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950A - 하드형 패키지 - Google Patents

하드형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950A
KR20150054950A KR1020157009131A KR20157009131A KR20150054950A KR 20150054950 A KR20150054950 A KR 20150054950A KR 1020157009131 A KR1020157009131 A KR 1020157009131A KR 20157009131 A KR20157009131 A KR 20157009131A KR 20150054950 A KR20150054950 A KR 2015005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lid
hinge
main body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854B1 (ko
Inventor
신이치 이와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0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provided with proff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63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so as to form two cigarette-compartments interconnected by a hinge-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패키지 본체를 가지는 하드형 패키지에 있어서, 각 패키지 본체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하드형 패키지는, 제 1 패키지부 및 제 2 패키지부를 구비하며, 제 1 패키지부 및 제 2 패키지부는 각각, 상부에 개구단을 가짐과 아울러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개구단의 후측 개구연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해당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부를 가지며, 제 1 패키지부 및 제 2 패키지부는, 각각의 뚜껑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패키지 본체의 후벽끼리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 1 패키지부 및 제 2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뚜껑부의 천벽과 후벽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끼리가 정부 힌지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하드형 패키지{HARD PACKAGE}
본 발명은 하드형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담배 상품 등의 피수용물(수용 대상물)을 수용하는 패키지(포장)로서, 소프트 팩형 패키지나 하드형 패키지 등이 공지이다. 하드형 패키지의 하나의 형태로서, 힌지를 통해 패키지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뚜껑(힌지 뚜껑)을 구비한 힌지 뚜껑이 달린 하드형 패키지(힌지 뚜껑 패키지라고도 한다)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하드형 패키지는, 통상, 박스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패키지 본체와, 패키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단(開口端)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가, 개구단의 연부(緣部)를 따라 형성된 힌지를 통해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최근에는, 하드형 패키지의 일 형태로서,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패키지 본체를 복수 가진 패키지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8을 참조). 종래에 있어서의 복수의 패키지 본체를 가진 하드형 패키지로서는, 월렛 타입, 슬라이드 오픈 타입, 스윙 오픈 타입 등의 패키지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특개 2009-83932호 공보 특허문헌 2:특표 2008-525279호 공보 특허문헌 3:특표 2007-527826호 공보 특허문헌 4:특표 2008-531406호 공보 특허문헌 5:특허 제4909436호 공보 특허문헌 6:특표 2008-528392호 공보 특허문헌 7:특개 평9-24926호 공보 특허문헌 8:특개 평9-24927호 공보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의 복수의 패키지 본체를 가진 하드형 패키지로서는, 패키지 본체를 개방할 때에 양손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패키지 본체를 가지는 하드형 패키지에 있어서, 각 패키지 본체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를 서로 등지고 있게 배치함과 아울러, 각(各)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힌지 뚜껑의 후정연부(後頂緣部, rear top edge)끼리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정부(頂部) 힌지(top hinge)를 통해 연결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 1 패키지부 및 제 2 패키지부를 구비하는 패키지로서,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는 각각, 상부에 개구단(開口端)을 가짐과 아울러 내부에 피수용물(被收容物)을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연(開口緣)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해당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는, 각각의 상기 뚜껑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後壁)끼리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뚜껑부의 천벽(天壁, top wall)과 후벽(後壁, rear wall)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끼리가 정부 힌지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는, 제 1 패키지부와 제 2 패키지부가 이른바 서로 등지고 있게 배치되며, 각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뚜껑부의 후정연부끼리가 정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패키지부와 제 2 패키지부는, 각각이 이른바 힌지 뚜껑 패키지로, 각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패키지 본체와 뚜껑부는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각 패키지부의 뚜껑부를 개폐할 때, 각 패키지부의 패키지 본체끼리를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뚜껑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키지부가 가지는 패키지 본체 및 뚜껑부를 「제 1 패키지 본체」 및 「제 1 뚜껑부」라고 칭하고, 제 2 패키지부가 가지는 패키지 본체 및 뚜껑부를 「제 2 패키지 본체」 및 「제 2 뚜껑부」라고 칭한다. 또한, 제 1 패키지 본체와 제 1 뚜껑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제 1 힌지」라고 칭하고, 제 2 패키지 본체와 제 2 뚜껑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제 2 힌지」라고 칭한다. 여기서, 제 1 뚜껑부 및 제 2 뚜껑부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제 1 뚜껑부를 개방할 경우, 사용자는, 제 2 패키지 본체에 대해 제 1 패키지 본체를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하면, 정부 힌지를 중심으로 제 1 힌지가 정부 힌지의 둘레를 주회(周回)함으로써, 정부 힌지를 중심으로 제 1 뚜껑부와 제 2 뚜껑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하면서, 제 1 힌지를 중심으로 제 1 뚜껑부와 제 1 패키지 본체가 상대적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제 1 뚜껑부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제 2 뚜껑부를 개방할 경우, 사용자는, 제 1 패키지 본체에 대해 제 2 패키지 본체를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하면, 정부 힌지를 중심으로 제 2 힌지가 정부 힌지의 둘레를 주회함으로써, 정부 힌지를 중심으로 제 1 뚜껑부와 제 2 뚜껑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하면서, 제 2 힌지를 중심으로 제 2 뚜껑부와 제 2 패키지 본체가 상대적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제 2 뚜껑부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는, 제 1 뚜껑부 및 제 2 뚜껑부 중 어느 것을 개방할 경우에 있어서도, 각 패키지 본체를 슬라이드 조작할 뿐, 뚜껑부를 직접 조작하는 일없이, 원하는 뚜껑부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에 의하면, 각 패키지 본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드형 패키지에 수용하는 피수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상(棒狀) 물품의 집합체, 예를 들면 담배 상품을 피수용물로서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담배 상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말이(紙卷) 담배(필터 시가렛, 양절 담배(필터 없음)), 시가(葉卷), 시가릴로, 스누스, 코담배, 씹는 담배, 전자 담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는,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 중 어느 한쪽의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후벽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설(延設)된 결합부와, 다른쪽의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후벽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의 연신(延伸)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당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패키지부의 뚜껑부를 개방할 때, 패키지 본체끼리의 슬라이드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기 패키지 본체끼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간(離間)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패키지 본체끼리의 후벽(배면)끼리가 이간하는 것을 어느 정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패키지 본체끼리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시켰을 때에, 정부 힌지의 둘레를 제 1 힌지 또는 제 2 힌지가 원활하게 주회할 수 있게 되어, 뚜껑부의 원활한 개방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뚜껑부와 패키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정부 힌지 사이의 이간 치수와, 상기 제 2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뚜껑부와 패키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정부 힌지 사이의 이간 치수가 거의 같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정부 힌지와 상기 제 1 힌지 사이의 이간 치수와, 상기 정부 힌지와 상기 제 2 힌지 사이의 이간 치수가 거의 같아도 된다. 이와 같이 하드형 패키지를 구성함으로써, 어느 패키지부에 대응하는 뚜껑부를 개방할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패키지 본체의 슬라이드 조작량이 크게 달라져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드형 패키지의 조작성,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의 외형 치수가 거의 같아도 된다. 이와 같이 하드형 패키지를 구성함으로써, 각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뚜껑부의 개폐 조작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하드형 패키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해서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패키지 본체를 가지는 하드형 패키지에 있어서, 각 패키지 본체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3]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분해도이다.
[도 4]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1 패키지부의 배면도이다.
[도 5]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2 패키지부의 배면도이다.
[도 6] 제 1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제 2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제 3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에 있어서, 제 1 패키지부의 제 1 뚜껑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b]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c]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실시형태 2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분해도이다.
