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397A -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397A
KR20150056397A KR1020130139364A KR20130139364A KR20150056397A KR 20150056397 A KR20150056397 A KR 20150056397A KR 1020130139364 A KR1020130139364 A KR 1020130139364A KR 20130139364 A KR20130139364 A KR 20130139364A KR 20150056397 A KR20150056397 A KR 2015005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priority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outpu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훈
김태훈
하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397A/ko
Priority to CN201480057670.5A priority patent/CN105659617A/zh
Priority to JP2016530160A priority patent/JP2017504987A/ja
Priority to PCT/KR2014/008535 priority patent/WO2015072659A1/en
Priority to EP14862615.3A priority patent/EP3069524A4/en
Priority to US14/492,747 priority patent/US20150143406A1/en
Publication of KR2015005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3Automatically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e.g. when a recording by reservation has been programmed for two programs in the same time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방송 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방송 수신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 및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CE MESSAGE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양한 유무선 기술을 적용하여, 댁 내외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기들을 통합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하며, 사용자들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각종 기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은 다른 기기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무분별하게 제공받는다는 점에서, 불편함을 느끼기도 하였다.
가령, 사용자는 TV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세탁기의 세탁 완료 사실을 통지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컨텐츠 시청에 대한 몰입감이 떨어질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 및 외부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는 방송 컨텐츠 출력 상태, 광고 출력 상태, 메뉴 설정 상태, 채널 전환 상태 및 입력 신호 전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은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는 방송 컨텐츠 출력 상태, 광고 출력 상태, 메뉴 설정 상태, 채널 전환 상태 및 입력 신호 전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우선 순위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대한 줄임과 동시에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형태 및 알림 메시지에 대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시스템(1000)은 방송 수신 장치(100) 및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로 구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1000)은 가정에서 쓰이는 모든 전기, 전자 제품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네트워크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는 시스템이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회사 내의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제어하는 시스템의 경우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제어 즉, 중앙 제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즉, 방송 수신 장치(100)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로서,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TV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방송 수신 장치(100) 외의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홈 서버, 홈 컨트롤러, 홈 게이트웨이 등과 같은 별도의 디바이스가 중앙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저장하고, 기저장된 제어 명령 중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100)는 현관문(4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기저장된 제어 명령 중 현관문(4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현관문(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명령은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 및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송 수신 장치(100) 및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UI를 구성하는 항목은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각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동작의 완료,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고장, 디바이스에서 감지된 화재 발생, 외부인 침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0)는 세탁, 건조 등의 세탁기(10)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이 완료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냉장고(20)는 고장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기(3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하고, 현관문(40), 창문(50) 및 감시 카메라(60)는 외부인이 침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가 전송하는 신호가 어떠한 이벤트를 나타내는지는 방송 수신 장치(100)와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 사이에 기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에서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가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TV로 구현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100)는 자신의 출력 상태 및 발생된 이벤트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로 TV(100), 세탁기(10), 냉장고(20), 화재 감지기(30), 현관문(40), 창문(50) 및 감시 카메라(60)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기기의 개수 및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100) 및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유/무선 LAN,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와이파이(Wifi)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10 내지 60)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방송 수신 장치(100)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림 메시지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와 관련하여서는 추후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UPnP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시스템(도 1의 100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20)는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 및 외부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현재 출력 상태는 방송 컨텐츠 출력 상태, 광고 출력 상태, 메뉴 설정 상태, 채널 전환 상태 및 입력 신호 전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는 방송 컨텐츠 출력 상태, 광고 출력 상태, 메뉴 설정 상태, 채널 전환 상태 및 입력 신호 전환 상태 각각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 예는 하기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과 같이,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는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가 1 순위, 광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가 2 순위, 메뉴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가령, 방송 수신 장치(100)의 세팅값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가 3 순위, 채널 전환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 및 외부 입력 신호로 전환하고 있는 상태가 4 순위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로, 예를 들어, 기기에서 감지된 외부인의 침입, 화재 발생, 기기에서 발생된 고장 및 기기에서 수행된 동작의 완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는 외부인의 침입, 화재 발생, 고장, 동작 완료 각각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 예는 하기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2
표 2와 같이,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는 외부인의 침입이 0 순위, 화재 발생이 1 순위, 기기에 발생된 고장이 2 순위, 기기에서 수행된 동작의 완료가 3 순위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30)는 다양한 형태의 저장매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마이컴(또는, 마이컴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기기에서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전송하는 신호가 어떠한 이벤트를 나타내는지는 방송 수신 장치(100)와 복수의 기기(10 내지 60) 사이에 기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판단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표 2와 같은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외부인 침입인 경우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를 0 순위로 결정하고,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동작 완료인 경우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를 3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가 표 1과 같은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40)는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를 1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와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림 메시지는 이벤트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로, 이벤트별로 서로 다른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인 침입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40)는 외부인 침입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다는 점에서, 도 3b와 같이 외부인 침입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인 "외부인이 침입하였습니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다양한 방식으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거하고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3b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컨텐츠 상에 "외부인이 침입하였습니다"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3c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외부인이 침입하였습니다"라는 알림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알림 메시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알림 메시지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한 후 제거할 수 있고, 알림 메시지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한 후 이를 제거하고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를 구성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는 제조 시 방송 수신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4와 같이 알림 메시지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4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구성하는 텍스트의 크기, 색상, 내용 등을 직접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이벤트별로 