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013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013A
KR20150049013A KR1020130128935A KR20130128935A KR20150049013A KR 20150049013 A KR20150049013 A KR 20150049013A KR 1020130128935 A KR1020130128935 A KR 1020130128935A KR 20130128935 A KR20130128935 A KR 20130128935A KR 20150049013 A KR20150049013 A KR 2015004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act
tray
assembl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489B1 (ko
Inventor
장준호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489B1/ko
Priority to CN201410545043.8A priority patent/CN104566739B/zh
Priority to EP14188961.8A priority patent/EP2868988B1/en
Priority to US14/526,907 priority patent/US9464817B2/en
Publication of KR2015004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가습기는, 물이 저장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저장된 물과 접촉할 수 있는 감지판; 및 상기 감지판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과 연결되며 상기 감지판의 정전 용량을 기초로 상기 트레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공기 중의 습도를 높이기 위하여 공기에 수분을 포함시켜 토출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유동하는 공기가 수분과 접촉하도록 하여 공기에 수분이 포함되도록 하는 자연기화식 가습기로 구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3263에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위감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는, 수조벽면에 구비되는 수위감지봉을 포함한다. 상기 수위감지봉은 정전 용량에 의거하여 수위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에 의하면, 일정 높이에 수위감지봉이 위치되므로, 일정 레벨의 수위 외의 수위를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수위감지봉의 정전 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수위감지봉의 연결을 위하여 수조 벽면에 실질적으로 홀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실링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고 실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물이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위를 감지하는 구성에 의한 물의 누설이 방지되고, 수위감지 신뢰성 저하가 방지되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가습기는, 물이 저장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저장된 물과 접촉할 수 있는 감지판; 및 상기 감지판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과 연결되며 상기 감지판의 정전 용량을 기초로 상기 트레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판은 상기 트레이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트레이의 내벽에 안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상기 접촉판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에는 상기 접촉 돌기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가 상기 트레이에 안착되면,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접촉판과 접촉된다.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접촉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을 관통한 상기 접촉 돌기에 의해서 상기 접촉판은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촉 돌기의 접촉이 유지된다.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접촉 돌기가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접촉판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트레이에 상기 감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접촉판을 가압 변형시킨 상태에서 접촉되어 있으므로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감지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감지판의 제1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물의 수위가 연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팬 모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위 감지를 위한 감지판이 트레이에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트레이의 감지판이 케이스 어셈블리의 접촉판과 접촉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제어 블럭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1)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베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물이 저장되는 트레이(14)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케이스 어셈블리(16)와,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 모터 어셈블리(20)와, 상기 가습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22)과,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데코 부재(24)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가습기(1)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패널(28)과, 상기 트레이(14)에 안착되는 트레이 어셈블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5)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볼 때, 폐루프 형태를 가진다. 일 예로 상기 토출구(105)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은 상측 개구와 하측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제2흡입구(103)를 가지는 흡입그릴(102)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그릴(102)은 상기 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개구는 가습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 상측부에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6)가 안착되는 안착단(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습기(1)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16)는, 팬 하우징 역할을 하는 상부 케이스(161)와, 상기 상부 케이스(161)의 하측에 구비되며 가습 공기를 상기 상부 케이스(161)로 안내하는 미들 케이스(165)와, 상기 미들 케이스(165)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2)에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61)와 상기 미들 케이스(16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170)는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161)가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미들 케이스(165)가 상기 하부 케이스(1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미들 및 하부 케이스(161, 165, 17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이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상호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 케이스(161)의 상단부에는 체결부(162)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162)에는 체결홀(16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62)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62)는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안착단(101)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는 상기 컨트롤 유닛(2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는 디스크 모터 어셈블리(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모터 어셈블리(190)는,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디스크 모터(192)와, 상기 디스크 모터(192)가 설치되는 모터 브라켓(193)과, 상기 디스크 모터(192)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크 모터(192)의 동력을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로 전달하는 전달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브라켓(193)에는 완충 부재(194)가 결합된다.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는 상기 완충 부재(194)에 삽입되는 돌출부(16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브라켓(193)에 결합된 완충 부재(194)가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디스크 모터(192)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완충 부재(194)에 의해서 흡수되어 상기 미들 케이스(165)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195)는 일 예로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는 상기 전달부(195)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1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모터 어셈블리(190)가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 설치되면, 상기 전달부(195)는 상기 개구(166)를 통과하여 상기 미들 케이스(165) 내에 위치된다.
