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64Y1 -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64Y1
KR200484264Y1 KR2020160000316U KR20160000316U KR200484264Y1 KR 200484264 Y1 KR200484264 Y1 KR 200484264Y1 KR 2020160000316 U KR2020160000316 U KR 2020160000316U KR 20160000316 U KR20160000316 U KR 20160000316U KR 200484264 Y1 KR200484264 Y1 KR 200484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cutting knife
stopper
upper plate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693U (ko
Inventor
서점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성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성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성정공
Priority to KR2020160000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6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구조체는, 금속재질의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양단에 칼날(301)이 형성되는 절단칼(300)을 포함하는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로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110); 상기 결합돌기(110)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110)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갖는 제1 와셔(310); 상기 결합돌기(110)와 상기 제1 와셔(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돌기(110)를 감싸는 부쉬(320); 일측 단부(302)에 상기 부쉬(320)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관통홀(303)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302)가 상기 제1 와셔 상에 배치되는 절단칼(300); 상기 절단칼의 단부(302) 상에 배치되어 상기 부쉬(320)의 돌출된 부분의 둘레를 감싸는 제2 와셔(330);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결합돌기(11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결합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칼(300) 및 상기 제2 와셔(330)를 커버하는 하부 플레이트(200);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결합홀(21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돌기(11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3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Blade Assembly for Lawn Trimmer}
본 고안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는 회전하는 절단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잡초 등을 제거하는 기계를 말하는데, 동력방식에 따라 엔진식, 가스식, 전기식, 충전식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러한 예초기는 들판, 야산 등과 같이 험한 지대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작업 중 발생하는 돌 파편 등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절삭효율 및 내구성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또한, 예초기는 작업자가 몸체를 어깨에 둘러 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용이해야 할 필요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5677호 (공개일자 2015. 12. 3.)
본 고안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작업효율이 우수한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재질의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양단에 칼날(301)이 형성되는 절단칼(300)을 포함하는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로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110); 상기 결합돌기(110)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110)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갖는 제1 와셔(310); 상기 결합돌기(110)와 상기 제1 와셔(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돌기(110)를 감싸는 부쉬(320); 일측 단부(302)에 상기 부쉬(320)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관통홀(303)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302)가 상기 제1 와셔 상에 배치되는 절단칼(300); 상기 절단칼의 단부(302) 상에 배치되어 상기 부쉬(320)의 돌출된 부분의 둘레를 감싸는 제2 와셔(330);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결합돌기(11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결합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칼(300) 및 상기 제2 와셔(330)를 커버하는 하부 플레이트(200);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결합홀(21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돌기(11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35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절단칼의 좌우 회동반경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120)와 제2 스토퍼(130)가 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상기 제1 스토퍼(12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3 스토퍼(220)가, 상기 제2 스토퍼(13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4 스토퍼(230)가 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120)와 상기 제3 스토퍼(220) 사이와, 상기 제2 스토퍼(130)와 상기 제4 스토퍼(230) 사이에는 상기 절단칼(300)의 두께(H)보다 작은 크기의 간극(G)이 각 형성되어, 상기 절단칼(300)은 칼날(301)이 상기 간극(G)에 삽입됨으로써 좌우 회동반경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는 복수 개의 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제1 도랑(14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에는 상기 제1 도랑(140)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도랑(140)과 동일한 형상의 제2 도랑(24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작업효율이 우수한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결합돌기에 제1 와셔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부쉬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칼날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2 와셔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스토퍼에 의해 절단칼의 회동이 제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는 각 원형의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 사이에 4개의 절단칼(30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에는 각각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150, 250)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150, 250)에 회전체(미도시)가 결합되어 칼날 구조체 전체가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4개의 절단칼(300)이 각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110)가 형성된다(도 3 참조). 결합돌기(110)의 둘레에는 결합돌기(110)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갖는 제1 와셔(310)가 배치되고(도 4 참조), 결합돌기(110)와 제1 와셔(310)의 사이에는 부쉬(320)가 배치되어 부쉬(320)가 결합돌기(110)를 감싸는 구조를 갖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절단칼(300)의 내측 단부에는 부쉬(320)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의 관통홀(303)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생긴 절단칼(300)의 내측 단부를 제1 와셔(310) 상에 배치하면 부쉬(320)가 절단칼(300)의 관통홀(303)에 삽입되는 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도 6 참조). 이 때 부쉬(320)의 두께는 제1 와셔(310)와 절단칼(300)의 내측 단부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더 크기 때문에 부쉬(320)가 절단칼(300)의 내측 단부보다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절단칼(300)의 단부보다 돌출된 부쉬(320)의 둘레, 즉 절단칼(300)의 상면에는 부쉬(320)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주면을 갖는 제2 와셔(330)가 배치된다(도 7 참조). 이 때 제1 와셔(310), 절단칼(300)의 내측 단부 및 제2 와셔(330)의 두께의 합은 부쉬(320)의 두께와 동일하다. 그 결과 부쉬(320)의 상면과 제2 와셔(330)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이게 된다.
