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408A - 원호형 예초기 날 - Google Patents

원호형 예초기 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408A
KR20150052408A KR1020130132934A KR20130132934A KR20150052408A KR 20150052408 A KR20150052408 A KR 20150052408A KR 1020130132934 A KR1020130132934 A KR 1020130132934A KR 20130132934 A KR20130132934 A KR 20130132934A KR 20150052408 A KR20150052408 A KR 2015005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rc
cut
ang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197B1 (ko
Inventor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이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인 filed Critical 이용인
Priority to KR102013013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1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호형 예초기 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중앙에 로터연결홀(115)이 형성된 중심부(110), 및 중심부(110)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테두리가 만나며, 테두리에 칼날(125)이 형성되되, 칼날(125)은 원호형으로 연장된 절단부(120)를 포함하고, 로터연결홀(115)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원호형 예초기 날{A arc type blade for bush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원호형 예초기 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농촌에서 잡초를 제거하거나, 성묘 시 벌초작업을 할 때, 낫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였으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동력을 날을 회전하는 예초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짧은 시간에 큰 면적의 잡초나 넝쿨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예초기에 사용되는 날의 종류는 2도날, 나이론커터, 원형톱날 등 다양하다. 이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2도날이다. 2도날은 2개의 칼날의 회전으로 예초(刈草)를 수행하며 칼날이 직선형(直線形)이다.
도 1은 칼날이 대상물을 자르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이 자르는 원리를 살펴보면, 일정하게 누르는 힘(F1)과 미는 힘(F2)의 합성된 힘(F)으로 물체를 자르며, 이때 미는 힘(F2)의 주요 역할은 예리한 칼날이 대상물의 조직을 파괴함으로써 칼날의 운동을 방해하는 대상물의 저항을 줄여주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직선형 2도날의 칼날이 예초대상물을 자르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 예초기 날은 회전방향과 사선으로 형성되고, 회전 방향과 같은 때리는 힘(F1), 즉 대상물을 때리는 힘이 주요 성분이며 미약하나마 미는 힘(F2)이 합성되어 최종적으로 힘(F)이 대상물에 작용한다.
이와 같이, 합성된 힘(F)은 예초기에서 전달된 칼날의 운동량과 원호형 예초기 날의 예리한 정도, 예초 대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가장 적절하게 조합되었을 때 효율적으로 예초 대상물을 자를 수 있다.
특히, 원호형 예초기 날로 자르는 예초 대상물은 섬유질과 목질이 대부분으로 회전 방향과 같은 때리는 힘(F1)과 미는 힘(F2)의 적절한 역학적 관계가 요구되는데, 이는 원호형 예초기 날이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는 각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선형 2도날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직선형 2도날(300)은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사선으로 형성된 형태이고, 칼날(350)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예초 작업시 칼날(350)이 예초 대상물에 대하여 비스듬히 힘을 가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직선형 2도날(300)은 회전에 따른 역학적 효율성 측면에서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직선형 2도날(300)의 실제 예초되는 각도는 회전에 따라 양단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커지는 구조(θ321)이므로, 미는 힘(F2)보다 회전 방향과 같은 때리는 힘(F1)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역학적 구조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직선형 2도날(300)이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발생하는 역학적 구조의 문제점은 직선형 2도날(300)이 예초 대상물과 접촉하는 칼날(350)의 길이가 짧아지고 접촉하는 시간도 짧아져, 예초 대상물의 조직을 효율적으로 자르지 못하는 것이다. 게다가, 직선형 2도날(300)이 예초 대상물의 조직을 효율적으로 자르지 못하므로, 직선형 2도날(300)의 회전운동에 예초 대상물이 큰 저항으로 작용하고, 그에 따라 동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도 존재하다.
또한, 종래의 직선형 2도날(300)은 양단으로 갈수록 베는 각도가 지나치게 커지므로, 베어지지 않는 예초 대상물이 예초기 날에 감기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며, 이는 곧 예초 작업의 효율을 떨어뜨린다.
종래의 직선형 2도날(300)의 또 다른 문제점은 예초기 날과 예초 대상물의 베이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예초기 날에 톱날 형성이 어렵고, 설사 톱날을 형성하더라도 톱날의 기능을 할 수 없다.
