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116A - 감자 파종기 - Google Patents

감자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116A
KR20150057116A KR1020130140050A KR20130140050A KR20150057116A KR 20150057116 A KR20150057116 A KR 20150057116A KR 1020130140050 A KR1020130140050 A KR 1020130140050A KR 20130140050 A KR20130140050 A KR 20130140050A KR 20150057116 A KR20150057116 A KR 20150057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hain
pressing
guide
pota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365B1 (ko
Inventor
민웅기
조완석
전은영
정희수
이연합
Original Assignee
(주)이그린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그린글로벌 filed Critical (주)이그린글로벌
Priority to KR102013014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9/00Potato planters
    • A01C9/04Potato planters with bucket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9/00Potato planters

Abstract

본 발명은 감자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씨감자와 같은 작업대상물, 특히 microtuber(기내소괴경) 파종시 상처를 입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종 작업이 매우 수월한 감자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자 파종기{potato planter}
본 발명은 씨감자와 같은 파종대상물을 하나씩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하는 감자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자 파종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먼저 씨감자를 심기 위해서는 (1) 농업용 트랙터를 구동시켜서 로타리로 땅을 분쇄하고, 두둑성형 배토기로 분쇄된 흙을 두둑으로 성형시킨다.
(2) 그리고 두둑에 비닐을 씌운다.
(3) 이후에 작업자가 호미 등을 이용하여 두둑에 두둑고랑을 낸다.
(4) 그 두둑고랑에 씨감자를 손으로 파지하여 씨감자를 심어서 흙을 씨감자의 위로 덮어서 땅을 다져주는 작업으로 씨감자를 심어야 했다.
이와 같이 2인 1조 수동으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들고 특히 농촌에서는 농촌의 고령화 및 인력난 등이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감자 파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ㅍ공개특허공보 2007-0093944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서는 경운기나 트랙터에 부착되어 견인되는 파종기를 제안한 바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경운기나 트랙터에 의해 견인시 견인력에 의해 굴착관(6)을 통해 고랑(10a)을 형성한다.
바퀴(2)의 회전력에 의해 다수개의 버킷(5)이 형성된 이송체인(5a)을 통해 씨감자(11)를 굴착관(6)에 형성된 안내관(6a) 속에 낙하 투입시킨다.
상기의 바퀴(2)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체인(5a)을 구동하는 구동축(4a)에 일정간격을 두어 이송체인(5a)이 수평을 이루어 탑승실(9)에서 투입구(9b)를 통해 씨감자(11)를 투입하기에 용이하도록 안내축(4b)을 설치한다.
굴착관(6) 근처에 위치한 아이들축(4c)의 위치를 낮추어 이송체인(5a)이 삼각형의 모양으로 형성하여 작동하도록 한 후, 굴착관(6)에 형성된 안내관(6a)의 위치도 낮추어 씨감자(11)의 낙하거리를 줄여 파종간격의 불규칙한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해 감자 파종의 기계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양번식을 위주로 하는 감자는 바이러스병에 의한 생산량 감소가 약 70 ~ 80 % 로 추정되며, 바이러스에 의한 감자에서의 병징은 다양하다.
바이러스병은 감자재배 지역에서는 쉽게 발생되며, 사용하던 씨감자를 바꾸지 않고 매년 재배하면 아무리 관리에 신경을 써도 바이러스병의 증상이 쉽게 확산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바이러스 계통차이에 의한 병징, 성숙도와 이병기간, 감자품종, 환경영향에 의한 차이가 많아 그 병징이 다양하고 복잡하며, 복합 감염에 따른 증상 및 피해도 다양하다.
종자에서 전염되는 병은 바이러스를 비롯해 박테리아, 곰팡이 등 다양하며, 병증이 심하면 수확을 포기하고 생산량 전량을 폐기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병 없는 무병종자를 생산하여 농가에 보급하는 것이 감자농사에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질좋은 감자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병해에 감염되어 있지 않은 감자를 씨감자로 사용해야 한다.
병해에 감염되어 있지 않은 씨감자를 생산하기 위해 최근에는 첨단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무병씨감자 대량생산을 위한 식물공장시스템을 구축하여 멸균된 기내에서 무병주 종자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식물공장시스템으로부터 생산되는 종자를 microtuber(기내소괴경) 이라고 한다.