[도 13] 제 4 블랭크(B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제 5 블랭크(B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 예로서, 필터 시가렛이나 양절(兩切) 시가렛 등의 담배 상품을 하드형 패키지에 수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는, 종이재(예를 들면, 카드지, 마닐라 보드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하드형 패키지의 재질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드형 패키지는, 플라스틱 시트나, 금속판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재질로 종이재를 사용할 경우는, 평량(坪量)으로서 예를 들면 100g/㎡ 이상, 400g/㎡ 이하의 종이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의 표벽면(表壁面)에, 미관이나 촉감의 향상 등을 위해, 엠보스 가공, 단섬유 파일(플록)을 사용한 플로키 가공, 니스(바니쉬)를 두껍게 바른 유사 엠보스 가공 등을 실시해도 된다.
<실시형태 1>
도 1 및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형 패키지(1)는, 각각이 독립된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진 힌지 뚜껑이 달린 박스형 패키지인 제 1 패키지부(2)와 제 2 패키지부(3)를 구비하며, 이들 각 패키지부의 뚜껑부끼리를 서로 힌지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패키지부(2)는,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1 패키지 본체(4)에 제 1 힌지(5)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부로서의 제 1 힌지 뚜껑(이하, 단순히 「제 1 뚜껑」이라고 한다)(6)을 가진다. 제 2 패키지부(3)는, 제 2 패키지 본체(7)와, 제 2 패키지 본체(7)에 제 2 힌지(8)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뚜껑부로서의 제 2 힌지 뚜껑(이하, 단순히 「제 2 뚜껑」이라고 한다)(9)을 가진다.
제 1 패키지 본체(4) 및 제 2 패키지 본체(7)는, 직방체 형상의 상단측이 비스듬하게 절결된 형상을 가진 상자체로, 그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패키지 본체(4)는, 전벽(前壁)(41), 후벽(42), 한 쌍의 측벽(43), 저벽(底壁)(44)을 가진다. 전벽(41) 및 후벽(42)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후벽(42)은 전벽(41)에 비해 높이 치수가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전벽(41)과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43)은, 전벽(41) 및 후벽(42)의 양 측연(側緣)을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직사각형 형상의 상단이 경사진 변(斜邊)으로 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측벽(43)의 상단연(上端緣)은, 전벽(41)의 상단과 후벽(42)의 상단을 잇도록 경사져 있다. 저벽(44)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벽(41) 및 후벽(42)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패키지 본체(4)의 후벽(42)의 상단에는 제 1 힌지(5)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벽(42)과 제 1 뚜껑(6)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 1 패키지 본체(4)는, 그 상단에 개구단(4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구단(45)의 후측 개구연에, 제 1 힌지(5)를 통해 제 1 뚜껑(6)이, 회동(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뚜껑(6)은, 제 1 힌지(5)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61)과, 후벽(61)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벽(62)과, 천벽(62)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63)과, 한 쌍의 측벽(64)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측벽(64)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후벽(61), 천벽(62) 및 전벽(63)의 각 측연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뚜껑(6)은 제 1 힌지(5)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 1 뚜껑(6)이 폐쇄되었을 때에, 그 측벽(64)의 경사진 변, 즉 측벽(64)의 경사 하단연(下端緣)이, 상술한 제 1 패키지 본체(4)에 있어서의 측벽(43)의 상단연과 서로 합치(合致)한다.
한편, 제 2 패키지 본체(7)는, 전벽(71), 후벽(72), 한 쌍의 측벽(73), 저벽(74)을 가진다. 전벽(71) 및 후벽(72)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후벽(72)은 전벽(71)에 비해 높이 치수가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전벽(71)과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73)은, 전벽(71) 및 후벽(72)의 양 측연을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직사각형 형상의 상단이 경사진 변이 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측벽(73)의 상단연은, 전벽(71)의 상단과 후벽(72)의 상단을 잇도록 경사져 있다. 저벽(74)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벽(71) 및 후벽(72)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벽(72)의 상단에는 제 2 힌지(8)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힌지(8)가 후벽(72)과 제 2 뚜껑(9)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 2 패키지 본체(7)는, 그 상단에 개구단(7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구단(75)의 후측 개구연에, 제 2 힌지(8)를 통해 제 2 뚜껑(9)이 회동(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뚜껑(9)은, 제 2 힌지(8)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91)과, 후벽(91)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벽(92)과, 천벽(92)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93)과, 한 쌍의 측벽(94)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측벽(94)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후벽(91), 천벽(92) 및 전벽(93)의 각 측연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뚜껑(9)은 제 2 힌지(8)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 2 뚜껑(9)이 폐쇄되었을 때에, 그 측벽(94)의 경사진 변, 즉 측벽(94)의 경사 하단연이, 상술한 제 2 패키지 본체(7)에 있어서의 측벽(73)의 상단연과 서로 합치한다.
이하, 제 1 패키지부(2)에 있어서는, 제 1 패키지 본체(4)에 있어서의 전벽(41) 측을 정면으로 하고, 후벽(42) 측을 배면으로 한다. 또한, 제 2 패키지부(3)에 있어서는, 제 2 패키지 본체(7)에 있어서의 전벽(71) 측을 정면으로 하고, 후벽(72) 측을 배면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형 패키지(1)에 있어서는,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는, 그 외형 형상 및 외형 치수가 거의 같다. 또한,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은, 그 외형 형상 및 외형 치수가 거의 같다. 그 결과, 제 1 패키지부(2)와 제 2 패키지부(3)는, 그 외형 형상 및 외형 치수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형 치수란, 높이, 폭, 깊이 등, 패키지의 외형을 규정하는 각부(各部)의 치수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가 서로 등지고 있게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패키지부(2)에 있어서의 제 1 뚜껑(6) 및 제 2 패키지부(3)에 있어서의 제 2 뚜껑(9)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 1 패키지 본체(4)의 후벽(42)과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벽(72)끼리가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뚜껑(6)의 천벽(62) 및 제 2 뚜껑(9)의 천벽(92)은, 연결부재(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시트상 혹은 판상 부재이다. 연결부재(10)의 긴 변의 치수는, 제 1 뚜껑(6)에 있어서의 천벽(62)과 제 2 뚜껑(9)에 있어서의 천벽(92)의 긴 변의 치수와 거의 같다. 또한, 연결부재(10)의 짧은 변의 치수는, 제 1 뚜껑(6)에 있어서의 천벽(62)의 짧은 변의 길이와 제 2 뚜껑(9)에 있어서의 천벽(92)의 짧은 변의 길이의 합과 거의 같다.
연결부재(10)는, 도 8에 나타내는 제 3 블랭크(B3)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10)는, 그 짧은 변 중앙부로부터, 긴 변 방향을 따라 제 3 힌지 라인(L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힌지 라인(L3)을 경계로 하여 제 1 연결 패널(P41)과 제 2 연결 패널(P42)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연결 패널(P41)과 제 2 연결 패널(P42)의 면적은 서로 같고, 각각의 면적은 각 천벽(62, 92)의 면적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블랭크(B3)의 제 1 연결 패널(P41)이 제 1 뚜껑(6)의 천벽(62)에 접착되고, 제 2 연결 패널(P42)이 제 2 뚜껑(9)의 천벽(92)에 접착된다(도 1, 3을 참조).