상기 미들 케이스(165)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170)의 삽입부(17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1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는 상기 제2흡입구(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공기 가이드(176)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미들 케이스(165)의 측면에는 상기 공기 가이드(176)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흡입구(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176)에 의해서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미들 케이스(16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는 필터 어셈블리(1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는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 내에서 일 예로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는, 필터(184)가 안착되는 필터 프레임(181)과, 상기 필터 프레임(181)에 결합되는 필터 케이스(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프레임(181)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185)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후크(1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185)에는 상기 미들 케이스(165)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보스(18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팬 모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팬 모터 어셈블리는, 팬 모터(210)와, 상기 팬 모터(210)가 안착되는 모터 서포터(201)와, 상기 팬 모터(210)의 축(212)에 결합되는 팬(219)과, 상기 모터 서포터(201)에 결합되며 상기 팬 모터(210)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팬 모터(210)를 가압하는 모터 가압부(214)와, 상기 모터 가압부(214)에 안착되며, 상기 모터 서포터(201)에 체결되는 가이더(217)와, 상기 가이더(217)의 상측에 안착되는 커버(2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서포터(201)에는 상기 팬 모터(210)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2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서포터(201)에는 가습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홀(2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210)의 축(212)은 상기 모터 수용부(20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수용부(202)를 관통하여 상기 모터 서포터(201)의 하측에서 상기 팬(219)이 상기 팬 모터(210)의 축(21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모터 서포터(210)에는 상기 모터 가압부(214)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204)과, 상기 상부 케이스(161)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206)과, 상기 가이더(217)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2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가압부(214)에는 상기 팬 모터(21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21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더(217)에는 상기 모터 가압부(214)의 제1수용부(216)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217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더(217)에는 상기 모터 서포터(21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217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12)는, 하부 베이스(122)와, 상기 하부 베이스(122)에 안착되는 상부 베이스(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제1흡입구(124, 128)를 포함한다. 상기 제1흡입구(124, 128)는 상기 하부 베이스(122)에 형성되는 제1홀(124)과 상기 상부 베이스(126)에 형성되는 제2홀(12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베이스(126)에는 상기 트레이(14)의 일부가 수용되는 트레이 수용부(127)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12)가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30)는, 적층되는 다수의 디스크(310)와,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를 동시에 관통하는 샤프트(320)와,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의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320)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1디스크 커버(322)와,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의 타측에서 상기 샤프트(320)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2디스크 커버(324)와, 상기 제1디스크 커버(322) 및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와 결합되는 핸들(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 각각은 일 예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320)가 관통하는 샤프트 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20)의 단면은 일 예로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 홀(312)은 상기 샤프트(3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는 상기 샤프트(3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3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는, 상기 샤프트(320)의 타단이 결합되기 위한 샤프트 결합부(326)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 결합부(326)에는 상기 샤프트(3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3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20)의 단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27)의 내주면에 상기 샤프트(320)의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와 상기 샤프트(320)가 나사 방식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의 회전 시 상기 샤프트(32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에는 상기 핸들(330)과 결합하기 위한 핸들 결합부(328)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 결합부(328)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의 둘레는 상기 디스크 모터 어셈블리(190)의 전달부(195)와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기어 이(32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디스크 커버(322)는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에 구비되는 샤프트 결합부(326)와 핸들 결합부(329)와 동일한 구조의 샤프트 결합부와 핸들 결합부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디스크 커버(322)의 구조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핸들(33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핸들 바디(332)와, 상기 핸들 바디(332)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커버 결합부(334, 3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332)는 일 예로 제1바디(332A)와 상기 제1바디(332A)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바디(332B, 332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바디(332B, 332C) 각각에 상기 커버 결합부(334, 33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 바디(332)는 일 예로 "ㄷ"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커버 결합부(334, 337)에는 상기 각 디스크 커버(322, 324)의 핸들 결합부(328)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3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결합부(328)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므로, 상기 복수의 후크가 상기 결합홀(33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후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결합홀(335)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핸들 결합부(328)가 상기 커버 결합부(334, 337)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330)은 상기 각 디스크 커버(322, 324)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커버(322, 324)와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 중에서 상기 각 커버 결합부(334, 337)가 상기 트레이(14)에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핸들(33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14)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커버 결합부(334, 337)에는 가이드 돌기(3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336)는 상기 각 커버 결합부(334, 337)에서 상기 제2바디(332B, 332C)의 연장 방향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336)와 상기 제2바디(332B, 332C)가 이루는 각도는 180도 보다 크거나 작다.
