플러그 커넥터의 상하를 반전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의 상하를 반전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8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면도.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단면도.
도 10은 도 8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고정금구의 인서트성형시의 도 11에 해당하는 단면도로서, 리셉터클 커넥터, 상형 및 하형의 후반부는 금형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리셉터클 커넥터, 상형 및 하형의 전반부는 금형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접속상태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도 10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15는 접속상태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도 11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16은 비교 예로서 도 12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17은 제 1의 변형 예로서 도 13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18은 제 2의 변형 예로서 도 13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19는 제 3의 변형 예로서 도 13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20은 제 4의 변형 예로서 고정금구의 측면도.
도 21은 제 5의 변형 예로서 도 12에 해당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하의 설명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구비한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15)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4,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15)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6)와 다수의 플러그 컨택트(25)와 두개의 플러그측 고정금구(28)로 크게 구성된다. 이 플러그 커넥터(15)는 도시를 생략한 플러그용 성형금형을 이용한 인서트성형에 의해 전체가 일체화된 것이다.
플러그 인슐레이터(16)는 절연성과 내열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판상부재이다. 플러그 인슐레이터(16)는 상단부를 구성하는 천정판부(17)와 천정판부(17)의 하면의 주연부 전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환상벽으로 구성된 결합돌출부(18)를 구비한다. 천정판부(17)와 결합돌출부(18)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결합요부(19)를 구성한다. 결합돌출부(18)의 전벽 및 후벽에는 전후양면 및 하면에 걸치는 U자형의 단면을 가진 컨택트 고정구(21)가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 요설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결합돌출부(18)의 좌우양측부의 표면에는 금구고정용 요부(22)가 각각 요설되어 있다(도 5 참조).
각 플러그 컨택트(25)는 탄성을 가진 동합금(예를 들어 인청동, 베릴륨도, 티탄동, 콜슨동)의 박판을 도시된 형상이 되도록 스탬핑 성형한 것이며, 표면에는 금과 주석 등으로 도금이 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25)는 U자형 단면을 가진 본체부의 내측 부분을 이루면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접촉편(26)과, 본체부의 외측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테일편(27)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 컨택트(25)는 테일편(27)을 제외한 부분이 컨택트고정구(21)에 매설되어 있다.
각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금속판을 도시된 형상으로 스탬핑 성형한 것으로서 표면에는 금과 주석 등으로 도금이 되어 있다.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기편(29)과, 기편(29)의 주연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단부고정편(30)과, 기편(29)의 주연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접촉편(31A)과, 접촉편(31A)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테일편(31B)과, 각 접촉편(31A)의 표면에서 돌출된 결합돌기(32)를 구비한다. 단부고정편(30)과 기편(29)의 접속부는 R면(30a)에 의해 구성되며, 한 쌍의 접촉편(31A)과 기편(29)의 접속부는 R면(31a)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단부고정편(30)는 상단부에 한 쌍의 빠짐 방지 돌기(30b)가 구비되어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의 착탈을 반복해도 단부고정편(30)이 플러그 인슐레이터(16)에서(아래 방향으로) 탈락되지 않는다. 또한, 기편(29)을 중심으로 R면(30a)의 반대측에도 R면(29a)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테일편(31B)의 상단부는 천정판부(17)의 상단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15)는 회로기판(34)(리지드기판. 플러그측 회로기판. 도 1 참조)의 일측면에 형성된 실장면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플러그 컨택트(25)의 테일편(27)을 회로기판(34)의 실장면(하면)에 형성된 회로패턴(미도시)에 납땜을 하고, 각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테일편(31B)을 해당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패턴(미도시)에 납땜한다(소위 스트레이트(ST) 접속). 회로기판(34)의 실장면에는 플러그 커넥터(15)와는 다른 전자부품(예를 들어, 고기능용 모듈과 반도체, 대용량메모리 등)을 실장한다.
계속해서 리셉터클 커넥터(35)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1, 도 2 및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35)는 한 쌍의 고정금구(37)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와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60)로 크게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고정금구(37)는 전후 대칭인 형상이다. 각 고정금구(37)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며, 표면은 금과 주석 등으로 도금이 되어 있다.