도 1,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0)를 형성하는 제 3 블랭크(B3)는, 제 1 뚜껑(6)에 있어서의 천벽(62)과 제 2 뚜껑(9)에 있어서의 천벽(92)에 걸치도록 하여 각각과 접착된다. 그때, 제 3 블랭크(B3)에 있어서의 제 3 힌지 라인(L3)은, 제 1 뚜껑(6)에 있어서의 천벽(62)과 제 2 뚜껑(9)에 있어서의 천벽(92)과의 경계 위치에 합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재(10)를 통해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이 연결됨으로써, 제 3 힌지 라인(L3)을 따라 정부 힌지(10a)가 형성되며, 이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 중 한쪽에 있어서의 패키지 본체의 후벽에 형성된 결합부와, 다른쪽에 있어서의 패키지 본체의 후벽에 형성됨과 아울러 이 결합부의 연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당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 결합부와 피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패키지부(2)의 배면도를 나타내며, 도 5에 제 2 패키지부(3)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쇄선(鎖線)은, 제 2 패키지부(3)의 외형, 삽입편(13) 등을 아울러 나타낸 것이며, 도 5에 나타내는 쇄선은, 제 1 패키지부(2)의 외형, 슬라이드 가이드(11) 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의 하단에는, 도면 중의 A-A화살표 방향 단면을 나타내며, 도 5의 하단에는 도면 중의 B-B화살표 방향 단면을 나타낸다.
제 1 패키지 본체(4)의 후벽(42)에는, 도 3,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11)가 접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11)는, 후벽(42)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벽(4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신(延伸)한 시트상 부재이다. 슬라이드 가이드(11)는, 상단부(11a)와 하단부(11b)가 후벽(42)에 대해 접착되어 있으며, 중간부(11c)는 후벽(42)에 대해 접착되어 있지 않다. 슬라이드 가이드(11)는, 상단부(11a)와 하단부(11b)가 접착 영역이 됨으로써 후벽(42)에 대해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가이드(11)의 중간부(11c)를 후벽(42)과 접착시키지 않음으로써, 중간부(11c)와 후벽(42)의 사이에 후술하는 삽입편(1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하는 간극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중간부(11c)」를 「결합부(11c)」라고 칭한다. 도 3 중, 결합부(11c)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트 모양을 부여하고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11)의 중간부(11c)는, 후벽(42)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후벽(42)의 상하 방향으로 연신해 있고, 삽입편(1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건다.
도 3,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벽(72)은, 그 폭 방향 양 단부와 중앙부의 사이에 단차(段差)가 형성되어 있다. 즉, 후벽(72)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에는, 그 중앙부와 비교하여 한 단계 높은 벽두께부(壁厚部)(72a, 7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벽(72)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벽두께부(72a)와 벽두께부(72b)의 사이에 끼워지게 하여, 벽두께부(72a, 72b)에 비해 한 단계 낮게 된 홈부(72c)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벽(72)의 홈부(72c)는, 후벽(72)의 상하 방향을 따라 뻗어 있으며, 거의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벽두께부(72a)에는, 홈부(72c)에 면해 절결부(7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결부(72d)는 홈부(72c)와 동일 높이(평면)로 되어 있다.
제 2 패키지 본체(7)에 있어서의 홈부(72c)의 폭은, 슬라이드 가이드(11)에 있어서의 결합부(11c)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크다. 따라서,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를 서로 등지고 있게 하여 배치했을 때, 슬라이드 가이드(11)의 결합부(11c)가, 홈부(72c)에 수용된다(받아들여진다). 이에 의해, 하드형 패키지(1)의 두께가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벽(72)에는, 제 1 패키지 본체(4) 측의 슬라이드 가이드(11)(결합부(11c))와 결합하는 삽입편(1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편(13)은, 후벽(72)과 일체로 접합되어 있으며, 후벽(72)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장한 가늘고 긴 판상 부재이다. 삽입편(13)은, 슬라이드 가이드(11)의 결합부(11c)와 후벽(42)과의 간극에 횡방향으로부터 끼워짐으로써, 결합부(11c)의 연신 방향, 즉 후벽(42, 72)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편(13)이 본 발명에 따른 피결합부에 대응하고 있다.
삽입편(13)의 길이는, 결합부(11c)의 폭보다도 길다. 삽입편(13)의 일단(기단(基端))은, 벽두께부(72b)에 있어서의 홈부(72c)의 경계 연부(緣部)에 접합되어 있으며, 결합부(11c)와 후벽(42)의 사이를 통과한 타단(선단) 측은, 벽두께부(72a)의 절결부(72d)에서 후벽(72)과 접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삽입편(13)이, 슬라이드 가이드(11)의 결합부(11c)에 대해 걸리게 됨으로써, 결합부(11c)의 연신 방향, 즉 후벽(42, 72)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조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패키지부(2)를 형성하는 제 1 블랭크(B1)와, 제 2 패키지부(3)를 형성하는 제 2 블랭크(B2)와, 연결부재(10)를 형성하는 제 3 블랭크(B3)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나타내는 제 1 블랭크(B1)와, 도 7에 나타내는 제 2 블랭크(B2)를, 그 접어넣기선을 따라 접어넣고, 각 부분을 접착함으로써,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를 성형하고, 도 8에 나타내는 제 3 블랭크(B3)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하드형 패키지(1)가 제조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블랭크(B1)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전벽(41)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 패널(P1)을 가지고 있으며, 전벽 패널(P1)의 양 측연에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측벽(43)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측벽 패널(P2, P2)이 이어져 있다. 한쪽 측벽 패널(P2)의 측연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1)가 되는 결합 패널(P3)이 이어져 있다. 또한, 다른쪽 측벽 패널(P2)의 측연에는, 후벽 보강 패널(P4)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1)의 하단연에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저벽(44)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저벽 패널(P5)이 이어져 있다.
저벽 패널(P5)의 하단연, 즉 전벽 패널(P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쪽의 연부에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후벽(42)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 패널(P6)이 이어져 있다. 이 후벽 패널(P6)의 양 측연에는, 측벽 패널(P2)에 대한 인너 사이드 플랩(P7)이 각각 이어져 있다. 인너 사이드 플랩(P7)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측벽 패널(P2)에 중첩된 후에 접착됨으로써, 측벽(43)을 보강한다. 또한, 각 인너 사이드 플랩(P7)의 상단연에는, 인너 보텀 플랩(P8)이 이어져 있다. 인너 보텀 플랩(P8)은, 저벽 패널(P5)에 중첩된 후에 접착됨으로써, 저벽(44)을 보강한다. 또한, 저벽 패널(P5)에 대해 인너 보텀 플랩(P8)을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후벽 패널(P6)의 하단연에는, 제 1 힌지(5)가 되는 제 1 힌지 라인(L1)을 통해, 제 1 뚜껑(6)의 후벽(61)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 패널(P9)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벽 패널(P9)의 하단연에는, 제 1 뚜껑(6)의 천벽(62)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벽 패널(P10)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패널(P9)의 양 측연에는, 인너 사이드 플랩(P11)이 이어져 있다. 또한, 각 인너 사이드 플랩(P11)의 하단연에는, 인너 톱 플랩(P12)이 이어져 있다. 각 인너 톱 플랩(P12)은, 천벽 패널(P10)에 중첩된 후에 접착됨으로써, 제 1 뚜껑(6)의 천벽(62)을 보강한다. 또한, 천벽 패널(P10)에 대해 인너 톱 플랩(P12)을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천벽 패널(P10)의 하단연에는, 제 1 뚜껑(6)의 전벽(63)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 패널(P13)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13)의 양 측연에는, 제 1 뚜껑(6)의 측벽(64)이 되는 측벽 패널(P14)이 각각 이어져 있다. 각 측벽 패널(P14)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상술한 인너 사이드 플랩(P11)이 접착됨으로써, 측벽(64)이 보강된다. 전벽 패널(P13)의 하단연에는, 인너 프론트 플랩(P15)이 이어져 있다. 인너 프론트 플랩(P15)은, 전벽 패널(P13)에 중첩된 후에 접착됨으로써, 전벽(63)이 보강된다. 또한, 전벽 패널(P13)에 대해 인너 프론트 플랩(P15)을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블랭크(B2)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전벽(71)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 패널(P21)을 가지고 있으며, 전벽 패널(P21)의 양 측연에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측벽(73)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측벽 패널(P22, P22)이 이어져 있다. 한쪽 측벽 패널(P22)의 측연에는, 후벽(72)에 있어서의 벽두께부(72b)가 되는 벽두께부 형성 패널(P23b)이 이어져 있다. 또한, 다른쪽 측벽 패널(P22)의 측연에는, 후벽(72)에 있어서의 벽두께부(72a)가 되는 벽두께부 형성 패널(P23a)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보강 패널(P23b)의 측연부에는, 삽입편(13)이 되는 삽입 플랩(P24)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21)의 하단연에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저벽(74)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저벽 패널(P25)이 이어져 있다.
