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514A -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514A
KR20150051514A KR1020130133060A KR20130133060A KR20150051514A KR 20150051514 A KR20150051514 A KR 20150051514A KR 1020130133060 A KR1020130133060 A KR 1020130133060A KR 20130133060 A KR20130133060 A KR 20130133060A KR 20150051514 A KR20150051514 A KR 2015005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information
main device
auxiliary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526B1 (ko
Inventor
강만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526B1/ko
Priority to PCT/KR2014/008721 priority patent/WO2015064912A1/ko
Priority to US15/034,414 priority patent/US20160277204A1/en
Priority to CN201480060291.1A priority patent/CN105723652B/zh
Priority to CN202010063440.7A priority patent/CN111262761B/zh
Publication of KR2015005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의 주 기기 및 보조 기기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main device)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sub device)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어를 기반으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등록된 주 기기와 주 기기에 연관된 보조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AND ITS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MART HOME SYSTEM}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가 개발됨에 따라, 각 객체에 고유 IP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각 객체에 고유 IP가 부여되어, 각 객체는 인터넷 망에 접속 할 수 있게 되었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객체 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 가능해짐에 따라, 자동화 기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스마트 홈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홈 시스템은 다수의 기기들을 하나의 전자 장치에 등록하여, 등록된 다수의 기기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직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시스템의 사용자는 TV를 직접 제어하지 않고, TV가 등록된 전자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TV를 제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 가능한 다수의 기기를 포함하는 기기 목록에서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해야하고, 해당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기와 연결된 플러그 모듈을 인지하고 선택하여 명령을 입력해야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은 전자 장치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조작의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간단한 과정을 통해 전자 장치에 등록된 다수의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의 타겟이되는 기기를 판단하고,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타겟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 기기에서 주 기기의 정보와 주 기기에 연관된 보조 기기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게이트 웨이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main device)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sub device)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어를 기반으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게이트 웨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main device)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sub device)를 감지한 후,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기기 목록 관리부와,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명령어를 기반으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 목록에서 하나의 주 기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 기기의 정보와 상기 주 기기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기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 기기의 정보와 상기 주 기기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한 후,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판단하고,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 명령에 포함된 기기의 ID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제어 명령이 어떤 주 기기와 관련된 것인지 판단하고, 제어 명령에 포함된 동작 명령을 기반으로 제어 명령이 주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혹은 보조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확인하여,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에 등록된 주 기기와 주 기기에 연관된 보조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모듈을 통해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관리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관리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연관시켜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연관시켜 제어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로 구별한 후,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그룹화한 후,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그룹별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홈 시스템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게이트웨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110)는 스마트 홈 게이트웨이(1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홈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기기(110)는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의미한다. 또한, 스마트 홈 게이트웨이(100)는 사용자 기기(11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써,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먼저, 전자 장치는 zigbee 및 wifi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홈 기기(예: 스마트 플러그, 조도 센서, LED 조명, TV 냉장고 등)를 감지하고, 감지된 홈 기기를 주 기기(130) 혹은 보조 기기(120)로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는 주 기기(130)와 보조 기기(120)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서로 연관된 주 기기(130)의 정보와 보조 기기(120)의 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주 기기(130)인 TV와 보조 기기(120)인 스마트 플러그가 서로 연관됨을 확인하고, TV의 정보와 스마트 플러그의 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사용자 기기(11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명령이 주 기기(130)에 대한 명령인지 혹은 주 기기(130)와 연관된 보조 기기(120)에 대한 명령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주 기기(130) 혹은 보조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제어 명령은 주 기기(130)의 ID(Identification)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주 기기(130)의 정보는 주 기기(130)와 연관된 보조 기기(120)의 ID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어 명령에 포함된 주 기기(130)의 ID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제어 명령이 어떤 주 기기(130)와 관련된 것인지 판단하고, 제어 명령에 포함된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명령이 주 기기(130)에 대한 명령인지 혹은 보조 기기(120)에 대한 명령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모듈을 통해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기기 목록 관리부(201), 기기 동작 제어부(203) 및 통신부(205)를 포함한다.