고정금구(37)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단변측 고정부(38)와, 단변측 고정부(38)의 양단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장변측 고정부(39)와, 장변측 고정부(38)와 장변측 고정부(38)의 외주연부에서 각각 하향 형성된 단변측 테일편(40) 및 장변측 테일편(41)과, 단변측 고정부(38) 및 장변측 고정부(39)의 내주연부에서 각각 하향 형성된 고정돌출편(42) 및 탄성접촉편(43)으로 구성된다. 탄성접촉편(43)의 단면은 구형이며(도 13 참조), 탄성접촉편(43)의 내면에는 결합요부(44)가 요설되어 있다. 또한 고정돌출편(42)의 단변측 고정부(38)측의 단부는 R면(42a)에 의해 구성되며, 한 쌍의 탄성접촉편(43)의 장변측 고정부(39측)의 단부는 R면(43a)에 의해 구성된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는 동시에 금속제 상형(UM)(성형금형)과 하형(DM)(성형금형) (도 12 참조)을 이용한 인서트성형에 의해 한 쌍의 고정금구(37)와 일체화된 것이다.
상형(UM)의 하면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하면의 좌우양단 근방에는 전후 한 쌍의 금구 대응 요부(UM1)가 요설되어 있다(또한 후술하는 외주벽(52), 결합출돌부(53), 결합요부(54), 컨택트 고정구(56), 변형허용구(57) 등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하형(DM)의 상면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상면의 좌우양단 근방에는 전후 한 쌍의 금구 대응 요부(DM1)가 요설되어 있다(또한 후술하는 저판부(51), 외주벽(52), 컨택트 고정구(56), 변형허용구(57) 등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금구(37)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를 인서트할 때에는 먼저, 각 캐리어(미도시)에 연결된 고정금구(37)의 장변측 테일편(41)의 하단부를 금구 대응 요부(DM1)에 결합(도 12의 하형 (DM)의 후반부를 참조)하면서 하형(DM)의 상면에 한 쌍의 고정금구(37)를 올려놓고, 하형(DM)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형(UM)을 하강시켜서, 상형(UM)의 하면을 하형(DM)의 상면에 접촉시킨다(금형을 닫는다). 그러면 상형(UM)의 각 금구 대응 요부(UM1)가 자유상태인 고정금구(37)의 대응하는 장변측 고정부(39), 장변측 테일편(41) 및 탄성접촉편(43)의 상방에서 결합하고, 각 탄성접촉편(43)을 대향하는 장변측 테일편(41)측에 탄성변형시킨다(도 12의 상형(UM)의 후반부를 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형(UM)과 하형(DM)의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절연성 및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의 구성재료)를 사출주입하고, 해당 성형공간 내에서 해당 합성수지재료를 경화시킨다. 해당 합성수지재료가 경화한 후에 하형(DM)과 상형(UM)을 개방하고(도 12의 상형(UM) 및 하형(DM)의 전후부를 참조), 고정금구(37)를 상기 캐리어에서 절단시키면(후술하는 리셉터클 컨택트(60)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에 압입한 후에 절단하여도 좋다), 한 쌍의 고정금구(37)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의 일체물이 나타난다.
완성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는 도 6 내지 도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는 하부를 구성하는 저판부(51)와, 저판부(51)의 상면의 주연부 전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평면에서 볼 때 구형의 환상벽으로 이루어진 외주벽(52)과, 저판부(5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53)를 구비한다. 외주벽(52)은 좌우 한 쌍의 단변구성부(52a)와 좌우의 단변구성부(52a)의 전후 양단에 접속되는 전후 한 쌍의 장변구성부(52b)를 구비한다. 단변구성부(52a)의 내면에는 전후 한 쌍의 접촉돌출부(52a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외주벽(52)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이격 형성된 결합돌출부(53)는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단의 상단부는 R면(5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돌출부(53)의 좌우 양단면은 아래로 갈수록 대향하는 단변구성부(52a)측으로 형성된 경사 안내면(5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주벽(52)과 결합독출부(5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환상의 결합요부(54)를 구성한다.
