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177A -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177A
KR20150057177A KR1020130140176A KR20130140176A KR20150057177A KR 20150057177 A KR20150057177 A KR 20150057177A KR 1020130140176 A KR1020130140176 A KR 1020130140176A KR 20130140176 A KR20130140176 A KR 20130140176A KR 20150057177 A KR20150057177 A KR 20150057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tatus information
information
usage statu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주
정형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3014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7177A/ko
Publication of KR2015005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는 화장실 칸에 설치되고, 화장실 칸별로 이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이용자의 재실 여부에 따른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현황 정보 생성부,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또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현황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이용자가 이용 중인 화장실 칸 및 비어있는 화장실 칸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Description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INTELLIGENT TOILET MANAGEMENT}
본 발명은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중화장실은 복수의 화장실 칸으로 나뉘어 있어,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각각의 화장실 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모든 화장실 칸에 이용자가 이용 중일 경우, 이용자는 줄을 서서 기다려야만 한다. 이는 화장실 이용자가 많다는 뜻이나, 공중화장실은 이를 대비한 시설이 미흡한 실정이다.
예를 들면, 공항과 같은 공공 장소에는 대게 공중화장실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줄을 서서 대기하곤 한다. 그래서 이용자가 없는 화장실과 이용자가 많은 화장실이 구분되어 효율적인 화장실 운영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용자가 많은 화장실에서는 많은 대기 시간이 소요되고, 이용자가 많음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어 불만족 사례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용자가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화장실 환풍기가 일정하게 작동하여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용자의 수에 따라 이용자가 적을 경우, 환풍기를 약하게 작동하고, 이용자가 많을 경우, 환풍기를 강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화장실 이용자의 화장실 칸 이용 현황을 안내하고, 이용자의 수에 따라 환풍기의 가동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한국 출원번호 제2008-0058104호(발명의 명칭: 화장실 자동 제어 구조)는 화장실에 구비될 수 있는 여러 시설을 자동 제어 및 통합 제어하고, 각종 편의 시설을 제공하는 화장실 자동 제어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화장실 칸의 재실 여부를 파악하고 이용자 수에 따른 인근 화장실 안내 및 환풍기 속도 조절을 통해 쾌적한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는 화장실 칸에 설치되고, 화장실 칸별로 이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이용자의 재실 여부에 따른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현황 정보 생성부,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또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현황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이용자가 이용 중인 화장실 칸 및 비어있는 화장실 칸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를 통한 화장실 운용 방법은 화장실 칸별로 이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의 재실 여부에 따른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또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이용 중인 화장실 칸 및 비어 있는 화장실 칸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용 중인 화장실 칸 및 비어있는 화장실 칸을 구분하여 안내할 수 있고, 화장실이 만원일 경우 인근 화장실을 안내하여 이용자가 화장실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용자 수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변동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된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된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및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를 통한 화장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400)은 복수의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100) 및 중앙 처리 장치(500)를 포함한다.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100)는 이용자의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화장실 칸의 이용 정보를 표시하거나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500)는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100)에서 생성된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요청하는 다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100)에서 요청하는 화장실 내부 구조도,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또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100)는 센서부(110), 현황 정보 생성부(120), 정보 수신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화장실 칸에 설치되고, 화장실 칸별로 이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한다. 즉, 화장실 칸을 구분하는 칸막이, 화장실의 천장 또는 바닥마다 센서를 설치하여 이용자가 화장실 칸으로 들어오면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이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를 화장실 칸막이에 설치하고, 이용자의 열을 적외선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재실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현황 정보 생성부(120)는 센서부(110)에서 감지한 이용자의 재실 여부에 따른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즉, 현황 정보 생성부(120)는 각각의 센서에서 보낸 센싱값에 따라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는 비어 있는 화장실 칸과 사용 중인 화장실 칸을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통해 화장실의 이용자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용자 수는 환풍기를 제어하거나 이용자를 다른 화장실로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정보 수신부(130)는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또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30)는 중앙 처리 장치(500)로부터 송신되는 화장실 내부 구조도, 인근 환장실 위치 정보 또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 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는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화장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인근 화장실의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현황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40)는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140)는 화장실 입구 또는 공항의 주요 정보 표시 제공처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이용자가 이용 중인 화장실 칸 및 비어있는 화장실 칸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된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는 화장실의 내부 구조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100)는 화장실 내부 구조도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수신부(130)를 통해 화장실 내부 구조도를 수신할 수도 있다. 