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901Y1 -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 Google Patents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901Y1
KR200214901Y1 KR2020000025536U KR20000025536U KR200214901Y1 KR 200214901 Y1 KR200214901 Y1 KR 200214901Y1 KR 2020000025536 U KR2020000025536 U KR 2020000025536U KR 20000025536 U KR20000025536 U KR 20000025536U KR 200214901 Y1 KR200214901 Y1 KR 200214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furrows
roller
disc roll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장 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장 자동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장 자동화
Priority to KR2020000025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901Y1/ko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종기의 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쟁기의 선단에 원판롤러를 설치하여 고랑을 팔 때 나뭇가지와 같은 협잡물을 찍어눌러 절단시키거나 고랑 내로 묻어 협잡물이 쟁기의 선단에 의해 유동하면서 씨앗을 파헤치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파종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파종기의 쟁기(10)에 있어서, 상기 쟁기(10)의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브래킷(16)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16)에 원판롤러(18)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여 쟁기(10)가 고랑을 팔 때 협잡물들을 원판롤러(18)가 찍어눌러 절단시키거나 쟁기(10)에 걸리지 않는 깊이로 묻어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A spade of planter with circular roller}
본 고안은 파종기의 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쟁기의 선단에 원판롤러를 설치하여 고랑을 팔 때 나뭇가지와 같은 협잡물을 찍어눌러 절단시키거나 고랑내로 묻어 협잡물이 쟁기의 선단에 의해 유동하면서 씨앗을 파헤치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파종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종기는 수동 및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씨앗을 일정한 간격으로 뿌려준 후 복토하여 다져주는 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파종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00-005063호, 실용산안 등록번호 187996 호, 의장 등록번호235497호에 소개된 바 있다.
이러한 장치의 하부에는 도 1과 같이 밭을 단열 또는 복열로 고랑을 파는 쟁기가 구비되어 있다.
쟁기는 선단부가 고랑을 파기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첨단부를 이루면서 하단부가 돌출 되어 있고, 양측 날개는 후측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을 갖는 몸체와, 양측 날개 사이로 파종기의 프레임에 쟁기를 고정하면서 그 내부로 파종롤러로부터 떨어지는 씨앗을 고랑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후측에는 양날개에 힌지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고랑으로 떨어진 씨앗을 일정한 두께로 묻어주는 복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쟁기를 이용하여 고랑을 파다보면 흙속이나 표면에 있던 나뭇가지나 식물의 줄기 등과 같은 협잡물들이 쟁기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떠밀려 유동하면서 주변의 흙을 파해치게됨에 따라 인접된 고랑에 파종된 씨앗이나 파종되고 있는 씨앗을 흐트러뜨려 씨앗의 발아 확률을 떨어뜨리게 되는 폐단이 있었 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쟁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쟁기의 선단에 원판롤러를 설치하여 쟁기가 견인되면서 고랑을 팔 때 토양의 표면이나 내부에 묻혀있는 나뭇가지, 마른 곡물의 줄기 등과 같은 협잡물을 찍어 누르면서 고랑을 파도록 하여 작업시 협잡물에 의해 파종되거나 파종된 토양을 파헤치는 일 없이 안전하고 완벽하게 파종되도록 하는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에 쟁기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쟁기에 설치되는 원판롤러의 일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쟁기 11a,11b - 날개
12 - 지지축 14 - 복토판
16 - 브래킷 17 - 회전축
18 - 원판롤러 19 -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단부가 고랑을 파기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첨단부를 이루면서 하단부가 돌출 되어 있고, 양측 날개는 후측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을 갖는 몸체와, 양측 날개 사이로 파종기의 프레임에 쟁기를 고정하면서 그 내부로 파종롤러로부터 떨어지는 씨앗을 고랑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후측에는 양날개에 힌지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고랑으로 떨어진 씨앗을 일정한 두께로 묻어주는 복토판으로 구성된 파종기의 쟁기에 있어서,
상기 쟁기의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에 원판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여 쟁기가 고랑을 팔 때 협잡물들을 원판롤러가 찍어누르도록 함으로써 협잡물들이 쟁기에 의해 유동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면서 토양을 파해치는 일들이 방지되도록 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쟁기 몸체는 선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첨단부를 이루고 있고, 특히 하단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되어 고랑을 잘 팔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몸체의 양측에는 선단에 의해 파여진 고랑의 흙을 외부로 벌려놓기 위해 날개(11a)(11b)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는 파종기 프레임에 쟁기(10)를 고정하는 지지축(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축(12)은 관체로 구성되어 상부의 파종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씨앗을 쟁기(10)의 날개(11a)(11b)사이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몸체의 후측 양측 날개(11a)(11b) 사이에는 축(15)을 설치하여 이에 복토판(14)을 상하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하여 씨앗이 파종된 고랑의 흙을 일정한 두께로 복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복토판(14) 대신 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중요하게는 몸체의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브래킷(16)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16)의 회전축(17)에 원판롤러(18)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다.
