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957A -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957A
KR20200017957A KR1020180093556A KR20180093556A KR20200017957A KR 20200017957 A KR20200017957 A KR 20200017957A KR 1020180093556 A KR1020180093556 A KR 1020180093556A KR 20180093556 A KR20180093556 A KR 20180093556A KR 20200017957 A KR20200017957 A KR 20200017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odule
driving
ventil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치영
허남수
Original Assignee
허치영
허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치영, 허남수 filed Critical 허치영
Priority to KR102018009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957A/ko
Publication of KR2020001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화장실 사용 용도에 따라 환기 팬을 포함한 환풍모듈의 구동 설정을 자동적으로 하여, 화장실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쾌적한 화장실 환경 구현과 전기 에너지 절감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System for removing smell of toilet and Method of this}
본 발명은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화장실 내 좌변기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악취 발생 상황을 미리 설정된 제어모듈을 통해 인식하고, 자동적으로 화장실에 설치된 팬(Fan) 구동에 의해 환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경제발전과 위생, 편의성 등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을 통해 최근에는 좌변기가 가정, 사무공간, 공공공간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좌변기 및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경우, 좌변기 사용에 따른 악취 발생과 이로 인한 여러가지 쾌적하지 못한 환경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 등에게 불쾌한 공간 및 장소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악취에 대응하기 위해 화장실 내 설치된 팬(Fan)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이 많은 가정용은 물론 공공 화장실 등에도 다수 설치되어 있으나, 화장실 사용자가 별도의 스위치 등을 통해 환기 팬을 작동시켜야 하거나, 전원 차단 등을 깜박 잊고 24시간 환기 팬을 구동해 불필요한 전기를 낭비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및 불편한 부분을 감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간섭없이 자동적으로 화장실 내 환기가 필요한 설정된 상황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환기 팬 등을 포함하는 환풍모듈이 구동되어 화장실 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 2009-013204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717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장실 내 환기 팬을 포함하는 환풍모듈의 구동을 센싱모듈을 통해 좌변기 사용 시간 등 미리 설정된 패턴이 발생하는 경우에 한해, 제어모듈을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환풍모듈의 구동을 지원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화장실 내 환기 팬 등을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하여 화장실 내 악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 환기를 지원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화장실 내 사용자의 변기 사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의 후방 또는 일 측방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시작 단계, 사용지속 단계 및 사용종료 단계를 각각 확인할 수 있는 센싱모듈; 상기 센싱모듈을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할 경우, 환기구에 체결된 환기 팬을 회전하여 상기 화장실 내 환기를 진행할 수 있는 환풍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달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사용종료 단계 이후로부터, 미리 설정된 추가구동 시간 동안 상기 환풍모듈이 더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기준 시간 및/또는 상기 추가구동 시간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설정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 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으로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시작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시작 단계 이후, 센싱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사용지속 단계의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구동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환풍모듈은 상기 구동 신호를 받아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사용종료 단계 이후 미리 설정된 상기 추가구동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상기 환풍모듈을 더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구동 시간이 종료될 경우, 상기 환풍모듈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화장실 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사용방법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화장실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화장실 내의 악취를,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발생인식하고, 자동적으로 환기하여 보다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 패턴이나 다양한 화장실 내외부 환경에 따라 환풍모듈의 구동 패턴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이 설치된 화장실 환경에 가장 최적화된 환기를 통한 환경 구현을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시스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어모듈 내 제어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동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2 및 도 3은 제어모듈의 시스템 개념도와 제어모듈의 제어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10)은 센싱모듈(100), 제어모듈(200) 및 환풍모듈(300)을 포함한다.
