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555A -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555A
KR20150053555A KR1020130135654A KR20130135654A KR20150053555A KR 20150053555 A KR20150053555 A KR 20150053555A KR 1020130135654 A KR1020130135654 A KR 1020130135654A KR 20130135654 A KR20130135654 A KR 20130135654A KR 20150053555 A KR20150053555 A KR 20150053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voltage
inverter
command valu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490B1 (ko
Inventor
정한수
이숭근
구자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490B1/ko
Priority to US14/535,595 priority patent/US9708744B2/en
Priority to EP14192222.9A priority patent/EP2874307B1/en
Priority to CN201410645240.7A priority patent/CN104639008B/zh
Publication of KR2015005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34Arrangements for star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02P6/182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using back-emf i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20Arrangements for starting
    • H02P6/21Open loop st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와,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구동부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정렬을 위해,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전류를 모터에 공급하도록,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초기 기동시 모터의 회전자 정렬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기동시 모터의 회전자 정렬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세탁조와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여,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통상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위치 감지 센서가 구비한다.
그러나, 제조 비용 저감 등의 이유로, 위치 감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위치 감지 센서 없이, 모터 회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추정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기동시 모터의 회전자 정렬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와,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구동부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정렬을 위해,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전류를 모터에 공급하도록,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와,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구동부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모터 구동을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버터로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하며, 인버터 제어부는,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정렬을 위해,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정렬을 위해,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전류를 모터에 공급하도록,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정렬을 위해,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전류를 모터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초기 기동시 모터의 회전자 정렬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터의 통상 운전시에는, 모터의 회전을 위해,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압 지령치에 대응하여, 인버터를 제어함으로써, 모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자 위치, 및 모터의 속도를 추정하며, 추정된 회전자 위치 및 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인버터 제어를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센서리스 방식에서의, 모터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정렬을 위해,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초기 기동시 모터의 회전자 정렬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추정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모터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벡터 고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벡터 구간 고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설명을 참조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지 않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에 의해,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이다. 이하에서는, 센서리스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포가 상부 방향으로 세탁조 내로 삽입되는 탑 로드(top load)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이다. 이러한 탑로드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는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키들과, 세탁기(1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5)과, 케이싱(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내부에 세탁기(100)의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11)와, 본체(111)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조(122)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포출입홀을 형성하는 탑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본체(111)와 탑커버(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케이싱(110)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면 충분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지지봉(135)은, 케이싱(110)을 이루는 구성 중 하나인 탑커버(1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110)의 고정된 부분 어느 곳과도 결합되는 것이 가능함을 명시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7)과, 조작키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한다.
도어(113)는, 탑커버(112)에 형성된 포출입홀(미표기)을 여닫는 것으로, 본체(111)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120)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124)와, 외조(124)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122)를 구비할 수 있다. 세탁조(120)의 상부에는 세탁조(120)의 회전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1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00)는, 세탁조(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38)는, 내조(122)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장치(138)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내조(122)만이 회전되거나, 펄세이터(133)만이 회전되거나, 내조(122)와 펄세이터(133)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구동장치(138)는, 도 3의 구동부(220), 즉 구동 회로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탑커버(112)에는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14)가 인출가능하게 구비되고, 급수유로(123)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14)를 경유한 후 내조(122) 내로 공급된다.
내조(122)에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내조(122)로 공급된 세탁수가 복수의 홀을 통해 외조(124)로 유동한다. 급수유로(123)를 단속하는 급수밸브(125)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유로(143)를 통해 외조(124)내의 세탁수가 배수되고, 배수유로(143)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45) 및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41)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봉(135)은, 외조(124)를 케이싱(110) 내에 매달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케이싱(110)에 연결되고, 지지봉(135)의 타단은 서스펜션(150)에 의해 외조(124)와 연결된다.