생산된 microtuber(기내소괴경)는 약 1 g의 무게로 기존 씨감자 (30 g) 대비 매우 작은 크기를 갖는다.
microtuber(기내소괴경)은 파종시 상처를 입을 수 있어 기계화가 어려워 일일이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파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감자 파종기를 microtuber(기내소괴경) 파종에 적용할 경우, 파종시 microtuber(기내소괴경)에 상처를 입힐 가능성이 농후하므로, microtuber(기내소괴경) 파종에 적합한 파종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7-009394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microtuber(기내소괴경) 파종시 상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파종 작업이 매우 수월한 감자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는
하부 터닝부를 포함하여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체인; 상기 체인에 맞물리며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스프로킷;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과 함께 이동하는 복수 개의 집게; 상기 집게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집게가 상기 가이드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집게가 닫히고, 상기 하부 터닝부에서 상기 집게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는 상기 집게는 브라켓과 파지부재와 누름철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철사에는 복수 개의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는 복토디스크 휠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쟁기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는 상기 프레임에는 누름원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기내소괴경과 같은 작업대상물 파종시 파종 효율이 향상된다.
(2) 특히 파종시에 상처를 입기 쉬운 작업대상물도 파종이 가능하다.
(3) 별도의 동력장치를 부가하지 않고도 트랙터에 의해 끌어주기만 하는 것으로 연속적인 집게닫힘 동작과 집게열림 동작이 구현된다.
(4) 타원으로 운동하는 체인에 의해 파종 작업효율 향상 및 파종 위치의 정확도 향상뿐만 아니라 파종 장비의 소형화도 달성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감자 파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자 파종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자 파종기 집게의 세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자 파종기 집게와 체인 및 가이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자 파종기의 체인 동작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10)는 트랙터 등의 견인수단에 견인되기 위한 견인구(미도시)가 설치되며, 방향이 감자 파종기(10)의 전방이라 하며, 후술할 체인(110)이 설치되는 방향이 감자 파종기(10)의 후방이라 한다.
트랙터 등에 의해 견인시 밭 등에서 쉽게 굴러갈 수 있도록 바퀴(미도시)가 프레임(100)에 형성된다.
프레임(100)은 파종기와 같은 농기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임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호퍼부(30), 체인(110), 스프로킷 등과 같은 구성들이 결합하게 된다.
프레임(100)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거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과 같이 상호결합된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내소괴경(이하에서는 작업 대상물이라 한다.)이 담겨지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호퍼부(3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호퍼부(3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호퍼부(3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작업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다.
또한, 호퍼부(30)는 후술할 작업자가 앉는 의자를 향하는 방향으로도 개방되므로, 작업 대상물 또는 작업 대상물 보관 상자를 호퍼부(30)에 쉽게 놓을 수 있다.
작업 대상물 또는 작업 대상물 보관 상자를 호퍼부(30)에 놓았을 경우, 파종 작업시 감자파종기(10)가 비교적 울퉁불퉁한 밭을 지나갈 때 감자파종기(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작업 대상물 또는 작업 대상물 보관 상자가 호퍼부(30)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호퍼부 경사면(35)이 형성된다.
호퍼부(30)의 전방으로 파종 작업시 작업자가 앉아서 파종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의자(미도시)가 형성된다.
파종 작업의 효율성을 감안할 경우, 작업의자는 호퍼부(30)의 후방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호퍼부(30) 형성시, 그에 따라 작업의자도 복수 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10)에서 쟁기부(40)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쟁기부(40)는 파종작업을 할 밭의 흙을 파준다.
즉, 감자 파종기(10)가 트랙터 등에 의해 견인될 때, 쟁기부(40)는 밭의 흙을 일정한 깊이로 파고 들어가게 되고, 이와 같이 일정한 깊이로 파고 들어간 부분에 작업 대상물이 파종 또는 낙하하게 된다.
쟁기부(40)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한다.
쟁기부(40)의 형상은 측면에서 봤을 때 전체적으로 선박의 앞부분과 유사하다.
즉, 쟁기부(40)의 전면에는 경사(42)가 형성된다.
쟁기부(40)는 밭의 흙을 파낸 부위에 작업 대상물이 파종될 수 있도록 경사(42)가 쟁기부(40)의 전면에 형성된다.
또한, 쟁기부(40)가 밭의 흙을 쉽게 파내기 위해서는 쟁기부(40)에는 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쟁기부(40)의 날은 쟁기부의 제1측면(44)과 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쟁기부(40)의 경사(42)를 향해 안쪽으로 기울어진 쟁기부의 제2측면(46)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쟁기부(40)와 프레임(100)의 결합을 위해 쟁기부(40)의 상부와 프레임(100)의 하부 사이에는 쟁기부 연결프레임(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쟁기부(40)는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10)가 트랙터 등의 견인수단에 견인될 때 쟁기부(40)의 날이 밭의 흙을 갈라 작업 대상물이 심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누름원판(5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쟁기부(40)의 날이 밭의 흙을 갈라 후술할 집게(80)가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여 쟁기부(40)에 의해 갈라진 밭의 흙에 작업 대상물을 파종한다.