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통신 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기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모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 혹은 외부 스마트 홈 서버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기 혹은 외부 스마트 홈 서버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정보로부터 감지된 기기의 클래스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클래스 정보를 바탕으로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예: 기기 타입 혹은 ID)가 수신된 경우,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주 기기의 ID 및 타입 정보로 "0x11: 전자 레인지, 0x12: 쿡탑, 0x13: 냉장고, 0x14: 커피 포트, 0x15: 전기 밥솥, 0x16: 식기 세척기, 0x17: 세탁기, 0x18: 건조기"를 저장하고, 보조 기기의 ID 및 타입 정보로 "0x90: 스마트 플러그, 0x91: 조도 센서"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데이터베이스는 "0x00: unknown device, 0xFE: 기기 판별 오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0x00 혹은 0xFF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에게 주 기기인지 보조 기기인지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더하여,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전자 장치(200)에서 제어 가능한 기기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전자 장치(200)를 통해 제어 가능한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전자 장치(200)를 통해 제어 가능한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 기기에 대한 정보는 보조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 기기에 대한 정보는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주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과 보조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은 모두 주 기기에서 수행 가능한 제어 명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주 기기와 보조 기기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서로 연관된 주 기기와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만약,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기기가 주 기기인 경우,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연관된 보조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보조 기기와 감지된 주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기기의 정보에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의 정보(기기 ID, 기기 타입, 기기 이름, 동작 목록 등)를 모두 포함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기기의 정보 및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주 기기의 정보에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의 ID 정보만을 포함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정보에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클래스 정보를 포함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반면,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기기가 보조 기기인 경우, 감지된 보조 기기와 연관된 주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연관된 주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주 기기와 감지된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새로운 기기 감지 시, 감지된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통해 주 기기와 보조 기기의 연관성을 확인하거나 혹은 수신된 기기 정보와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의 비교를 통해 주 기기와 보조 기기의 연관성을 확인하거나 혹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주 기기와 보조 기기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기기의 지원 가능한 통신 방식(예: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혹은 감지된 기기에 연관된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감지된 기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기기와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감지된 기기와 유/무선을 통해 연결된 기기 중 전자 장치(200)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기기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다수 개의 지그비 기기가 감지되었으나, 전자 장치(200)가 지그비 통신 방식을 지원하지 않고, 와이파이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경우, 기기 목록 관리부(201)는 감지된 지그비 기기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기기 중에서 와이파이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특정 기기를 통해 감지된 지그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그비 기기의 정보와 특정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전자 장치(100)에 등록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서 타겟 기기(target device)의 ID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타겟 기기의 ID 정보에 대응하는 주 기기 혹은 해당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를 동작 정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제어 명령에서 확인된 동작 정보가 주 기기의 동작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주 기기로 해당 동작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제어 명령으로부터 타겟 기기의 ID 정보(401)가 '123-456'임을 확인하고, 동작 정보(403)가 'Channel Control'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123-456'에 해당하는 주 기기가 거실 TV임을 확인하고, 거실 TV의 동작 목록에 'Channel Control'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거실 TV의 동작 목록에 'Channel Control'(301)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고, 동작 파라미터(405)를 포함한 동작 명령을 거실 TV로 전송하여, 거실 TV의 채널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수신된 제어 명령에서 확인된 동작 정보가 주 기기의 동작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확인된 동작 정보가 해당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의 동작 목록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 정보가 보조 기기의 동작 목록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보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보조 기기로 해당 동작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제어 명령으로부터 타겟 기기의 ID 정보(411)가 '123-456'임을 확인하고, 동작 정보(413)가 'Power Control'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123-456'에 해당하는 주 기기가 거실 TV임을 확인하고, 거실 TV의 동작 목록에 'Power Control'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거실 TV의 동작 목록에 'Power Control'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거실 TV와 연관된 보조 기기인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스마트 플러그의 동작 목록에 'Power Control'(303)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고, 동작 파라미터(415)를 포함한 제어 명령을 거실 TV와 연관된 스마트 플러그로 전송하여, 보조 기기의 전원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에 대응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주 기기와 보조 기기의 정보가 도 3a와 같이 저장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3b와 같이 주 기기의 정보가 보조 기기의 ID 정보만을 포함한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제어 명령이 주 기기 및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에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해당 제어 