그 위에 하부 플레이트(200)가 배치된다(도 8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00)에는 4개의 결합홀(210)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위치는 상부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결합돌기(110)의 위치와 동일하다.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100)의 결합돌기(110), 제1 와셔(310), 부쉬(320), 절단칼(300)의 관통홀(303), 제2 와셔(330), 하부 플레이트(200)의 결합홀(210)은 모두 연통되어 관통되는 구조를 갖게 되고, 하부 플레이트(200)의 외부로부터 볼트(350)를 체결하게 되면 그 볼트(350)는 하부 플레이트(200)의 결합홀(210), 제2 와셔(330), 절단칼(300)의 내측 단부, 부쉬(320), 제1 와셔(310)를 관통하여 상부 플레이트(100)의 결합돌기(110) 내주면에 나사결합 된다. 이렇게 되면, 절단칼(300)의 내측 단부는 상하면은 제1 와셔(310)와 제2 와셔(330)에 의해 지지되고, 관통홀(303)의 내주면은 부쉬(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절단칼(300) 내측 단부의 상하면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와셔(310)와 제2 와셔(330)에 의해 지지되므로, 절단칼(300)이 상부 플레이트(100)나 하부 플레이트(20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절단칼(300)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120)와 제2 스토퍼(13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스토퍼(120)는 절단칼(300)이 상부 플레이트(100)의 외주면과 직각을 넘어서지 않도록 그 회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부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제2 스토퍼(130)는 절단칼(300)이 내측 방향 회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 스토퍼(120)보다 상대적으로 내측 방향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제1 스토퍼(120)와 제2 스토퍼(130)에 각 대응되는 제3 스토퍼(220)와 제4 스토퍼(230)가 각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스토퍼(220)는 제1 스토퍼(12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4 스토퍼(23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때 제1 스토퍼(120)와 제3 스토퍼(220) 사이에는 절단칼(300)의 두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간극(G)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 스토퍼(130)와 제4 스토퍼(230) 사이에도 절단칼(300)의 두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간극(G)이 형성된다(도 9 참조).
본 고안의 경우 절단칼(300)의 양측 모두에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는데, 위 스토퍼들에 의해 절단칼(300)의 전체 두께보다 작은 크기의 간극(G)이 형성되면, 칼날의 단부가 위 간극(G)에 삽입된 상태에서 절단칼(300) 전체의 회동반경을 제한할 수 있게 되어 칼날의 손상 없이도 절단칼(300)의 회동반경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의 경우 절단칼(300)의 양측 모두에 칼날이 형성되므로 절삭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작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칼날을 교체하는 효과를 볼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는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가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스토퍼들(120, 130, 220, 230)이 별도의 부품이 아니라 상하부 플레이트(100, 20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조공정도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00)에는 복수 개의 홀(160)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홀(160)을 통해 절삭 작업 중에 칼날 구조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과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00)의 내측면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제1 도랑(140)이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200)에는 상부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제1 도랑(140)과 마주보는 위치에 같은 형상의 제2 도랑(24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 상부 플레이트 110 : 결합돌기
120 : 제1 스토퍼 130 : 제2 스토퍼
140 : 제1 도랑 150 : 개구부
160 : 홀
200 : 하부 플레이트 210 : 결합홀
220 : 제3 스토퍼 230 : 제4 스토퍼
240 : 제2 도랑 250 : 개구부
300 : 절단칼
301 : 칼날 303 : 관통홀
310 : 제1 와셔 320 : 부쉬
330 : 제2 와셔 340 : 스프링와셔
350 : 볼트 H : 절단칼의 두께
G : 간극

Claims (3)

  1. 금속재질의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양단에 칼날(301)이 형성되는 절단칼(300)을 포함하는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로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110);
    상기 결합돌기(110)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110)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갖는 제1 와셔(310);
    상기 결합돌기(110)와 상기 제1 와셔(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돌기(110)를 감싸는 부쉬(320);