누름원판(50)은 작업 대상물의 파종부위를 눌러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동력수단이 없이도 집게(80)가 집게닫힘 동작과 집게열림 동작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누름원판(50)이 파종부위를 눌러주는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쟁기부(40)에 의해 밭의 흙이 일정깊이로 파이게 되고, 이와 같이 일정깊이로 파인 부분에 작업 대상물이 파종된다.
누름원판(50)은 작업 대상물이 파종된 다음, 쟁기부(40)에 의해 일정깊이로 파인 부분과 평행하게 흙을 눌러준다.
또 일정깊이로 파인 부분을 기준으로 외측의 흙을 연속적으로 눌러준다.
또한, 누름원판(50)은 트랙터 등의 견인수단에 본 발명에 의한 감자파종기(10)가 견인될 때, 누름원판(50)의 구동에 의해 집게(80)에 구동력이 전달되며, 이러한 구동력은 체인(110)과 누름원판 체인(170)에 의해 이루어진다.
누름원판(5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프라이팬(frying pan)과 유사하며, 후술할 체인(110)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대칭 형성된다.
누름원판(50)과 후술할 체인(110) 사이의 이격 거리는 누름원판(50)의 상부로부터 누름원판(50)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진다.(도면 2 참조)
즉, 누름원판(50)은 누름원판(50)의 하부가 체인(110)을 향해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다.
누름원판(50)의 상부에는 호퍼부(30)가 위치하며, 호퍼부(30)는 프레임(100)과 연결됨은 전술한 바 있다.
따라서, 하나의 누름원판(50)의 상부에는 하나의 호퍼부(30)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감자파종기(10)는 누름원판(50)이 대칭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누름원판(5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자파종기(10)를 후방에서 봤을 때, 후술할 체인(110)을 기준으로 좌우에 하나의 누름원판(50)이 형성된다.
누름원판(50)은 원판(52)과 원판(52)으로부터 후술할 체인(110)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립측벽(54) 및 직립측벽 절곡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원판(52)과 프레임(100)간의 결합은 제1연결부재(60)와 제2연결부재(65)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연결부재(60)는 전체적으로 가로바(Bar)의 형상을 갖는다.
제1연결부재(60)의 일단은 프레임(100)과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제1연결부재(60)의 타단은 제2연결부재(65)의 일단과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제2연결부재(65)는 제1연결부재(60)로부터 수직하향으로 결합된다.
한편, 원판에는 그 중심에 원판중심돌출부(58)가 형성되며, 원판중심돌출부(58)는 끝단이 잘려나간 원뿔 모양이다.
원판중심돌출부(58)는 그 끝단에 홀이 형성된다.
한편 제2연결부재(65)와 원판중심돌출부(58) 사이에는 제2연결부재와 원판중심돌출부 연결부재(66)가 위치한다.
제2연결부재와 원판중심돌출부 연결부재(66)의 일단은 원판중심돌출부(58)의 홀에 삽입되고, 제2연결부재와 원판중심돌출부 연결부재(66)의 타단은 제2연결부재(65)의 타단에 결합한다.
원판중심돌출부(58)의 끝단에는 홀이 형성된다고 전술한 바 있다.
원판중심돌출부(58)의 홀에는 베어링(미도시)이 포함되어, 본 발명에 의한 감자파종기(10)가 견인될 경우, 누름원판(50)의 원활한 구동에 도움을 준다.
누름원판(50)은 원판(52)으로부터 직립측벽(54) 및 직립측벽 절곡부(56)를 포함한다.
직립측벽(54)은 원판(52)을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원형 띠를 원판(52)의 가장자리에 용접하는 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직립측벽(54)의 폭은 파종부위를 눌러주기 적당할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직립측벽(54)의 가장자리에는 직립측벽 절곡부(56)가 형성된다.
직립측벽 절곡부(56)는 직립측벽(54)의 가장자리로부터 원판(52)의 바깥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직립측벽 절곡부(56)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누름원판날(67)이 형성된다.
누름원판날(67)과 직립측벽 절곡부(56)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누름원판날(67)은 누름원판날의 수평판(68)과 누름원판날의 수평판(68)의 양끝단으로부터 수직상향으로 형성되는 누름원판날의 수직판(6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누름원판날의 수평판(68)에는 직립측벽 절곡부(56)와의 결합을 위해 삽입되는 볼트 또는 나사를 위해 누름원판날의 수평판(68)의 삽입홀이 2개가 형성된다.
누름원판날의 수평판(68)의 폭은 직립측벽 절곡부(56)의 폭과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누름원판날의 수평판(68)의 양끝단에는 누름원판날의 수직판(69)이 형성되고, 누름원판날의 수직판(69)의 폭은 누름원판날의 수평판(68)의 폭보다 크게 형성한다.