명령의 처리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주 기기 및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에 동시에 존재하는 제어 명령에 대해 주 기기의 제어를 우선 처리하고 보조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주 기기 및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에 동시에 존재하는 제어 명령에 대해 보조 기기의 제어를 우선 처리하고 주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기기 동작 제어부(203)는 주 기기 및 주 기기에 연관된 보조 기기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통신부(205)는 유/무선 네트워크(예: zigbee, wifi, 블루투스 등)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및 홈 기기와 연결하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05)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기기 동작 제어부(203)로 제공하고, 기기 동작 제어부(203)의 제어에 따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연관시켜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501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감지된 기기의 정보 내에 포함된 클래스 정보를 확인하거나, 감지된 기기의 정보와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거나 혹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주 기기인 TV와 보조 기기인 스마트 플러그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플러그는 전원 공급용 플러그와 가전 기기(예: TV, 냉장고)를 연결하여, 가전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가전 기기의 전력 소비 정보를 측정하여, 해당 정보를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며,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on/off)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플러그 장치를 의미한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507단계에서 주 기기와 연관된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등과 같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제어 명령은 타겟 기기의 ID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509단계에서 명령어를 기반으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200)는 수신된 명령어 내에 포함된 타겟 기기의6 ID 정보에 대응하는 주 기기를 확인하고, 수신된 명령어 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주 기기의 동작 목록에 존재하는지 혹은 보조 기기의 동작 목록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를 연관시켜 제어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를 감지하는 수단(511) 및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를 감지하는 수단(5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200)는 주 기기 및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수단(5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 기기란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이 가전 기기 중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기기를 의미하며, 보조 기기란 스마트 플러그, 온도 센서, 조도 센서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는 가전 기기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다른 주 기기와 연동되어 주 기기의 기능을 보완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더하여, 전자 장치(200)는 주 기기와 연관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수단(5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명령어는 타겟 기기의 ID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200)는 명령어를 기반으로 주 기기 및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수단(5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수신된 명령어에 포함된 타겟 기기 ID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확인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확인된 동작 정보가 주 기기의 동작 목록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단 및 확인된 동작 정보가 보조 기기의 동작 목록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기를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로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601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기기의 클래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200)는 새로운 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의 정보 혹은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감지된 기기의 클래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605단계에서, 검색된 기기의 클래스 정보가 주 기기임을 나타내는지 혹은 보조 기기임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감지된 기기의 클래스 정보가 주 기기임을 나타내는지 혹은 보조 기기임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기 정보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감지된 기기의 클래스 정보가 주 기기임을 나타내는지 혹은 보조 기기임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검색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클래스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클래스 정보가 주 기기임을 나타내는지 혹은 보조 기기임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검색된 기기의 클래스 정보가 주 기기임을 나타내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기기를 주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검색된 기기의 클래스 정보가 보조 기기임을 나타내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기에 대한 주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200)는 검색된 기기가 보조 기기인 경우, 보조 기기에 대한 주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보조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 혹은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보조 기기에 대한 주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해당 보조 기기에 대한 주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보조 기기를 주 기기에 대한 보조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해당 보조 기기에 대한 주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보조 기기를 독립적인 보조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701단계에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타겟 기기 ID에 대응하는 주 기기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200)는 수신된 제어 명령으로부터 타겟 기기의 ID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확인하고, 타겟 기기의 ID 정보에 대응하는 주 기기의 동작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705단계에서 주 기기의 동작 목록에 제어 명령의 동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주 기기의 동작 목록에 제어 명령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707단계에서 주 기기로 동작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동작 명령을 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작 파라미터는 채널 변경 정보, 볼륨 변경 정보 및 메뉴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주 기기의 동작 목록에 제어 명령의 동작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200)는 타겟 기기의 ID 정보에 대응하는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의 동작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711단계에서 보조 기기의 동작 목록에 제어 명령의 동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보조 기기의 동작 목록에 제어 명령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713단계에서 보조 기기로 동작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동작 명령을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작 