상기 트레이(14)에는 상기 각 커버 결합부(334, 337)가 안착되기 위한 제1안착홈(142)과, 상기 핸들(33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만 상기 가이드 돌기(336)가 완전하게 안착되는 제2안착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가 상기 트레이(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모터(192)가 작동하면, 상기 디스크 모터(192)의 동력이 상기 전달부(195)를 통하여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디스크 커버(324)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320),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 및 제1디스크 커버(322)가 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핸들(330)은 상기 안착홈(142, 143)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320)가 상기 트레이(14)에 직접 안착되지 않고, 상기 핸들(330)이 상기 트레이(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330)과 상대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2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14)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핸들 결합부(328)가 상기 핸들(330)의 결합홀(336) 범위 내에서 회전되므로, 회전 소음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위 감지를 위한 감지판이 트레이에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트레이의 감지판이 케이스 어셈블리의 접촉판과 접촉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1)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51)와, 상기 수위 감지부(51)에서 감지된 수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팬 모터(210) 및 디스크 모터(192)를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작동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82)와,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4)에는 물과 접촉하기 위한 감지판(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판(40)은 상기 트레이(14)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플레이트(402)와, 상기 제1플레이트(10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404)에는 접촉 돌기(40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02)와 상기 접촉 돌기(406)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4)에는 상기 감지판(4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46)은 상기 감지판(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402)는 상기 트레이(14)의 내벽에 안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402)는 상기 트레이(14)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 때, 상기 감지판(40)이 상기 안착홈(4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판(40)이 상기 트레이(14)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트레이(14)에 상기 접촉 돌기(406)에 삽입되는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되거나, 상기 안착홈(146)에 상기 감지판(40)이 안착된 상태에서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탈거 방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판(40)이 트레이(14)에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의 미들 케이스(165)에는 상기 접촉 돌기(406)가 통과하는 홀(16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케이스(165)는 상기 홀(169)을 통과한 상기 접촉 돌기(406)와 접촉될 수 있는 접촉판(199)과, 상기 접촉판(199)을 지지하는 지지부(19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판(199)은 상기 지지부(198)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가 상기 베이스(12)에 안착되면, 상기 접촉 돌기(406)가 상기 홀(169)을 통과하여 상기 접촉판(199)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촉판(199)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촉판(199)이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접촉 돌기(406)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부(51)는 상기 접촉판(199)에 연결된다. 상기 접촉 돌기(406)가 상기 홀(169)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돌기(406)는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판(40)에 물이 닿으면 상기 수위 감지부(51)는 상기 감지판(40)의 정전 용량을 기초로 상기 트레이(14)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판(40)의 제1플레이트(402)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물의 수위가 연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술할 제어부는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부(일 예로 입력 패널에 형성될 수 있음)에서 수위가 단계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돌기(406)가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 구비되는 접촉판(199)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트레이(14)에 상기 감지판(40)을 설치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돌기(406)가 상기 접촉판(199)을 가압 변형시킨 상태에서 접촉되어 있으므로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감지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282)는 상기 입력패널(28)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터치 조작에 의해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29)도 상기 입력패널(28)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먼저, 가습기의 조립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12)에 상기 트레이(14)를 안착시킨다.
