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431A -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431A
KR20150052431A KR1020130133431A KR20130133431A KR20150052431A KR 20150052431 A KR20150052431 A KR 20150052431A KR 1020130133431 A KR1020130133431 A KR 1020130133431A KR 20130133431 A KR20130133431 A KR 20130133431A KR 20150052431 A KR20150052431 A KR 20150052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urgency
car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2431A/ko
Publication of KR2015005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가 사고를 당했을 경우, 사고 자동차의 파손 상태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긴급도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사고 자동차들의 긴급도에 따라서 사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사고처리기관에게 사고 처리를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for noticing the urgent level in car acciden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자동차가 사고를 당했을 경우 사고 자동차의 파손 상태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긴급도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다수개의 사고 자동차들의 긴급도에 따라서 사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사고처리기관에게 사고 처리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고가 일어나 인명 피해가 발생된 경우 사고 당사자나 사고 주변인의 신고에 의하여 소방서나 병원과 같은 사고처리기관이 사고 수습을 위하여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게 된다.
그러나, 단지 사고 신고의 사실만 가지고는 사고 현장에서의 자동차의 사고 정도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신고를 받은 사고처리기관이 긴급한 구급 조치가 요구되는 사고 현장으로 적시에 투입되지 못하여 자동차 사고 현장에서의 인명 피해가 더 커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동차 사고 발생시 가장 피해가 큰 자동차 사고 현장으로 사고처리기관의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은, 자동차 사고 발생시 사고 자동차의 파손 상태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긴급도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다수개의 사고 자동차들의 긴급도에 따라서 사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사고처리기관에게 사고 처리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자동차 사고 발생시 가장 높은 긴급도를 가진 자동차의 사고 현장으로 사고처리기관의 출동을 요청함으로써, 사고처리기관이 가장 긴급한 구급 조치가 요구되는 사고 현장으로 적시에 투입되어 사고를 수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동차 사고 현장에서의 인명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2 는 본 발명 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한 사고처리기관의 출동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긴급도 통지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사고자동차의 긴급도 통지시스템(10)은 사고감지부(20), 긴급도 연산부(30) 및 통신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사고감지부(20)는 자동차 사고시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센서들이 발생하는 자동차의 파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부분이다.
상기 사고감지부(20)는 자동차의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ECU)이 수집하는 정보중 일부 정보를 CAN 통신으로 전달받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고감지부(20)에 의하여 수집되는 자동차의 파손 상태의 정보는, 예를 들어, 엔진 파손 여부, 에어백 전개 여부, 자동차의 각종 등화류의 파손 여부, 자동차 전복 여부, 자동차 내외부 샤시로의 충격력 전달 여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긴급도 연산부(30)는 상기 사고감지부(20)가 수집한 자동차의 파손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자동차 파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고 자동차긴급도를 연산하는 부분이다.
상기 긴급도는 자동차의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병원, 경찰서, 소방서, 견인업체, 보험사 등의 사고처리기관이 해당 사고 자동차로 얼마나 신속하게 출동할 것인지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긴급도가 높을수록 해당 사고 자동차의 운전자의 인명 사고가 더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커서 사고처리기관이 보다 긴급하게 사고 현장으로 출동을 수행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 실시예의 긴급도 연산부(30)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방법으로서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를 연산한다.
첫째, 가중치에 의한 연산방식으로서, 상기 사고감지부(20)가 수집한 자동차 파손상태정보의 각 항목에 항목별 점수와 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수집된 모든 파손상태정보를 모두 합산하는 방법이다.
즉, 각 항목별로 점수가 부여된 자동차 파손상태정보의 각 항목이 각 항목별로 점수를 가지고 있는 a, b, c, d, e, f, g 이되, 각 항목에 항목별 가중치가 α,β,γ,δ,ε,ζ,η 라면, 자동차 사고시 긴급도(U1)를 다음과 같이 연산한다.
U1(긴급도) = α*a + β*b + γ*c + δ*d + ε*e + ζ*f + η*g
둘째, 등급에 의한 연산방식으로서, 상기 사고감지부(20)가 수집한 자동차 파손상태정보의 각 항목에 임계치 구간을 설정하고 해당 항목의 값이 임계치 구간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항목이 임계치 구간을 초과하였음을 나타내는 초과 표시용 점수를 부여한다.
즉, 자동차 파손상태정보의 각 항목이 a, b, c, d, e, f, g 이되, 각 항목별로 임계치 구간을 설정하였으며, 임계치 구간 초과시의 초과 표시용 점수를 1 점으로 부여하였을 경우, 자동차 사고 발생시 상기 항목중 1 번과 4 번 및 5 번의 항목이 임계치 구간을 초과하였다면, 긴급도(U2)를 다음과 같이 연산한다.