파라미터는 전원 온/오프 정보 및 네트워크 변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보조 기기의 동작 목록에 제어 명령의 동작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홈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200)에서 주 기기와 보조 기기를 연관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서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통해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홈 기기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화면에 주 기기와 주 기기에 연관된 보조 기기의 정보 및 제어 기능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주 기기와 보조 기기의 연관성을 알림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기기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어 기기 목록에 주 기기들을 표시하고, 주 기기인 TV가 선택될 시, TV의 상태(예: 전원 온/오프 상태, 현재 채널, 볼륨 크기 등) 및 제어 기능(예: 채널 조절, 볼륨 조절, 재생, 일시 정지, 정지, 빨리감기, 되감기 등)과 함께 TV에 연관된 보조 기기인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예: 전력 소비 정보) 및 제어 기능(예: 전원 온/오프 제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TV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기기 목록에서 TV 전원 제어 기능을 하는 스마트 플러그를 별도로 찾는 번거로운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TV 기기를 선택하여 전원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가 TV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로 전력 소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플러그의 전원 온 제어 기능을 요청하였으나, TV의 고장 혹은 오작동으로 인해 TV의 전원이 온 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소비 정보는 0Wh로 표시될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소비 정보가 0Wh인 것을 바탕으로, TV 전원이 실질적으로 오프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내지 9에서 하나의 주 기기 정보와, 주 기기에 연관된 하나의 보조 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였으나, 주 기기에 다수 개의 보조 기기가 연관된 경우, 다수개의 보조 기기의 정보를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실시 예 및 모든 기능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 및 이들의 균등 구조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또는 하드웨어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 명의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실행되거나 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프로그램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머신 판독가능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머신 판독가능 전파 스트림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구성,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라는 용어는 예로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모든 노드, 장치 및 머신을 포함한다. 노드는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한다.

Claims (20)

  1.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게이트 웨이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main device)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sub device)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어를 기반으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main device)를 감지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하는 과정과,
    클래스 정보 및 기기 타입 중 적어도 하나가 주 기기임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sub device)를 감지하는 과정은,
    클래스 정보 및 기기 타입 중 적어도 하나가 보조 기기임을 나타내고, 연관 기기 정보가 상기 감지된 주 기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상기 주 기기의 정보의 하위 정보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상기 주 기기의 정보와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상기 보조 기기의 ID 정보를 상기 주 기기의 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주 기기의 이름, 주 기기의 ID, 주 기기의 타입, 동작 정보 및 동작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를 기반으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주 기기의 이름, 주 기기의 ID, 및 주 기기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주 기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주 기기로 상기 동작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를 기반으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주 기기의 이름, 주 기기의 ID, 및 주 기기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주 기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보조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조 기기로 상기 동작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는 유선 통신 모듈 혹은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감지되는 방법.
  10.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 목록에서 하나의 주 기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 기기의 정보와 상기 주 기기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게이트 웨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main device)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주 기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sub device)를 감지한 후,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기기 목록 관리부와,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명령어를 기반으로 상기 주 기기 및 상기 보조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목록 관리부는 클래스 정보 및 기기 타입 중 적어도 하나가 주 기기임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하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목록 관리부는 클래스 정보 및 기기 타입 중 적어도 하나가 보조 기기임을 나타내고, 연관 기기 정보가 상기 감지된 주 기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감지하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상기 주 기기의 정보의 하위 정보로 저장하는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상기 보조 기기의 정보를 상기 주 기기의 정보와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상기 보조 기기의 ID 정보를 상기 주 기기의 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주 기기의 이름, 주 기기의 ID, 주 기기의 타입, 동작 정보 및 동작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주 기기의 이름, 주 기기의 ID, 및 주 기기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주 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주 기기로 상기 동작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주 기기의 이름, 주 기기의 ID, 및 주 기기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주 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주 기기와 연관된 보조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동작 정보가 상기 보조 기기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조 기기로 상기 동작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기 혹은 보조 기기는 유선 통신 모듈 혹은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감지되는 장치.
  20.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주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기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 기기의 정보와 상기 주 기기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기기.
