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591B1 -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591B1
KR102158591B1 KR1020190025314A KR20190025314A KR102158591B1 KR 102158591 B1 KR102158591 B1 KR 102158591B1 KR 1020190025314 A KR1020190025314 A KR 1020190025314A KR 20190025314 A KR20190025314 A KR 20190025314A KR 102158591 B1 KR102158591 B1 KR 10215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sensing signal
ser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022A (ko
Inventor
박지홍
Original Assignee
박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홍 filed Critical 박지홍
Priority to KR102019002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591B1/ko
Priority to PCT/KR2020/002600 priority patent/WO2020180031A1/ko
Publication of KR2020010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차량이 온(on) 상태가 됨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사고 감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b)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하면,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차량의 사고 수습 요청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센싱 신호는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페달 센서로부터 생성되고, 제 2 센싱 신호는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충격 센서로부터 생성된다.

Description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REAL-TIME INCIDENTS AND AUTOMATICALLY PROPAGATING ACCIDENTS}
본 발명은 이동 중인 차량에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주행 패턴을 미리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사고가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외부에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됨에 따라 많은 운전자들이 교통사고 발생 시, 수행해야 하는 행동 요령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막상 교통사고의 당사자가 되면 당황하여 숙지하고 있는 행동 요령을 이행하여 사고에 대응하는 것은 어려워하고 있다.
또한, 교통사고의 당사자가 의식을 잃는 경우 타인의 신고에 의해 구조를 의지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데, 목격자가 없거나 추가 피해의 우려로 인한 구호 활동과 신고를 주저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인명 구조의 골든 타임을 놓치게 되는 중대 사항으로도 발전할 수 있다.
이처럼, 교통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사고의 신고와 객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고 수습 관련 기관에서는 교통사고 당사자나 목격자의 전화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주관적이고 자발적인 신고에 의지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교통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면서도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정보 통신 기술과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발생 정보를 자동으로 사고 수습 관련 기관에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통사고가 발생 시 사고 당사자나 주변 목격자의 신고에 의지하지 않고, 자동으로 관련 기관에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한 인명 구조와 사고 수습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밖에도 사고의 징후를 사전에 포착하여 인명 사고를 예방하거나, 사고의 발생시 센서를 통해 기록되는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를 근거로 정확한 사고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동으로 프로세스가 진행되기 때문에 인명 사고를 일으킨 가해자가 도주하지 않고, 적절한 구호활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억울한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차량이 온(on) 상태가 됨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사고 감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b)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하면,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차량의 사고 수습 요청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센싱 신호는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페달 센서로부터 생성되고, 제 2 센싱 신호는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충격 센서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센싱 신호가 제 1 센싱 신호보다 먼저 수신되면,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에 사고 수습 요청을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d) 상기 (b) 단계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진행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고 주의 신호는 제 1 센싱 신호가 차량의 급가속 정보에 의해 생성된 것이면 감속을 요청하는 신호이고, 제 1 센싱 신호가 차량의 급감속 정보에 의한 것이면, 차량의 운전주의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싱 신호가 포함하는 페달 센서에 가해진 속도 또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 정보와 제 2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전후의 차량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페달 센서에 가해진 속도 또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사고가 발생 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과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사고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면 현재 차량이 위치하는 위치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고, 사고 수습 요청과 함께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안전 신호를 더 수신하면, 사용자가 안전 상태로 판단하여 차량의 사고 수습 요청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응급 도움 신호를 수신하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사고 수습 요청을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고 수습의 요청에는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더 포함하고,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는 탑승자의 의료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에 대한 의료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싱 신호가 발생 시 차량의 운행 지역을 저장하고, 제 1 센싱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는 운행 지역에 차량이 진입하면,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이 온(on) 됨에 따라 동작하며, 제 1 센싱 신호 및 제 2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페달 센서 및 충격 센서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며, 페달 센서 및 충격 센서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사고 감지 장치; 및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하면,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차량의 사고 수습 요청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제 1 센싱 신호는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페달 센서로부터 생성되고, 제 2 센싱 신호는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충격 센서로부터 생성일 수 있다.