화장실 내부 구조도는 화장실마다 다른 형태일 수 있으며, 각각의 화장실 칸이 구분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정보 저장부(160)에서 독출되거나 정보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화장실 내부 구조도에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매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바탕으로 화장실 칸이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어있는 칸(210)과 이용 중인 칸(211)을 서로 다른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색상 외에도 마크, 그림, 문자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용자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확인하고, 비어있는 칸(210)을 파악하여 기다림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만일, 화장실 칸이 모두 이용 중일 경우에는 이용 중인 칸(211)으로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이용 중인 칸(211)이 모두 표시되면, 인근에 있는 화장실의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이는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된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및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표시부(140)는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및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현재 위치한 화장실의 근처에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근 화장실 중 비어 있는 칸(210)이 있는 화장실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이용자가 보다 빠르게 쾌적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층별 전개도를 표시하고, 화장실의 위치를 표시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인근 화장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비어 있는 칸(210)이 있는 화장실을 별도로 표시하여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비어 있는 칸(210)이 있는 화장실(310) 및 모든 화장실 칸이 이용 중인 칸(211)인 화장실(311)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 및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를 개별적으로 도시하였지만, 표시부(140)의 같은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화장실 이용 현환 정보를 바탕으로 화장실 내에 이용자가 많을 때와 이용자가 적을 때를 구분하여 환풍기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재실한 이용자 수에 비례하여 환풍기의 구동 속도 및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이용자 수가 많을 경우 환풍기를 고속으로 가동하거나 구동 시간을 늘려 환기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용자 수가 적을 경우 환풍기를 저속으로 가동하거나 구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는, 이용자 수가 적을 때 낭비되는 전기를 절약하고, 이용자 수가 많을 때 효과적으로 환기를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이때, 환풍기는 화장실 칸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화장실 칸마다 설치된 환풍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환풍기는 화장실 전체에 복수개가 설치된 것일 수 있는데, 제어부(150)는 복수개의 환풍기의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환풍기가 구동되면,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환풍기가 가동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부(140)는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이용자는 환풍기의 구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환기 및 절전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를 통한 화장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10)에서는, 화장실 칸별로 이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각 화장실 칸마다 설치된 센서로부터 이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가 설치된 경우, 이용자가 화장실 칸에 들어오면 이용자의 열을 감지하여 이용자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이용자의 재실 여부에 따른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서에서 보낸 센싱값에 따라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는 비어 있는 화장실 칸과 사용 중인 화장실 칸을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통해 화장실의 이용자 수를 파악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30)에서는, 이용자가 이용 중인 화장실 칸 및 비어 있는 화장실 칸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실의 입구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장실 칸이 포함된 도면과 각 화장실 칸마다 이용자가 재실하는지 여부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에서는, 복수의 화장실 칸에 이용자가 모두 재실할 경우, 인근 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만원인 화장실의 근처에 비어 있는 칸이 있는 화장실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이용자가 보다 빠르게 쾌적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별 전개도를 표시하고, 화장실의 위치를 표시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인근 화장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비어 있는 칸이 있는 화장실을 별도로 표시하여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화장실 이용 현환 정보를 바탕으로 화장실 내에 이용자가 많을 때와 이용자가 적을 때를 구분하여 환풍기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환풍기는 화장실 칸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140)에서는, 재실한 이용자 수에 비례하여 환풍기의 속도를 저속, 중속 또는 고속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이용자 수가 많을 경우 환풍기를 고속으로 가동하여 환기를 빠르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용자 수가 적을 경우 환풍기를 저속으로 가동하여 환기를 약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40)에서 환풍기가 구동되면, 단계 (S130)에서는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환풍기가 가동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능형 화장실 장치 110: 센서부