KR1020130133060A 2013-11-04 2013-11-04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8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060A KR102088526B1 (ko) 2013-11-04 2013-11-04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CT/KR2014/008721 WO2015064912A1 (ko) 2013-11-04 2014-09-19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5/034,414 US20160277204A1 (en) 2013-11-04 2014-09-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home system
CN201480060291.1A CN105723652B (zh) 2013-11-04 2014-09-19 用于控制智能家庭系统的方法和电子设备
CN202010063440.7A CN111262761B (zh) 2013-11-04 2014-09-19 一种电子设备和用于操作电子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060A KR102088526B1 (ko) 2013-11-04 2013-11-04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531A Division KR102138908B1 (ko) 2020-03-06 2020-03-06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514A true KR20150051514A (ko) 2015-05-13
KR102088526B1 KR102088526B1 (ko) 2020-04-14

Family

ID=5300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060A KR102088526B1 (ko) 2013-11-04 2013-11-04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77204A1 (ko)
KR (1) KR102088526B1 (ko)
CN (2) CN111262761B (ko)
WO (1) WO2015064912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0657A (zh) * 2016-04-11 2017-11-21 连股份有限公司 设备间应用程序联动方法及系统
WO2019078527A1 (ko) * 2017-10-18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59369A (ko) 2017-11-23 2019-05-31 김상희 사물인터넷 기반 홈 블랙박스 시스템
WO2019151661A1 (ko) * 2018-02-02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20190100494A (ko) 2018-02-05 2019-08-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형 모듈을 이용한 IoT 환경 구축 방법
US10941955B2 (en) 2017-10-27 2021-03-09 Dometic Sweden Ab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climate control devices in a recreational vehicle
WO2021090993A1 (ko) * 2019-11-06 2021-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모듈 개발장치 및 방법
KR20210054885A (ko) * 2019-11-06 2021-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10054884A (ko) * 2019-11-06 2021-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비스모듈을 이용한 개방형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11254183B2 (en) 2017-08-25 2022-02-22 Dometic Sweden Ab Recreational vehicle, cooling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l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106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81737A1 (en) * 2014-06-30 2015-12-31 Davra Networks Limited Gateway device and a gateway system for an internet-of-things environment
CN104503688B (zh) * 2014-12-31 2018-03-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硬件设备的控制实现方法及装置
US10305728B2 (en) * 2015-02-06 2019-05-28 Assa Abloy Ab Discovering, identifying, and configuring devices with opaque addresses 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KR102374677B1 (ko) * 2015-11-27 2022-03-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장치의 관리 방법과 장치
CN107070756B (zh) * 2017-02-27 2018-07-13 宁夏宁信信息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中去中心化验证的家庭网关访问方法及系统
JP6973504B2 (ja) * 2017-12-06 2021-12-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デバイスid設定装置及び設定方法
US11057238B2 (en) * 2018-01-08 2021-07-06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Automatic scene creation using home device control
US10985972B2 (en) 2018-07-20 2021-04-20 Brilliant Home Technoloy, Inc. Distributed system of home device controllers
CN109445848B (zh) * 2018-11-07 2021-04-20 深圳市云威物联科技有限公司 设备联动方法及装置
CN110708351A (zh) * 2019-08-30 2020-01-17 深圳鸿智云创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
US11469916B2 (en) 2020-01-05 2022-10-11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Bridging mesh device controller for implementing a scene
US11528028B2 (en) 2020-01-05 2022-12-13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Touch-based control device to detect touch input without blind spots
US11755136B2 (en) 2020-01-05 2023-09-12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Touch-based control device for scene invocation
CN111488088B (zh) * 2020-04-07 2022-05-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状态标识方法、装置及智能终端
KR20230002021A (ko) * 2020-04-21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홈 장치 및 방법
CN115883581A (zh) * 2021-08-11 2023-03-31 深圳市智岩科技有限公司 通信方法、系统、智能终端、通信子设备、设备及介质
CN113900386B (zh) * 2021-11-17 2022-02-25 北京联盛德微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物联网设备自适应联动控制方法及系统
CN117170293B (zh) * 2023-10-27 2024-01-09 湖南华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多模式协同工作的电源集中控制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877A (ko) * 2011-04-08 2012-10-17 (주)서원인텍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폰과 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터폰시스템.