저장하여, 추후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같은 GUI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오디오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현재 출력되는 오디오와 함께 오디오 형태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현재 출력되는 오디오를 뮤트(mute)하고 오디오 형태의 알림 메시지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별도의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이 없이 현재 출력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세탁기(10)의 동작 완료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40)는 세탁기(10)의 동작 완료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다는 점에서, 세탁기(10)의 동작 완료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세탁기(10)의 동작 완료에 대한 우선 순위로 3 순위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각 기기에 대한 우선 순위를 우선 순위별로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기기 각각에서 발생한 각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우선 순위별로 소팅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방송 수신 장치(100)의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가 표 1과 같은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40)는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던 상태에서 출력 상태가 변경되어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를 2 순위로 결정하고,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던 상태에서 출력 상태가 변경되어 채널 전환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를 4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와 기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20)의 고장에 대한 우선 순위가 기저장되고,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던 상태에서 출력 상태가 변경되어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채널 전환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기기 고장에 대한 우선 순위가 메뉴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다는 점에서, 도 5c와 같이 냉장고(20)의 고장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리셋할 수 있다. 이는 기저장된 우선 순위 정보와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 사실이 알림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변경된 출력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20)의 고장에 대한 우선 순위가 기저장되고,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던 상태에서 출력 상태가 변경되어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기기 고장에 대한 우선 순위가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다는 점에서, 별도의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현재 출력되고 있는 광고를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아질 때까지, 기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리셋하지 않는다. 즉, 알림 메시지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에 디스플레이된다는 점에서,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까지 즉, 기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아질 때까지 이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계속적으로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가 동일한 경우,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6a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화재 발생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40)는 이들의 우선 순위는 1 순위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도 6b와 같이 화재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인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제조시 기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7과 같이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7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이벤트 및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를 직접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를 저장하여, 추후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우선 순위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방해를 최대한 줄임과 동시에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통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우선 순위 간의 비교 없이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만, 도 8을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외부 기기로부터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S810),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S820). 이 경우, 제어부(140)는 표 2와 같이 정의되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기설정된 순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순위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 중 가장 높은 순위보다 높은 순위로서, 표 1 및 표 2와 같은 경우 0 순위가 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0 순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기설정된 순위에 해당하는 경우(S830-Y),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40).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된 이벤트가 외부인 침입에 해당되어 우선 순위가 0 순위로 결정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와 무관하게 외부인 침입 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기설정된 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를 비교하지 않고,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기설정된 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830-N), 제어부(14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를 판단하고(S850), 판단된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S860). 이 경우, 제어부(140)는 표 1과 같이 정의되는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S870).
판단 결과,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S870-Y), 제어부(140)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80). 하지만,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작은 경우(S870-N), 제어부(140)는 별도의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이 없이 현재 출력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890).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100)가 네트워크 시스템(1000)에서 중앙 제어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디바이스(이하, 컨트롤 디바이스)가 중앙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도, 방송 수신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 디바이스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네트워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아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00)는 컨트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 외에 수신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신호 처리부(170), GUI 처리부(180), 입력부(191), 리모컨 신호 수신부(193) 및 오디오 출력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의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수신부(150)는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5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등과 같이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방송국 등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부(150)는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50)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웹 서버 등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수신부(1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0)는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와 연결되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록 매체 재생 장치란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16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으로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수신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7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에 대해 디코딩, 스케일링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에 대해 디코딩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출력부(193)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오디오 출력부(193)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GUI 처리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GUI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GUI 처리부(180)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GUI 형태로 생성할 수 있으며, GUI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에 부가되어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되거나, GUI 자체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입력부(191)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91)는 전원 온/오프, 채널 전환, 볼륨 조절, 외부 입력 신호 전환, 각종 메뉴 설정 등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채널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입력 신호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인터페이스부(16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91)는 입력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패널은 터치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모컨 신호 수신부(193)는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되는 리모컨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리모컨 신호 수신부(193)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 가령, 전원 온/오프, 채널 전환, 볼륨 조절, 외부 입력 신호 전환, 각종 메뉴 설정 등에 대응되는 리모컨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수신된 리모컨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95)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부(195)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 및 오디오 형태로 구성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95)는 스피커, 오디오 출력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100)의 현재 출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참조하거나 방송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 등을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지 또는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채널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채널 전환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 입력 신호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 신호 전환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S1010).