저벽 패널(P25)의 하단연, 즉 전벽 패널(P2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쪽의 연부에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벽(72)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 패널(P26)이 이어져 있다. 이 후벽 패널(P6)의 양 측연에는, 측벽 패널(P22)에 대한 인너 사이드 플랩(P27)이 각각 이어져 있다. 인너 사이드 플랩(P27)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측벽 패널(P22)에 중첩된 후에 접착됨으로써, 측벽(73)을 보강한다. 또한, 각 인너 사이드 플랩(P27)의 상단연에는, 인너 보텀 플랩(P28)이 이어져 있다. 인너 보텀 플랩(P28)은, 저벽 패널(P25)에 중첩된 후에 접착됨으로써, 저벽(74)을 보강한다. 또한, 저벽 패널(P25)에 대해 인너 보텀 플랩(P28)을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후벽 패널(P26)의 하단연에는, 제 2 힌지(8)가 되는 제 2 힌지 라인(L2)을 통해, 제 2 뚜껑(9)의 후벽(91)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 패널(P29)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벽 패널(P29)의 하단연에는, 제 2 뚜껑(9)의 천벽(92)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벽 패널(P30)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패널(P29)의 양 측연에는, 각각 인너 사이드 플랩(P31)이 이어져 있다. 또한, 각 인너 사이드 플랩(P31)의 하단연에는, 인너 톱 플랩(P32)이 이어져 있다. 각 인너 톱 플랩(P32)은, 천벽 패널(P30)에 중첩된 후에 접착됨으로써, 제 2 뚜껑(9)의 천벽(92)을 보강한다. 또한, 천벽 패널(P30)에 대해 인너 톱 플랩(P32)을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천벽 패널(P30)의 하단연에는, 제 2 뚜껑(9)의 전벽(93)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 패널(P33)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33)의 양 측연에는, 제 2 뚜껑(9)의 측벽(94)이 되는 측벽 패널(P34)이 각각 이어져 있다. 각 측벽 패널(P34)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상술한 인너 사이드 플랩(P31)이 접착됨으로써, 측벽(94)이 보강된다. 전벽 패널(P33)의 하단연에는, 인너 프론트 플랩(P35)이 이어져 있다. 인너 프론트 플랩(P35)은, 전벽 패널(P33)에 중첩된 후에 접착됨으로써, 전벽(93)이 보강된다. 또한, 전벽 패널(P33)에 대해 인너 프론트 플랩(P35)을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제 1 블랭크(B1), 제 2 블랭크(B2)는, 도 6, 7에서 파선(破線)으로 나타낸 접어넣기선으로부터 각각 접어넣어져,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가 각각 성형된다. 즉, 제 1 블랭크(B1)에 있어서는, 각 접어넣기선이 접어넣어져, 인너 보텀 플랩(P8)이 저벽 패널(P5)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7)이 측벽 패널(P2)에 접착된다. 그리고, 결합 패널(P3) 및 후벽 보강 패널(P4)이 후벽 패널(P6)에 접착됨으로써, 제 1 패키지 본체(4)가 성형된다. 그때, 후벽 보강 패널(P4)이 후벽 패널(P6)에 접착됨으로써, 제 1 패키지 본체(4)의 강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결합 패널(P3)을 후벽 패널(P6)에 접착할 때, 도면 중의 해칭 부분에서 나타나는 상하 단부만을 후벽 패널(P6)에 접착한다. 이에 의해, 결합 패널(P3)이 후벽 패널(P6)과 접착되지 않은 비접합 부분이 슬라이드 가이드(11)의 결합부(11c)가 된다. 또한, 제 1 블랭크(B1)에 있어서의 각 인너 톱 플랩(P12)이 천벽 패널(P10)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11)이 각 측벽 패널(P14)에 접착되며, 인너 프론트 플랩(P15)이 전벽 패널(P13)에 접착됨으로써, 제 1 뚜껑(6)이 성형된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인너 보텀 플랩(P8), 인너 톱 플랩(P12), 인너 프론트 플랩(P15)에 관해서는, 저벽 패널(P5), 천벽 패널(P10), 전벽 패널(P13)에 대해 반드시 접착할 필요는 없다.
한편, 제 2 블랭크(B2)에 있어서도, 각 접어넣기선으로부터 접어넣어져, 인너 보텀 플랩(P28)이 저벽 패널(P25)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27)이 측벽 패널(P22)에 접착됨으로써, 제 2 패키지 본체(7)가 성형된다. 그리고, 벽두께부 형성 패널(P23a) 및 벽두께부 형성 패널(P23b)이 후벽 패널(P26)의 외면에 접착됨으로써, 벽두께부(72a) 및 벽두께부(72b)가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두께부 형성 패널(P23a)에는 상술한 절결부(7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블랭크(B2)에 있어서는, 인너 톱 플랩(P32)이 천벽 패널(P30)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31)이 측벽 패널(P34)에 접착되며, 인너 프론트 플랩(P35)이 전벽 패널(P33)에 접착됨으로써, 제 2 뚜껑(9)이 성형된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인너 보텀 플랩(P28), 인너 톱 플랩(P32), 인너 프론트 플랩(P35)에 관해서는, 저벽 패널(P25), 천벽 패널(P30), 전벽 패널(P33)에 대해 반드시 접착할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성형된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가, 제 3 블랭크(B3)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0)에 의해 힌지 연결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하드형 패키지(1)가 완성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제 3 블랭크(B3), 및 이에 의한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의 연결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정부 힌지(10a)가 되는 제 3 힌지 라인(L3)을 경계로, 제 3 블랭크(B3)의 제 1 연결 패널(P41)이 제 1 뚜껑(6)에 있어서의 천벽(62)에 접착되고, 제 3 블랭크(B3)의 제 2 연결 패널(P42)이 제 2 뚜껑(9)에 있어서의 천벽(92)에 접착됨으로써,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이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상대 회동(相對回動)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작>
다음으로, 하드형 패키지(1)에서, 제 1 패키지부(2)에 있어서의 제 1 뚜껑(6), 및, 제 2 패키지부(3)에 있어서의 제 2 뚜껑(9)의 개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에 있어서, 제 1 패키지부(2)의 제 1 뚜껑(6)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키지 본체(4) 및 제 2 패키지 본체(7)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相對) 슬라이드 시킬 수 있는 형태로 하드형 패키지(1)를 한 손으로 파지(把持)한다. 그리하여,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 중 개방하고자 하는 쪽에 대응하는 패키지 본체를 다른쪽 패키지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는, 제 1 패키지부(2)를 앞쪽, 제 2 패키지부(3)를 뒤쪽으로 해서, 왼손으로 하드형 패키지(1)를 파지하고 있다. 그리하여, 제 1 패키지 본체(4)를 엄지 손가락으로 위쪽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제 1 패키지 본체(4)의 개구단(45)을 폐쇄하고 있는 제 1 뚜껑(6)에 직접 접촉되는 일없이, 제 1 뚜껑(6)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조작에 근거한 하드형 패키지(1)의 개폐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도 10a∼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c는, 하드형 패키지(1)에서,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제 1 패키지부(2)의 제 1 뚜껑(6) 및 제 2 패키지부(3)의 제 2 뚜껑(9)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b는, 제 1 패키지부(2)의 제 1 뚜껑(6)이 개방된 상태, 도 10c는, 제 2 패키지부(3)의 제 2 뚜껑(9)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하드형 패키지(1)는, 각각 독립된 힌지 뚜껑 패키지인 제 1 패키지부(2)와 제 2 패키지부(3)를 서로 등지고 있게 배치하고, 제 1 뚜껑(6)의 천벽(62)과 후벽(61)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와, 제 2 뚜껑(9)의 천벽(92)과 후벽(91)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를 정부 힌지(10a)에 의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전폐(全閉) 상태」라고 칭한다. 사용자가, 도 10a에 나타내는 전폐 상태로부터, 제 1 패키지부(2)에 있어서의 제 1 뚜껑(6)을 개방할 경우, 등지고 있게 배치되어 있는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를 손가락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제 2 패키지 본체(7)에 대해 제 1 패키지 본체(4)를 위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런데, 제 1 패키지 본체(4)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가이드(11)의 결합부(11c)와 제 2 패키지 본체(7)에 있어서의 삽입편(13)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기구에 있어서, 결합부(11c)는 후벽(42)의 상하 방향으로 연신해 있음과 아울러, 삽입편(13)은 이 결합부(11c)의 연신 방향(후벽(4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당연히, 상기한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드 조작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결합부(11c)와 삽입편(13)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기구는,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 2 패키지 본체(7)에 대해 제 1 패키지 본체(4)를 위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제 1 패키지 본체(4)가,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벽(72)으로부터 후벽(42)을 이반(離反)시키면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향해 이동한다. 