센싱모듈(100)은 화장실 내 변기(좌변기 등)의 후방이나 일 측방에 부착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모듈로, 센서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변기 사용을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변기 사용 인식은, 좌변기의 경우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을 경우 후방 또는 일 측방에 이격되어 설치된 감지센서(및/또는 설정된 거리 내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인식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쪼그려 앉아 사용하는 화변기의 경우에도 화변기 후방 또는 일 측방에 일정한 거리 내 사용자가 접근할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의 경우, 아파트 복도나 현관문 등에 부착되어 사람(또는 동물)을 감지할 수 있는 Passive Infrared Sensor 센서(적외선 기반의 인체감지 센서) 등이 일 예가 될 수 있으며, 좌변기 등 변기의 후방 또는 일 측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좌변기 쪽으로의 접근, 좌변기 사용 및 좌변기 사용 후 퇴거 등의 움직임을 인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싱모듈(100)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좌변기 후방에 설치(또는 측방)된 감지센서의 감도 조절을 통해, 화장실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게 될 경우, 좌변기 사용 상태(”사용시작 단계”라 함)로 인식하고, 좌변기 사용 후 사용자가 좌변기를 이탈하게 될 때까지 좌변기 사용을 지속(”사용지속 단계”라 함)하며, 사용자가 좌변기에서 완전히 이탈(즉, 좌변기 물을 내리고 좌변기에서 일어서는 경우)하는 경우, 좌변기 사용을 종료(”사용종료 단계”라 함)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100)은 감지센서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편광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동시에, 성능을 높이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100)은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는 연결회로(PCB기판 등),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부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도 및/또는 작동범위(각도, 거리 등)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저항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센싱모듈(100)은, 감지센서로 감도 조정이 가능한 초음파 센서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100)은 좌변기의 일측이나 외측 등에 일체형 또는 별도의 탈부착형으로 형성되고, 좌변기에 사용자가 앉게 될 경우, 좌변기에 전달되는 사용자의 무게 감지(무게센서 포함도 가능)를 통해 좌변기 사용 상태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100)는 전술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무게 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감지 센싱 기능 및 감지 여부 등을 수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대한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센싱모듈(100) 내 감지센서의 오류 등에 따른 오작동 문제에 보다 손쉽게 대응(일 예로 감지센서의 오작동으로 “사용시작 단계”에 대한 확인이 자동적으로 되지 않을 경우, 스위치를 통한 수동 구동으로 “사용시작 단계”가 시작되었음을 제어모듈(200)로 신호 전달할 수 있게 된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위치 제공을 통해, 사용자는 감지센서를 통해 인식되어 시작되는 “사용시작 단계”를 임의로 다시 시작하게 하거나, “사용지속 단계” 또는 “사용종료 단계”로의 임의 전환도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등, 다양한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200)은 좌변기 등 변기 사용 시간에 따라 후술할 환풍모듈(3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기적 회로와 SW를 탑재한 구성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싱모듈(100)을 통해 전달되는 유선 또는 무선 신호를 통해 좌변기 등 변기의 사용시작 단계, 사용지속 단계 및 사용종료 단계를 확인하고, 사용지속 단계가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나 사용종료 단계가 확인될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환풍모듈(300)로 신호를 전송하여 환풍모듈(300)을 구동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어모듈(200)은 사용지속 단계가 60초(“구동기준 시간”이라 함) 이상인 경우, 환기가 필요한 대변 용무 중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환풍모듈(300)의 구동을 지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실 내부의 악취 발생을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지속 단계가 60초 이상이 될 경우에 한해, 사용종료 단계 이후에도 일정 시간 지속하여 환풍모듈(300)을 구동하도록 지시(제어모듈(200)을 통해)하여 화장실 내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한 후, 환풍모듈(30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기 사용 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반면 이 경우에 의할 경우 상기 사용지속 단계가 60초 미만일 경우에는, 환기가 필요하지 않은 소변 용무 중인 상황으로 인식하여, 환풍모듈(300)을 구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대변과 소변 용무의 60초의 “구동기준 시간”은 이하 후술할 제어모듈(200)을 통해 변경 가능하며, 이와 별도로 화장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200)을 통해 화장실 내 변기의 사용과 상관없이(즉, 변기 사용과 무관하게 화장실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거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등의 목적 등으로 강제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과 동시(“사용시작 단계” 시작 시점부터)에 환풍모듈(300)을 수동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모듈(200)은,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동기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가 내장된 회로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제어동작 수행을 위해 노출되는 표면에 센싱모듈(100), 구동 스위치부(210), 제어 On/Off 스위치부(220), 감지센서 조절부(230), 환풍모듈 작동지시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스위치부(210)는 제어모듈(20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한 전기 시스템 구성으로, 제어모듈(200)에 대한 전원공급 및 제어모듈(20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구성을 지칭한다.