또한, 페달 센서는 차량의 악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속도 또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도록 악셀 페달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제 1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제 1 센싱 신호가 악셀 페달에 의해 생성되면, 차량의 급가속 정보를 포함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생성되면, 차량의 급감속 정보를 포함시키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이 포함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사고 감지 장치는 안전 확인 버튼 및 응급 도움 버튼이 구비되고, 안전 확인 버튼은 안전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며, 응급 도움 버튼은 사고 수습 요청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사고 감지 장치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사고 주의 신호를 직접 출력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교통사고가 발생 시 사고 당사자나 주변 목격자의 신고에 의지하지 않고, 자동으로 관련 기관에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한 인명 구조와 사고 수습을 유도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사고의 징후를 사전에 포착하여 인명 사고를 예방하거나, 사고의 발생시 센서를 통해 기록되는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를 근거로 정확한 사고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으로 프로세스가 진행되기 때문에 인명 사고를 일으킨 가해자가 도주하지 않고, 적절한 구호활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억울한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이는 센서에 기록된 수치를 통해 정확한 운전자의 사고 회피 노력이나 부주의 여부 등을 확인할 시 사용가능하며, 불필요한 소송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통해 사고의 전조를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교통 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지 장치가 인지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경고의 예시를 나타낸 도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서버(100)는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1)은 서버(100), 사고 감지 장치(200), 사용자 단말(300) 및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를 포함하고, 각 장치들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차량이 온(on) 됨에 따라 동작하는 사고 감지 장치(200)가 작동을 시작했음을 감지한다.
또한, 서버(100)는 사고 감지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제 1 센싱 신호 및 제 2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전조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발생한 사고에 대해 신속하게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에 사고 수습 요청을 전달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때, 제 1 센싱 신호는 사고 감지 장치(200)에 구비된 페달 센서로부터 생성되는 신호를 뜻하고, 제 2 센싱 신호는 사고 감지 장치(200)에 구비된 충격 센서로부터 생성된다.
또한, 서버(100)는 사고 감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 1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거나, 사고 감지 장치(200)에 구비될 수 있는 스피커를 통해 차량의 탑승객에게 알리게 된다.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외부의 모듈(예컨대, CCTV,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등)과 연동하여 정확한 사고의 원인 분석이나 교통체증의 우회 등의 시너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의 경우 운전자 전방 주시 의무 위반 여부나 운전자의 사고 회피 노력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되고, 네비게이션의 경우 신속하게 사고 정보를 적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거나, 잦은 페달 조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운전 피로도를 감안하여 편안한 주행 경로를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고 감지 장치(200)는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이 온(on) 됨에 따라 동작하며, 제 1 센싱 신호 및 제 2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페달 센서 및 충격 센서가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버튼이 추가로 구비되며, 페달 센서, 충격 센서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페달 센서는 차량의 악셀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에 각각 구비되어 운전자가 기 설정된 속도 또는 압력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여 악셀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상태를 인지한다. 사고 감지 장치(200)는 페달 센서의 인지 상태에 따라 제 1 센싱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충격 센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사고 감지 장치(200)는 충격 센서가 감지하는 충격에 따라 제 2 센싱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사고 감지 장치(200)에는 사용자의 의사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고 감지 장치(200)에 구비될 수 있는 버튼의 대표적인 기능으로 안전 확인 버튼과 응급 도움 버튼이 될 수 있다.
