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925A -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925A
KR20140040925A KR1020120107561A KR20120107561A KR20140040925A KR 20140040925 A KR20140040925 A KR 20140040925A KR 1020120107561 A KR1020120107561 A KR 1020120107561A KR 20120107561 A KR20120107561 A KR 20120107561A KR 20140040925 A KR20140040925 A KR 2014004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otating plate
connection
coupled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규
Original Assignee
조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규 filed Critical 조상규
Priority to KR102012010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925A/ko
Publication of KR2014004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와 회전판을 연결링크로 간접 연결하여 예초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블레이드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예초된 풀들이 중앙의 동력전달축에 감기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는, 동력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회전되는 동력전달축과, 동력전달축의 단부와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회전판과, 일단이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회전판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는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의 타단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CONNECTING STRUCTRE FOR BRUSH CUTTER KNIFE}
본 발명은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판과 블레이드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예초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교체작업이 간편해짐과 아울러, 예초된 풀들이 중앙의 동력전달축에 감기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刈草機)는 내연기관이나, 전기를 통해 공급되는 동력을 칼날에 전달하여 지면에 형성된 풀이나, 잡초 등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예초기에 따르면, 칼날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 발생을 위한 동력 장치를 사용자가 휴대를 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지면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장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일측에 설치되는 작업봉과, 상기 작업봉의 끝부에서 칼날을 장착토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작업봉의 내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동력 장치와, 하우징의 칼날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으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예초기를 몸에 휴대하여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손잡이를 통해 칼날이 설치된 하우징은 지면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풀, 잡초 등을 절삭시키도록 구성되어진다.
종래 예초기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0-0690575호에 개시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1)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10)에 고정되도록 중앙에 고정공(112)이 형성되고, 고정공(112)을 중심으로 통공형태의 칼날삽입공(113)이 복수로 형성되며, 칼날삽입공(113)의 외측으로 직경이 작은 결합공(114)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결합공(114)의 외측 상부에 고정자석(115)이 복수개 마련되며, 동력전달축(10)과 연동 회전하는 회전부(110)와; 상기 회전부(110)의 결합공(114)에 결합되도록 일측으로 절단되는 칼날면(122)을 구비한 칼날몸체(121)의 단부에 통공 형태의 결합공(123)이 형성되고, 결합공(123)의 상부에 상부결합편(126)이 배치되고 하부에 하부결합편(128)이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핀(125)이 삽입되어 칼날몸체(121)의 결합공(123)을 통해 회전부(110)의 결합공(114)에 결합되어 회전 원심력으로 전개되며, 칼날몸체(121)에 회전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시 칼날몸체(121)의 타측 끝단이 고정자석(115)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칼날부(120)와; 상기 회전부(110)의 고정공(112) 상부에 원판형상으로 중앙에 동력전달축(10)에 고정되도록 축공(132)을 구비한 칼날고정판(131)이 마련되어 회전부(110)의 결합공(114)에 결합된 칼날부(120)가 고정되는 고정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110)의 결합공(114)과 칼날부(120)의 결합공(123) 사이에는 결합핀(125)에 결합된 반구형태의 칼날안내구(127)가 배치된다.
칼날안내구(127)는 칼날몸체(121)가 회전하면서 전개된 상태에서 돌 등의 단단한 물체에 접촉되면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한 예초기(10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칼날이 접혀져 칼날의 파손을 방지하고, 회전시 칼날이 펼쳐져 예초(刈草)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적인 예초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예초하고자 하는 풀 또는 나무의 특성(유연성의 유무, 직경 두께)에 따라 예초에 적합한 칼날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종래 칼날부(120)는 예초에 적합한 칼날몸체(121)의 교체 및 조립이 간편한 특성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상,하부결합편(126,128)과 결합핀(125) 및 칼날안내구(127)로 구성된 결합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칼날의 교체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예초기에서는 결합공(114)에 칼날몸체(121)의 단부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전개된 칼날 몸체(121)의 길이가 한정되므로, 칼날몸체(121)의 예초범위가 좁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칼날부(120)의 회전시 예초된 풀들이 중앙으로 유도되면서 동력전달축(10)에 감기게 되어 동력전달축(10)의 회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칼날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하고, 블레이드를 절첩시켜 예초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초작업시 예초된 풀이 중앙의 동력전달축에 감기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링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가장자리에 상기 연결링크의 회동시 상기 각 블레이드의 일단부가 접촉되는 걸림턱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접힘동작시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되는 스톱퍼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는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링크는 회전판의 테두리에 대해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는 복수의 상,하 링크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 링크부재와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와 고정되도록 상기 상,하 링크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연결홈이 형성되는 연결볼트와, 일단이 상기 연결볼트의 연결홈에 힌지핀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동핀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외력에 의해 자유단부가 플레시블하게 휘어짐이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상측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편을 구비하되, 상기 걸림편은 상기 회전판의 하측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슬릿공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예초된 풀이 상기 동력전달축에 감기게 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것이다.