서스펜션(150)은, 세탁기(100) 작동 중에 외조(124)가 진동하는 것을 완충시킨다. 예를 들어, 내조(122)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외조(124)가 진동할 수 있으며, 내조(122)가 회전하는 중에는 내조(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 내조(122)의 회전 속도 또는 공진 특성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어부(210)의 제어 동작에 의해, 구동부(220)가 제어되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조(120)에 모터(2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제어부(210)는, 조작키(10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118)를 제어하여, 세탁 코스, 세탁 시간, 탈수 시간, 헹굼 시간 등, 또는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모터(230) 내부 또는 외부에는,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구동부(220)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에 의해 모터(230)를 제어한다.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 제어부(미도시), 모터(230)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 검출부(도 4의 E)와, 모터(2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vo)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도 4의 F)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20)는, 인버터(미도시)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 등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0) 내의 인버터 제어부(도 4의 430)는, 출력 전류(io) 및 출력 전압(vo)에 기초하여,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모터(230)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 제어부(도 4의 430)가, 출력 전류(io) 및 출력 전압(vo)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도 4의 Sic)를 생성하여,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모터(230)에 공급한다. 그리고, 모터(23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구동부(22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 등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120)가 회전하는 동안에, 모터(230)의 전류값(io)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편심량, 즉 세탁조(120)의 언밸런스(unbalance; UB)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량 감지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의 리플 성분 또는 세탁조(120)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20)는,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버터(410),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dc 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출력전류 검출부(E), 출력전압 검출부(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20)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부분을 위주로 기술한다.
한편,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되게 된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센서리스 방식을 기반으로,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와, 출력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vo)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와, 출력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v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인버터 제어부(430) 내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의 출력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모터(2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션트 저항이, 인버터(420)와 동기 모터(230) 사이에 위치하거나, 인버터(4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2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1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서 해당 션트 저항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o)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 병행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센서리스 방식의 위치 추정 방식에 의하면, 0 내지 100rpm 구간인 저속 운전 구간에서, 출력 전압 검출부(F)를 사용하지 않고,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의 출력 전류에 의해서만, 회전자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 위치 오차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100rpm 이상 구간인, 고속 운전 구간(T3)에서는, 이러한 위치 오차가 증가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출력 전류 검출부(E) 외에, 추가로, 출력 전압 검출부(F)를 사용하기로 한다.
출력전압 검출부(F)는, 인버터(420)와 모터(230) 사이에 위치하며, 인버터(420)에서 모터(230)로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검출한다. 인버터(420)가 펄스폭 가변(PWM) 기반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출력전압은, 펄스폭 가변(PWM) 기반의 펄스 형태의 전압일 수 있다.
한편, 검출되는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Vo)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압(v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압(vo)가 삼상의 출력 전압(va,vb,vc)인 것으로 병행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
한편, 삼상 모터(230)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230)는, 예를 들어,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가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컨버터(410) 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입력 전류 검출부(A)에서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를 컨버터(4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는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입력 전류 검출부(A)로부터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5a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추정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510), 추정부(520), 전류 지령 생성부(530), 전압 지령 생성부(540), 축변환부(5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변환부(5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 및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축변환부(51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된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va,vb,vc)을 입력받아, 듀티(duty)를 연산하고, 연산된 듀티에 기초하여, 극 전압(pole voltage)(Vpn)을 연산한다. 이하의 수학식 1은, 극 전압 연산 방식을 예시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Vdc는 dc 단 전압 검출부(B)에서 검출된, dc 단 전압을 나타내며, T는 제어 주기, 즉, PWM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을 위한, 캐리어 신호의 단위 주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Ton은 단위 주기(T)에서의 온 시간, 즉 듀티를 나타낸다.
한편, 축변환부(510)는, 3상의 출된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va,vb,vc)에 대응하여, 3상의 극전압(Vun,Vvn,Vwn)을 각각 연산한다.