그때, 제 1 힌지(5)는,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여 주회(周回) 이동을 행한다. 제 1 힌지(5)가 주회 이동을 행할 때의 궤적은,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여, 정부 힌지(10a)와 제 1 힌지(5)가 이간하는 이간 치수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 상을 따라 이동(推移)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제 1 힌지(5)가 주회 이동을 행함으로써,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는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 사이의 상대 회동과, 제 1 힌지(5)를 중심으로 하는 제 1 뚜껑(6)과 제 1 패키지 본체(4) 사이의 상대 회동이 허용되게 된다.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패키지부(2)의 제 1 뚜껑(6)이 개방되며, 사용자는, 제 1 패키지 본체(4)에 수용된 시가렛을 자유롭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 1 뚜껑(6)을 폐쇄할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의 슬라이드 조작을 행하면 된다. 즉, 사용자는, 도 10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 2 패키지 본체(7)에 대해) 제 1 패키지 본체(4)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에 의해, 제 1 뚜껑(6)을 개방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제 1 힌지(5)가 정부 힌지(10a)의 둘레를 주회한다. 이에 따라, 제 1 뚜껑(6)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정부 힌지(10a)를 통해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이 상대 회동을 행함과 아울러, 제 1 힌지(5)를 통해 제 1 뚜껑(6) 및 제 1 패키지 본체(4)가 상대 회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도 10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0a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하여, 제 1 뚜껑(6)이 폐쇄됨으로써, 전폐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전폐 상태로부터 제 2 뚜껑(9)을 개방할 때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0a에 나타내는 전폐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를 손가락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제 1 패키지 본체(4)에 대해 제 2 패키지 본체(7)를 위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해당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면,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패키지 본체(7)가, 제 1 패키지 본체(4)의 후벽(42)으로부터 후벽(72)을 이반시키면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향해 이동한다. 그때, 제 2 힌지(8)는,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여 주회 이동을 행한다. 그때, 제 2 힌지(8)가 주회 이동을 행할 때의 궤적은,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여, 정부 힌지(10a)와 제 2 힌지(8)가 이간하는 이간 치수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 상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여 제 2 힌지(8)가 주회 이동을 행함으로써,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는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 사이의 상대 회동과, 제 2 힌지(8)를 중심으로 하는 제 2 뚜껑(9)과 제 2 패키지 본체(7) 사이의 상대 회동이 허용되게 된다. 그 결과,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패키지부(3)의 제 2 뚜껑(9)이 개방되며, 사용자는, 제 2 패키지 본체(7)에 수용된 시가렛을 자유롭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 2 뚜껑(9)을 폐쇄할 경우에는, 제 2 뚜껑(9)을 개방할 때와 반대의 슬라이드 조작을 행하면 된다. 즉, 사용자는, 도 10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 1 패키지 본체(4)에 대해) 제 2 패키지 본체(7)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에 의해, 제 2 뚜껑(9)을 개방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제 2 힌지(8)가 정부 힌지(10a)의 둘레를 주회한다. 이에 따라, 제 2 뚜껑(9)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정부 힌지(10a)를 통해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이 상대 회동을 행함과 아울러, 제 2 힌지(8)를 통해 제 2 뚜껑(9) 및 제 2 패키지 본체(7)가 상대 회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도 10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0a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하여, 제 2 뚜껑(9)이 폐쇄됨으로써, 전폐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패키지 본체(4)를 위쪽으로 상대 슬라이드 조작할 뿐, 제 1 뚜껑(6)을 직접 조작하는 일없이 해당 제 1 뚜껑(6)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패키지 본체(7)를 위쪽으로 상대 슬라이드 조작할 뿐, 제 2 뚜껑(9)을 직접 파지하는 일없이 해당 제 2 뚜껑(9)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즉, 하드형 패키지(1)에 의하면,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 중 어느 것을 개방할 경우에 있어서도, 그 개방 조작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을 번갈아 개방할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는, 하드형 패키지(1)를 바꿔 쥘 필요가 없어, 편리성이 높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뚜껑(6)(제 2 뚜껑(9))을 개방했을 때,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의 상대 위치(슬라이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써, 제 1 뚜껑(6)(제 2 뚜껑)이 자중(自重)이나 블랭크의 복원력에 의해 제멋대로 폐쇄되는 일이 없어, 제 1 뚜껑(6)(제 2 뚜껑)을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뚜껑(6)(제 2 뚜껑(9))을 직접 파지하는 일없이, 한 손으로 제 1 뚜껑(6)(제 2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게다가 양손을 사용하는 일없이, 그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뚜껑(6)의 개방시에 있어서는,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는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의 상대 회동에 따라, 제 2 뚜껑(9)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 1 뚜껑(6) 측으로부터 힘이 작용한다. 한편,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뚜껑(9)의 개방시에 있어서는,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는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의 상대 회동에 따라, 제 1 뚜껑(6)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 2 뚜껑(9) 측으로부터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하면,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 중 한쪽을 사용자가 개방할 때, 다른쪽(사용자가 개방을 의도하지 않은 쪽) 뚜껑에 대해 이것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하면,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 중, 사용자가 개방할 것을 의도하지 않은 쪽의 뚜껑이 부주의로 개방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해당 뚜껑에 대응하는 쪽의 패키지 본체로부터 피수용물인 시가렛이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1)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가이드(11)의 결합부(11c)와 삽입편(13)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하면, 결합부(11c)가 후벽(42)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 중 어느 것의 개방 조작을 행할 때, 제 1 패키지 본체(4) 및 제 2 패키지 본체(7)의 상대 이동 방향이 하드형 패키지(1)의 높이 방향에 합치하도록,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가이드(안내) 된다. 