이 원판롤러(18)는 쟁기(10)의 선단보다 앞쪽에 설치되고, 그 하단부는 쟁기(10)의 하단보다 약간더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판롤러(18)를 브래킷(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 회전축(17)의 양측에는 너트(19)가 체결되어 원판롤러(1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므로 필요에 따라 탈장착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쟁기(10)가 파종기에 의해 견인되면서 고랑을 파기 이전에 먼저 회전하게 되고, 토양의 표면이나 내부에 묻혀있는 나뭇가지, 곡물의 줄기 등과 같은 협잡물들을 찍어눌러 쟁기(10)의 선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해준다.
이때 원판롤러(30)의 둘레에 도 6에서와 같이 톱니(31)를 형성하여 협잡물을 찍어누를 때 협잡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쟁기(10)가 고랑을 파기 전에 원판롤러(30)가 예비적으로 고랑을 팔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쟁기의 선단에 원판롤러가 설치되어 있어 고랑을 팔 때 토양의 표면 또는 토양에 묻혀있는 나뭇가지와 같은 협잡물을 찍어눌러 절단시키거나 쟁기에 걸리지 않는 깊이로 묻어 협잡물이 쟁기의 선단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랑을 팔 때 종래와 같이 쟁기에 의해 협잡물들이 노출되거나 유동하면서 씨앗을 파헤치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파종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파종기의 쟁기(10)에 있어서,
    상기 쟁기(10)의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브래킷(16)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16)에 원판롤러(18)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여 쟁기(10)가 고랑을 팔 때 협잡물들을 원판롤러(18)가 찍어눌러 절단시키거나 쟁기(10)에 걸리지 않는 깊이로 묻어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롤러(30)의 둘레에 톱니(3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KR2020000025536U 2000-09-07 2000-09-07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KR200214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36U KR200214901Y1 (ko) 2000-09-07 2000-09-07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36U KR200214901Y1 (ko) 2000-09-07 2000-09-07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901Y1 true KR200214901Y1 (ko) 2001-02-15

Family

ID=7308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536U KR200214901Y1 (ko) 2000-09-07 2000-09-07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9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0856A (zh) * 2022-05-10 2022-08-02 安徽省农业科学院水稻研究所 一种适用于含水量较高土壤的开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0856A (zh) * 2022-05-10 2022-08-02 安徽省农业科学院水稻研究所 一种适用于含水量较高土壤的开沟器
CN114830856B (zh) * 2022-05-10 2023-07-21 安徽省农业科学院水稻研究所 一种适用于含水量较高土壤的开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998B1 (en) Minimum till seeding knife
US4187916A (en) Soil conditioning and seed bed preparing apparatus
US4244306A (en) Minimum tillage planter
US4798151A (en) Furrow opening point
KR200403145Y1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RU2375865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ошник
KR200214901Y1 (ko) 원판롤러가 설치된 파종기의 쟁기
US200802957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urrow Opening Using A Disc
KR20070027152A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US4452315A (en) Straw and debris deflector for soil opening apparatus
KR100740044B1 (ko) 비료의 두둑 줄 뿌림 장치
RU2267898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ошник
KR200432384Y1 (ko) 수레형 파종기
KR200263923Y1 (ko) 경운기 견인식 주아 파종기
WO2002037945A1 (en) A disc opener
RU2218697C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сеялки зернотуковой стерневой
Baker Seeding openers and slot shape.
CN220342782U (zh) 一种施肥播种机
CN217564079U (zh) 一种草原多功能免耕播种机
AU733413B3 (en) A disc opener
RU50364U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сеялки зернотуковой стерневой (варианты)
CA1089719A (en) Minimun tillage planter
AU761322B2 (en) A disc opener
FR2662902A1 (fr) Procede de semi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óoeuvre et moissonneuse-batteuse combinee.
RU16051U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сеялки-культиватора для подпочвенно-разбросного посе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