그 다음, 상기 트레이(14)에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를 안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에서 핸들(330)이 상기 트레이(14)에 안착되고, 특히 상기 핸들(33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만 상기 트레이(1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가 상기 트레이(14)에 안착되면,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는 상기 트레이(14)의 바닥면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의 일부는 상기 트레이(14)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 다음,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를 상기 베이스(12)에 안착시킨다.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가 상기 베이스(12)에 안착되면, 상기 하부 케이스(170)는 상기 트레이(14)를 커버하고, 상기 미들 케이스(165)는 상기 트레이(14)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미들 케이스(165)에 결합된 공기 가이드(176)의 하측 단부는 상기 다수의 디스크(31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 때, 상기 공기 가이드(176)의 하측 단부는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의 샤프트(320) 보다 높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가 상기 베이스(12)에 안착되면, 상기 디스크 모터 어셈블리(190)의 전달부(195)가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의 제2디스크 커버(324)와 맞물린다.
또한,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가 상기 베이스(12)에 안착되면, 상기 미들 베이스(165)의 일부는 상기 트레이(14)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4)에 구비되는 감지판(40)의 접촉 돌기(406)가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 구비된 상기 접촉판(199)을 가압 및 접촉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가 상기 베이스(12)에 안착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 다음,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 상기 컨트롤 유닛(22)을 결합시킨다. 물론, 상기 컨트롤 유닛(22)이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가 상기 베이스(12)에 안착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베이스(12)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를 상기 하우징(10)에 수용한 후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를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와 체결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안착단(101)은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의 체결부(162)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부(162)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가 안착된다. 그리고, 단일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가 상기 안착단(101) 및 상기 체결부(162)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 및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는 하나의 모듈로서 상기 베이스(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가 하나의 모듈로서 상기 베이스(12)로부터 분리될 수 잇다.
그 다음,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 상측에 상기 데코 부재(24)를 결합하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의 상측에 상기 입력 패널(28)을 결합시키면 상기 가습기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 때,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에 상기 입력 패널(28)을 결합시킨 후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를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의 세척 또는 상기 팬(219)의 세척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12)에서 상기 본체를 분리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 및 상기 하우징(10)이 함께 상기 베이스(12)에서 분리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는 상기 팬(219)의 하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는 상기 팬(219)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12)에서 분리되면, 상기 베이스(12)에는 트레이(14)가 안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상기 트레이(14)에는 디스크 어셈블리(30)가 안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12)에서 분리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를 분리하여 상기 필터(184)를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가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서 분리되면, 상기 팬(219)이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가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팬(219)을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12)에서 상기 하우징(10)을 분리하고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를 분리하면 상기 팬(219)이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팬(219)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팬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습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12)에 형성된 제1흡입구(124, 128)는 제1흡입 유로(P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14)와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의 하부 케이스(170)는 이격되어 상기 제1흡입 유로(P1)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흡입그릴(102)과 상기 공기 가이드(176)는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흡입그릴(102)과 상기 공기 가이드(176) 사이에 제2흡입유로(P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흡입유로(P2)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60)가 배치된다.
상기 팬 모터(21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팬(219)이 회전되고, 상기 디스크 모터(192)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310)가 회전된다.
상기 디스크(310)는 도 11을 기준으로 일 예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디스크(310)가 회전되면, 물에 적셔진 상기 디스크(310)가 상기 트레이(14)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팬(219)이 회전되면, 상기 제1흡입구(124, 128) 및 제2흡입구(103)를 통하여 공기가 상기 가습기(1) 내부로 흡입된다. 즉, 상기 베이스(12)를 관통하여 공기가 상기 흡입되고,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공기가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제2흡입유로(P2) 상에 필터(60)가 구비되므로, 상기 필터(60)가상기 흡입유로(P2) 상에서 공기의 유동 저항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가습기(1)의 경우, 상기 가습기(1)로 유입되는 공기량 중에서 상기 제1흡입구(124, 128)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량이 상기 제2흡입구(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량 보다 많다.