외주벽(52)의 좌우 양단부의 표면에는 고정금구(37)의 단변측 고정부(38)(고정부), 장변측 고정부(39)(고정부), 단변측 테일편(40)(고정부), 장변측 테일편(41)(고정부) 및 고정돌출편(42)(고정부)이 매설된 금구고정구(55)가 요설된다.(단변측 고정부(38)는 단변구성부(52a)에 고정되고, 장변측 고정부(39)는 장변구성부(52b)에 고정되며, 고정돌출편(42)은 외주벽(52)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또한, 전후의 장변구성부(52b)의 좌우 양단부의 내주면에는 탄성접촉편(43)과 대응되는 형상(단면구형, 도 13 참조)을 이루면서 금구고정구(55)와 연속하는 수납구(55a)가 요설되어 있다. 하형(DM)과 상형(UM)이 닫혀있을 때는(금형을 개방하기 전), 도 12의 후반부,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각 탄성접촉편(43) 전체가 수납구(55A) 내에 위치하며(탄성접촉편(43)의 수납구(55a)와의 대향면 전체가 수납구(55a)의 내면에 접촉하여), 각 탄성접촉편(43)의 내면은 외주벽(52)의 내주면과 매끄럽게 연속한다. 그러나 하형(DM)과 상형(UM)을 금형을 개방하면, 각 고정금구(37)의 탄성접촉편(43)이 자유상태에서 탄성복귀하여 탄성접촉편(43)이 수납구(55a)의 내면에서 내주측으로 원활하게 박리되기 때문에, 도 11 및 도 12의 전반부에 나타낸 것처럼 각 탄성접촉편(43)의 일부는 수납구(55a) 내에 남고, 각 탄성접촉편(43)의 내면은 외주벽(52)의 내주면에서 내주측으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이격된다. 또한 고정금구(37)의 단변측 테일편(40) 및 장변측 테일편(41)의 하단부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의 하면 보다 조금 하방으로 돌출된다.
외주벽(52) 전후의 장변구성부(52b)는 좌우 양단부를 제외하고 전벽(52c)과 후벽(52d)에 의해 구성된다. 전벽(52c)의 후면 및 후벽(52d)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컨택트고정구(56)가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플러그 컨택트(25)와 같은 수) 요설된다. 또한, 결합돌출부(53)의 직전에 위치하는 저판부(51)의 저면과 결합돌출부(53)의 전면에 걸쳐지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전벽(52C)의 컨택트고정구(53)와 연속하는 변형허용구(57)가 요설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결합돌출부(53)의 직후에 위치하는 저판부(51)의 저면과 결합돌출부(53)의 후면에 걸쳐지는 부분에도 대응하는 후벽(52d)의 컨택트고정구(56)와 연속하는 변형허용구(57)가 요설되어 있다(도 6, 도 7, 도 10 참조).
각 리셉터클 컨택트(60)는 플러그 컨택트(25)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되며, 수평인 테일편(6)과 테일편(61)의 내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편(62)과 고정편(62)의 상단부에 연속하는 S자 형상의 탄성접촉편(63)을 구비한다. 각 리셉터클 컨택트(60)는 고정금구(37)와 일체화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의 하방에서 각 컨택트 고정구(56) 및 각 변형허용구(57)로 삽입하고, 고정편(62)을 컨택트고정구(56)에 압입(고정)하여, 고정금구(37)와 일체화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에 설치된다. 리셉터클 컨택트(60)(고정편(62))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컨택트 고정구(56))에 고정하면, 탄성접촉편(63)이 변형용상구(57)의 내면에서 이격되므로, 탄성접촉편(63)은 변형허용구(57) 내에서 탄성변형 가능하다(도 10, 도 14 참조). 아울러, 각 리셉터클 컨택트(60)의 테일편(61)은 저판부(51)의 하면의 하방에 위치한다(도 10, 도 14 참조).