다음, 축변환부(510)는, 3상의 극전압(Vun,Vvn,Vwn)을 이용하여, 수학식 2와 같이, 오프셋 전압(Voffset)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그리고, 축변환부(510)는, 3상의 극전압(Vun,Vvn,Vwn), 및 오프셋 전압(Voffset)을 이용하여, 수학식 3과 같이, 모터(230)의 각 상에 인가되는 상전압(Vas,Vbs,Vcs)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그리고, 축변환부(510)는, 3상의 상전압(Vas,Vbs,Vcs)을 이용하여, 수학식 4와 같이,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을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축변환부(5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을 회전좌표계의 2상 전압(vd,vq)로 변환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4
한편, 축변환부(510)는, 변환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와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와,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와 회전좌표계의 2상 전압(vd,vq)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추정부(520)는, 축변환부(510)로부터, 축변환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와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을 입력받아,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θ)와, 속도(ω)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추정부(520)는, 모터(230) 내에서 유발되는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을 추정하는 역기전력 추정부(523)와,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
Figure pat00005
)와, 속도(
Figure pat00006
)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부(526)를 구비할 수 있다.
역기전력 추정부(523)는, 축변환부(510)로부터,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와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을 입력받아, 정지좌표계 기반의 전차원 역기전력 관측기(Back Emf Observer)를 이용하여, 정지좌표계의 2상 역기전력(Emfα,Emfβ)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정지좌표계의 2상 역기전력(Emfα,Emfβ)은, 수학식 5와 같이, 모터의 회전 속도와 모터의 회전자 위치에 대한 함수로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ωr은, 모터의 회전 속도이며, θr은 모터의 회전자 위치이며, λ는 관측 자속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속도 추정부(526)는, 추정된, 역기전력(Emfα,Emfβ)을 이용하여, 수학식 6과 같은, 아크 탄젠트(arctangent) 연산을 이용하여,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
Figure pat00008
)를 추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한편, 속도 추정부(526)는, 아크 탄젠트(arctangent) 연산 이후, 다시, 전차원 속도 관측기(Speed Observer)를 이용하여, 최종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
Figure pat00010
)와, 속도(
Figure pat00011
)를 추정할 수 있다.
결국, 추정부(520)는, 입력되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와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에 기초하여 추정 위치(
Figure pat00012
)와 추정 속도(
Figure pat00013
)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추정 속도(
Figure pat00014
)와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추정 속도(
Figure pat00015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 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 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전류 지령치(i*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5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 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 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 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d축 전압 지령치(v* d)의 값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550)에 입력된다.
축변환부(550)는, 추정부(520)에서 추정 위치(
Figure pat00016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5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추정부(520)에서 추정 위치(
Figure pat00017
)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변환부(5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도 6은 도 4의 모터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는 도면과 같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230)의 동작 구간은, 모터의 회전자 정렬을 위한 기동운전 구간과, 모터를 통상적으로 회전시키는 통상 운전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a)는, 모터(230)에 인가되는 전류 파형(io1)의 일예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동운전 구간 동안 모터의 회전자를 정렬(align)하기 위해, 일정한 전류(idd1)가 모터(230)에 공급되며, 그 이후, 통상 운전 구간에서, 모터를 회전하기 위해, 교류 전류(iop1)가 모터(23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6(b)는, 모터(230)에 인가되는 전류 파형(io2)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동운전 구간 동안 모터(230)의 회전자를 정렬하기 위해, 제1 레벨의 일정 전류(idd2)와, 제2 레벨의 일정 전류가 모터(230)에 공급되며, 그 이후, 통상 운전 구간에서, 모터(230)를 회전하기 위해, 교류 전류(iop2)가 모터(230)에 공급될 수 있다.