상기 제1흡입구(124, 128)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흡입유로(P1)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물에 적셔진 디스크(310) 들 사이 공간을 유동하면서 상기 디스크(410)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12)에 제1흡입구가 형성됨에 따라 이물질이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가습기(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상기 가습기 내부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입구(1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60)를 통과한 후에 상기 공기 가이드(176)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3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흡입구(1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물에 적셔진 디스크(310) 들 사이 공간을 유동하면서 상기 디스크(410)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그릴(102)에 제2흡입구(103)가 형성되므로, 상기 흡입그릴(102)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흡입그릴(102)의 내측에 필터(60)가 구비되므로, 상기 필터(60)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가습기 내부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입구가 상기 하우징(10)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는 사용자가 볼 수 없으므로, 상기 가습기(1)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가습된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8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상기 팬(219)을 통과한 후에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6)의 상부 케이스(161)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가습된 공기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의 홀(203)을 통과한 후에 상기 데코 부재(24)와 상기 가이더(217)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구(105)를 통하여 상기 가습기(1)에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05)는 폐루프 형상을 가지므로, 가습 공기의 토출 방향이 360도 전체가 되므로, 가습 공기가 실내에 골고루 퍼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데코 부재(24)와 상기 가이더(217)는 토출구(105)를 형성하면서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하므로, 상기 데코 부재(24)를 제1가이더라 할 수 있고, 상기 가이더(217)를 제2가이더라 이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부(29)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282)는 발광부(29)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2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9)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의 커버(218)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더(217)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9)는 다수의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다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0)의 커버(218)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입력 패널(28)이 상기 커버(218)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82)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가습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82)를 통하여 조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조명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팬 모터(210) 및 상기 디스크 모터(192)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29)가 온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29)는 제1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가 조명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습기가 조명 기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선택된 가습 모드에 따라 상기 발광부(29)가 제1색상과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상기 발광부(29)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발광부(29)가 단일의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습 모드의 종류에 따라 발광부(29)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다르도록 상기 발광부(2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9)는 상기 가이더(217)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29)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가이더(217)를 투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더(217)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29)는 상기 가이더(217)를 통과하여 상기 데코 부재(24)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은 상기 데코 부재(24)에서도 볼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코 부재(24)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 부재(24)가 반사판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습기(1)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29)에서 빛이 발산되므로, 사용자가 가습 공기가 토출되고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발광부(29)가 상기 가이더(217) 내측에서 상기 입력부(282)에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발광부(29)가 상기 가이더(217)에 설치되거나 상기 데코 부재(24)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데코 부재(24)가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되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데코 부재가 상기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0: 하우징 12: 베이스
14: 트레이 16: 케이스 어셈블리
20: 팬 모터 어셈블리

Claims (7)

  1. 물이 저장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저장된 물과 접촉할 수 있는 감지판;
    상기 감지판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과 연결되며 상기 감지판의 정전 용량을 기초로 상기 트레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판은 상기 트레이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가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트레이의 내벽에 안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습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상기 접촉판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돌기가 구비되는 가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에는 상기 접촉 돌기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가 상기 트레이에 안착되면,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접촉판과 접촉되는 가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접촉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을 관통한 상기 접촉 돌기에 의해서 상기 접촉판은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촉 돌기의 접촉이 유지되는 가습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습기.