즉, 누름원판날의 수직판(69)의 폭을 누름원판날의 수평판(68)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누름원판날의 수직판(69)이 밭의 흙을 파고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감자파종기(10)가 트랙터 등에 의해 견인될 때, 누름원판(50)이 밭의 흙을 파고들어가면서 회전 동작을 하므로, 후술할 누름원판 체인(170)에 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프레임(100)의 후방, 즉 누름원판(50)의 앞쪽에는 복토디스크 휠(70)이 형성된다.
복토디스크 휠(70)은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누름원판(50)의 앞쪽에 복토디스크 휠(70) 사이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량의 흙을 복토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복토디스크 휠(70)은 내부가 오목한 형태로서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10)의 후방에서 볼 경우 복토디스크 휠(70)의 앞쪽으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져 있도록 함이 복토시 유리하다.
복토디스크 휠(70)과 프레임(100)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복토디스크 휠 제1연결부재(71)의 일단이 프레임(100)의 후방에 연결된다.
복토디스크 휠 제1연결부재(71)는 본 발명에 의한 감자파종기(10)를 측면에서 볼 경우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갖는다.
복토디스크 휠 제1연결부재(71)의 타단은 복토디스크 휠 제2연결부재(72)와 연결된다.
복토디스크 휠 제2연결부재(72)는 전체적으로 "-"자 가로바(bar) 형상을 갖는다.
복토디스크 휠 제2연결부재(72)에는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가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10)의 후방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토디스크 휠 제2연결부재(72)와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는 서로 평행하게 또한 대칭되게 형성된다.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의 타단에는 수직 연결부재(75)가 형성되며,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의 타단의 수직 연결부재(75)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의 타단의 수직 연결부재(75)에는 2개의 체결홈이 형성된다.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의 타단의 수직 연결부재(75)에 복토디스크 휠 제4연결부재(74)의 일단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의 타단의 수직 연결부재(75)에 삽입된 복토디스크 휠 제4연결부재(74)는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의 타단의 수직 연결부재(75)의 체결홈(미도시)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복토디스크 휠 제4연결부재(74)의 일단은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의 타단의 수직 연결부재(75)에 삽입되며, 복토디스크 휠 제4연결부재(74)의 타단은 복토디스크 휠(70)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복토디스크 휠 제4연결부재(74)는 복토디스크 휠 제3연결부재(73)의 타단의 수직 연결부재(75)의 중공부에의 삽입깊이를 조정함에 따라 복토 디스크 휠(70)과 밭 사이의 띄우는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체인(110)에는 스프로킷이 맞물려 있으며, 스프로킷은 프레임(10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체인(110)은 하부 터닝부(200)를 포함하여 폐곡선 형태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체인(11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체인(110)에 맞물리며, 프레임(100)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로킷이 형성된다.
체인(110)은 제1스프로킷(120)과 제2스프로킷(130)에 맞물려 있다.
체인(110)은 각 마디가 제1스프로킷(120)과 제2스프로킷(130)에 끼워져 맞물려서 회전하게 된다.
체인(110)은 제1스프로킷(120)을 정면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하면, 제1스프로킷(120)의 양쪽으로 반원 형상을 갖는다.
제1스프로킷(120)의 양쪽으로 형성된 반원 형상의 체인을 상부 터닝부(300)라 한다.
제1스프로킷(120)의 우측으로는 집게 하강부가 위치한다.
제1스프로킷(120)의 좌측으로는 집게 상승부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집게 하강부와 집게 상승부는 가이드(15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집게 상승부는 집게 하강부보다 가이드(150)와 멀리 이격되어 있다.
집게(80)가 집게 하강부를 지나면서 제2스프로킷(130)의 양쪽으로 형성된 반원 형상의 체인을 하부 터닝부(200)라 한다.
하부 터닝부(200)를 지나며, 집게는 집게 상승부를 통과하게 된다.
하부 터닝부(200)에서 집게(80)가 가이드(150)를 통과한 후, 집게(80)가 감자 파종기(10)의 후방을 향해 터닝을 한다.
체인(110)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이며, 체인(110)에는 복수 개의 집게(80)가 결합되어 있다.
체인(110)의 각 부분, 즉 집게 상승부, 집게 하강부, 하부 터닝부(200), 상부 터닝부(300)에서의 집게(80)의 형상에 대해 도면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체인(110) 가운데 집게 상승부에서의 집게(8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파지부재(90)는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다.
집게 상승부에서는 집게(80)는 집게열림 동작에 의해, 누름철사(95)가 벌어지게 되므로, 파지부재(90)는 파지부재의 내측면(9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므로, 파지부재(90)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집게 상승부에서는 하나의 누름철사(95)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 사이의 간격이 증가한다.
집게 상승부에서는 집게(80)는 체인(110)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상승하게 된다.