안전 확인 버튼은 사용자 본인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는 안전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응급 도움 버튼은 사용자가 응급 상황에 처했을 시 이를 알려 사고 수습을 요청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고 감지 장치(200)는 생성된 신호를 곧바로 서버(100)로 전달하게 되지만, 선택적 실시예에 따라 사고 감지 장치(200)가 생성한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을 거쳐 서버(1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사고 감지 장치(200)가 응급 상황에서 빠르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와 직접 연결되어 사고에 대처할 수도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사고 감지 장치(200)에 스피커가 구비되는 경우 사고 차량 주위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로 사고가 접수된 상태라면, 스피커를 통해 사고가 접수되었음을 알려 중복된 신고를 막아 사고 수습 기관의 업무에 혼란을 예방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100)나 사고 감지 장치(200)가 생성한 피드백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이 서버(100)가 전달하는 피드백을 운전자나 차량의 다른 탑승객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00)을 기 설정해야만 한다.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하는 피드백으로 사용자가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사고의 전조에 따른 경고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센싱 신호를 서버(100)가 수신하면, 서버(100)는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 후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고 주의 신호는 일반적으로 음성이나 경고음과 같은 소리로 전달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운전 환경에 따라 텍스트 및 이미지로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사고의 발생 시 사용자 단말(300)의 연결 정보(예컨대, 전화 번호 등)를 서버(100)로 전달하여, 사고 수습 기관에서 차량의 탑승자에게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는 본 발명이 포함하고 있지 않은 외부 서버로서, 차량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들이 보유하는 외부 서버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안전신고센터나 응급의료 병원이 사고 수습 기관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보험사도 사고 수습 기관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가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를 선택하는 조건은 어떠한 사고 수습 요청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손상이 경미하고 탑승자가 다치지 않았다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는 보험사의 서버만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차량의 손상이 크고 탑승자가 다쳤다면 응급 구조 기관의 서버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 실시예로,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가 수신하는 사고 수습 요청에는 차량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가 발생한 지점으로 빠르게 인력을 파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통신망은 서버(100)를 포함하는 각 장치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각 장치들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와 각 장치들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각각의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기 위한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차량을 이용하는 탑승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탑승자에 대한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사고 수습의 요청이 발생하면 함께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는 탑승자의 의료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사고 후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데이터베이스(140)에 탑승자에 대한 의료 정보가 저장된다면, 이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가 서버(100)에 기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0)에서 데이터베이스(140)가 생략되고, 사고 감지 장치(200) 혹은 사용자 단말(30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탑승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탑승자의 정보는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지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고 감지 장치(200)는 통신 모듈(210), 프로세서(220), 센싱 모듈(230), 및 사용자 명령 수신 모듈(240)을 포함한다.
사고 감지 장치(200)의 통신 모듈(210)은 서버(100)가 포함하는 통신 모듈(110)과 같이, 통신망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300)이나, 서버(100)와 각 장치들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210)은 각각의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사고 감지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기 위해 사고 감지 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 모듈(230)은 차량에 설치되는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고, 차량에 구비되는 센서는 페달 센서와 충격 센서가 될 수 있다.
페달 센서는 차량의 악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에 구비된다. 사용자가 기 설정된 속도 또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여 악셀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센싱 모듈(230)이 이를 감지하여 제 1 센싱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충격 센서는 차량의 전면부, 측면, 후면, 내부 및 외부 중 어느 한곳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충격 센서는 차량이 추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인식하고, 센싱 모듈(330)은 이를 감지하여 제 2 센싱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명령 수신 모듈(240)은 사고 감지 장치(200)에 구비되는 명령 입력 버튼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명령 수신 모듈(240)을 설명하기에 앞서, 사고 감지 장치(200)에는 긴급한 상황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명령을 서버(100)로 전달하기 위한 조작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조작 패널의 인터페이스는 버튼 형식으로 구비되거나, 전/감압식 터치 형식으로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기에 그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사용자 조작 패널의 인터페이스로 구비되는 대표적인 기능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안전 확인 기능과 응급 도움 기능이 될 수 있다.
먼저, 안전 확인 기능은 서버(100)가 제 2 센싱 신호를 감지하여 차량이 사고 상태임을 인지하지만, 실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나 사고가 발생하였지만 운전자가 크게 다치거나 하지 않은 경미한 상태일 때, 안전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100)로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응급 도움 기능은 센서의 작동 신호 유무와 상관없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도움이 필요하거나, 센서의 고장으로 센싱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도움 요청이 이루어 지지 않을 때에 강제로 사고 수습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고 감지 장치(200)에 스피커가 구비되는 경우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사고 감지 장치(200)에는 추가 실시예로 위치 감지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차량에 구비되는 블랙박스나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차량의 정확한 위치를 서버(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사고 감지 장치(200)가 가동됨을 인지한다(S310).
단계(S310)에서 수신된 운행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 중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운행 신호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였다는 것을 서버(100)가 인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사고 감지 장치(200)로부터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S320).
이때,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구비되는 악셀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항상 밟아야 한다. 하지만, 운전자가 긴급한 상황을 인지하게 되면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평소의 상태보다 강하거나 빠른 속도로 페달을 밟게 되는 것이다.
사고 감지 장치(200)는 사용자가 페달을 밟게 되는 상황을 감지하여 사고의 전조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는 제 1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10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센싱 신호는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악셀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에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속도나 압력으로 페달을 밟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기 설정된 속도나 압력으로 밟을 시에만 센서가 인식하여 제 1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운전자의 성향에 맞도록 제 1 센싱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 설정된 속도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이 운전자에게 기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추가 실시예로, 차량의 급격한 속도의 변화에 따라서도 제 1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320)에서 제 1 센싱 신호가 수신되면, 그와 동시에 사고 감지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사고 주의 신호를 곧장 전달할 수 있다.