첫째, 회전판(100)의 가장자리에 상,하 링크부재(310,320)를 매개로 블레이드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판(100)의 회전시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하 링크부재(310,320) 및 블레이드(200)가 외측으로 회동되어 예초작업시 예초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드(200)가 땅이나 돌 등의 고정물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회전판(100)에 대한 블레이드(2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2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연결볼트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핀이 구비되므로, 회동핀의 기립 또는 회동 동작에 따라 블레이드(200)의 교체 또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가지게 되어 블레이드(200)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넷째, 회전판(100)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걸림편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예초작업시 예초된 풀들이 동력전달축(10)에 감기는 것을 차단하여 부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다섯째, 블레이드(200)가 휘어짐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인 경우, 예초작업시 돌이나 땅에 부딪힐 때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력을 갖게 되므로, 땅이 파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돌이 튀는 것을 예방하여 예초작업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예초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위를 측면에서 보인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블레이드의 절첩 동작을 구분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블레이드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블레이드와 회전판을 연결링크로 간접 연결하여 예초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블레이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력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회전되는 동력전달축(10)과, 동력전달축(10)의 단부와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회전판(100)과, 일단이 회전판(10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회전판(100)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는 연결링크(300)와, 연결링크(300)의 타단에 연결부재(340)를 매개로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200)로 구성된다.
동력전달축(10)은 일단이 회전판(10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110)에 삽입되고, 그 일단이 체결너트(11)에 의해 체결된다.
연결링크(300)는 회전판(100)의 테두리에 대해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10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는 복수의 상,하 링크부재(310,320)로 구성된다.
상,하 링크부재(310,320)는 일단에 회전판(100)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도록 제 1결합공(312,322)이 형성되고, 타단에 블레이드(200)의 일단과 결합을 위해 제 2결합공(314,324)이 형성된다.
상,하 링크부재(310,320)와 회전판(100)의 결합은 회전판(100)의 가장자리에 조립공(102)이 형성되고, 조립공(102)과 제 1결합공(312,32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330)와, 그 결합부재(33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3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하 링크부재(310,320)와 블레이드(200)의 결합은 블레이드(200)의 일단에 연결공(210)이 형성되고, 제 2결합공(314,324)과 연결공(21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40)와, 연결부재(34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3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100)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링크(3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회전판(100)의 외주면 가장자리에 상기 연결링크(300)의 회동시 상기 각 블레이드(200)의 일단부가 접촉되는 걸림턱(105)과, 상기 회전판(100)의 외주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300)의 접힘동작시 상기 블레이드(200)와 접촉되는 스톱퍼부재(410)로 구성된다.
스톱퍼부재(410)는 회전판(100)의 상,하측에 돌출되어 일단이 상,하 링크편의 사이에 개재되는 블레이드(200)의 상,하 유동시 블레이드(200)가 회전판(100)의 중앙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걸림턱(105)은 상,하 링크부재(310,320)의 회전시 블레이드(200)의 일단부가 접촉되면서 블레이드(200)가 과도한 각도로 젖혀지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스톱퍼부재(410)와 근접된 위치에 마련되어 평상시 블레이드(200)를 회전판(100)의 가장자리에 밀착시키기 위한 자석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일 실시예는, 동력전달축(10)의 일단부가 회전판(100)의 고정공(110)을 통과한 상태로 체결너트(11)에 체결되어 회전판(100)에 연동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조립되고, 회전판(100)의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 링크부재(310,320)를 매개로 블레이드(200)가 각각 조립된다.