제어 On/Off 스위치부(220)는 센싱모듈(100) 및/또는 환풍모듈(300)의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한 전기 시스템 구성으로, 제어모듈(200)을 통한 센싱모듈(100)과 환풍모듈(300)의 제어 여부, 센싱모듈(100)의 센싱 방식, 환풍모듈(300)의 구동방식 및/또는 구동패턴 등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구성을 지칭한다.
또한 제어 On/Off 스위치부(220)는 전술한 “구동기준 시간”을 설정하거나 설정된 “구동기준 시간”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좌변기 사용이 대변 용무인지, 소변 용무인지 제어모둘(200)이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를 통해 센싱모듈(100)을 통해 “구동기준 시간” 이상(또는 초과)을 좌변기 등에 앉아(또는 화변기에 쪼그려 앉아) 있을 경우(사용지속 단계), 대변 용무로 인식하고, 환풍모듈(300)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사용지속 단계의 시간이 제어 On/Off 스위치부(22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구동기준 시간” 미만(또는 이하)일 경우에는 소변 용무로 인식하고 별도의 환풍모듈(300)을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감지센서 조절부(230)는 센싱모듈(100)의 감지센서의 센싱 감도(센싱 거리, 센싱 방향 및/또는 센싱 각도 등)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한 전기 시스템 구성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가 센싱모듈(100)에 채택될 경우, 화장실 사용자나 관리자는 감지센서 조절부(230)를 통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의 선택적 작동이나 복수의 작동, 또는 순차적 작동 등을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센싱모듈(100)과 제어모듈(200)은 별도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유선 또는 무선망에 의해 연결)일 수도 있으나, 제어모듈(200) 내 센싱모듈(100)이 물리적으로 포함된 구성으로 제공되며, 제어모듈(200) 내 제어기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On/Off 스위치부(220) 및/또는 감지센서 조절부(230)를 통해 센싱모듈(100)의 인체 감지 기능 및/또는 사용시작 단계, 사용지속 단계, 사용종료 단계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환풍모듈 작동지시부(240)는 좌변기 등의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수동으로 환풍모듈(300)을 구동하고자 할 경우 구동(전술한 바와 같이, 변기 사용과 무관하게 화장실 내부 습기를 제거하거나 내부 환기 또는 “사용시작 단계”에서부터 환풍모듈(300)을 구동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하거나, 본 발명의 제어모듈(200)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환풍모듈(300)이 구동되는 경우 환풍모듈(30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위치를 포함한 전기 시스템 구성을 지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좌변기 등의 사용자는 환풍모듈(300)을 필요에 따라 구동하거나, 구동 정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자신에 맞는 보다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환풍모듈 작동지시부(240)는 “사용종료 단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환풍모듈(300)이 구동되어야 할 시간, 즉 대변 용무 이후 설정된 시간동안 남아 있을 수 있는 악취 제거를 위해 대변 용무 이후에도 환풍모듈(300)을 지속적으로 구동해야 하는 일정 시간(“추가구동 시간”이라 함)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10)은, 제어 On/Off 스위치부(220) 및/또는 환풍모듈 작동지시부(240)을 통해, 화장실 사용자의 변기 사용 시작 시점, 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싱모듈(100)을 통해 인식된 “사용시작 단계”를 기산점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계속 변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지속 단계”가 미리 셋팅(설정)된 시간을 초과(“구동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대변 용무로 인식)에 한해, 환풍모듈(300)의 구동을 시작하도록 하여, 소변 용무 등 악취 발생의 여지가 적은 상황에서의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 낭비 등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변기 사용을 마친 시점(“사용종료 단계”) 이후에도, 적절한 화장실 내 필요한 환기를 위해 바로 환풍모듈(300)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추가적인 시간(“추가구동 시간”)까지 연속적으로 미리 셋팅(설정)된 시간동안 환풍모듈(300)이 구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대변 용무 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화장실 내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모듈(200)을 통해 셋팅된 “구동기준 시간”이나 현재 시간, “사용지속 단계”에 진입한 이후 경과된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표시부를 지칭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 On/Off 스위치부(220)를 통해 설정 및/또는 설정 변경되는 “구동기준 시간”이나 환풍모듈 작동지시부(240)를 통해 셋팅되는 “추가구동 시간”의 설정 및/또는 설정 변경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제어모듈(200)이 포함하고 있는 센싱모듈(100), 구동 스위치부(210), 제어 On/Off 스위치부(220), 감지센서 조절부(230), 환풍모듈 작동지시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의 각각의 구성 및 기능 수행은 예시이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제어모듈(200)을 이루는 다른 구성상의 상호 다른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전술한 각 센싱모듈(100), 구동 스위치부(210), 제어 On/Off 스위치부(220), 감지센서 조절부(230), 환풍모듈 작동지시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제어모듈(200)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기능 수행을 위해 상기 각 구성은 