그 결과, 제 1 패키지 본체(4) 및 제 2 패키지 본체(7)가 하드형 패키지(1)의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상대 슬라이드 하게 되어, 뚜껑의 원활한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11c) 및 삽입편(13)이 결합함으로써,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여 이간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가 크게 이간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패키지부(2)와 제 2 패키지부(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에 큰 부하가 작용하는 일이 없어, 하드형 패키지(1)가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1)는, 도 10a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부 힌지(10a)와 제 1 패키지부(2)에 있어서의 제 1 힌지(5) 사이의 이간 치수(이하, 「제 1 이간 치수」라고 한다)와, 정부 힌지(10a)와 제 2 패키지부(3)에 있어서의 제 2 힌지(8) 사이의 이간 치수(이하, 「제 2 이간 치수」라고 한다)가 거의 같아지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뚜껑(6)을 개폐 조작할 때에는,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이간 치수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 상을 제 1 힌지(5)가 주회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이간 치수가 클수록, 제 1 뚜껑(6)의 개폐 조작을 행했을 때의 제 1 뚜껑(6)의 개폐량이 많아진다. 한편, 제 2 뚜껑(9)을 개폐 조작할 때에는,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하여 제 2 이간 치수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 상을 제 2 힌지(8)가 주회하게 된다. 여기서, 제 2 이간 치수가 클수록, 제 2 뚜껑(9)의 개폐 조작을 행했을 때의 제 2 뚜껑(9)의 개폐량이 많아진다.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이간 치수와 제 2 이간 치수가 거의 같기 때문에,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 중 어느 것을 개방할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는 같은 정도의 슬라이드 조작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즉, 제 1 뚜껑(6)의 개방시와 제 2 뚜껑(9)의 개방시의 각각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패키지 본체의 슬라이드 조작량이 크게 달라져 버리는 것을 회피하여, 하드형 패키지(1)의 조작성,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10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의 외형 치수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하드형 패키지(1)에 있어서의 제 1 뚜껑(6) 또는 제 2 뚜껑(9)의 개폐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그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를 구비하기 때문에, 시가렛의 수용 공간이 하나뿐인 패키지보다도 시가렛의 선도(鮮度)를 유지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통상, 패키지 내에 수용되는 시가렛 다발은, 알루미늄 증착지 등의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어 있다. 하드형 패키지(1)는, 예를 들면, 제 1 패키지부(2)와 제 2 패키지부(3)에 시가렛을 절반씩 나누어서 수용하여, 한쪽 수용 공간에 수용된 시가렛의 개봉 시기를 다른쪽에 비해 늦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시가렛의 미개봉 상태를 보다 길게 계속하게 하여, 그 선도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1)에 있어서의 제 1 패키지 본체(4)와 제 2 패키지 본체(7)에는, 다른 종류의 시가렛을 수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하드형 패키지(1)의 사용 용도를 넓힐 수 있어, 패키지 및 해당 패키지에 피수용물을 수용한 제품의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패키지 본체(4) 및 제 2 패키지 본체(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난연 재료 또는 불연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난연 재료 또는 불연 재료를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는 패키지 본체의 수용 공간을, 담배꽁초 통(吸殼入)으로 이용해도 된다. 그 외, 제 1 패키지 본체(4) 또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시가렛이 소비된 후, 그 수용 공간에 라이터 등의 다른 물품을 수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패키지 본체(4) 및 제 2 패키지부(3)를 구비하기 때문에, 담배꽁초 통이나 라이터 등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시가렛의 수용 공간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블랭크(B3)에 의해 형성된 연결부재(10)를, 제 1 뚜껑(6)의 천벽(62) 및 제 2 뚜껑(9)의 천벽(92)에 접착했지만, 제 1 뚜껑(6)의 천벽(62)과 후벽(61)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와, 제 2 뚜껑(9)의 천벽(92)과 후벽(91)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가 정부 힌지(10a)를 통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블랭크(B3)에 의해 형성된 연결부재(10)를, 제 1 뚜껑(6)의 후벽(61) 및 제 2 뚜껑(9)의 후벽(91)에 접착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3 블랭크(B3)의 제 1 연결 패널(P41)을 제 1 뚜껑(6)의 후벽(61)에 접착하며, 제 3 블랭크(B3)의 제 2 연결 패널(P42)을 제 2 뚜껑(9)의 후벽(91)에 접착하고 있다. 그리고, 제 3 힌지 라인(L3)이 후벽(61) 및 후벽(91) 각각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제 3 블랭크(B3)를 접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 1 뚜껑(6)의 천벽(62)과 후벽(61)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와, 제 2 뚜껑(9)의 천벽(92)과 후벽(91)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를 따라 제 3 힌지 라인(L3)이 배치된다. 그 결과, 정부 힌지(10a)를 통해,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의 후정연부끼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에 있어서, 슬라이드 기구는,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 중 어느 한쪽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후벽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설된 결합부와, 다른쪽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후벽에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부의 연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결합부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즉, 실시형태 1에 따른 결합부(11c)와 삽입편(13)의 조합은 슬라이드 기구의 일 예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물론, 하드형 패키지(1)에 있어서의 결합부(11c)와 삽입편(13)을 바꿔서 배치해도 된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1)는,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이 폐쇄되었을 때에, 이들이 부주의로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뚜껑 폐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실시형태 2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A)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A)는, 제 1 패키지 본체(4) 및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기구가 실시형태 1과 다르다. 실시형태 2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A) 중, 실시형태 1의 하드형 패키지(1)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하드형 패키지(1A)의 분해도로, 실시형태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하드형 패키지(1A)에 있어서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후벽(42)에, 한 쌍의 슬릿(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1a, 21b)은, 후벽(4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또한, 제 2 패키지 본체(7)에 있어서의 후벽(72)에는, 슬릿(21a, 21b)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편(23a, 23b)이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편(23a, 23b)은, 후벽(72)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신된 가늘고 긴 판상 부재이다. 각 삽입편(23a, 23b)의 기단(基端)은 후벽(72)의 측연부(側緣部)에 접합되어 있다. 각 삽입편(23a, 23b)은, 그 기단측만이 후벽(72)에 접합되어 있으며, 선단측은 자유단이 되어 있다. 