단계(S320) 이후 서버(100)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지 유무(S330)에 따라 이후의 진행이 달라지게 된다.
만약, 제 2 센싱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전달되지 않으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사고 주의 신호를 전달하여 단계를 마무리하게 된다(S340).
이는 운전자가 차량 운행 중 발생한 상황에 대해 무사히 대처하여 제 1 센싱 신호 이후 차량에 별도의 충격을 받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제 1 센싱 신호가 운전자의 부주의나 악셀 혹은 브레이크를 난폭하게 밟는 습관에 의해 발생한 것인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해 서버(100) 또는 사고 감지 장치(200)이나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사고 주의 신호가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는 것이다.
추가 실시예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사고 주의 신호는 해당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의 인근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전달되어 사고의 위험성을 전파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340) 이후 서버(100)는 제 1 센싱 신호가 발생한 차량의 운행 지역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 1 센싱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는 운행 지역에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서버(100)는 해당 운행 지역이 사고 확률이 높은 곳으로 판단하여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행 지역은 예를 들어 사고 다발지역이나 아동보호구역이나 야생동물의 출현이 잦은 지역이 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운전자가 특정 지역에서 급 가속 혹은 급 감속하는 패턴을 분석하고, 특정 지역에서 해당 패턴이 수행되는 원인을 산출하여, 운전자에게 사전에 사고 주의 신호를 전달하여 사고 예방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분석된 패턴은 서버(100)에 저장되어, 타 운전자에게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타 운전자가 패턴에 해당하는 상황에 처할 시, 사고 주의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만약, 단계(S330) 이후 서버(100)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센싱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서버(100)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상황임을 인지하게 된다(S341).
이때, 제 1 센싱 신호가 포함하는 페달 센서에 가해진 속도 또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 정보와 제 2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전후의 차량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의 판단하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페달 센서에 가해진 속도나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제 2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사고가 발생 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과 차량의 속도에 사고의 규모를 판단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운전자가 탑승 중인 차량의 사고 당시의 속도와 차량이 사고로 인해 받게 되는 충격량을 조합하여 차량에 어느 정도의 손상이 가해졌는가를 예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복수의 충격 센서가 구비되면, 충격 센서가 동작하는 위치에서 수신된 충격량을 조합하여 차량의 어느 부위가 집중적으로 손상되었는지 예측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제 1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사고 상황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고가 사용자의 운전 미숙이나 부주의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 타인의 차량이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제 2 센싱 신호가 발생 이후 임의로 사고 수습 요청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 사고 감지 장치(200)를 조작하여 안전 신호를 생성 후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충격 센서가 오작동하여 제 2 센싱 신호를 발생 시켰거나, 발생한 사고에 대해 사용자가 이를 수습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사고 수습 요청을 받지 않길 원할 때 진행되는 작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로 사고 수습을 요청하게 된다(S342).
선택적 실시예로, 앞서 서술한 단계를 모두 무시하고 사고 감지 장치(200)에 구비된 응급 도움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사고 수습을 요청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사고 감지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인지한 사고 발생이나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400)로 알리는 중계기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의 동작흐름도가 개시하고 있는, 단계(S310) 내지 단계(S340)까지의 프로세스가 사고 감지 장치(200)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서버(100)는 단계(S342)만을 수행함으로써, 사고 전조 감지나 사고 상황을 서버(100)를 거치지 않고 신속하게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고 전조에 대한 경고는 사고 감지 장치(200)나 사용자 단말(300)에서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여 직접 피드백 하도록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버(100)도 단순하게 중계기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다수의 사용자가 사고를 일으킨 지역이나 급 발진 및 정거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차량이 진입할 시, 사고 감지 장치(200)나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운전자에게 돌발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지 장치(200)가 인지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궁극적으로 사고 감지 장치(200)가 서버(100)로 알리는 차량의 상태는 사고 전조 상황(510)과 사고 발생 상황(520)이 될 수 있다.
먼저, 사고 전조 상황(510)은 급격한 감속이나 가속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급격한 감속은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생성되고, 운전자의 부주의나, 주행 중 돌발 상황 인지, 보복성 운전 등의 상태에서 발생하게 된다.