WO2013042100A1 (en) * 2011-09-24 2013-03-28 Kool Koncepts Limited Energy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4765A (ja) * 2000-07-28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とゲートウェイ装置
KR100414061B1 (ko) * 2001-11-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게이트웨이 장치의 매체 접속 제어 방법
US11582065B2 (en) * 2007-06-12 2023-02-1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US8214447B2 (en) * 2004-06-08 2012-07-03 Bose Corporation Managing an audio network
KR20080085513A (ko) * 2007-03-20 2008-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8350971B2 (en) * 2007-10-23 2013-01-08 Sling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devices
KR101601109B1 (ko) * 2008-07-16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원격제어기 및 그의 원격제어방법
CN201749342U (zh) * 2009-10-26 2011-02-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装置及控制系统
US8395477B2 (en) * 2009-10-29 2013-03-12 Time Warner Cable Inc. Geographic based remote control
US20120221713A1 (en) * 2009-11-17 2012-08-30 Woosoon Shin Multifunctional home network system using ubiquitous computing
KR101186742B1 (ko) * 2011-12-05 2012-09-28 유동현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
JP2016502308A (ja) * 2012-10-24 2016-01-21 オーガニック レスポンス インベスター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Organic Response Investors Pty Ltd 装置制御ノード、インターフェースノードおよびハイブリッド制御ノード
JP2014160355A (ja) * 2013-02-19 2014-09-04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326907B (zh) * 2013-06-14 2017-02-15 山东智慧生活数据系统有限公司 智能家庭网络系统及其家电设备注册方法
CN103369790A (zh) * 2013-06-20 2013-10-23 浙江生辉照明有限公司 一种led照明装置及照明控制系统
US9078072B2 (en) * 2013-10-07 2015-07-07 Bose Corporation Audio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877A (ko) * 2011-04-08 2012-10-17 (주)서원인텍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폰과 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터폰시스템.
WO2013042100A1 (en) * 2011-09-24 2013-03-28 Kool Koncepts Limited Energy management syste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0657B (zh) * 2016-04-11 2021-04-23 连股份有限公司 设备间应用程序联动方法及系统
CN107370657A (zh) * 2016-04-11 2017-11-21 连股份有限公司 设备间应用程序联动方法及系统
US11919363B2 (en) 2017-08-25 2024-03-05 Dometic Sweden Ab Recreational vehicle, cooling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ling device
US11254183B2 (en) 2017-08-25 2022-02-22 Dometic Sweden Ab Recreational vehicle, cooling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ling device
WO2019078527A1 (ko) * 2017-10-18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US10941955B2 (en) 2017-10-27 2021-03-09 Dometic Sweden Ab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climate control devices in a recreational vehicle
KR20190059369A (ko) 2017-11-23 2019-05-31 김상희 사물인터넷 기반 홈 블랙박스 시스템
WO2019151661A1 (ko) * 2018-02-02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20190093997A (ko) * 2018-02-02 2019-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20190100494A (ko) 2018-02-05 2019-08-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형 모듈을 이용한 IoT 환경 구축 방법
WO2021090993A1 (ko) * 2019-11-06 2021-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모듈 개발장치 및 방법
KR20210054885A (ko) * 2019-11-06 2021-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10054884A (ko) * 2019-11-06 2021-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비스모듈을 이용한 개방형 플랫폼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23652A (zh) 2016-06-29
CN105723652B (zh) 2020-02-21
WO2015064912A1 (ko) 2015-05-07
CN111262761B (zh) 2022-05-10
US20160277204A1 (en) 2016-09-22
CN111262761A (zh) 2020-06-09
KR102088526B1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526B1 (ko)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46171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necting devices
US10237085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to device regarding product
US10924296B2 (en) Terminal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nstallation-location-ascertainment support system, installation-location-setting support system, installation-location-ascertainment support method, installation-location-setting support method, and program
US11233671B2 (en) Smart internet of things menus with cameras
EP3629523A1 (en)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144504A (ko) 가전 기기와 모바일 기기, 가전 기기의 제어 시스템
US10648685B2 (en) Network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of the same
CN109672720B (zh) 用于控制IoT装置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300675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EP2822264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70126698A (ko)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30379404A1 (en) Terminal device, apparatus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KR20170057487A (ko) 모바일 리모컨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상태 인식 장치
KR102138908B1 (ko)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166132B2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building
JP6161647B2 (ja) 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20160041540A1 (en) Home controller and information updating method thereof
JP6501377B2 (ja) 機能的照明及び/又は雰囲気照明を供給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照明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システム
US11985574B2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building
KR20150066917A (ko) 장치간 동기화 기반 원격 협업 장치
US9848063B2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smart object and application provider
WO2023069621A1 (en) Operating-system-level setup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US20170161055A1 (en) Control modul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