이와 같은 구조의 리셉터클 커넥터(35)는 회로기판(34)과 평행한 판재인 회로기판(70)(리지드기판.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패턴(미도시)에 각 리셉터클 컨택트(60)의 테일편(61)을 납땜하고 해당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패턴에 각 고정금구(37)의 단변측 테일편(40) 및 장변측 테일편(41)의 하단부를 납땜하여 회로기판(70)에 고정(실장)한다(도1 참조) (소위 스트레이트(ST) 접속). 회로기판(70)의 실장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5)와는 다른 전자부품(예를 들어 CPU, 컨트롤러, 메모리 등)이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는 이하의 방법으로 접속된다. 먼저 도 1,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서로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일치시키면서 상하방향으로 대향시킨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5)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결합돌출부(18)를 결합요부(54)에 결합하고, 결합요부(19)를 결합돌출부(53)에 결합한다(도 3, 도 14, 도 15참조). 그러면 각 플러그 컨택트(25)의 접촉편(26)이 대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60)의 탄성접촉편(6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탄성접촉편(63)에 각각 접촉하게 되며 플러그 컨택트(25) 및 리셉터클 컨택트(60)를 사이에 두고 회로기판(34)과 회로기판(70)이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좌우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단부고정편(30)의 전후 빠짐 방지 돌기(30b)가 단변구성부(52a)의 전후의 접촉돌출부(52a1)에 접촉됨(고정돌출편(42)과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이격된다)과 동시에 각 접촉편(31A)이 대응하는 탄성접촉편(43)을 장변측 테일편(41)측(외주측)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대응하는 탄성접촉편(43)에 접촉되고, 각 결합돌기(32)가 대응하는 결합요부(44)에 결합된다(도 15참조).
또한, 플러그 커넥터(15)의 플러그측 고정금구(28)가 R면(29a), R면(30a) 및 한 쌍의 R면(31a)을 가지는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35)가 결합돌출부(53)의 R면(53a) 및 경사안내면(53b) 및 고정금구(37)의 R면(42a) 및 한 쌍의 R면(43a)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35)에 플러그 커넥터(15)가 결합될 때에, 플러그커넥터(15)의 R면(29a), R면(30a) 및 R면(31a)을 리셉터클 커넥터(35)의 R면(53a)(및 경사안내면(53b), R면(42a), 및 R면(43a)에 각각 접촉시키면, R면(29a)과 R면(53a)(및 경사안내면(53b), R면(30a)과 R면(42a) 및 R면(31a)과 R면(43a)이 서로 안내작용을 발휘한다. 더욱이 플러그 커넥터(15)의 단부고정편(30)의 전후 빠짐 방지 돌기(30b)가 수지제의 접촉돌출부(52a1)에 접촉(접접)한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15)를 리셉터클 커넥터(35)에 대하여 원활하게 결합 삽입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35)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고정금구(37)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커넥터(10)(리셉터클 커넥터(35))를 소형화한 경우에 있어서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에 대한 고정금구(37)의 고정강도가 우수하다. 이 때문에, 커넥터(10)(리셉터클 커넥터(35))가 소형화된 경우에도 리셉터클 커넥터(35)의 회로기판(70)에 대한 박리강도 및 플러그측 고정금구(28)(플러그 컨택트(25))와 고정금구(37)(리셉터클 커넥터(35)) 사이에 결합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정금구(37)의 탄성접촉편(43)은 자유상태에서 외주벽(52)의 수납구(55a)의 표면(외주벽(52)의 내주측의 표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이격되어 그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35)와 플러그 컨넥터(15)를 접속한 후에 양자를 분리하고 그 후에 재차 리셉터클 커넥터(35)와 플러그 커넥터(15)를 접속하여도 고정금구(37)와 플러그측 고정금구(28)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35)는 상형(UM)(의 금구대응요부(UM1))에 의해 고정금구(37)의 탄성접촉편(43)을 외주측에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인서트성형을 수행하여 장변구성부(52b)의 좌우 양단부의 내주측의 표면의 형상을 탄성접촉편(43)(의 장변측 테일편(41)과의 대향면)에 의해 규정하면서 외주벽(52)을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인서트성형 후에 상형(UM)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결합요부(54))에서 뽑아내어 탄성접촉편(43)을 자유상태로 복귀시켜 탄성접촉편(43)을(경화시킨) 외주벽(52)의 수납구(55a)의 표면(외주벽(52)의 내주측의 표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이격시킨다.