만약, 제 1 센싱 신호가 급격한 감속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인 경우, 사고 주의 신호에 차량의 운전 주의 요청을 포함시키게 된다.
반대로 급격한 가속은 악셀 페달에 의해 생성되고, 운전자의 난폭 운전이나 과속 운전 등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사고 주의 신호에는 차량의 감속 요청이 포함되어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고 발생 상황(520)은 제 2 센싱 신호의 수신이나 운전자의 응급 도움 버튼의 조작 여부에 따라 판단하게 된다.
사고 발생 상황은 제 1 센싱 신호 이후 제 2 센싱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 2 센싱 신호만을 수신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추가 실시예로 제 2 센싱 신호 이후 제 1 센싱 신호가 감지되어 서버(100)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경고의 예시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되는 센싱 신호의 종류와 차량의 속도 및 부과적으로 센싱될 수 있는 상황에 따라 경고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관찰' 등급은 운전자가 운전에 주의해야 함을 상기시키기 위한 경고가 포함될 수 있고, '확인' 등급은 사고가 발생하여 경고를 수행하지만 사용자로부터 추가적인 조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긴급'의 경우 높은 확률로 운전자가 위험한 상태로 별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할 수 없기에 자동으로 외부의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한 경고가 될 수 있다.
관찰 등급의 경고로 예컨대, '운전 주의 신호 포착! 안전 운행을 위한 차량 조작에 주의해주세요!'라는 경고 메시지가 있을 수 있으며, 급 감속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이 저속 주행 중이면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확인 등급의 경고로는 예컨대, '사고주의 신호 포착! 도움 필요 시 버튼을 눌러 주세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급 가속 정보와 급 감속 정보를 각각 포함되는 제 1 센싱 신호를 동시 다발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운전자가 사고를 피하기 위해 운전을 수행 중이라고 판단하여 경고를 수행 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긴급 등급의 대표 경고로는 '사고 발생 신호 포착! 일정 시간 내 안전 확인 응답이 없을 시 구조 요청 프로세스 진행'이 있을 수 있다. 이때, 긴급 등급의 경고는 운전자보다 차량의 외부인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가 될 수 있다. 서버(100)가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이 직접 사고를 당했음으로 판단하여 긴급 등급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
100: 서버 200: 사고 감지 장치
300: 사용자 단말 400: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

Claims (17)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차량이 온(on) 됨에 따라 동작하는 사고 감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하면, 상기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상기 차량의 사고 수습 요청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단계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진행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센싱 신호는 상기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페달 센서로부터 생성되고, 제 2 센싱 신호는 상기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충격 센서로부터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포함하는 상기 페달 센서에 가해진 속도 또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 정보와 상기 제 2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전후의 상기 차량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의 정확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 센서에 가해진 속도 및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사고가 발생 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과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사고의 규모를 판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안전 신호를 더 수신하면, 사용자가 안전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수습 요청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 수습의 요청에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는 상기 탑승자의 의료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발생한 차량의 운행 지역을 저장하는 단계; 및
    제 1 센싱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는 운행 지역에 상기 차량이 진입하면,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신호가 상기 제 1 센싱 신호보다 먼저 수신되면, 상기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에 상기 사고 수습 요청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주의 신호는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상기 차량의 급가속 정보에 의해 생성된 것이면 감속을 요청하는 신호이고,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상기 차량의 급감속 정보에 의한 것이면, 상기 차량의 운전주의를 요청하는 신호인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면 현재 차량이 위치하는 위치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고, 상기 사고 수습 요청과 함께 상기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응급 도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상기 사고 수습 요청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의료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수신하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발생 시 상기 차량의 운행 지역을 저장하고,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는 상기 운행 지역에 상기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
  14.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온(on) 됨에 따라 동작하며, 제 1 센싱 신호 및 제 2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페달 센서 및 충격 센서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페달 센서 및 충격 센서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사고 감지 장치; 및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하면, 상기 차량이 사고 상태로 간주되어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로 상기 차량의 사고 수습 요청 전달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 신호는 상기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페달 센서로부터 생성되고, 제 2 센싱 신호는 상기 사고 감지 장치에 구비된 충격 센서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페달 센서는 상기 차량의 악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속도 또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도록 상기 악셀 페달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상기 제 1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포함하는 상기 페달 센서에 가해진 속도 또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 정보와 상기 제 2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전후의 상기 차량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의 정확도를 높이고,
    상기 페달 센서에 가해진 속도 및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사고가 발생 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과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사고의 규모를 판단하고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안전 신호를 더 수신하면, 사용자가 안전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수습 요청을 중단하고,
    상기 사고 수습의 요청에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고 수습 기관의 서버는 상기 탑승자의 의료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센싱 신호를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발생한 차량의 운행 지역을 저장하고,
    제 1 센싱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는 운행 지역에 상기 차량이 진입하면, 사고 주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 신호가
    상기 악셀 페달에 의해 생성되면, 상기 차량의 급가속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생성되면, 상기 차량의 급감속 정보를 포함 시키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이 포함되고,
    상기 사고 감지 장치는 안전 확인 버튼 및 응급 도움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안전 확인 버튼은 안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응급 도움 버튼은 사고 수습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사고 감지 장치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사고 주의 신호를 직접 출력하는 것인,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시스템.