집게 하강부에서의 집게(8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집게(80)의 파지부재(90)는 위쪽을 향해 모아진다.
즉, 집게 하강부에서는 집게(80)가 가이드(150)에 삽입되어 가이드(150)가 누름철사(95)를 누르게 된다.
파지부재(90)는 파지부재의 내측면(92)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므로, 파지부재(90)는 "ㄷ"자를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집게 하강부에서는 파지부재의 내측면(92) 사이의 간격이 작업 대상물의 크기 내지는 지름보다 작으므로, 작업 대상물은 파지부재(90)에 파지될 수 있다.
집게 하강부에서는 하나의 누름철사(95)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하부 터닝부(200)에서의 집게(80)의 형상은 하부 터닝부(200)의 시작과 끝이 서로 다르게 된다.
즉, 하부 터닝부(200)의 시작에서는 집게(80)가 가이드(150)에 삽입되었다가, 가이드(150)를 빠져나오는 순간이므로, 하나의 누름철사(95)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 사이의 감소된 간격이 증가된다.
집게(80)는 집게 상승부에서의 하나의 누름철사(95)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 사이의 간격을 갖게 된다.
파지부재(90)는 "ㄷ"자를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것과 유사한 형상으로부터 점차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파지부재(90)가 가이드(150)를 빠져 나오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작업 대상물이 밭의 흙으로 낙하 또는 파종이 가능하게 된다.
작업 대상물을 밭의 흙으로 낙하 또는 파종한 집게(80)는 하부 터닝부(200)를 지나면서 위쪽을 향해 벌어진 파지부재(90)는 하부 터닝부(200)의 최하단에서는 가이드(150)의 수직방향을 향해 벌어지게 된다.
파지부재(90)는 하부 터닝부(200)의 최하단을 지나면서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다.
상부 터닝부(200)에서의 집게(80)의 형상도 상부 터닝부(300)의 시작과 끝이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상부 터닝부(300)의 시작에서는 집게(80)가 집게 상승부를 지나 상부 터닝부(300)의 최상단에 도달할 때까지는 파지부재(90)는 아래쪽을 향해 벌어진 형상을 갖는다.
집게(80)가 상부 터닝부(300)의 최상단을 지나면서 파지부재(90)는 외측으로 그리고 위쪽을 향해 벌어진다.
파지부재(9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은 (1) 파지부재(90)가 체인(110)의 상부 터닝부(300)의 최상단을 지날 때 중력에 의해 파지부재(90) 자체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2)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을 갖는 파지부재(90)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도 파지부재(90)는 외측으로 벌어진다.
(3) 누름철사 힌지부(88)에 결합한 누름철사(95)의 모멘트 작용에 의해서도 파지부재(9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10)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스프로킷은 제1스프로킷(120)과 제2스프로킷(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스프로킷의 수는 조절 가능하다.
체인(110)에서 하부 터닝부(200)의 반대방향 위쪽에는 즉, 제1스프로킷(120) 근처에는 상부 터닝부(300)가 형성된다.
상부 터닝부(300)에서 집게(80)는 감자 파종기(10)의 전방을 향해 터닝을 하며, 가이드(150)에 삽입된다.
집게(80)의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집게(80)는 브라켓(82)과 파지부재(90)와 누름철사(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집게(80)는 파지부재(90)를 파지 또는 해제하는 누름철사(9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자파종기(10)의 집게(80)를 구성하는 누름철사(95)는 마주보며 2개가 위치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누름철사(95)를 기준으로 그 형상을 설명한다.
먼저 브라켓(82)은 "ㄷ"자를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단면을 갖는다.
브라켓(82)은 브라켓(82)의 상면이 개구되며, 또한 브라켓(8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브라켓(82)의 일측면과 브라켓(82)의 타측면이 개구된다.
한편 브라켓(82)의 일단에는 브라켓(82)과 제1체인(110)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2개의 결합홀(83)이 형성된다.
파지부재(90)는 브라켓(82)의 타단에 위치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파지부재(90)는 브라켓(82)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브라켓(82)의 타단에 위치하게 된다.
파지부재(90)는 파지부재 지지봉(98)에 의해 파지부재(90)의 하부가 눌리게 되며 브라켓(82)의 타단에 고정된다.
즉, 파지부재(90)는 브라켓(92)과 파지부재 지지봉(98)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파지부재 지지봉(98)은 하나의 볼트 및 너트(99)에 의해 브라켓(92)에 결합한다.(도면 4 참조)
따라서, 파지부재 지지봉(98)과 브라켓(82)의 사이에 있는 파지부재(90)도 견고하게 브라켓(82)의 타단에 고정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파지부재 지지봉(98)은 누름철사 결합부재(85)와 브라켓(82)과 함께 3개의 볼트 및 너트(99)에 의해서도 결합된다.(도면 4 참조)
본 발명에서는 파지부재 지지봉(98)은 단면은 원형이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형봉의 형태를 갖는다.