이와 같이 장변구성부(52b)의 좌우 양단부의 내주측의 표면의 형상이 탄성접촉편(43)(의 장변측 테일편(41)과의 대향면)에 의해 규정되어 있으므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의 저면부(51))에 관통공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외주벽(52)의 장변구성부(52b)의 좌우 양단부의 내주측의 표면(수납구(55a)의 표면)의 형상이 탄성접촉편(43)에 의해 규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하형(DM)과는 다른 타입의 하형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 하형의 상면에는 전후 한 쌍의 돌기가 위를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있고, 인서트 성형시에는 한 쌍의 돌기를 전후의 탄성접촉편(43)의 장변측 테일편(41)과의 대향면에 접촉시키(해당 돌기와 상형(UM)과의 사이에서 탄성접촉편(43)을 전후로 끼워넣는다)고, 장변측 테일편(41)과 돌기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인서트성형을 실행하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가 장변측 테일편(41)과 돌기의 사이로 흐르기 때문에.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장변측 테일편(41)과 돌기의 사이에 외주벽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 제조방법에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가 경화되었을 때에 상기 하형의 돌기에 의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저판부에 관통공이 형성된다(도 16 참조).
그러나 만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저판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면, 고정금구(37)의 탄성접촉편(43)과 회로기판(70)을 절연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외주벽(의 탄성접촉편(43)과 대향하는 위치)이 본 실시형태의 외주벽(52)(의 탄성접촉편(43)과 대향하는 위치)보다 얇아지기 때문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외주벽(52)(의 탄성접촉편(43)과 대향하는 위치)에 의한 고정금구(37)의 지지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외주벽(의 탄성접촉편(43)과 대향하는 위치)이 얇아지면, 해당 부분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유동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형상을 정밀하게 성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35)의 제조방법에서는 이러한 불편이 발생한 우려가 없다.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35)의 고정금구(37)의 평면형상이 대략 'コ'자 형상이므로, 직선형상의 것(예를 들어 단변측 고정부(38) 및 단변측 테일편(40)에 해당하는 부위만을 가진 형상)과 비교할 때,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에 대하여 고정금구(37)의 고정강도가 크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35)는 R면(53a), 경사안내면(53b), R면(42a) 및 R면(43a)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커넥터(10)(리셉터클 커넥터(35))를 소형화한 경우에도, 고정금구(37)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에서 박리될 우려가 적고,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다양한(평면시에서) 각도에서 원활하게 결합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에 대하여 고정금구(37)의 고정강도가 크므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의 결합시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의 양단부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5)에 플러그측 고정금구(28)가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28)가 리셉터클 커넥터(35)의 고정금구(37)에 접촉되므로, 플러그 커넥터(15)에서 플러그측 고정금구(28)를 생략하여 플러그 인슐레이터(16)를 고정금구(37)에 접촉시킬 경우와 비교하여, 고정금구(37)의 접촉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5)(플러그 인슐레티어(16))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적다.