U2(긴급도) = a번 항목(1 점) + b번 항목(0 점) + c번 항목(0 점) + d번 항목 (1 점) + e번 항목 (1 점) + f번 항목(0 점) + g번 항목(0 점) = 3 점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들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긴급도 연산을 수행할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이 공평하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모든 자동차가 동일한 방식으로 긴급도를 연산하여야 함을 전제로 한다.
통신부(40)는 상기 긴급도 연산부(30)가 연산한 사고자동차의 긴급도의 정보를 연동된 통신망(N)을 통하여 사고처리의 수습을 요청하는 서버(100)로 송신하는 부분이며, 통신망(N)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공지의 모든 방식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자동차가 이동 수단임을 고려하여 무선인터넷망을 채용한다.
서버(100)는 본 발명 긴급도통지시스템(10)이 송신한 긴급도 정보를 수신하고, 설정된 일정한 시간 동안에 수신된 사고자동차의 긴급도들에 따라서 사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사고처리기관(200)에게 사고 처리의 요청을 송신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서버(100)는 상기 통신망(N)을 통하여 긴급도통지시스템(10)과 사고처리기관(200)에 연동되고 수신된 긴급도 정보와 사고 자동차의 사고처리에 관한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고처리기관(200)은 자동차의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병원, 경찰서, 소방서, 견인업체, 보험사 등의 사고처리기관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신망(N)을 통하여 서버(1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미도시)와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사고처리기관(200)은 상기 서버(100)로부터 송신된 사고수습의 요청에 따라서 해당 자동차의 사고 현장으로 사고 수습을 위한 출동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인명 구조를 위한 병원의 구급차의 출동, 사고 현장의 조사와 처리를 위한 경찰순찰차량의 출동, 소방서의 소방차량의 출동, 견인업체의 렉커차량의 출동, 보험사의 사고 접수차량의 출동 등을 들 수 있다.
도 2 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긴급도통지시스템(10)이 기동되면(S 10), 사고감지부(20)는 자동차의 사고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한다(S 20).
모니터링중,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사고감지부(20)는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전자제어유닛(ECU)으로 전달되는 데이터중 사고 발생시 자동차의 파손 상태에 관한 정보인 자동차파손상태정보를 수집한다(S 30).
그리고, 상기 사고감지부(20)에 의하여 수집된 자동차파손상태정보를 긴급도 연산부(30)에 전달하고(S 40), 긴급도연산부(30)는 전달받은 자동차파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고자동차의 긴급도를 연산한다(S 50).
이어서, 통신부(40)는 상기 긴급도연산부(30)가 연산한 긴급도 정보를 통신망(N)을 통하여 서버(100)로 송신한다(S 60).
서버(100)는 일정한 시간 동안 송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도 정보들을 수신하고(S 70), 수신된 긴급도 정보들에 기초하여 사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S 80).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긴급도의 점수가 큰 순서대로 사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면, 서버(100)는 결정된 우선순위의 정보에 따라서 사고처리기관(200)에게 가장 높은 점수의 긴급도를 가진 사고자동차로의 사고 처리의 요청을 송신한다(S 90).