각 삽입편(23a, 23b)은, 후벽(72)에 있어서의 측연부와의 접합부를 기점으로 하여, 후벽(72)의 횡방향 내측으로 향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조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A)는, 도 13에 나타내는 제 4 블랭크(B4)에 의해 제 1 패키지부(2)를 형성하며, 도 14에 나타내는 제 5 블랭크(B5)에 의해 제 2 패키지부(3)를 형성한다. 또한,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는, 도 8에서 설명한 제 3 블랭크(B3)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3에 나타내는 제 4 블랭크(B4), 도 14에 나타내는 제 5 블랭크(B5)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4 블랭크(B4), 제 5 블랭크(B5) 중, 상술한 제 1 블랭크(B1), 제 2 블랭크(B2)와 공통되는 패널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블랭크(B4)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전벽(41)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 패널(P1)을 가지고 있으며, 전벽 패널(P1)의 양 측연에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측벽(43)이 되는 측벽 패널(P2, P2)이 이어져 있다. 전벽 패널(P1)의 하단연에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저벽(44)이 되는 저벽 패널(P5)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저벽 패널(P5)의 하단연에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후벽(42)이 되는 후벽 패널(P6)이 이어지고, 후벽 패널(P6)의 양 측연에는 인너 사이드 플랩(P7)이 이어져 있다. 각 인너 사이드 플랩(P7)의 상단연에는, 인너 보텀 플랩(P8)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패널(P6)에는, 그 상하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슬릿(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
후벽 패널(P6)의 하단연에는, 제 1 힌지(5)가 되는 제 1 힌지 라인(L1)을 통해, 제 1 뚜껑(6)의 후벽(61)이 되는 후벽 패널(P9)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벽 패널(P9)의 하단연에는 제 1 뚜껑(6)의 천벽(62)이 되는 천벽 패널(P10)이 이어지고, 후벽 패널(P9)의 양 측연에는 인너 사이드 플랩(P11)이 이어져 있다. 또한, 각 인너 사이드 플랩(P11)의 하단연에는, 인너 톱 플랩(P12)이 이어져 있다. 천벽 패널(P10)의 하단연에는, 제 1 뚜껑(6)의 전벽(63)이 되는 전벽 패널(P13)이 이어지고, 전벽 패널(P13)의 양 측연에는 제 1 뚜껑(6)의 측벽(64)이 되는 측벽 패널(P14)이 이어지며, 전벽 패널(P13)의 하단연에는 인너 프론트 플랩(P15)이 이어져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블랭크(B5)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전벽(71)이 되는 전벽 패널(P21)을 가지며, 전벽 패널(P21)의 양 측연에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측벽(73)이 되는 측벽 패널(P22, P22)이 이어져 있다. 측벽 패널(P22, P22)의 측연에는, 삽입편(23a, 23b)이 되는 삽입 플랩(P24a, P24b)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21)의 하단연에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저벽(74)이 되는 저벽 패널(P25)이 이어져 있다. 저벽 패널(P25)의 하단연에는,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벽(72)이 되는 후벽 패널(P26)이 이어지고, 후벽 패널(P6)의 양 측연에는 인너 사이드 플랩(P27)이 이어져 있다. 또한, 각 인너 사이드 플랩(P27)의 상단연에는, 인너 보텀 플랩(P28)이 이어져 있다.
후벽 패널(P26)의 하단연에는, 제 2 힌지(8)가 되는 제 2 힌지 라인(L2)을 통해, 제 2 뚜껑(9)의 후벽(91)이 되는 후벽 패널(P29)이 연결되어 있다. 후벽 패널(P29)의 하단연에는, 제 2 뚜껑(9)의 천벽(92)이 되는 천벽 패널(P30)이 이어지고, 후벽 패널(P29)의 양 측연에는 인너 사이드 플랩(P31)이 이어지며, 각 인너 사이드 플랩(P31)의 하단연에는 인너 톱 플랩(P32)이 이어져 있다. 천벽 패널(P30)의 하단연에는 제 2 뚜껑(9)의 전벽(93)이 되는 전벽 패널(P33)이 이어지며, 전벽 패널(P33)의 양 측연에는 제 2 뚜껑(9)의 측벽(94)이 되는 측벽 패널(P34)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33)의 하단연에는, 인너 프론트 플랩(P35)이 이어져 있다.
상술한 제 4 블랭크(B4), 제 5 블랭크(B5)는, 파선으로 나타낸 접어넣기선으로부터 각각 접어넣어져, 각 부분이 접착된다. 제 4 블랭크(B4)에서는, 인너 보텀 플랩(P8)이 저벽 패널(P5)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7)이 측벽 패널(P2)에 접착됨으로써, 제 1 패키지 본체(4)가 성형된다. 또한, 각 인너 톱 플랩(P12)이 천벽 패널(P10)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11)이 각 측벽 패널(P14)에 접착되며, 인너 프론트 플랩(P15)이 전벽 패널(P13)에 접착됨으로써, 제 1 뚜껑(6)이 성형된다. 단, 인너 보텀 플랩(P8), 인너 톱 플랩(P12), 인너 프론트 플랩(P15)에 관해서는, 저벽 패널(P5), 천벽 패널(P10), 전벽 패널(P13)에 대해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제 5 블랭크(B5)에서는, 인너 보텀 플랩(P28)이 저벽 패널(P25)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27)이 측벽 패널(P22)에 접착됨으로써, 제 2 패키지 본체(7)가 성형된다. 또한, 인너 톱 플랩(P32)이 천벽 패널(P30)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31)이 측벽 패널(P34)에 접착되며, 인너 프론트 플랩(P35)이 전벽 패널(P33)에 접착됨으로써, 제 2 뚜껑(9)이 성형된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인너 보텀 플랩(P28), 인너 톱 플랩(P32), 인너 프론트 플랩(P35)에 관해서는, 저벽 패널(P25), 천벽 패널(P30), 전벽 패널(P33)에 대해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성형된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가, 제 3 블랭크(B3)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0)(도 12를 참조)에 의해 힌지 연결되면, 하드형 패키지(1A)가 완성된다. 연결부재(10)(제 3 블랭크(B3))는,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를 서로 등지고 있게 배치한 후, 제 1 연결 패널(P41)이 제 1 뚜껑(6)의 천벽(61)에 접착되고, 제 2 연결 패널(P42)이 제 2 뚜껑(9)의 천벽(92)에 접착된다. 그 결과,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이 정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후, 하드형 패키지(1A)의 성형 후에 있어서 삽입편(23a, 23b)이 되는 제 5 블랭크(B5)에 있어서의 삽입 플랩(P24a, P24b)을, 제 4 블랭크(B4)의 후벽 패널(P6)에 형성된 슬릿(21a, 21b)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삽입편(23a, 23b)이 슬릿(21a, 21b)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린다(유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릿(21a, 21b)이 결합부에 상당하며, 삽입편(23a, 23b)이 피결합부에 상당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하드형 패키지(1A)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의 하드형 패키지(1)와 동일하게,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가 서로 등지고 있게 배치됨과 아울러, 정부 힌지(10a)를 통해, 제 1 뚜껑(6) 및 제 2 뚜껑(9)의 후정연부끼리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하드형 패키지(1A)는, 제 1 패키지 본체(4)의 후벽(42)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설되는 슬릿(21a, 21b)과, 이 슬릿(21a, 21b)의 연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릿(21a, 21b)과 결합함과 아울러 제 2 패키지 본체(7)의 후면(72)에 형성되는 삽입편(23a, 23b)을 가진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 1 뚜껑(6) 또는 제 2 뚜껑(9)을 개방할 때에, 제 1 패키지 본체(4) 및 제 2 패키지 본체(7)의 슬라이드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하드형 패키지(1A)에 있어서, 제 1 뚜껑(6)과 제 2 뚜껑(9)의 기본적인 개폐 동작은, 도 10에서 기술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A)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변형예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1A)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즉, 도 11에서 설명한 연결부재(10)의 접착 상태를 본 실시형태에 적용하여 하드형 패키지(1A)에 있어서의 제 1 패키지부(2) 및 제 2 패키지부(3)를 연결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가능한 한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에 수용하는 피수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상 물품의 집합체, 예를 들면 담배 상품을 피수용물로서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담배 상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말이 담배(필터 시가렛, 양절 담배(필터 없음)), 시가, 시가릴로, 스누스, 코담배, 씹는 담배, 전자 담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에 수용하는 피수용물은 담배 상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과자나 껌 등의 물품을 수용해도 된다.