KR 20-0334759 Y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칼날이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종래 직선형 2도날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여 예초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원호형 예초기 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원호형 예초기 날의 칼날과 예초 대상물이 접촉하는 길이를 연장하고, 칼날이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칼날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원호형 예초기 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은 중앙에 로터연결홀이 형성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테두리가 만나며, 테두리에 칼날이 형성되되, 상기 칼날은 원호형으로 연장된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연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에 있어서, 상기 칼날을 따라가면서,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과 상기 칼날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일정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에 있어서, 상기 칼날을 따라가면서 상기 칼날의 말단으로 갈수록,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과 상기 칼날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에 있어서, 상기 칼날을 따라가면서,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과 상기 칼날의 접선 사이의 각도 중, 가장 큰 각도(최대각도)를 A로 정의하고, 가장 작은 각도(최소각도)를 B로 정의할 때, (A-B)/(B) 값이 0 초과이고 0.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절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 주기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상기 중심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부의 상하측 테두리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부의 상하측 테두리에는 상기 절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 주기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상기 중심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부의 상측 테두리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부의 하측 테두리에는 상기 절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 주기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날이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동력으로 예초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칼날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각도가 작아 사선으로 절단되므로, 거친 예초 대상물도 작은 힘으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예초기 날이 예초 대상물을 밀어내면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예초 대상물이 예초기 날에 감기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칼날이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칼날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각도가 작아 예초 대상물을 밀어서 절단하므로, 칼날에 톱날을 형성하여 잡목 등의 거친 예초 대상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호형 예초기 날을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속도로 구동시키면서도, 동일한 예초 효율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동력이 소모되고, 그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연료의 연소에 따른 대기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초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호형 예초기 날을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속도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손잡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작아져 손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는 힘이 강해서 자갈 등의 장애물을 밀어냄으로써 작업자에게 손상을 주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칼날이 대상물을 자르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종래 직선형 2도날의 칼날이 예초대상물을 자르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종래 직선형 2도날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호형 예초기 날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과 종래 직선형 2도날을 비교한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의 칼날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각도를 표시한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의 예초원리를 종래 직선형 2도날의 예초원리와 비교한 개념도, 및
도 9a 내지 도 9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의 칼날에 톱날을 형성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호형 예초기 날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중앙에 로터연결홀(115)이 형성된 중심부(110), 및 중심부(110)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테두리가 만나며, 테두리에 칼날(125)이 형성되되, 칼날(125)은 원호형으로 연장된 절단부(120)를 포함하고, 로터연결홀(115)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전체적으로 중심부(110)와 중심부(1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절단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심부(110)와 절단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부(110)는 예초기의 로터가 결합되는 로터연결홀(115)이 중앙에 형성된다. 또한, 절단부(120)는 실질적으로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절단부(120)는 중심부(110)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측 테두리와 하측 테두리가 만난다. 이때, 상측 테두리와 하측 테두리에는 칼날(125)이 형성된다. 또한, 상측 테두리와 하측 테두리에 형성된 칼날(125)은 원호형(圓弧形)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칼날(125)은 로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예초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전체적으로 로터연결홀(115)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뒤집어서도 칼날(125)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종래의 직선형 2도날(300)에 비해서 폭이 넓고 곡률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은 종래의 직선형 2도날(300)의 칼날(350)에 비해서 길이가 길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은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의 칼날(350)에 비해서 예초 대상물과의 접촉각도가 전반적으로 작다. 여기서, 칼날(125)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각도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를 기초로, 거의 유사한 크기의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과 종래 직선형 2도날을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각도(도 7a 내지 도 7b 참조)는 50°이하인 반면,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의 칼날(350)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각도(도 3 참조)는 80°이하이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은 곡률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예초 대상물과의 접촉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칼날(125)을 따라가면서 칼날(125)의 말단으로 갈수록,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θ321). 다만,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칼날(125)의 임의의 세지점에서,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각각 44°(θ3), 37°(θ2), 및 30°(θ1)일 수 있다. 즉, 가장 큰 각도(최대각도)가 44°(θ3)이고, 가장 작은 각도(최소각도)가 30°(θ1)인 것이다. 따라서, 최대각도와 최소각도의 차이를 최소각도로 나누면((최대각도-최소각도)/최소각도), 그 값이 약 0.47이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은 칼날(350)을 따라가면서, 칼날(350)의 말단으로 갈수록, 칼날(350)의 회전방향과 칼날(350)의 접선 사이의 각도가 급격하게 증가한다(θ321). 예를 들어, 칼날(125)의 임의 세지점에서,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각각 75°(θ3), 61°(θ2), 및 35°(θ1)일 수 있다. 즉, 가장 큰 각도(최대각도)가 75°(θ3)이고, 가장 작은 각도(최소각도)가 35°(θ1)인 것이다. 따라서, 최대각도와 최소각도의 차이를 최소각도로 나누면((최대각도-최소각도)/최소각도), 그 값이 약 1.14이다.