먼저 파지부재(90)는 전체적으로 "ㄷ"자를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단면을 가지며, 파지부재(90)의 상면이 개구되며, 파지부재(9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파지부재(90)의 일측면과 파지부재(90)의 타측면이 개구된다.
파지부재(90)는 집게열림 동작시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파지부재(90)의 하부에는 파지부재 꺽임선(93)이 형성된다.
한편, 파지부재(90)의 재질은 작업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부드러운 탄성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파지부재(90)의 파지동작과 해제동작은 누름철사(95)에 의해 이루어진다.
누름철사(95)는 누름철사 결합부재(85)에 결합된다.
누름철사 결합부재(85)는 브라켓(82)에 결합된다.
누름철사 결합부재(85)는 브라켓(82)의 하면과 브라켓(82)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브라켓(82)과 결합된다.
누름철사 결합부재(85)와 브라켓(82) 간의 결합은 볼트 및 너트(99)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볼트 및 너트(99)가 누름철사 결합부재(85)와 파지부재 지지봉(98) 및 브라켓(82)을 견고히 결합한다.
누름철사 결합부재(85)는 브라켓(82)의 하면과 브라켓(82)의 양측면을 감싸는 누름철사 결합부재의 제1부(86)를 포함한다.
누름철사 결합부재의 제1부(86)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누름철사 결합부재의 제2부(87)가 수평으로 각각 형성된다.
누름철사 결합부재의 제2부(87)의 모서리는 모따기가 되어 있다.
누름철사 결합부재의 제2부(87)의 상면에는 누름철사(9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누름철사 힌지부(88)가 형성된다.
누름철사 힌지부(88)는 누름철사 결합부재의 제2부(87)의 상면에 2개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관통공(89)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자파종기(10)에서는 하나의 집게(80)에 2개의 누름철사(95)가 마주보며 대칭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누름철사(95)를 기준으로 그 형상을 설명한다.
먼저 누름철사(95)는 복수 개의 절곡부(95a 내지 95f)가 형성된다.
즉, 누름철사의 일단(96)으로부터 누름철사 힌지부(88)를 향하면서 복수 개의 (95a 내지 95f)가 형성되는데, 먼저 누름철사 제1절곡부(95a)가 형성된다.
누름철사(95)는 누름철사의 일단(96)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누름철사의 일단(96)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은 파지부재의 꺽임선(93)과 평행하도록 형성한다.
누름철사(95)는 누름철사 제1절곡부(95a)를 지나며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절곡된다.
누름철사는 다시 누름철사 제1절곡부(95a)를 지나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누름철사 제2절곡부(95b)를 지나면서 다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누름철사(95)는 하나의 누름철사 힌지부(88)를 관통한 후, 절곡되어 다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곡된 부분을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라 한다.
누름철사(95)는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를 지나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누름철사(95)는 누름철사 제4절곡부(95d)를 지나면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누름철사(95)는 누름철사 제5절곡부(95e)를 지나면서 다시 비스슴하게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누름철사(95)는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를 지나면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 힌지부(88)를 통과한 후, 누름철사의 타단(97)을 형성한다.
복수 개의 절곡부가 형성된 누름철사(95)는 가이드(150)에 의해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이 가이드(150)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됨에 따라 파지부재(90)의 폭이 달라지게 된다.
즉, 하나의 누름철사(95)에서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과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에서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의 이격거리는 마주보며 위치한 가이드(150)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크다.
그러나, 누름철사(95)가 마주보며 위치한 가이드(150) 사이에 끼워지게 될 경우, 하나의 누름철사(95)에서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과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에서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과의 이격거리는 감소하게 된다.
하나의 누름철사(95)에서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과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의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의 이격거리가 감소하게 됨에 따라, 파지부재의 외측면(91) 쪽에 위치한 하나의 누름철사(95)와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 사이의 이격거리도 감소하게 된다.
하나의 누름철사(95)와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 사이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므로 파지부재의 내측면(92) 사이의 간격도 감소하게 되므로, 파지부재(90)는 작업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누름철사(95)가 마주보며 위치한 가이드(150)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하나의 누름철사(95)에서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과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에서 누름철사 제3절곡부(95c)로부터 누름철사 제6절곡부(95f)부분과의 이격거리는 원 상태로 복귀, 즉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파지부재의 외측면(91) 쪽에 위치한 하나의 누름철사(95)와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 사이의 이격거리도 원 상태로 복귀, 즉 증가한다.