모터(230)의 기동운전 구간 동안, 일정 전류를 모터(230)에 인가하는 경우, 전류 제어를 위한 전압 지령이 변하게 되고, 특히 정렬 전류(idd1,idd2 등)가 인가된 초기 시점에서는, 세탁조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압 벡터 역시 변동이 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키는 동작이 수렴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스위칭 제어신호로, 불연속 펄스폭 가변(Discontinuous PWM)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모터(230)에서, 전기적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초기 기동운전 구간 동안의, 모터 회전자 정렬 시간을 단축하고,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전압 벡터의 방향을 고정하거나, 전압 벡터의 구간을 고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벡터 고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q축 전류 제어를 위한 q축 전류 제어기(543)와, d축 전류 제어를 위한 d축 전류 제어기(547)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q축 전압 지령치의 고정을 위한, q축 전압 고정부(65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230)를 회전시키는, 통상 운전 구간 동안에는, 제1 모드(mode 1)로서, 도 4 내지 도 5b에서 기술한, 센서리스 방식에 의한, 통상 운전 제어를 수행한다. 즉, q축 전류 제어기(543)와, d축 전류 제어기(547)에서 각각 출력되는,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에 기초하여, 인버터(420) 제어를 위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230)의 회전자를 정렬하기 위한, 기동 운전 구간 동안에는, 제2 모드(mode 2)로서, q축 전압 지령치를 고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q축 전압 지령치(v* q)로 0 값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q축 전압 지령치를 고정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수학식 7 내지 10에 따라서, 모터(230)의 일부 움직임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전류 지령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230)의 회전자 정렬시, 일정 레벨의 전류를 모터(230)에 주입하는 것보다, 훨씬 신속하게, 모터(230)의 회전자를 정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d축과 q축은, 각각 자속분과 토크분에 해당하는 회전 좌표계를 의미하며, d축 전압 지령치는, 자속분 전압 지령치에 대응하며, q축 전압 지령치는, 토크분 전압 지령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속분 전압 지령치와 토크분 전압 지령치라는 용어 보다는, d축 전압 지령치와 q축 전압 지령치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q축 전류 제어기(543)와, d축 전류 제어기(547)는, 도 5에서 기술한, 전압 지령 생성부(54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도 5의 PI 제어기(544)와, PI 제어기(548)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다음의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은, 2상 동기 회전좌표계에 기초한, 모터(230)의 전압 방정식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여기서, Rs는 모터(230)의 고정자 저항을 나타내며, Ls는 모터(230)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며, ωr은, 모터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며, Ke는 역기전력 상수를 나타낸다. 한편, id,iq는 각각 d축 전류와 q축 전류를 나타내며, vd,vq는 각각 d축 전압과 q축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20
는, 모터(230)에서 유발되는 역기전력을 나타낸다.
한편, 기동 운전 구간에서, 모드 2에 따라, Vq는 0으로 설정하면, 수학식 8에서의,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는 0 이거나, 그 값이 작아, 0에 근사화되므로, 수학식 8이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23
그리고, 다시 q축 전류(iq)에 대해 정리하면, 수학식 10과 같이 정리된다.
Figure pat00024
결국, q축 전류(iq)는, 역기전력(
Figure pat00025
)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발생하게 된다.
즉, 기동 운전 구간에서, 인버터 제어부(430)가 Vd는 소정값으로 설정하면서, Vq는 0으로 설정하면, 센서리스 피드백 제어에 의해, 이후 q축 전류 지령치(i* q)는, 역기전력(
Figure pat00026
)에 반대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값(즉, 반전값)으로 설정된다.
즉,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230)의 정렬을 위해, 모터(230)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전류를 모터에 공급하도록, 인버터(4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230)의 초기 기동시, 모터 구동을 위해,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토크분 전압을 일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크분 전압을 0으로 설정하여, 자속분 전압만을 모터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레벨의 전류를 모터(230)에 주입하는 것보다, 훨씬 신속하게, 모터(230)의 회전자를 정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벡터 구간 고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설명을 참조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정렬을 위해,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limiter)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리미터는, 공간 벡터 기법에 의해,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정렬을 위해, 초기 기동시의 전압 벡터가, 복수의 공간 벡터 섹터 중 동일한 섹터에 위치하도록,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q축 전류 제어를 위한 q축 전류 제어기(543)와, d축 전류 제어를 위한 d축 전류 제어기(547) 외에, 추가로, q축 전압 지령치의 제한을 위한 리미터(542)와, d축 전압 지령치의 제한을 위한 리미터(54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의 리미터(542)와 리미터(546)는, 도 5에서 기술한, PI 제어기(544)와 PI 제어기(548)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기동 운전 구간에서, 공간 벡터 기반의 펄스폭 가변(SVPWM)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도 9에서의 전압 벡터의 방향이, 동일한 섹터 안에 머무르도록, 리미터(543 또는 546)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동 운전 구간에서, 리미터(543 또는 546)를 사용하여, d축 전압 지령치와 q축 전압 지령치를 제한하면, 모터의 회전자를 정렬할 때, 전압 지령치가 일정 범위 이내로 작아지므로, 정렬시의 움직임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일정 전류를 모터에 주입하는 경우 보다, 신속하게, 모터의 회전자를 정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센서리스 방식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도 1의 탑 로드(top load) 방식 외에, 프론트 로드(front load)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100)는, 포가 전면(front) 방향으로 세탁조 내로 삽입되는 탑 로드(top load)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이다. 