상기한 블레이드(200)는, 예초작업을 하지 않는 평상시 상,하 링크부재(310,320)의 자유단부가 회전판(100)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회전판(100)의 회전시에는 상,하 링크부재(310,320)의 원심 회전력에 의해 외측으로 펼쳐져 예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블레이드(200)는 회전판(100)에 상,하 링크부재(310,320)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연결되므로, 상,하 링크부재(310,320)의 회전시 회전판(100)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예초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칼날 연결구조체가 적용된 예초기의 예초과정은 예초작업을 위해 동력전달축(10)에 동력이 공급되면, 동력전달축(10)의 회전력이 회전판(100)에 전달되어 회전판(100)이 일방향으로 연동 회전되고, 회전판(100)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하 링크부재(310,320)가 회전판(1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하 링크부재(310,320)에 일단부가 연결된 블레이드(200)가 같이 회동된다.
이어서, 블레이드(2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링크부재(310,320)의 일방향 회전시 자유단부가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일단부가 걸림턱(105)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각도가 제한된 상태에서 예초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블레이드(200)는 예초작업시 땅이나 돌 등의 고정된 물체와 부딪힐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판(100)의 가장자리와 밀착되도록 접혀짐에 따라,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340)의 다른 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하 링크부재(310,320)의 제 2결합공(314,324)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측이 개구된 연결홈(342)이 형성된 연결볼트(341)와, 일단이 연결볼트(341)의 연결홈(342)에 힌지핀(344)으로 일방향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핀(345)으로 구성된다.
회동핀(345)은 일단부가 힌지핀(344)에 결합되고 타단부인 자유단부가 회전판(100)의 중앙측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연결볼트(341)는 앞의 너트부재(350)와 체결되지 않고, 회동핀(345)에 의해 블레이드(200)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연결볼트(341)와 블레이드(200)의 결합은, 회동핀(345)이 연결볼트(341)의 길이방향으로 기립된 상태에서 블레이드(2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공(210)을 통과하도록 한 후에,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블레이드(200)가 회동핀(345)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동핀(345)은 연결볼트(341)의 길이방향으로 기립되거나,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90°의 회동각도를 가지며, 회동핀(345)의 역방향 회동을 방지하도록 연결홈(342)의 타측 부위에 회동핀(345)과 간섭되는 스톱퍼 돌기(34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200)는 금속플레이트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지만, 회동핀(345)이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가 되면 금속소재의 블레이드(200)가 이탈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플렉시블한 와이어 형태의 나일론 끈 소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나일론 끈 소재의 블레이드(200)는 주로 유연성이 있고 두께가 얇은 풀들의 예초작업에 적용되며, 마모가 쉽게 발생되어 자주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연결부재(340)는, 기존 교체가 빈번한 나일론 끈 소재의 블레이드(200)를 회동핀(345)의 기립 또는 회동 동작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거나, 너트부재(350)를 생략한 상태로 블레이드(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즉, 연결부재(340)는 회동핀(345)의 기립상태에서 연결볼트(341)에 블레이드(200)의 연결공(210)을 단순 끼움 결합으로 블레이드(200)의 교체가 가능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 연결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예초작업시 예초된 풀들이 동력전달축(10)의 외주면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풀 감김 차단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풀 감김 차단수단은 회전판(100)의 가장자리 상측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편(500)을 구비하여서, 블레이드(200)의 회전에 의해 예초된 풀이 상기 동력전달축(10)에 감기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걸림편(500)은 회전판(100)의 하측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수평부(510)와, 수평부(510)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판(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부(520)로 구성된다.
걸림편(500)과 회전판(100)의 결합구조는, 회전판(100)에 슬릿공(106)이 형성되고, 수직부(520)가 슬릿공(106)을 통해 회전판(1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수평부(510)가 회전판(100)의 하측면에 스폿 용접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다.
슬릿공(106)은 걸림편(500)의 수직부(520)가 통과되면서 외부로부터 수직부(520)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수직부(52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 블레이드의 다른 변형예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단에 연결공(210)이 형성되어 연결링크(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부가 되어 플렉시블하게 휘어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것이다.