하나의 누름철사(95)와 다른 하나의 누름철사(95)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누름철사(95)에 의해 감소했던 파지부재의 내측면(92) 사이의 간격도 커지게 되어, 파지부재(90)는 파지가 해제되어 작업 대상물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작업 대상물은 쟁기부(40)에 의해 밭의 흙이 파인 부분에 낙하 또는 파종된다.
체인(110)을 따라 이동하는 집게(80)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작업 대상물을 낙하시키지 않고, 밭의 흙이 파인 부분에 살짝 얹는 방식의 파종도 가능하다.
작업 대상물이 낙하 또는 파종된 후, 작업 대상물을 흙으로 덮는 작업은 복토디스크 휠(70) 등을 이용하거나 생략하기도 한다.
파지부재(90)가 체인(110)의 상부 터닝부(300)의 최상단을 지날 때 중력에 의해 파지부재(90) 자체가 벌어지고, 또한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을 갖는 파지부재(90)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도 파지부재(90)는 벌어진다.
또한 누름철사 힌지부(88)에 결합한 누름철사(95)의 모멘트의 의해서도 파지부재(90)가 벌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체인(110)과 집게(80)의 작동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체인(110)의 상부에는 제1스프로킷(120)이 제1체인(110)의 하부에는 제2스프로킷(13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스프로킷(130)이 회전함에 따라 제1스프로킷(120)이 회전하게 된다.
제1체인(110)의 각 마디는 제1스프로킷(120) 또는 제2스프로킷(130)에 끼워져 맞물려서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브라켓의 결합홀(83)은 제1체인(110)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며, 복수 개의 집게(80)는 체인(110)상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다.
체인(110)의 전방에 가이드(150)가 형성된다.
가이드(150)는 집게(80)를 안내한다.
한편 가이드(150)의 상부에는 가이드 도입부(155)가 형성되며, 가이드 도입부(155)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도입부(155)의 간격은 하나의 가이드(150)와 이에 마주보는 가이드(150) 사이 간격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집게(80)가 가이드(150)에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집게(80)가 가이드(150)에 안내되면서, 즉, 집게(80)가 가이드(150)에 삽입되는 동안 집게(80)는 닫힌다.
체인(110)을 따라 집게(80)가 가이드(150)를 따라 삽입된 후, 집게(80)는 아래로 내려간다.
집게(80)가 가이드(150)를 통과하면서 상기 체인의 하부 터닝부(200)에 도달한 집게(80)는 열리게 된다.
집게(80)의 집게열림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파지부재(90)에 파지되었던 작업 대상물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 후, 집게(80)는 하부 터닝부(200)를 지나서 체인(110)을 따라 위로 이동하고, 상부 터닝부(300)에 도달하게 된다.
집게열림 동작이 이루어진 집게(80)의 파지부재(90)에 작업 대상물이 하나씩 놓여진다.
즉, 작업대상물은 집게(80)가 체인(110)을 기준으로 할 때 하부 터닝부(200)로부터 집게(80)가 가이드(150)에 삽입되기 전까지의 구간에서 파지부재(90)에 놓여진다.
본 발명에 의한 감자파종기(10)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집게(80)가 상부 터닝부(300)를 지나 가이드(150)에 삽입되기 직전에 작업대상물이 파지부재(90)에 놓여지도록 한다.
체인(110)의 하강부, 즉 집게(80)가 가이드(150)에 삽입되어 내려가는 동안은 체인(110)의 하강 속도와 집게(80)의 하강속도가 동일하다.
그러나, 체인의 하부 터닝부(200)에서는 집게(80)의 끝단, 즉 파지부재(90)의 속도가 체인(110)의 속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파지부재(90)에 파지된 작업대상물은 집게(80)가 가이드(150)를 통과하여 파지가 해제된 후, 체인(110)의 속도보다 높은 파지부재(90)의 속도에 의해 작업대상물을 보다 빨리 밭에 뿌리거나 파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대상물은 수작업 또는 기계에 의한 자동화에 파지부재(90)에 놓여지게 되며, 만약 수작업에 의해 작업대상물을 파지부재(90)에 올려 놓을 경우에는 파종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작업의자(미도시)는 하나의 집게(8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누름원판(50)이 회전함에 따라 누름원판 체인(170)이 구동하고, 누름원판 체인(170)이 체인(110)을 구동시키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누름원판(50)의 안쪽 중심에는 제3스프로킷(140)이 위치한다.
누름원판(50)의 안쪽에는 또한 제4스프로킷(160)이 위치한다.
제3스프로킷(140)과 제4스프로킷(160)에는 누름원판 체인(170)이 맞물려 있다.
누름원판(50)이 회전하게 되면, 누름원판 체인(170)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4스프로킷(160)이 회전하게 되며, 제4스프로킷(160)과 동일축 선상으로 연결된 제2스프로킷(130)이 회전하게 된다.