상술한 (최대각도-최소각도)/최소각도 값은 크기가 작을수록 각도의 편차가 작은 것을 의미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의 (최대각도-최소각도)/최소각도 값이 종래 직선형 2도날의 (최대각도-최소각도)/최소각도 값에 비해서 월등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각도-최소각도)/최소각도 값이 작으면, 때리는 힘(F1)과 미는 힘(F2)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예초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때리는 힘(F1)과 미는 힘(F2)을 적절하게 조합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의 (최대각도-최소각도)/최소각도 값은 0 초과이고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칼날(125)을 따라가면서 칼날(125)의 말단으로 갈수록,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가 일정할 수 있다(θ3≒θ2≒θ1). 예를 들어, 칼날(125)의 임의의 세지점에서,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각각 28°(θ3), 28°(θ2), 및 28°(θ1)일 수 있다. 이 경우, 최대각도와 최소각도의 차이를 최소각도로 나누면((최대각도-최소각도)/최소각도), 그 값이 약 0이 된다. 이와 같이,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가 일정하면, 때리는 힘(F1)과 미는 힘(F2)의 비율이 칼날(125)의 모든 부분에서 일정하고, 거친 예초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하며, 특히 칼날(125)에 톱날을 형성하여 잡목 등의 거친 예초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가 일정하다는 의미는 수학적으로 완전히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공오차 등에 의한 미미한 각도의 변화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는 "첫번째 원리"는 칼날(125)의 회전방향과 칼날(125)의 접선 사이의 각도를 작게 하여,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회전에 따른 칼날(125)과 예초 대상물이 접촉하는 길이를 연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의 조직을 밀어서 예초 대상물의 조직을 쉽게 파괴하므로,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초 대상물은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회전을 방해하는 일종의 저항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미는 힘(F2)을 강화하여 섬유질과 목질이 많은 예초 대상물의 조직을 파괴함으로써,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동력을 절약할 수 있다. 결국,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은 때리는 힘(F1)에 극단적으로 의존하여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는 원리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은 때리는 힘(F1)과 미는 힘(F2)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는 원리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는 "두번째 원리"는 칼날(125)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시간을 늘려 칼날(125)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원리이다. 이 경우, 동력이 원호형 예초기 날(100)에 작용하는 운동량(momentum)에 변화가 없더라도, 원호형 예초기 날(100)에 작용하는 힘은 칼날(125)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시간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칼날(125)과 예초 대상물 사이의 접촉시간이 증가하면 원호형 예초기 날(100)에 작용하는 힘은 감소한다. 따라서, 거친 예초 대상물이 원호형 예초기 날(100)에 주는 맥동을 줄일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종래 직선형 2도날(300)에 비해서 낮은 속도로 회전하더라도 동일한 예초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역으로,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은 맥동을 줄이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회전해야 하므로, 예초기에 많은 동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의 예초원리를 종래 직선형 2도날의 예초원리와 비교한 개념도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과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초 대상물(200)의 움직임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200)과 최초 접촉한 처음 위치에서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한 마지막 위치까지의 길이인 d1(도 8a 참조)은,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의 칼날(350)이 예초 대상물(200)과 최초 접촉한 처음 위치에서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한 마지막 위치까지의 길이인 d2(도 8b 참조)보다 크다. 이를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은 예초 대상물(200)과 최초 접촉한 처음 위치에서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한 마지막 위치까지의 길이(d1)가 상대적으로 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예초 대상물(200)을 밀어서 쉽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하는 "첫번째 원리"를 증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할 때까지의 회전각도인 θ1는,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이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할 때까지의 회전각도는 θ2보다 크다. 이를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200)과의 접촉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하는 시간을 늘려 칼날(125)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회전하더라도 예초작업이 용이하고 원호형 예초기 날(100)에 작용하는 맥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하는 "두번째 원리"를 증명한다.