이로써, 상기한 블레이드(200)는 예초작업시 돌이나 땅에 부딪힐 때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력을 갖게 되므로, 돌이 튀거나 땅이 파이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판(100)과 블레이드(200)의 연결구조를 링크 연결방식으로 개선하여 예초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연결부재(340)의 구조를 개선하여 블레이드(200)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판(100)의 상측에 마련된 걸림편(500)으로 예초된 풀들이 동력전달축(10)에 감기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동력전달축 100 : 회전판
102 : 조립공 105 : 걸림턱
106 : 슬릿공 200 : 블레이드
210 : 연결공 300 : 연결링크
310,320 : 상,하 링크부재 330 : 결합부재
340 : 연결부재 341 : 연결볼트
342 : 연결홈 344 : 힌지핀
345 : 회동핀 410 : 스톱퍼부재

Claims (5)

  1.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00)과,
    상기 회전판(10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300)와,
    상기 연결링크(300)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2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00)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링크(310,3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회전판(100)의 외주면 가장자리에 상기 연결링크(300)의 회동시 상기 각 블레이드(200)의 일단부가 접촉되는 걸림턱(105)과,
    상기 회전판(100)의 외주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300)의 접힘동작시 상기 블레이드(200)와 접촉되는 스톱퍼부재(4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0)는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링크(300)는 회전판(100)의 테두리에 대해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10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는 복수의 상,하 링크부재(310,320)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 링크부재(310,320)와 블레이드(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40)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재(340)는 상기 블레이드(200)와 고정되도록 상기 상,하 링크부재(310,32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연결홈(342)이 형성되는 연결볼트(341)와,
    일단이 상기 연결볼트(341)의 연결홈(342)에 힌지핀(344)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블레이드(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동핀(34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0)는 외력에 의해 자유단부가 플레시블하게 휘어짐이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00)의 가장자리 상측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편(500)을 구비하되,
    상기 걸림편(500)은 상기 회전판(100)의 하측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수평부(510)와, 상기 수평부(510)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100)에 형성된 슬릿공(106)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부(520)를 구비하여서,
    상기 블레이드(200)의 회전에 의해 예초된 풀이 상기 동력전달축(10)에 감기게 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KR1020120107561A 2012-09-27 2012-09-27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KR20140040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561A KR20140040925A (ko) 2012-09-27 2012-09-27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561A KR20140040925A (ko) 2012-09-27 2012-09-27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25A true KR20140040925A (ko) 2014-04-04

Family

ID=5065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561A KR20140040925A (ko) 2012-09-27 2012-09-27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9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553A1 (ko) * 2015-06-17 2016-12-22 황승희 보호구가 장착된 충격흡수식 예초기 안전날 유닛
KR20160149124A (ko) * 2015-06-17 2016-12-27 황승희 보호구가 장착된 충격흡수식 예초기 안전날 유닛
KR20170023032A (ko) * 2017-01-06 2017-03-02 황승희 보호구가 장착된 충격흡수식 예초기 안전날 유닛
KR20170002693U (ko) *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 기성정공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KR20180000890U (ko) 2016-09-22 2018-03-30 조성민 이중 절단 방식의 예취기 칼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553A1 (ko) * 2015-06-17 2016-12-22 황승희 보호구가 장착된 충격흡수식 예초기 안전날 유닛
KR20160149124A (ko) * 2015-06-17 2016-12-27 황승희 보호구가 장착된 충격흡수식 예초기 안전날 유닛
KR20170002693U (ko) *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 기성정공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KR20180000890U (ko) 2016-09-22 2018-03-30 조성민 이중 절단 방식의 예취기 칼날
KR20170023032A (ko) * 2017-01-06 2017-03-02 황승희 보호구가 장착된 충격흡수식 예초기 안전날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237B1 (ko) 예초기용 보호커버
KR20140040925A (ko)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KR101795453B1 (ko)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
US9010078B2 (en) Weed trimmer with a wingnut plate
KR101583805B1 (ko) 충격 방지 기능을 갖는 예초기용 커터 구조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JP5913329B2 (ja) 草刈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機
KR200440422Y1 (ko) 예초기용 칼날
KR200478578Y1 (ko) 굴삭기용 제초장치
KR101584705B1 (ko) 예초기
KR101187290B1 (ko) 베어진 풀을 쳐낼 수 있으면서 여러 가지 커터를 교체할 수 있는 예초기용 절단유닛
EP2281430B1 (en) Vegetation cutting tool with trimming and edging positions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JPWO2014141481A1 (ja) 草刈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機
JPH10210839A (ja) 草刈機および草刈機用回転刃
KR20130031185A (ko) 슬라이딩식 커버형 안전 베이스가 구비된 예초기
KR100690575B1 (ko) 예초기
KR101360533B1 (ko) 조립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예초기
JP3201912U (ja) 草刈機
JP4999190B2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KR20140041303A (ko)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KR20160035938A (ko) 예초기 사면칼날
KR200482786Y1 (ko) 예초기용 회전판 장치
KR200367628Y1 (ko) 예초기용 예초날
KR20100064730A (ko) 체인 칼날이 구비된 예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