더욱이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고정금구(37)가 서로 접속하므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가 접속할 때에, 작업자의 손등에서 플러그 커넥터(15)에 흐르는 정전기를 플러그측 고정금구(28) 및 리셉터클 고정금구(37)를 사이에 둔 회로기판(70)의 상기 접지패턴측에 의도적으로 흘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고정금구(37)에 전해지는 정전기가 방전되어 리셉터클 컨택트(60)(및 회로기판(70)의 상기 회로패턴)에 흘러 회로기판(70)(및 회로기판(34)에 접속한 전기부품 등을 정전 파괴할 우려가 적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접속시킨 후에,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고정금구(37)에 접지 때문에 전류를 흘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고정금구(37)를 회로기판(34)과 회로기판(70)의 회로패턴에 실장하면,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접속시킨 후에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고정금구(37)에 전원 등의 수 암페어정도의 전류를 흘리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각 접촉편(31A)이 탄성접촉편(43)에 접촉했을 때에 탄성접촉편(43)이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15)가 리셉터클 커넥터(35) 내에서 미세하게 움직인다고 해도 접촉편(31A)과 탄성접촉편(43)의 접촉상태는 유지된다.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고정금구를 압입하기 위한 고정공 등을 형성시키는 경우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저판부에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경우와 비교해서) 외주벽(52)의 탄성이 높고, 장변측 테일편(41)의 탄성이 높으므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고정금구를 압입하기 위한 고정공들을 형성시키거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저판부에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탄성접촉편(43)의 접촉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기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금구(37'),(37'').(37''')의 탄성접촉편(43'),(43''),(43''')의 단면 형상을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탄성접촉편(43'),(43''),(43''')은 인서트성형을 완료한 뒤에 하형(DM)과 상형(UM)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각 고정금구(37'),(37'').(37''')의 탄성접촉편(43'),(43''),(43''')을 자유상태로 원활하게 탄성 복귀시키기 쉬운(탄성접촉편(43'),(43''),(43''')이 수납구(55a'),(55a''),(55a''')의 내면에서 원활하게 박리하기 쉽다)형상이다. 이 때문에 만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점성이 다소 높은 경우에서도 탄성접촉편(43'),(43''),(43''')을 자유상태에서 탄성 복귀시키기 쉽다(탄성접촉편(43'),(43''),(43''')을 수납구(55a'),(55a''),(55a''')의 내면으로부터 박리시키기가 쉽다).
더욱이 고정금구(37'),(37'').(37''')의 프레스 성형시에 탄성접촉편(43'),(43''),(43''')의 좌우 양단면을 거칠게 성형한 후에, 이 좌우 양단면을 연마가공에 의해 평활면(에 가까운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인서트성형이 완료한 후에 하형(DM)과 상형(UM)을 개방했을 때에, 탄성접촉편(43'),(43''),(43''')을 자유상태로 탄성복귀시키기가 쉬어진다(탄성접촉편(43'),(43''),(43''')을 수납구(55a'),(55a''),(55a''')의 내면으로부터 박리시키기 쉬어진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형상의 고정금구(37'')를 채용하여도 좋다.
이 고정금구(37'')는 자유상태에서 장변측 고정부(39)의 장변측 테일편(41)과 반대측의 단부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부(45)와 자유상태에서 경사부(45)의 하단부에서 아래로 향하여 연장된 하부경사부(46)를 구비하며, 하부경사부(46)의 표면에는 결합요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금구(37'')를 채용한 경우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낸 변형 예의 성형금형은 상형(UM)의 형상을 일부 변경한 상형(UM')과 전후 한 쌍의 중간형(MM)과 하형(DM)을 구비한다. 상형(UM')은 고정금구(37)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형(UM)에 비하여 짧다.
이 성형금형을 이용하여 고정금구(37)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50)의 일체물을 인서트 성형할 경우에는 고정금구(37)의 전후 양측에 배치한 한 쌍의 중간형(MM)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중간형(MM)을 전후의 고정금구(37)의 외면에 접촉시키면서 전후의 중간형(MM)의 상하 양면을 상형(UM')과 하형(DM)에 끼워 넣는다.
인서트성형이 완료되면, 상형(UM')과 하형(DM)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전후의 중간형(MM)을 각각 전후(이격방향)으로 이동시켜 금형을 개방한다.
이 변형 예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리셉터클 커넥터(35)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5)에서 플러그측 고정금구(28)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9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의 한 쌍을 대응하는 회로기판에 직각(AR) 형태로 접속시켜도 좋다.
아울러 리지드기판 이외의 회로기판(예를 들어 FPC(플렉시블 프린트회로기판))을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에 접속시켜도 좋다.