추가적으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예초 대상물(200)을 사선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예초 대상물(200)이 회전반경 밖으로 밀려나면서 절단된다. 따라서, 예초 대상물(200)과 최초 접촉한 처음 위치에서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한 마지막 위치까지의 길이(d3)가 더욱 길어지고, 예초 대상물(200)을 절단할 때까지의 회전각도(θ3) 역시 커짐으로써, 거친 예초 대상물(200)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칼날(125)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예초 대상물과의 접촉각도가 작아(도 7a 내지 도 7b 참조), 예초 대상물을 밀어서 절단하는 방식이므로, 칼날(125)에 톱날을 형성함으로써, 거칠고 단단한 예초 대상물을 절단하기에도 용이하다. 이에 반하여,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은 예초 대상물과의 접촉각도가 커(도 3 참조), 칼날(350)에 톱날을 형성하더라도 톱날의 효용성이 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도 9a 내지 도 9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의 칼날에 톱날을 형성한 평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절단부(120)의 상하측 테두리에는 절단부(12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127)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호형 예초기 날(100)에 형성된 4개의 칼날(125) 모두에 톱날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함몰된 홈(127)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7)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잡목 등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7)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여러 종류의 예초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고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마모시 예초기 날을 재생시키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1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절단부(120)의 상측 테두리 및 중심부(110)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절단부(120)의 하측 테두리에만 절단부(12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127)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호형 예초기 날(100)에 형성된 4개의 날 중 로터연결홀(115)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인 2개의 날에만 톱날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종래 직선형 2도날(300)에 비하여 낮은 동력으로 예초 작업이 가능하며, 원호형 예초기 날(100)의 칼날(125)이 예초 대상물과의 접촉각도가 작아 사선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톱날을 적용하여 거친 풀이나 잡목 등을 손쉽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예초 대상물과의 접촉하는 각도가 작아 예초 대상물을 밀어내면서 자르므로 덩굴성 식물과 같은 미쳐 잘라지지 않은 예초 대상물이 예초기 날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도 있다. 반면, 종래 직선형 2도날(300)은 칼날의 양단으로 갈수록 접촉각도가 비약적으로 커지므로 잘라지지 않은 예초 대상물이 예초기 날에 감기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감겨진 예초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예초작업 능률도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속도로 구동되기 때문에, 동일한 예초 효율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동력이 소모되고, 그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연료의 연소에 따른 대기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초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원호형 예초기 날(100)은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속도로 구동되므로, 손잡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작아져 손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는 힘이 강해서 자갈 등의 장애물을 밀어냄으로써 작업자에게 손상을 주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원호형 예초기 날 110: 중심부
115: 로터연결홀 120: 절단부
125: 칼날 127: 홈
200: 예초 대상물 300: 직선형 2도날

Claims (7)

  1. 중앙에 로터연결홀이 형성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테두리가 만나며, 테두리에 칼날이 형성되되, 상기 칼날은 원호형으로 연장된 절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연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되는 원호형 예초기 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을 따라가면서,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과 상기 칼날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일정한 원호형 예초기 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을 따라가면서 상기 칼날의 말단으로 갈수록,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과 상기 칼날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증가하는 원호형 예초기 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칼날을 따라가면서,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과 상기 칼날의 접선 사이의 각도 중, 가장 큰 각도(최대각도)를 A로 정의하고, 가장 작은 각도(최소각도)를 B로 정의할 때,
    (A-B)/(B) 값이 0 초과이고 0.5 이하인 원호형 예초기 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절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 주기적으로 형성된 원호형 예초기 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상기 중심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부의 상하측 테두리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부의 상하측 테두리에는 상기 절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 주기적으로 형성된 원호형 예초기 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상기 중심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부의 상측 테두리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부의 하측 테두리에는 상기 절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 주기적으로 형성된 원호형 예초기 날.
KR1020130132934A 2013-11-04 2013-11-04 원호형 예초기 날 KR10158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934A KR101584197B1 (ko) 2013-11-04 2013-11-04 원호형 예초기 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934A KR101584197B1 (ko) 2013-11-04 2013-11-04 원호형 예초기 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08A true KR20150052408A (ko) 2015-05-14
KR101584197B1 KR101584197B1 (ko) 2016-01-14

Family

ID=5338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934A KR101584197B1 (ko) 2013-11-04 2013-11-04 원호형 예초기 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1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825Y1 (ko) * 2001-12-05 2002-03-18 김남식 예취기 칼날
KR101188667B1 (ko) 2012-03-12 2012-10-09 (주)에스엔에스 예초기용 칼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197B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8878B2 (ja) 園芸用バリカン
AU2017100173A4 (en) Cutting assembly and lawn mower
CN111990096A (zh) 园艺用修剪机
US10798876B2 (en) Oscillating gardening device, gear element of an oscillating gardening device and method using an oscillating gardening device
JP2009011223A (ja) 草刈り刃
KR101584197B1 (ko) 원호형 예초기 날
KR101734411B1 (ko) 예초기용 커터날
KR200484264Y1 (ko)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KR200440283Y1 (ko)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US20210051852A1 (en) Direct surface contact vegetation trimmer
JP6664633B1 (ja) 刈払機用の回転刈刃
JP5269715B2 (ja) 園芸用バリカン
JP3140635U (ja) 草刈機用補助刃
KR20180041371A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KR101885613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원형 예초기 칼날
CA2523324C (en) Blade for rotary cutter
KR101757868B1 (ko) 예초기용 칼날
JP3242307U (ja) 電動ナイフ
KR200355077Y1 (ko) 예초기 칼날
JP3238367U (ja) 草刈り用チップソー
JP3227776U (ja) 草刈刃
CN219087828U (zh) 割草机的刀片结构
KR200207320Y1 (ko) 초목예취기용 칼날
RU2287255C1 (ru) Сегмент косилочного ножа
JP3179767U (ja) 草刈機用の刈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