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066B1 -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066B1
KR102522066B1 KR1020180153750A KR20180153750A KR102522066B1 KR 102522066 B1 KR102522066 B1 KR 102522066B1 KR 1020180153750 A KR1020180153750 A KR 1020180153750A KR 20180153750 A KR20180153750 A KR 20180153750A KR 102522066 B1 KR102522066 B1 KR 10252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ying
tray
weight
filter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966A (ko
Inventor
노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0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은,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가습기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한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가습기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공기청정기에 가습기능을 추가한 가습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일의 가습 공기청정기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제공받을 뿐 아니라, 실내공간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청정기 또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운전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필터에는 이물이 퇴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퇴적된 이물의 양이 많아지면 필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에 이물이 많이 퇴적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필터를 청소 또는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필터는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육안으로 필터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필터의 상태 또는 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51372(공개일:2002년5월24일)에는 필터링 방법 및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기술문헌에는 필터에 퇴적된 이물의 양을 무게 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중량 변화에 따라 필터의 오염 정도를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무게 감지센서의 경우 필터에 퇴적된 이물의 양을 감지할 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가습 공기청정기의 경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이 경우 고가의 센서부품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일의 센서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특개2002-151372 (2002년 5월 24일) 2. 발명의 명칭 : 필터링 방법 및 처리 장치.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센서를 이용하여 필터에 축적된 먼지량 및 물통의 수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청정기의 캐비닛에 슬라이딩 인출입 되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에 물통 및 필터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물통 및 필터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레이에 장착되는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레이가 캐비닛에 완전히 인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은,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된 무게를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 상기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된 무게가 상기 제 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무게를 미리 저장된 제 2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물통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된 무게가 상기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된 무게가 상기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가습필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의 본체에 상기 트레이가 완전히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상기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필터에 퇴적된 먼지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된 무게를 미리 저장된 제 4 기준값과 비교하하고, 상기 감지된 무게가 상기 제 4 기준값보다 클 경우, 필터교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에어필터와,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인입량에 따라서 상기 트레이의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트레이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 하는 레일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상기 무게 감지센서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 감지센서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트레이의 하중이 전달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하중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중 감지부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트레이로부터 하중이 전달되면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변형에 따라,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외팔보(cantileve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 감지센서는,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지지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누를 수 있는 하중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후방으로 인출입되는 트레이(도어)에 필터 및 물통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트레이를 개방하면 필터와 물통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필터 및 물통의 청소 또는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트레이에 장착되는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품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트레이의 무게에 따라 물통에 저장된 물의 양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물통의 교체 시기를 미리 인지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물통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경우 가습필터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가 줄어들고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트레이의 무게에 따라 에어필터에 퇴적된 먼지의 양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에어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시기를 미리 인지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트레이가 캐비닛에 완전히 장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송풍팬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트레이의 인입량에 따라서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 감지센서가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므로, 센싱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VI-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가 캐비닛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센서가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세부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및 상기 캐비닛(100)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어셈블리(200)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0)에는, 다수의 패널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패널에는, 하부의 베이스(101)와, 상기 하부의 베이스(10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패널(103)과, 상기 양측의 측면 패널(10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면 패널(105) 및 상기 양측의 측면 패널(103)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면 패널(107)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01)와,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과, 상기 상면 패널(105) 및 후면 패널(107)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0)은 전방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은 목재 재질로 구성되어 외관상 가구의 심미감을 줄 수 있으므로, 외관이 수려해질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송풍팬(480)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및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합하여, "필터 어셈블리"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방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인입하여 닫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21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도어 패널(210)은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패널(210)은 목재로 구성되어 가구와 같은 심미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101)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30)의 상측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0)의 상면 패널(105)의 후측에는, 필터링 및 가습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109)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109)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후방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부품이 설치되는 수용부(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부품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방될 때, 상기 수용부(220)에 배치되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에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 가이드(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수용부(23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완전히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어 탈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 또는 상기 수용부(220)는 "트레이"로 명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VI-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와,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8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0)에는, 공기청정기의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부(112)를 형성하는 바디부(110)가 포함된다.