제2스프로킷(130)이 회전함에 따라 제1스프로킷(120)이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스프로킷(120)과 제2스프로킷(130)에 맞물려 있는 체인(11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집게(80)가 가이드(150)로 안내되며, 집게(80)는 집게닫힘 동작과 집게열림 동작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감자 파종기는 파종시 microtuber(기내소괴경)를 상처 없이 파종할 수 있다.
10 : 감자 파종기 40 : 쟁기부
50 : 누름원판 70 : 복토디스크 휠
80 : 집게 98 : 파지부재 지지봉
99 : 볼트 및 너트 110 : 체인
150 : 가이드 170 : 누름원판 체인
200 : 하부 터닝부 300 : 상부 터닝부

Claims (5)

  1. 하부 터닝부를 포함하여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체인;
    상기 체인에 맞물리며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스프로킷;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과 함께 이동하는 복수 개의 집게;
    상기 집게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집게가 상기 가이드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집게가 닫히고, 상기 하부 터닝부에서 상기 집게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파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브라켓과 파지부재와 누름철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철사에는 복수 개의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파종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는 복토디스크 휠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파종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쟁기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파종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누름원판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파종기
KR1020130140050A 2013-11-18 2013-11-18 감자 파종기 KR10155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050A KR101557365B1 (ko) 2013-11-18 2013-11-18 감자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050A KR101557365B1 (ko) 2013-11-18 2013-11-18 감자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16A true KR20150057116A (ko) 2015-05-28
KR101557365B1 KR101557365B1 (ko) 2015-10-08

Family

ID=5339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050A KR101557365B1 (ko) 2013-11-18 2013-11-18 감자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3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8049A (zh) * 2016-02-02 2016-06-08 佛山市高明区云大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马铃薯种植机
KR20190036674A (ko) 2017-09-28 2019-04-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병목해소장치와 절단장치가 구비된 감자 파종기
KR20190135638A (ko) 2018-05-29 2019-12-09 김재동 반자동 감자 파종기
CN110720280A (zh) * 2019-11-18 2020-01-24 广西南亚热带农业科学研究所 一种木薯自动快速种植装置及方法
KR20200060883A (ko) * 2018-11-23 2020-06-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소독 기능을 갖는 씨감자 절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자 파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181B1 (ko) 2019-12-20 2022-05-03 (주)이그린글로벌 파종 장치
KR102434692B1 (ko) 2020-05-21 2022-08-22 주식회사 그린맥스 고효율 모니터링 감자파종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634B1 (ko) * 1998-11-14 2000-12-15 김강권 마늘 파종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8049A (zh) * 2016-02-02 2016-06-08 佛山市高明区云大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马铃薯种植机
KR20190036674A (ko) 2017-09-28 2019-04-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병목해소장치와 절단장치가 구비된 감자 파종기
KR20190135638A (ko) 2018-05-29 2019-12-09 김재동 반자동 감자 파종기
KR20200060883A (ko) * 2018-11-23 2020-06-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소독 기능을 갖는 씨감자 절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자 파종기
CN110720280A (zh) * 2019-11-18 2020-01-24 广西南亚热带农业科学研究所 一种木薯自动快速种植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365B1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365B1 (ko) 감자 파종기
CA2816747C (en) A method for planting potatoes at high speed and equipment for carrying out that method
JP5050004B2 (ja) 対地作業装置
JP6208112B2 (ja) 苗を移植する装置
US7669537B1 (en) Knife opener for use with an agricultural implement
Dixit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different paddy transplanters developed in India-A Review
AU2007100035B9 (en) Transplanting apparatus
KR20070093944A (ko) 감자 파종기
EA005351B1 (ru) Сеялка зернотуковая разноуровневая стерневая
KR20200014578A (ko) 모종 이식기
NZ543197A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urrow opening using a disc
Chaudhuri et al. Refinement and adoption of mechanical vegetable transplanters for Indian conditions
JP6175412B2 (ja) 作業機
CN108633354A (zh) 联合种植除草机
CN110278864A (zh) 一种可实现管道水培行距自动调节的输送装置及控制方法
CN108718557A (zh) 农用播种机
CN107996046A (zh) 一种花卉种植机
CN103392395A (zh) 一种郁金种植机
CN107690885A (zh) 一种犁地、播种和盖土一体化水稻播种机
CN209749106U (zh) 一种盐碱地花生、棉花带状种植一体化播种机
JP5212831B2 (ja) 植付け方法および装置
KR200263923Y1 (ko) 경운기 견인식 주아 파종기
JPS5850817Y2 (ja) 移植機の高畦成形装置
CN106258043A (zh) 匍匐式保墒松土不伤苗除草机
KR200214901Y1 (ko)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