10...커넥터 15...플러그 커넥터
16...플러그 인슐레이터 17...천정판부
18...결합돌출부 19...결합요부
21...컨택트 고정구 22...금구고정용 요부
25...플러그 컨택트 26...접촉편
27...테일편 28...플러그측 고정금구
29...기판 29a...R면
30...단부고정편 30a...R면
30b...빠짐 방지 돌기 31A...접촉편
31B...테일편 31a...R면
32...결합돌기 34...회로기판(플러그측 회로기판)
35...리셉터클 커넥터 37,37',37''.37'''...고정금구
38...단변측 고정부(고정부) 39...장변측 고정구(고정부)
40...단변측 테일편(고정부) 41...장변측 테일편(고정부)
42...고정돌출편(고정부) 42a...R면
43,43',43'',43'''...탄성접촉편 43a...R면
44...결합요부 45...경사부
46...하부경사부 50...리셉터클 인슐레이터
51...저판부 52...외주벽
52a...단변구성부 52a1...접촉돌출부
52b...장변구성부 52c...전벽
52d...후벽 53...결합돌출부
53a...R면 53b...경사안내면
54...결합요부 55...금구고정구
55a,55a',55a'',55a'''...수납구 56...컨택트 고정구
57...변형허용구 60...리셉터클 컨태트
61...테일편 62...고정편
63...탄성접촉편 70...회로기판(회로기판)
DM...하형(성형금형) DM1...금구대응요부
MM...중간형(성형금형) UM UM'...상형(성형금형)
UM1...금구대응요부

Claims (5)

  1. 내주측에 결합요부를 형성하는 환상의 외주벽을 가진 수지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대하여 실장가능하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하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요부에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플러그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실장가능하며 해당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고정금구에 접촉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가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화되고,
    상기 고정금구가 자유상태에서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이격되는 탄성접촉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은 한 쌍의 단변구성부와 한 쌍의 장변구성부를 가진 구형형상이며,
    상기 고정금구는 상기 단변구성부에 고정된 해당 단변구성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변측 고정부와, 해당 단변측 고정부의 양단부에서 해당 외주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장변구성부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장변측 고정부와, 한 쌍의 상기 장변측 고정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기 탄성접촉편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결합요부에 상기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상기 단변측 접촉편과,
    한 쌍의 상기 탄성접촉편에 접촉하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는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요부에 상기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환형을 이루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와,
    해당 결합돌출부가 상기 결합요부에 상기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접촉하는 경사안내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내주측에 결합요부를 형성하는 환상의 외주벽을 가진 수지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대하여 실장가능하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하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요부에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결합돌출부를 결합했을 때에 플러그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실장가능하며 해당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고정금구에 접촉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성형금형에 의해, 상기 고정금구의 탄성접촉편을 외주측에 탄성변형시키는 단계;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의 형상을 상기 탄성접촉편에 의해 규정하면서, 인서트성형에 의해 상기 고정금구의 상기 고정부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일체화하는 단계;
    상기 성형금형을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상기 고정금구에서 분리하여 상기 탄성접촉편을 자유상태에서 복귀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탄성접촉편을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의 표면에서 내주측에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140074080A 2013-11-19 2014-06-18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1610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9003 2013-11-19
JP2013239003A JP5881666B2 (ja) 2013-11-19 2013-11-19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43A true KR20150057943A (ko) 2015-05-28
KR101610228B1 KR101610228B1 (ko) 2016-04-20

Family

ID=5317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080A KR101610228B1 (ko) 2013-11-19 2014-06-18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31406B2 (ko)
JP (1) JP5881666B2 (ko)
KR (1) KR101610228B1 (ko)
CN (1) CN1046595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56A (ko) * 2017-04-24 2018-11-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20190005266A (ko) * 2017-07-05 2019-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의 냉각 구조
KR20210004828A (ko) * 2019-07-04 2021-01-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2794B2 (ja) * 2014-08-07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56835B2 (ja) * 2014-11-14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287977B2 (ja) * 2015-06-30 2018-03-07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CN106356656A (zh) * 2015-07-17 2017-01-2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CN105048179A (zh) * 2015-08-04 2015-11-11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插头连接器及板对板插座连接器
KR102030023B1 (ko) * 2015-08-05 2019-10-0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플러그 커넥터
JP6709990B2 (ja) * 2016-04-28 2020-06-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CN106099618B (zh) * 2016-06-17 2018-08-28 东莞昆嘉电子有限公司 USB Type-C插座连接器的生产组装方法
JP1579148S (ko) * 2016-09-07 2017-06-19
JP1579150S (ko) * 2016-09-07 2017-06-19
JP6399063B2 (ja) *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1579147S (ko) * 2016-09-07 2017-06-19