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전방부는 도어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후방부는 팬 하우징(410) 및 하우징 커버(43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상부는 전장부(45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은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에 결합된다.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부(45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 패널(107)은 상기 하우징 커버(43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210) 및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용부(220)가 포함된다. 상기 수용부(220)에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도어 전면부(221)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패널(210)과 상기 도어 전면부(221)를 합하여 "도어 전면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220)에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측면부(222)와, 상기 도어 측면부(222)의 하측에 구비되는 도어 하면부 및 상기 도어 하면부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후면부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측면부(222) 및 상기 도어 후면부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220)의 내부에는 수조(260), 물통(270),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0)의 전방부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에는, 에어필터 케이스(281) 및 상기 에어필터 케이스(281)에 결합되는 에어필터(28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220)의 대략 중앙부, 즉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후측에는 물통(2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은 수조(2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물통(270)을 분리하여 물을 보충하거나 상기 물통(270)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의 저면부에는 물을 배출하는 밸브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공에는 상기 밸브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장치(27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276)는 상기 수조(260)에 구비되는 밸브지지부(미도시)에 놓여지면 상기 밸브공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지지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밸브공을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0)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270)을 지지하는 물통지지부(261)가 포함된다. 상기 물통지지부(261)는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물통지지부(26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플로트 장치(267)가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플로트 수용부(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플로트 수용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며, 일례로 상기 물통지지부(26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수용부는 물이 저장되는 제 1 저수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로트 장치(267)는 상기 제 1 저수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수부의 물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플로트 장치(267)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통(270)의 밸브공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내부에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물이 저장되는 제 2 저수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는 상기 제 1 저수부에 연통하며, 상기 제 1 저수부와 동일한 수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에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하부는 상기 제 2 저수부(229)에 잠겨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습필터(330)의 외주부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수집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수집부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습필터(330)는 "물레방아"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수집부(332)에서 수집된 물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집부가 상기 가습필터(330)의 최상단에서 하방으로 내려올 때 중력에 의하여 상기 가습필터(330)의 중앙부로 물을 흘려준다. 상기 가습필터(330)는 물의 흡습이 용이한 천, 펠트 또는 스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상기 가습필터(330)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가습필터 모터(353, 도 5 참조) 및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가습필터 구동기어(355, 도 5 참조)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 및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는 상기 팬 하우징(4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후측에는, 상기 수조(260)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260)의 내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269)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살균장치(269)에는, 자외선 LE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0)의 후방부, 즉 상기 물통(270)의 후측에는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에는, 가습필터 케이스(310) 및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수조(260)에 저장되는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330)가 포함된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어셈블리(4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80)과, 상기 송풍팬(480)의 전방에 배치되는 팬 하우징(410) 및 상기 팬 하우징(410)의 후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43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480)은 상기 팬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 커버(430)에 의하여 정의되는 팬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원심팬에는 시로코 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에는, 상기 송풍팬(480)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팬 모터(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팬 모터에는, 모터축(미도시)이 결합되며, 상기 모터축은 상기 팬 모터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모터축의 축 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상기 모터축이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상기 팬 모터의 각각의 중심은, 상기 모터축의 축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흡입부(225)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를 통과한 후, 후방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 없이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상기 송풍팬(480)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서의 공기 유로 방향이 직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유로 저항이 줄어듦과 동시에 유속이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흡입 풍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팬 하우징(410)에는, 팬 흡입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팬 흡입부(415)에는, 방사상 또는 원주형으로 연장되는 흡입가이드 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가이드 리브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이 송풍팬(480)으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525)이 구비되는 전장부(4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장부(450)에는,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전장 플레이트(451)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전장 부품(525)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450)에는, 상기 다수의 전장 부품(453)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전장 커버(5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장 부품(453)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 어셈블리(2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는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 구비되는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의 외측에는, 레일 커버(236)가 배치된다. 상기 레일 커버(236)에 의하여, 상기 레일 어셈블리(2235)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에는 후술될 무게 감지센서(도 8의 540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조명 브라켓(11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조명 브라켓(116)은 상기 캐비닛(100)의 베이스(101)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0)는 상기 베이스(101)와 상기 조명 브라켓(116)의 사이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에는, 조명원이 구비되는 조명 PCB(122) 및 상기 조명 PCB(122)에 결합되는 조명 케이스(124)가 포함된다. 상기 조명원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케이스(124)는 상기 조명 케이스(124)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에는 각각 조명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1)의 전방부 상면에는, 반사판(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조명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은은하게 반사 또는 확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원은 상기 반사판(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사판(120)을 향하여 광을 하방으로 조사한다. 상기 조명원과 상기 반사판(120)의 사이에는, 상기 함몰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설명한다.