1…하드형 패키지
2…제 1 패키지부
3…제 2 패키지부
4…제 1 패키지 본체
5…제 1 힌지
6…제 1 뚜껑
7…제 2 패키지 본체
8…제 2 힌지
9…제 2 뚜껑
10…연결부재
10a…정부 힌지
11…슬라이드 가이드
11c…결합부
13…삽입편

Claims (5)

  1. 제 1 패키지부 및 제 2 패키지부를 구비하는 패키지로서,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는 각각, 상부에 개구단(開口端)을 가짐과 아울러 내부에 피수용물(被收容物)을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연(開口緣)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해당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는, 각각의 상기 뚜껑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後壁)끼리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뚜껑부의 천벽(天壁)과 후벽의 경계를 이루는 후정연부(後頂緣部)끼리가 정부(頂部) 힌지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하드형 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 중 어느 한쪽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후벽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설(延設)된 결합부와,
    다른쪽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후벽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의 연신(延伸)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당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하드형 패키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기 패키지 본체끼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간(離間)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드형 패키지.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뚜껑부와 패키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정부 힌지와의 사이의 이간 치수와, 상기 제 2 패키지부에 있어서의 뚜껑부와 패키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정부 힌지와의 사이의 이간 치수가 대략 같은 하드형 패키지.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키지부 및 상기 제 2 패키지부의 외형 치수가 대략 같은 하드형 패키지.
KR1020157009131A 2012-10-17 2013-04-19 하드형 패키지 KR101632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9894 2012-10-17
JP2012229894 2012-10-17
PCT/JP2013/061595 WO2014061297A1 (ja) 2012-10-17 2013-04-19 ハード型パッケ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950A true KR20150054950A (ko) 2015-05-20
KR101632854B1 KR101632854B1 (ko) 2016-06-22

Family

ID=5048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131A KR101632854B1 (ko) 2012-10-17 2013-04-19 하드형 패키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889424B2 (ko)
KR (1) KR101632854B1 (ko)
CN (1) CN104736444B (ko)
RU (1) RU2598559C1 (ko)
TW (1) TWI510196B (ko)
WO (1) WO2014061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9931B (zh) * 2016-12-30 2022-03-22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至少一个可移动面板的容器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788A (en) * 1973-06-06 1975-01-07 Reynolds Tobacco Co R Composite dispensing package
JPH0519824U (ja) * 1991-08-30 1993-03-12 株式会社イナツクス 空調機器付き支輪
JPH0924927A (ja) 1995-07-12 1997-01-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ォーレットカートン
JPH0924926A (ja) 1995-07-12 1997-01-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ォーレットカートン
JP2007527826A (ja) 2004-03-11 2007-10-04 ジー.デー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 タバコ製品の剛性パッケージ
JP2008525279A (ja) 2004-12-23 2008-07-17 ジー.デー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 煙草製品のためのパケット
JP2008528392A (ja) 2005-01-27 2008-07-31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パッケージ
JP2008531406A (ja) 2005-02-25 2008-08-14 フォッケ・ウント・コンパニー(ゲゼルシャフト・ミト・べ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シガレットパック
JP2009083932A (ja) 2007-07-17 2009-04-23 G D Spa 揺動して開口する硬質のたばこの包装体
JP2010536663A (ja) * 2007-08-16 2010-12-02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喫煙品用パックおよびカート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1075Y1 (ko) * 1966-02-24 1968-05-14
FR1496551A (fr) * 1966-10-13 1967-09-29 Molins Machine Co Ltd Perfectionnements aux emballages, notamment de cigarettes
US3439797A (en) * 1967-10-27 1969-04-22 Todman Cooper Co Container
JPS5019824U (ko) * 1973-06-27 1975-03-06
FR2614720B1 (fr) * 1987-04-29 1992-06-26 Widmann Horst Conditionnement a double effet publicitaire apparent et non apparent
DE29619990U1 (de) * 1996-11-18 1997-01-16 Heide Schaefer Karin Faltschachtel für Verbrauchsgüter, insbesondere für Tabakwaren
ITBO20040433A1 (it) * 2004-07-12 2004-10-12 Gd Spa Metodo per l'impacchettamento di coppie di gruppi di sigarette incartati in pacchetti a portafoglio a coperchio incernierato
JP4439378B2 (ja) * 2004-11-17 2010-03-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包装紙及び包装紙を使用したシガレットパッケージ並びに包装紙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7913868B2 (en) * 2007-06-12 2011-03-29 Dolan Thomas J Triple-flap container closure
CA2711331C (en) * 2008-01-18 2013-10-08 Japan Tobacco Inc. Cigarette package
JP5323399B2 (ja) * 2008-06-06 2013-10-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スライド機能付き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KR100932364B1 (ko) * 2008-11-26 2009-12-16 송대섭 슬림형 듀얼 케이스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788A (en) * 1973-06-06 1975-01-07 Reynolds Tobacco Co R Composite dispensing package
JPH0519824U (ja) * 1991-08-30 1993-03-12 株式会社イナツクス 空調機器付き支輪
JPH0924927A (ja) 1995-07-12 1997-01-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ォーレットカートン
JPH0924926A (ja) 1995-07-12 1997-01-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ォーレットカートン
JP2007527826A (ja) 2004-03-11 2007-10-04 ジー.デー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 タバコ製品の剛性パッケージ
JP2008525279A (ja) 2004-12-23 2008-07-17 ジー.デー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 煙草製品のためのパケット
JP2008528392A (ja) 2005-01-27 2008-07-31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パッケージ
JP2008531406A (ja) 2005-02-25 2008-08-14 フォッケ・ウント・コンパニー(ゲゼルシャフト・ミト・べ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シガレットパック
JP2009083932A (ja) 2007-07-17 2009-04-23 G D Spa 揺動して開口する硬質のたばこの包装体
JP2010536663A (ja) * 2007-08-16 2010-12-02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喫煙品用パックおよびカートン
JP4909436B2 (ja) 2007-08-16 2012-04-04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喫煙品用パックおよびカー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36444A (zh) 2015-06-24
JP5889424B2 (ja) 2016-03-22
KR101632854B1 (ko) 2016-06-22
CN104736444B (zh) 2016-12-14
JPWO2014061297A1 (ja) 2016-09-05
TW201416011A (zh) 2014-05-01
WO2014061297A1 (ja) 2014-04-24
RU2598559C1 (ru) 2016-09-27
TWI510196B (zh)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996B2 (en) Package of smoking articles with a sliding opening and a hinged lid
RU2469937C2 (ru) Пачка и короб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RU2573963C1 (ru) Упаковка коробчатого типа
KR101714290B1 (ko) 힌지리드 패키지
JP2011098735A (ja)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JPWO2009107520A1 (ja) スイングオープン型パッケージ
RU2571356C1 (ru) Жесткая упаковка
GB2466204A (en) Smoking product package comprising inner flip-top container within a sleeve
KR101631421B1 (ko) 슬라이드 박스형 패키지
EP3079997B1 (en) Packaging for smoking articles
JP6195934B2 (ja) スライド可能なコンパートメントを有するタバコ関連物品用のパッケージ
JP2009292515A (ja)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KR101632854B1 (ko) 하드형 패키지
RU2607763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паковки
WO2014068704A1 (ja) 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JP5955976B2 (ja) 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TWI491541B (zh) 鉸鏈蓋包裝
TWI483873B (zh) 滑箱型包裝件
TW201406628A (zh) 鉸鏈蓋型盒
TW201418118A (zh) 鉸鏈蓋包裝
TW201418119A (zh) 鉸鏈蓋包裝
TW201350402A (zh) 硬殼型包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