이후, 서버(100)는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나머지 사고자동차로의 사고 처리 요청을 사고처리기관(200)에 송신한다(S 100).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의 사고처리 요청을 수신한 사고처리기관(200)은 가장 높은 점수의 긴급도를 가진 사고자동차(도면에서는 C3 자동차)로 사고처리의 수행(S 110)을 위한 출동을 할 수 있게 되므로, 긴급한 사고 현장으로 신속한 사고 수습 처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서 인명 피해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 발명 긴급도 통지 시스템
20; 사고 감지부
30; 긴급도 연산부
40; 통신부
100;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200; 사고처리기관
N; 통신망
C; 자동차

Claims (5)

  1. 사고 자동차의 긴급한 상황을 통지하는 긴급도 통지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긴급도 통지시스템(10)은,
    자동차 사고시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센서들이 발생하는 자동차의 파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사고감지부(20);
    상기 사고감지부(20)가 수집한 자동차의 파손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자동차 파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고 자동차긴급도를 연산하는 긴급도 연산부(30);
    상기 긴급도 연산부(30)가 연산한 사고자동차의 긴급도의 정보를 연동된 통신망(N)을 통하여 서버(100)로 송신하는 통신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는,
    상기 통신부(40)가 송신한 긴급도 정보를 수신하고, 설정된 일정한 시간 동안에 수신된 사고자동차의 긴급도들에 따라서 사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사고처리기관(200)에게 사고 처리의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도 연산부(30)는,
    상기 사고감지부(20)가 수집한 자동차 파손상태정보의 각 항목에 항목별 점수와 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수집된 모든 파손상태정보를 모두 합산하는 가중치에 의한 연산방식으로 긴급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도 연산부(30)는,
    상기 사고감지부(20)가 수집한 자동차 파손상태정보의 각 항목에 임계치 구간을 설정하고 해당 항목의 값이 임계치 구간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항목이 임계치 구간을 초과하였음을 나타내는 초과 표시용 점수를 부여하는 등급에 의한 연산방식으로 긴급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
  5. 사고감지부(20), 긴급도 연산부(30) 및 통신부(40)를 가진 긴급도 통지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방법에 있어서,
    긴급도통지시스템(10)이 기동되면(S 10), 사고감지부(20)는 자동차의 사고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고(S 20), 모니터링중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사고감지부(20)는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자동차의 파손 상태에 관한 정보인 자동차파손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 30);
    상기 사고감지부(20)는 수집된 자동차파손상태정보를 긴급도 연산부(30)에 전달하고(S 40), 긴급도연산부(30)는 전달받은 자동차파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고자동차의 긴급도를 연산하는 단계(S 50);
    상기 통신부(40)가 상기 긴급도연산부(30)가 연산한 긴급도 정보를 통신망(N)을 통하여 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S 60);
    상기 서버(100)는 일정한 시간 동안 송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도 정보들을 수신하고(S 70), 수신된 긴급도 정보들에 기초하여 사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S 80), 결정된 우선순위의 정보에 따라서 사고처리기관(200)에게 가장 높은 점수의 긴급도를 가진 사고자동차로의 사고 처리의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S 9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방법.
KR1020130133431A 2013-11-05 2013-11-05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50052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431A KR20150052431A (ko) 2013-11-05 2013-11-05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431A KR20150052431A (ko) 2013-11-05 2013-11-05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31A true KR20150052431A (ko) 2015-05-14

Family

ID=5338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431A KR20150052431A (ko) 2013-11-05 2013-11-05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24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6857A1 (ja) * 2020-03-17 2021-09-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優先度判定システム、優先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457792A (zh) * 2021-06-08 2022-12-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6857A1 (ja) * 2020-03-17 2021-09-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優先度判定システム、優先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49260A (ja) * 2020-03-17 2021-09-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優先度判定システム、優先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748157B2 (en) 2020-03-17 2023-09-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riority determination system, priority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5457792A (zh) * 2021-06-08 2022-12-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CN115457792B (zh) * 2021-06-08 2024-01-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8272C (en) Hazardous event alert systems and methods
JP6301758B2 (ja) 運転者危機管理装置、運転者危機管理方法、および運転者危機管理プログラム
US10349148B2 (en) Computer-aided dispatch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biometrics to assess responder condition and suitability
CN103231958B (zh) 一种电梯安全运行监控系统
CN107067677A (zh) 一种可视化安全救援方法及系统
WO2017082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on and synthesis of vehicle crash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8181498A (ja) 監視装置、監視プログラム及び監視方法
JPWO2013141036A1 (ja) 車両用通信装置および通信管理システム
JP2019182330A (ja) タイヤ状態遠隔監視システム、タイヤ状態遠隔監視プログラム及びタイヤ状態遠隔監視方法
KR101498993B1 (ko)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52431A (ko) 사고 자동차의 긴급도 통지 시스템과 그 방법
US101654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vehicle incident communications
CN205076589U (zh) 一种电梯异常预警以及监管查询系统
JP2007249778A (ja) 運転者管理システム、携帯無線通信端末、サーバ装置、運転者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516517A (en) Blind spot determination
KR102201646B1 (ko)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58591B1 (ko)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90049A (ko) 차량 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57384B1 (ko) 자동차의 위험 구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220103994A1 (en) Inconsistency-determining apparatus for vehicle accident
CN114463922A (zh) 基于双通道监测城市公交火灾事故的处理系统及预警方法
CN113895453A (zh) 车辆控制方法、装置、车辆和存储介质
CN111806167A (zh) 基于t-box的监测轮胎状态的方法、装置及设备
WO2014047864A1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service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101537816B1 (ko) 위치 및 단말 정보 기반 사용자 위험 상황 예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