먼저, 송풍팬(480)이 구동하면, 가습 공기청정기(10) 외부의 공기는 함몰부(30)를 경유하여 공기 흡입부(225)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부(225)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수용부(2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는 에어필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필터면을 고르게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에서 필터링 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가습되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480)을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수조(260)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상기 수용부(220)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되므로, 공기의 필터링 및 가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는 상기 송풍팬(480)의 축방향으로 흡입되며,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을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토출부(10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는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방 하부로 흡입되어 후방 상부로 배출되므로 유동 저항이 감소되고, 송풍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가 캐비닛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무게 감지센서(540)가 포함된다.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무게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를 지지하는 레일 어셈블리(235)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 가이드(230)가 포함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는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는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에 해당하는 바닥면(11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110)의 바닥면(111) 양측에는, 한 쌍의 레일 어셈블리(235) 및 한 쌍의 레일 커버(236)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 구비된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에는 레일 본체(235a)와, 상기 레일 본체(235a)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1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235b,235c)가 포함된다.
상기 레일 본체(235a)는, 상기 캐비닛(100)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본체(235a)의 내측에는, 상기 트레이를 인입 또는 인출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 레일은, 다단 레일로 구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인출거리 또는 인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인출 레일은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235b,235c)에는, 상기 레일 본체(235a)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235b) 및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235c)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고정부(235b)는 상기 레일 본체(235a)의 앞쪽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본체(235a)를 지지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 2 고정부(235c)는 상기 레일 본체(235a)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본체(235a)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는 상기 제 1 고정부(235b)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235c)에 인접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는 상기 레일 본체(235a)의 뒤쪽에 위치된 상기 제 2 고정부(235c)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트레이의 인입량(인입거리) 또는 상기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되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가 후방으로 인입하여 닫혀지는 경우, 상기 인출 레일은 상기 트레이의 인입량(인입거리)에 따라 상기 제 2 고정부(235c)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가 후방으로 완전히 인입될 경우, 상기 인출 레일은 상기 제 2 고정부(235c)에 인접한 지점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의 하중이 상기 제 2 고정부(235c)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2 고정부(235c)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가 상기 트레이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고정부(235c)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235c)와 인접한 지점에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트레이의 인입량 또는 상기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되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트레이가 전방으로 인출될 경우, 상기 인출 레일은 상기 제 2 고정부(235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트레이의 하중이 상기 제 2 고정부(235c)에 구비된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의 하중을 측정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에 구비된 피씨비(2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센서가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에는 상기 바디부(110)에 지지되는 지지베이스(541)와, 상기 지지베이스(54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42) 및 상기 연장부(542)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플레이트(543)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에는, 상기 연장부(542)에 고정되는 제 1 단부(543a) 및 상기 제 1 단부(543a)의 반대편에 위치되며 자유 단부를 구성하는 제 2 단부(543b)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43)를 외팔보(cantilever)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43)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가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의 상면은, 상기 제 2 고정부(235c)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가 후방으로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의 인출 레일이 후방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트레이의 하중을 상기 제 2 고정부(235c)에 전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고정부(235c)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중전달부(235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중전달부(235d)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하중전달부(235d)는 제 2 고정부(235c)의 일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고정부(235c)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중전달부(235d)를 "돌출부"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하중 변화에 따른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의 변형량을 감지하기 위한 하중 감지부(544)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하중 감지부(544)에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처지는 현상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변형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는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턴 및 상기 패턴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턴에는 저항선이 포함된다.