KR1020130128935A 2013-10-29 2013-10-29 가습기 KR10210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935A KR102101489B1 (ko) 2013-10-29 2013-10-29 가습기
CN201410545043.8A CN104566739B (zh) 2013-10-29 2014-10-15 加湿器
EP14188961.8A EP2868988B1 (en) 2013-10-29 2014-10-15 Humidifier
US14/526,907 US9464817B2 (en) 2013-10-29 2014-10-29 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935A KR102101489B1 (ko) 2013-10-29 2013-10-29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013A true KR20150049013A (ko) 2015-05-08
KR102101489B1 KR102101489B1 (ko) 2020-04-16

Family

ID=5172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935A KR102101489B1 (ko) 2013-10-29 2013-10-29 가습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64817B2 (ko)
EP (1) EP2868988B1 (ko)
KR (1) KR102101489B1 (ko)
CN (1) CN1045667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138A (ko) * 2017-05-23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299B1 (ko) * 2014-09-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셔
NO3093567T3 (ko) * 2015-05-12 2018-01-13
KR101931706B1 (ko) * 2015-10-30 2019-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JP6777753B2 (ja) * 2016-02-26 2020-10-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空気清浄機
EP3211343B1 (en) 2016-02-26 2020-09-09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111156622B (zh) 2016-02-26 2022-04-26 Lg电子株式会社 空气清洁器
US10518205B2 (en) 2016-02-26 2019-12-3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EP3211337B1 (en) 2016-02-26 2020-09-2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ES2911549T3 (es) 2017-08-28 2022-05-19 Daikin Ind Ltd Dispositivo de aire acondicionado
CN109405252A (zh) * 2018-10-11 2019-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器的盖组件及加湿器
CN109269824B (zh) * 2018-11-14 2023-10-13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超声波加湿器的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0986233A (zh) * 2019-12-18 2020-04-10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加湿器
CN216844967U (zh) * 2021-11-02 2022-06-28 深圳秒新科技有限公司 加湿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68A (ko) * 2008-01-25 2009-07-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090089663A (ko) * 2008-02-19 2009-08-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120136136A (ko) * 2011-06-08 2012-12-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의 저수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8729A (en) * 1997-10-21 2000-06-20 National Environmental Products Ltd., Inc. Foam, drain and fill control system for humidifier
US20070152356A1 (en) * 2005-12-30 2007-07-05 Ping Huang Humidifier structure
KR20080065134A (ko) * 2007-01-08 200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센서와 이를 갖는 스팀발생기 및 그 스팀발생기를 갖는조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1467832B (zh) * 2007-12-24 2012-09-05 奥路高株式会社 液体容器
KR100983465B1 (ko) * 2008-06-03 2010-09-2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레벨 감지 장치
CN201766982U (zh) * 2009-12-30 2011-03-2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易清洗豆浆机
KR20110113263A (ko) 2010-04-09 2011-10-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위감지장치
KR20120079380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센서 및 이를 갖는 열교환기 살균가습장치
JP2013228365A (ja) * 2012-03-29 2013-11-07 Aisan Ind Co Ltd 液位計測装置
CN202546984U (zh) * 2012-04-23 2012-11-21 四川科伦药业股份有限公司 安全加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68A (ko) * 2008-01-25 2009-07-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090089663A (ko) * 2008-02-19 2009-08-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120136136A (ko) * 2011-06-08 2012-12-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의 저수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138A (ko) * 2017-05-23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66739A (zh) 2015-04-29
US20150115482A1 (en) 2015-04-30
CN104566739B (zh) 2017-10-24
EP2868988B1 (en) 2018-12-05
KR102101489B1 (ko) 2020-04-16
US9464817B2 (en) 2016-10-11
EP2868988A1 (en)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9013A (ko) 가습기
KR102068669B1 (ko) 가습기
EP2865957B1 (en) Humidifier
US10092874B2 (en) Air washer
CN107192031B (zh) 空气处理系统
KR102200385B1 (ko) 가습기
KR101859961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949355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691259B1 (ko) 가습기
KR20190115218A (ko) 벽걸이용 공기 청정기
KR102139076B1 (ko) 가습기
KR101667850B1 (ko) 가습기
KR102101482B1 (ko) 가습기
JP2010277905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50049011A (ko) 가습기
KR20130019322A (ko) 가습기 및 그의 탱크
KR102522066B1 (ko)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