    일측 단부(302)에 상기 부쉬(320)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관통홀(303)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302)가 상기 제1 와셔 상에 배치되는 절단칼(300)을 구비하되, 상기 부쉬(320)는 상기 관통홀(303)에 삽입되며, 상기 부쉬(320)의 두께는 상기 제1 와셔(310)와 상기 절단칼(300)의 두께의 합보다 더 커서 상기 부쉬(320)는 상기 절단칼의 단부(302)보다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단칼의 단부(302) 상에 배치되어 상기 부쉬(320)의 돌출된 부분의 둘레를 감싸는 제2 와셔(330)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와셔(310), 상기 절단칼의 단부(302) 및 상기 제2 와셔(330)의 두께의 합은 상기 부쉬(320)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결합돌기(11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결합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칼(300) 및 상기 제2 와셔(330)를 커버하는 하부 플레이트(200)를 구비하되, 이로써 상기 결합돌기(110), 상기 제1 와셔(310), 상기 부쉬(320), 상기 절단칼의 관통홀(303), 상기 제2 와셔(33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결합홀(210)은 모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결합홀(21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돌기(11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3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절단칼의 좌우 회동반경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120)와 제2 스토퍼(130)가 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상기 제1 스토퍼(12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3 스토퍼(220)가, 상기 제2 스토퍼(13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4 스토퍼(230)가 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120)와 상기 제3 스토퍼(220) 사이와, 상기 제2 스토퍼(130)와 상기 제4 스토퍼(230) 사이에는 상기 절단칼(300)의 두께(H)보다 작은 크기의 간극(G)이 각 형성되어, 상기 절단칼(300)은 칼날(301)이 상기 간극(G)에 삽입됨으로써 좌우 회동반경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는 복수 개의 홀(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제1 도랑(14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에는 상기 제1 도랑(140)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도랑(140)과 동일한 형상의 제2 도랑(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KR2020160000316U 2016-01-19 2016-01-19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KR200484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16U KR200484264Y1 (ko) 2016-01-19 2016-01-19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16U KR200484264Y1 (ko) 2016-01-19 2016-01-19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93U KR20170002693U (ko) 2017-07-27
KR200484264Y1 true KR200484264Y1 (ko) 2017-08-18

Family

ID=5939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316U KR200484264Y1 (ko) 2016-01-19 2016-01-19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985B1 (ko) * 2019-12-05 2020-05-06 김미주 예초기 커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6805A (zh) * 2018-06-30 2018-12-11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粗精加工园林割草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85Y1 (ko) 2004-05-31 2004-08-21 이석진 예취기용 회전칼
JP2007330109A (ja) 2006-06-12 2007-12-27 Wahei Ochiai 草刈機
KR101534287B1 (ko) 2014-12-11 2015-07-06 김길만 칼날 출몰식 예초기
KR101585520B1 (ko) 2015-09-10 2016-01-14 강광원 예초기의 커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925A (ko) * 2012-09-27 2014-04-04 조상규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KR20150135677A (ko) 2014-05-23 2015-12-03 김윤환 접철 가능한 절단칼이 구비된 예초기용 절단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85Y1 (ko) 2004-05-31 2004-08-21 이석진 예취기용 회전칼
JP2007330109A (ja) 2006-06-12 2007-12-27 Wahei Ochiai 草刈機
KR101534287B1 (ko) 2014-12-11 2015-07-06 김길만 칼날 출몰식 예초기
KR101585520B1 (ko) 2015-09-10 2016-01-14 강광원 예초기의 커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985B1 (ko) * 2019-12-05 2020-05-06 김미주 예초기 커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93U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6991B2 (en) Reciprocating working machine
JP5995558B2 (ja) 園芸用バリカン
US20150068185A1 (en) Replaceable mower blade and assembly
KR200484264Y1 (ko)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CA2901276C (en) Replaceable mower blade and assembly
JP6190776B2 (ja) 草刈ロータの車軸取付構造
US20220000020A1 (en) Means for Adjusting Cutting Height of a Powered Lawn Mower
JP2023014527A (ja) 刈込機
KR20140040925A (ko)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JP2009291087A (ja) 刈払機
KR101584705B1 (ko) 예초기
JP7296819B2 (ja) 園芸用トリマ
CN1823573A (zh) 具有卷轴保护器的修整设备
KR102329223B1 (ko) 예초기 칼날
KR200432380Y1 (ko) 예초기용 칼날
JP3140635U (ja) 草刈機用補助刃
KR200486711Y1 (ko)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JP2017046638A (ja) 往復動作業機
KR200254737Y1 (ko) 예초기용 절단부재 및 예초기 절단장치
JP2007151437A (ja) 刈込機
KR101584197B1 (ko) 원호형 예초기 날
JP2017212905A (ja) 刈払機
JP3175442U (ja) 草刈機用補助刃及び草刈機用回転刃
KR200186251Y1 (ko) 원터치 조립식 예초기 칼날
JP3787703B2 (ja) 回転刃、保護板及び刈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