120: 현황 정보 생성부 130: 정보 수신부
140: 표시부 150: 제어부
400: 지능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500: 중앙 처리 장치

Claims (12)

  1.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에 있어서,
    화장실 칸에 설치되고, 화장실 칸별로 이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이용자의 재실 여부에 따른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현황 정보 생성부,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또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현황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이용자가 이용 중인 화장실 칸 및 비어있는 화장실 칸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및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실 내부 구조도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환풍기가 구동되면, 상기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는 화장실 칸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것인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실한 이용자 수에 비례하여 상기 환풍기의 구동 속도 및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7.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를 통한 화장실 운용 방법에 있어서,
    화장실 칸별로 이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의 재실 여부에 따른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근 화장실 위치 정보 또는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이용 중인 화장실 칸 및 비어 있는 화장실 칸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화장실 운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근 화장실의 위치 정보 및 화장실 이용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화장실 운용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화장실 내부 구조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 운용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환풍기가 구동되면, 상기 환풍기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화장실 운용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는 화장실 칸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것인 화장실 운용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재실한 이용자 수에 비례하여 상기 환풍기의 구동 속도 및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화장실 운용 방법.
KR1020130140176A 2013-11-18 2013-11-18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KR20150057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176A KR20150057177A (ko) 2013-11-18 2013-11-18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176A KR20150057177A (ko) 2013-11-18 2013-11-18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77A true KR20150057177A (ko) 2015-05-28

Family

ID=5339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176A KR20150057177A (ko) 2013-11-18 2013-11-18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71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9632A (zh) * 2017-05-05 2017-07-11 北京华为应运科技发展有限公司 保健马桶、遥控器及保健系统
KR20180000152A (ko) * 2016-06-22 2018-01-02 주식회사 협성기전 재실 감지 장치
CN109613832A (zh) * 2017-09-15 2019-04-12 科勒公司 用于耗水装置的反馈
KR20200017957A (ko) 2018-08-10 2020-02-19 허치영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52A (ko) * 2016-06-22 2018-01-02 주식회사 협성기전 재실 감지 장치
CN106939632A (zh) * 2017-05-05 2017-07-11 北京华为应运科技发展有限公司 保健马桶、遥控器及保健系统
CN106939632B (zh) * 2017-05-05 2020-01-17 北京华为应运科技发展有限公司 保健马桶、遥控器及保健系统
CN109613832A (zh) * 2017-09-15 2019-04-12 科勒公司 用于耗水装置的反馈
CN109613832B (zh) * 2017-09-15 2022-08-02 科勒公司 用于耗水装置的反馈
KR20200017957A (ko) 2018-08-10 2020-02-19 허치영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1506B2 (ja) 適切な瞬間において非警報ステータス信号を与え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US10146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ing a state of a system using a remote device that processes gestures
JP5555873B2 (ja) 省エネルギー装置及び省エネルギーシステム
US10619873B2 (en) Intelligent ventilation system
KR20150057177A (ko)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Newsham et al. Testing the accuracy of low-cost data streams for determining single-person office occupancy and their use for energy reduction of building services
CN108352002A (zh) 确定会议室的可用性
JP2011075246A (ja) 設備制御端末、設備制御システム、設備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40055040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20200066125A1 (en) Fire alarm building management integration
WO2017212793A1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6318506B2 (ja) 動線管理装置、動線管理システム、及び動線管理プログラム
US201200259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localized fire incident and fire exit route map
US10514670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US10697664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697237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90010937A (ko) 가용 화장실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18178B1 (ko) PoE를 이용한 IoT 객실 시스템
KR102159088B1 (ko) 스마트 건물의 소비 전원 제어 방법
US20160349781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CN211691647U (zh) 一种智能公厕推荐系统
JP6530474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装置、端末及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JP2014060136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EP3422758B1 (en) Location-bas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JP6871455B2 (ja) 危機管理システム及び危機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