이러한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도, 도 1 내지 도 5b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센서리스 방식의 동작이 가능하며, 특히, 도 7 및도 7과 같은, 초기 기동시의 전압 벡터값 고정 또는 전압 벡터 구간 고정 등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0의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100)는,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로서, 세탁물 처리기기(1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0)과, 캐비닛(1110)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1110)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120)와, 터브(1120)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세탁되는 드럼(1122)과, 드럼(1122)을 구동시키는 모터(1130)와, 캐비닛 본체(1111) 외측에 배치되며 캐비닛(111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터브(1120) 하측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럼(1122)에는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122A)이 형성되며, 드럼(1122)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드럼(1112)의 내 측면에 리프터(1124)가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110)은, 캐비닛 본체(1111)와, 캐비닛 본체(1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12)와, 캐비닛 커버(1112)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1)와 결합하는 컨트롤패널(1115)과, 컨트롤패널(1115)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1)와 결합하는 탑플레이트(1116)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12)는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포 출입홀(1114)과, 포 출입홀(1114)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13)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17)과, 조작키들(1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18)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15) 내의 조작키들(1117) 및 디스플레이 장치(1118)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세탁물 처리기기(1100)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드럼(1122)에는 오토 밸런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오토 밸런스(미도시)는 드럼(1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밸런스, 볼밸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탁물 처리기기(1100)는, 드럼(1122)의 진동량 또는 캐비닛(1110)의 진동량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터 구동 방법 또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방법은, 모터 구동장치치 또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1. 세탁조;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상기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의 정렬을 위해,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모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통상 운전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위해,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압 지령치에 대응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의 정렬을 위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상기 토크분 전압을 일정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 구동을 위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상기 자속분 전압만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 및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와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 제어를 위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 및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와 상기 출력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와 상기 모터의 속도를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 속도와, 속도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
    상기 전류 지령치와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 및
    상기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는,
    자속분 전압 지령치 생성을 위한 d축 전압 지령 생성부와, 토크분 전압 지령치 생성을 위한 q축 전압 지령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q축 전압 지령 생성부는,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의 정렬을 위해, q축 전압 지령을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와 상기 검출된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추정하는 역기전력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된 역기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와 상기 모터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세탁조;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상기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 구동을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로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의 정렬을 위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는,
    공간 벡터 기법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의 정렬을 위해, 상기 초기 기동시의 전압 벡터가, 복수의 공간 벡터 섹터 중 동일한 섹터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 및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의 정렬을 위해,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모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통상 운전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위해,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압 지령치에 대응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의 정렬을 위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상기 토크분 전압을 일정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 구동을 위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자속분 전압과 토크분 전압 중, 상기 자속분 전압만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 및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와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 제어를 위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 및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와 상기 출력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와 상기 모터의 속도를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 속도와, 속도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
    상기 전류 지령치와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 및
    상기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는,
    자속분 전압 지령치 생성을 위한 d축 전압 지령 생성부와, 토크분 전압 지령치 생성을 위한 q축 전압 지령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q축 전압 지령 생성부는,