이후,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1020).
구체적으로,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는 방송 컨텐츠 출력 상태, 광고 출력 상태, 메뉴 설정 상태, 채널 전환 상태 및 입력 신호 전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1020 단계는, 알림 메시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거하고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우선 순위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메뉴 화면을 통해 우선 순위를 설정받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벤트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대한 줄임과 동시에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00)에 대해 도시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방송 수신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통신부 130 : 저장부
140 : 제어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부;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 및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는,
    방송 컨텐츠 출력 상태, 광고 출력 상태, 메뉴 설정 상태, 채널 전환 상태 및 입력 신호 전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8. 방송 수신 장치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변경된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출력 상태는,
    방송 컨텐츠 출력 상태, 광고 출력 상태, 메뉴 설정 상태, 채널 전환 상태 및 입력 신호 전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출력 상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30139364A 2013-11-15 2013-11-15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56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364A KR20150056397A (ko) 2013-11-15 2013-11-15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CN201480057670.5A CN105659617A (zh) 2013-11-15 2014-09-12 广播接收装置以及使用该广播接收装置来显示通知消息的方法
JP2016530160A JP2017504987A (ja) 2013-11-15 2014-09-12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報知(Notification)メッセージディスプレイ方法
PCT/KR2014/008535 WO2015072659A1 (en) 2013-11-15 2014-09-12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fication message using the same
EP14862615.3A EP3069524A4 (en) 2013-11-15 2014-09-12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fication message using the same
US14/492,747 US20150143406A1 (en) 2013-11-15 2014-09-22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fication messa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364A KR20150056397A (ko) 2013-11-15 2013-11-15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97A true KR20150056397A (ko) 2015-05-26

Family

ID=5305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364A KR20150056397A (ko) 2013-11-15 2013-11-15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43406A1 (ko)
EP (1) EP3069524A4 (ko)
JP (1) JP2017504987A (ko)
KR (1) KR20150056397A (ko)
CN (1) CN105659617A (ko)
WO (1) WO20150726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289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WO2021145596A1 (ko) * 2020-01-13 2021-07-22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3411A1 (en) 2013-12-11 2015-06-11 Echostar Technologies, Llc Home Monitoring and Control
US9900177B2 (en) 2013-12-11 2018-02-2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intaining up-to-date home automation models
US9769522B2 (en) 2013-12-16 2017-09-19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on specific operations
US9723393B2 (en) 2014-03-28 2017-08-01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to conserve remote batteries
US9824578B2 (en) 2014-09-03 2017-11-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US9989507B2 (en) 2014-09-25 2018-06-05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oxic gas
US9983011B2 (en) 2014-10-30 2018-05-29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pping and facilitating evacuation routes in emergency situations
US9511259B2 (en) 2014-10-30 2016-12-06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Fitness overlay and incorporat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20160182249A1 (en) * 2014-12-19 2016-06-23 EchoStar Technologies, L.L.C. Event-based audio/video feed selection
US9967614B2 (en) 2014-12-29 2018-05-0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Alert suspens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WO2016123611A1 (en) * 2015-01-30 2016-08-04 Arris Enterprises, Inc. Playback manipulation in response to notification
US10116601B2 (en) * 2015-02-06 2018-10-30 Jamdeo Canad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 device notifications
US9729989B2 (en) 2015-03-27 2017-08-08 Echostar Technologies L.L.C. Home automation sound detection and positioning
US994685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stricted access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4847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weather detection
US9960980B2 (en) 2015-08-21 2018-05-0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ation monitor and device cloning
US9996066B2 (en) 2015-11-25 2018-06-1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VAC health monitoring using a television receiver
US10101717B2 (en) 2015-12-15 2018-10-16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s
US9798309B2 (en) 2015-12-18 2017-10-24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 profiling using audio sensor data
US10091017B2 (en) 2015-12-30 2018-10-0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Personalized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ized profiling
US10073428B2 (en) 2015-12-31 2018-09-1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US10060644B2 (en) 2015-12-31 2018-08-2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preferences
US9882736B2 (en) 2016-06-09 2018-01-3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sound generation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306586B2 (en) 2016-06-10 2019-05-28 Apple Inc. Coordinated notifications
US10294600B2 (en) 2016-08-05 2019-05-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detection of washer/dryer operation/fault condition
US10049515B2 (en) 2016-08-24 2018-08-14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usted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s
EP3563234B1 (en) * 2017-01-31 2021-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172205B (zh) * 2017-06-29 2018-11-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推送信息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EP3656093A1 (en) * 2017-07-19 2020-05-27 Signify Holding B.V. Selecting a modality for providing a message based on a mode of operation of output devices