KR1020190025314A 2019-03-05 2019-03-05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5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14A KR102158591B1 (ko) 2019-03-05 2019-03-05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PCT/KR2020/002600 WO2020180031A1 (ko) 2019-03-05 2020-02-24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14A KR102158591B1 (ko) 2019-03-05 2019-03-05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187A Division KR102178822B1 (ko) 2020-09-15 2020-09-15 위치 정보 기반의 실시간 사고감지와 사고정보를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022A KR20200107022A (ko) 2020-09-16
KR102158591B1 true KR102158591B1 (ko) 2020-09-23

Family

ID=7233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314A KR102158591B1 (ko) 2019-03-05 2019-03-05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8591B1 (ko)
WO (1) WO2020180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409B1 (ko) 2021-03-03 2023-02-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기계 사고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2647046B1 (ko) * 2021-12-29 2024-03-13 주식회사 에스와이피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459A (ja) * 2005-09-27 2007-04-12 Honda Motor Co Ltd 車両緊急事態対処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409B1 (ko) * 2011-10-17 2014-06-30 주식회사 동부엔티에스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6679B1 (ko) * 2013-08-23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주행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130080A (ko) * 2014-09-25 2014-11-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운송 차량의 사고 인식 시스템
KR101916199B1 (ko) * 2017-03-29 2018-11-07 이호준 교통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459A (ja) * 2005-09-27 2007-04-12 Honda Motor Co Ltd 車両緊急事態対処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022A (ko) 2020-09-16
WO2020180031A1 (ko)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102B2 (en) Methods of facilitating emergency assistance
CN107608388B (zh) 自主警车
Khan et al. Accident detection and smart rescue system using Android smartphone with real-time location tracking
JP6668814B2 (ja) 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走行制御システム
US9628975B1 (en) Crash event detection, response and reporting apparatus and method
AU2013206671B2 (en) Operator drowsiness detection in surface mines
CN107406059B (zh) 碰撞时制动控制装置和碰撞时制动控制方法
KR102158591B1 (ko)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US10332385B2 (en) Location based support request messages responsive to alert recommendation
JP2016018314A (ja) 運転者危機管理装置、運転者危機管理方法、および運転者危機管理プログラム
CN107406081A (zh) 使用启动的汽车驾驶员改进的响应时间
KR102178822B1 (ko) 위치 정보 기반의 실시간 사고감지와 사고정보를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69068B1 (ko) 단체버스의 안전운행 원격모니터링 관리방법 및 장치
KR20150083227A (ko) 교통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KR102484818B1 (ko) 사고 방지용 모듈 장치 및 시스템, 위험 구역 진입에 대한 위험 경고 방법
KR20180106160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20130006910A (ko) 차량용 블랙 박스를 이용한 사고 대응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사고 대응 방법
US20220103994A1 (en) Inconsistency-determining apparatus for vehicle accident
KR20170048107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JP6360662B2 (ja) 状況確認システム
ITRM20130723A1 (it) Sistema informatico e relativo procedimento di supporto all'acquisizione e trasmissione tramite dispositivo mobile di dati relativi al moto di un veicolo alla geo-localizzazione ed ai comportamenti alla guida
KR20200062025A (ko) 다중 로그 분석을 기반으로 차량 위험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30200B1 (ko) 빅데이터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 연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차량용 사고 알림 시스템
JP2021096509A (ja) 通報装置、通報システムおよび通報方法
KR101967092B1 (ko) 버스 주행정보 시스템에서의 버스의 급출발 또는 급제동에 의한 사고를 감지 및 예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