    상기 모터의 초기 기동시, 상기 모터의 정렬을 위해, q축 전압 지령을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와 상기 검출된 펄스폭 가변 기반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추정하는 역기전력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된 역기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와 상기 모터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KR1020130135654A 2013-11-08 2013-11-08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54A KR101709490B1 (ko) 2013-11-08 2013-11-08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US14/535,595 US9708744B2 (en) 2013-11-08 2014-11-07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14192222.9A EP2874307B1 (en) 2013-11-08 2014-11-07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CN201410645240.7A CN104639008B (zh) 2013-11-08 2014-11-10 电机驱动装置及具有该电机驱动装置的洗涤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54A KR101709490B1 (ko) 2013-11-08 2013-11-08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555A true KR20150053555A (ko) 2015-05-18
KR101709490B1 KR101709490B1 (ko) 2017-02-23

Family

ID=5186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654A KR101709490B1 (ko) 2013-11-08 2013-11-08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08744B2 (ko)
EP (1) EP2874307B1 (ko)
KR (1) KR101709490B1 (ko)
CN (1) CN1046390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2998B1 (en) * 2015-05-18 2016-11-22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otor torque output
KR101691793B1 (ko) * 2015-07-1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ITUA20162878A1 (it) * 2016-04-26 2017-10-26 Phase Motion Control S P A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e azionamento per un motore elettrico a magneti permanenti
CN112583324A (zh) * 2016-09-13 2021-03-30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振动控制装置及洗衣机
CN108691149A (zh) * 2017-04-10 2018-10-2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无感测器的直流无刷马达负载测量方法以及其装置
JP6877263B2 (ja) * 2017-06-26 2021-05-26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濯機用制振装置
US10934655B2 (en) * 2017-08-29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510537B (zh) * 2017-09-11 2020-11-13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洗衣机中变频电机的控制方法、装置及洗衣机
KR102463316B1 (ko) * 2017-11-01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3701075B1 (en) 2017-12-20 202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otor
JP2019180133A (ja) * 2018-03-30 2019-10-17 日本電産サーボ株式会社 モータユニット
KR102539459B1 (ko) * 2018-07-06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350619B (zh) 2019-08-08 2023-10-20 Lg电子株式会社 用于驱动多个电动机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电气设备
CN112481926B (zh) * 2019-08-20 2022-06-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设备及洗涤设备滚筒解锁的判定方法
CN110932641A (zh) * 2019-11-20 2020-03-27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航空计算技术研究所 电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094A (ja) * 1999-09-21 2001-06-12 Yaskawa Electric Corp 交流電動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EP2629414A1 (en) * 2010-10-15 2013-08-21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Synchronous machine activ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480A (ja) 2000-02-21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洗濯機
JP2003135883A (ja) 2001-10-31 2003-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モータ駆動装置
KR100629007B1 (ko) 2004-12-17 2006-09-27 전자부품연구원 위치센서가 없는 3상 브러시리스 직류모터의 회전자위치추정장치
JP4906369B2 (ja) 2006-02-28 2012-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同期モ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7236102A (ja) 2006-03-01 2007-09-13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
JP5072493B2 (ja) * 2007-09-05 2012-11-14 株式会社東芝 回転機制御装置および洗濯機
WO2011054032A1 (en) 2009-11-06 2011-05-12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Sensorless ac motor controller
CN101964624B (zh) 2010-10-15 2012-08-22 浙江工业大学 永磁同步电机的无传感器控制系统
CN102487262A (zh) 2010-12-02 2012-06-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永磁同步电机起动方法
CN102291079A (zh) 2011-07-05 2011-12-21 东南大学 直驱永磁同步风电系统无速度传感器控制算法
CN102437813B (zh) 2011-12-26 2014-04-09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无速度传感器的永磁同步电机的转子角度、转速估计方法
CN102545749B (zh) 2012-01-06 2014-06-11 上海大学 宽调速范围无刷直流电机无位置传感器控制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094A (ja) * 1999-09-21 2001-06-12 Yaskawa Electric Corp 交流電動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EP2629414A1 (en) * 2010-10-15 2013-08-21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Synchronous machine activ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8660A1 (en) 2015-05-14
EP2874307A3 (en) 2015-08-26
US9708744B2 (en) 2017-07-18
CN104639008B (zh) 2017-06-20
EP2874307A2 (en) 2015-05-20
CN104639008A (zh) 2015-05-20
KR101709490B1 (ko) 2017-02-23
EP2874307B1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490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00644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051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EP2591160B1 (en) Washing machine
KR101709493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5558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56409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9491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1901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240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2290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295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8008289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43582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08527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15143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19012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60014992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