US10809889B2 (en) * 2018-03-06 2020-10-20 Sony Corporation Live interactive event indication based on notification profile for display device
KR20200045033A (ko) * 2018-10-12 2020-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그의 위한 정보 출력 방법
US11223596B2 (en) * 2018-11-19 2022-01-11 Stubhub, Inc. Generation of composite messages using qualifying events and actions
JP7332551B2 (ja) * 2020-08-19 2023-08-23 Tvs Regza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202515B (zh) * 2020-08-31 2023-08-08 上海文化广播影视集团有限公司 一种广播播出逻辑优选处置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8403B2 (ja) * 1995-02-10 2004-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信号受信装置
US5991799A (en) * 1996-12-20 1999-11-23 Liberate Technologies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an internet multiplexer to focus user selection
AU2001253330A1 (en) * 2000-06-13 2001-12-24 Isurftv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on of recorded media into a broadcast
US6874012B1 (en) * 2000-11-01 2005-03-29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display device using a priority messaging protocol
US20020124252A1 (en) * 2001-03-02 2002-09-05 Schaefer Scott R.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information alerts via an interactive video casting system
JP4428877B2 (ja) * 2001-04-03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US7536704B2 (en) * 2001-10-05 2009-05-19 Opentv, Inc. Method and apparatus automatic pause and resume of playback for a popup on interactive TV
US20040049785A1 (en) * 2002-09-06 2004-03-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personalized alerts to set top box users without user intervention
GB2419072A (en) * 2003-10-30 2006-04-12 Nokia Corp Personalisation of an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KR101053596B1 (ko) * 2004-07-1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053595B1 (ko) * 2004-07-1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US7342488B2 (en) * 2004-10-13 2008-03-11 Innvision Net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me awareness
KR100667789B1 (ko) * 2005-01-04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상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비상경보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JP4822972B2 (ja) * 2006-07-28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7962932B2 (en) * 2006-09-27 2011-06-14 Scenera Technologie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esenting a message on a display based on a display based on video frame types presented on the display
US8719861B2 (en) * 2006-10-02 2014-05-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ynamic event data in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ystem
JP4561771B2 (ja) * 2007-05-09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と画像表示方法
US10356366B2 (en) * 2007-05-31 2019-07-1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control of a system during a commercial break
JP5185368B2 (ja) * 2007-06-29 2013-04-17 中国移▲動▼通信集▲団▼公司 情報家電のイベントメッセージの分類処理方法
CN101355638B (zh) * 2007-07-25 2012-07-0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提供紧急警报事件通知的方法及装置
WO2010082780A2 (en) * 2009-01-18 2010-07-22 Lg Electronics Inc. Ip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alert system widget in iptv
US9599981B2 (en) * 2010-02-04 2017-03-21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Electronic appliance status notification via a home entertainment system
KR101985337B1 (ko) * 2011-10-26 2019-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운용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9769106B2 (en) * 2012-12-28 2017-09-19 Intel Corporation Displaying notifications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9009307B2 (en) * 2013-01-08 2015-04-1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utomated alert management
US20140250456A1 (en) * 2013-03-01 2014-09-04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service alerts dur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s
US20150058882A1 (en) * 2013-08-22 2015-02-2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an alert during playback of a recorded sig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289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WO2021145596A1 (ko) * 2020-01-13 2021-07-22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3406A1 (en) 2015-05-21
WO2015072659A1 (en) 2015-05-21
JP2017504987A (ja) 2017-02-09
EP3069524A4 (en) 2017-04-12
CN105659617A (zh) 2016-06-08
EP3069524A1 (en)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6397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069769A1 (en)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
KR1019132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
US10063802B2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of the same
US114369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mote-control special modes
EP3048798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KR201501219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US20150046294A1 (en) Display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item providing method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359542A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KR20140001726A (ko) 화면 동기화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
KR102583089B1 (ko)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룰 실행 방법, 서버 장치 및 룰 실행 시스템
EP2974281B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managing an entertainment system
CN103747333A (zh) 机顶盒控制方法及装置
JP2015069331A (ja) 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US9563596B2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including electronic apparatus and re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60000534A (ko) 홈 네트워크 자동 연결형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08874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50072766A (ko) 원격 제어 시스템,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54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3499874A1 (en) Networked display with location dependent menus
KR201400877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9253789A (ja) 視聴システム
JP2009065267A (ja) 電子機器
KR10210806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