다른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환풍모듈(300)은 제어모듈(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어모듈(200)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회전하거나 회전 중지되는 환기 팬(fan)과 화장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환기구를 포함한 화장실 환기 시스템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풍모듈(300)은, 센싱모듈(100)을 통해 인식(또는 감지)되는 사용자의 좌변기(또는 화변기) 사용시작 단계와 사용종료 단계 사이인,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제어모듈(2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또는 이상)되는 경우, 제어모듈(200)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를 받아 환기 팬이 회전하여 화장실 내부 환기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환풍모듈(300)은 사용지속 단계에 머무른 시간이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또는 이상)될 경우, 제어모듈(200)을 통해 설정된 “추가구동 시간” 동안 사용종료 단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환기 팬이 회전하여 화장실 내부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좌변기를 사용한 사용자가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한 시간이 80초라 하고, 60초로 “구동기준 시간”이 셋팅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자면, 상기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된 시간이 80초로, “구동기준 시간”인 60초를 초과하게 되는 바, 60초를 넘은 시간부터 제어모듈(200)을 통해 환풍모듈(300)이 구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환풍모듈(300)이 구동하게 되었는 바, 사용자가 좌변기 사용을 종료한 “사용종료 단계”에 진입(센싱모듈(100)을 통해 감지 가능)한 경우라 할지라도, 제어모듈(200)을 통해 설정된 “추가구동 시간” 동안 환풍모듈(300)은 설정된 시간(보다 구체적으로는 “추가구동 시간”)동안 계속하여 환풍모듈(300)이 구동하여 화장실 내부 환기를 진행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10)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본 시스템(10)이 설치된 가정 또는 공공장소 등의 환경적 특성이나 사용자들의 사용 패턴(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화장실 사용 패턴, 사용 횟수, 1회 사용시 사용 시간 등)을 감안하여, 전술한 “사용시작 단계”, “사용지속 단계” 및/또는 “사용종료 단계”의 기준 등을 설정하거나 설정된 사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나 사용자는 제어모듈(200)을 통해 “구동기준 시간” 및/또는 “추가구동 시간”을 설정하거나 설정된 시간을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10)의 동작 순서에 대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동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10)은 센싱모듈(100)을 통해 좌변기 등 변기 사용을 감지(“사용시작 단계”, S100, 센싱모듈(100)을 통해 “사용시작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시작 단계(S100)”이후 진행되는 “사용지속 단계”의 시간을 센싱모듈(100)을 통해 감지(좌변기에 계속 앉아 있는 사용자의 신체 열, 움직임 등을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무게 센서 등 인체 갖미가 가능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계속적으로 감지되는 시간을 카운팅 하는 방법 등)하는 단계(S200, “사용시작 단계” 이후, 센싱모듈(100)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사용지속 단계의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사용지속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또는 이상)될 경우에 한해 환풍모듈(300)의 구동을 지시하는 구동 신호를 제어모듈(200)을 통해 발생하고, 이를 통해 환풍모듈(300)의 구동, 보다 자세하게는 환기 팬의 회전에 의해 화장실 내부 악취를 제거하는 단계(S300,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제어모듈(200)을 통해 구동 신호를 발생하고, 환풍모듈(300)은 상기 구동 신호를 받아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및 “사용종료 단계”를 기준으로 “추가구동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환풍모듈(300)을 더 구동 이후 환풍모듈(300)의 구동을 종료하는 단계(S400, “사용종료 단계” 이후 미리 설정된 “추가구동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환풍모듈(300)을 더 구동하는 단계; 및 “추가구동 시간”이 종료될 경우, 환풍모듈(300)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술한 S200 단계의 “구동기준 시간”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 등의 필요에 따라 제어모듈(200)을 통해 설정 및/또는 설정된 시간의 변경이 가능(S250)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술한 S300 단계의 “추가구동 시간”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 등의 필요에 따라 제어모듈(200)을 통해 설정 및/또는 설정된 시간의 변경이 가능(S350)하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환풍모듈 작동지시부(240)를 통해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환풍모듈(300)의 구동 또는 구동 동작 정지를 할 수도 있다(S1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100: 센싱모듈
200: 제어모듈
210: 구동 스위치부
220: 제어 On/Off 스위치부
230: 감지센서 조절부
240: 환풍모듈 작동지시부
250: 디스플레이부
300: 환풍모듈

Claims (4)

  1. 화장실 환기를 지원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화장실 내 사용자의 변기 사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의 후방 또는 일 측방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시작 단계, 사용지속 단계 및 사용종료 단계를 각각 확인할 수 있는 센싱모듈;