JP1579149S (ko) 2016-09-07 2017-06-19
JP6739297B2 (ja) * 2016-09-09 2020-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8232526B (zh) * 2016-12-21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512210B2 (ja)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08258484B (zh) * 2016-12-28 2020-02-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1585287S (ko) * 2017-01-27 2017-09-04
JP7012245B2 (ja) * 2017-03-10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ヘッダ、及び接続装置
CN108933365B (zh) * 2017-05-26 2021-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761375B2 (ja) * 2017-05-29 2020-09-23 京セラ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2077162B1 (ko) * 2017-11-28 2020-02-13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JP6582083B2 (ja) *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12335137B (zh) * 2018-06-22 2022-04-05 株式会社藤仓 电连接器
JP1625949S (ko) * 2018-06-22 2019-03-04
TWI823997B (zh) * 2018-08-28 2023-12-0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卡緣連接器
JP2020077490A (ja) * 2018-11-06 2020-05-21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6974556B2 (ja) * 2018-12-03 2021-1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JP7202866B2 (ja) *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KR102659117B1 (ko) * 2018-12-27 2024-04-18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JP6859998B2 (ja) 2018-12-28 2021-04-1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163860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6S (ko) * 2018-12-28 2019-08-05
TWM578889U (zh) * 2019-01-15 2019-06-0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Connector assembly
JP6986039B2 (ja) * 2019-03-15 2021-1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09571614U (zh) * 2019-04-18 2019-11-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US11095059B2 (en) *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TWD206850S (zh) * 2019-05-29 2020-09-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的固定件
TWD206846S (zh) * 2019-05-29 2020-09-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的固定件
JP7282464B2 (ja) * 2019-05-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WO2021000152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极连接器
US11411333B2 (en) * 2019-11-05 2022-08-09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US11424565B2 (en) * 2019-11-05 2022-08-23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air
JP1663235S (ko) 2020-02-13 2020-07-06
JP7300632B2 (ja) * 2020-05-08 2023-06-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7033737B2 (ja) * 2020-05-08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2022105811A (ja) * 2021-01-05 2022-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8609B2 (ja) * 2005-05-23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35015B2 (ja) * 2008-03-21 2013-01-3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250450B2 (ja)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954253B2 (ja) 2009-09-11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CN103050805B (zh) *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JP5685216B2 (ja) 2012-03-29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56A (ko) * 2017-04-24 2018-11-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20190005266A (ko) * 2017-07-05 2019-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의 냉각 구조
KR20210004828A (ko) * 2019-07-04 2021-01-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US11146004B2 (en) 2019-07-04 2021-10-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31406B2 (en) 2016-05-03
KR101610228B1 (ko) 2016-04-20
CN104659569A (zh) 2015-05-27
JP2015099694A (ja) 2015-05-28
JP5881666B2 (ja) 2016-03-09
US20150140841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228B1 (ko)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US10601182B2 (en) Connector
US10777941B2 (en) Connector
US9209540B2 (en) Board-to-board connectors
CN110679040B (zh) 电连接器
US20150194753A1 (en) Mid-plane board-to-board connectors
US9178296B2 (en) Connector for placement in board opening
US20120289096A1 (en) Electrical connector
JP7484062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US20190181573A1 (en) Contact
JP7413497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US20190020133A1 (en) Plug connector
TWM447602U (zh) 電連接模組及電子裝置
EP3051634B1 (en) Connector
US8282400B2 (en) Electronic connector with grounding metal plate
US20120028501A1 (en) Camera socket connector
US8119272B2 (en) Battery connector and holding structure for battery
JP6055939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TW201841432A (zh) 連接器、插座及連接系統
CN108429055B (zh) 连接器以及连接系统
JP6150854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20160015122A (ko) 엘시디 모듈에 직접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피시비
JP2002329540A (ja) 携帯電話の圧接型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KR20160101322A (ko) 무접촉단자형 fpcb 커넥터
US9059544B2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