    상기 센싱모듈을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할 경우, 환기구에 체결된 환기 팬을 회전하여 상기 화장실 내 환기를 진행할 수 있는 환풍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사용종료 단계 이후로부터, 미리 설정된 추가구동 시간 동안 상기 환풍모듈이 더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준 시간 및/또는 상기 추가구동 시간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설정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 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3의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시작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시작 단계 이후, 센싱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사용지속 단계의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지속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구동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구동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환풍모듈은 상기 구동 신호를 받아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사용종료 단계 이후 미리 설정된 상기 추가구동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상기 환풍모듈을 더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구동 시간이 종료될 경우, 상기 환풍모듈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화장실 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의 사용방법.
KR1020180093556A 2018-08-10 2018-08-10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KR20200017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56A KR20200017957A (ko) 2018-08-10 2018-08-10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56A KR20200017957A (ko) 2018-08-10 2018-08-10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57A true KR20200017957A (ko) 2020-02-19

Family

ID=6966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556A KR20200017957A (ko) 2018-08-10 2018-08-10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9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8465A (zh) * 2022-02-28 2022-08-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智能空调的方法及装置、智能空调、存储介质
KR20220109970A (ko) 2021-01-29 2022-08-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공기 순환형 스마트 환풍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040A (ko) 2008-06-20 2009-12-30 (주)에이스그린텍 화장실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57177A (ko) 2013-11-18 2015-05-28 한국공항공사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040A (ko) 2008-06-20 2009-12-30 (주)에이스그린텍 화장실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57177A (ko) 2013-11-18 2015-05-28 한국공항공사 지능형 화장실 관리 장치 및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970A (ko) 2021-01-29 2022-08-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공기 순환형 스마트 환풍장치
CN114838465A (zh) * 2022-02-28 2022-08-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智能空调的方法及装置、智能空调、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8088B2 (en) System for controlling HVAC and lighting functionality
KR20200017957A (ko) 화장실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방법
JP5532628B2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トイレ設備
US20070132596A1 (en) Sound Privacy Machine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4226199A (ja) 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KR100701228B1 (ko) 화장실 장치 및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출 방법
JP2013066581A (ja) トイレ装置
JP2011209860A (ja) 異変検知システム
JP5209362B2 (ja) トイレの換気扇制御装置
WO2023173751A1 (zh) 用于卫生间控制的方法及装置、终端设备
JP2007322253A (ja) 焦電センサユニット、電気機器、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US6367092B2 (en) Charge transfer capacitance sensing and control system for an integrated venting system
JP7147147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70005217A (ko) 자동 물내림/절수 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 장치 및 그제어방법
JPH1186168A (ja) 異常検知装置及び異常検知システム
JP2012254135A (ja) トイレ装置
CN202136261U (zh) 振动提示马桶盖板
CN113718911B (zh) 一种非接触式区分大小便的智能马桶及其控制方法
JP2020139278A (ja) 水周り機器及び料金表示プログラム
US20220049867A1 (en) Smart bathroom devices
JP7135891B2 (ja) 便座装置及び便座装置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H08280077A (ja) 温水洗浄装置のリモコン
JP6838325B2 (ja) 衛生設備機器
CN117836864A (zh) 排出数据管理系统及排出数据管理方法
KR200323035Y1 (ko) 크린룸의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