상기 저항선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 가해지는 힘(인장방향의 힘)에 의하여 길이 및 단면적이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항선의 길이가 증가하고 단면적이 감소되는 경우 전기저항이 증가하며, 상기 저항선의 길이가 감소하고 단면적이 증가되는 경우 전기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자에는, 상기 패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단자 및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단자가 포함된다. 상기 패턴의 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저항의 변화에 대한 신호는 상기 복수의 단자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트레이의 인입량 또는 인입거리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의 변형량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트레이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캐비닛에 인입되면,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의 인출 레일은 후방으로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가 캐비닛에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인출 레일의 하중이 상기 레일 본체(235a)에 인가되고, 상기 하중전달부(235d)의 하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하중전달부(235d)가 상기 지지플레이트(543)를 누르게 되므로,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에는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하중감지부(235d), 즉 스트레인 게이지에 인장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 구비되는 패턴 또는 저항선은 인장방향으로의 길이가 증가하도록(L1->L2)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패턴 또는 저항선의 단면적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에 의하여, 상기 저항선의 전기저항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전기저항의 증가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트레이의 무게(하중)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제어부(500), 디스플레이(510), 가습필터 모터(520), 팬 모터(530), 무게 감지센서(540), 와이파이모듈(550), 조도센서(560), 습도센서(570), 온도센서(580), 먼지센서(590) 및 가스센서(60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다수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디스플레이(510), 가습필터 모터(520), 팬 모터(530), 무게 감지센서(540), 와이파이모듈(550), 조도센서(560), 습도센서(570), 온도센서(580), 먼지센서(590) 및 가스센서(60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 구비된 물통(270) 또는 수조(26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 구비된 에어필터(285)에 퇴적된 이물(먼지)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10)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작동정보를 보여주는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510)는 표시부의 기능 및 입력부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10)에는 다수의 LED 소자 및 각종 버튼(물리적 버튼 및/또는 터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10)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현재 운전모드에 대한 작동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510)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운전모드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운전모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전모드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현재 운전중인 모드에 대한 정보, 상기 가습필터 모터(520)의 구동에 관한 정보, 상기 팬 모터(530)의 구동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모터(520)는, 상기 가습필터(3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습필터 모터(520)는 입력된 운전모드(가습 모드 또는 쾌속 모드 등)에 따라 상기 팬 모터(530)와 함께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530)는, 상기 송풍팬(48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팬 모터(530)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무게 또는 하중을 측정한다.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는 상기 캐비닛(100)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입량(인입거리)에 따라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하중이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의 하면에 접촉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의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43)의 처지는 현상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변형량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하중 또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모듈(550)은,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와 외부 장치(미도시)를 통신 연결하도록 하는 통신장치이다. 따라서, 원격지의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 상태와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운전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를 원하는 운전 상태로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560)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조도센서(560)는 조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570)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습도센서(570)는 현재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80)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온도센서(580)는 실내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590)는,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먼지센서(590)는 공기 중 먼지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스센서(600)는, 공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가스센서(600)는 공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는 앞서 설명된 도어 어셈블리(200)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공기 중 이물을 걸러내는 에어필터(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 가습을 위한 가습필터(또는 가습필터 어셈블리) 및 가습필터로 물을 제공하는 물통(또는 수조)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캐비닛(100) 내측에 구비된 레일 어셈블리(285)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방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인입하여 닫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에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트레이에 구비된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은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은 상기 캐비닛(100) 및 트레이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285)에는 상기 트레이의 하중 또는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감지센서(540)가 장착된다.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될 때, 상기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지 않거나,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으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상기 무게 감지센서(540)가 상기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다음, 단계 S12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 여부를 판단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레이에는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에 인입될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의 내측에 상기 부품들이 모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감지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무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상기 기준값에 비하여 상기 에어필터(285)의 무게만큼 차이가 있다면,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285)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가 상기 기준값에 비하여 상기 가습필터(330) 또는 물통(270)의 무게만큼 차이가 있다면, 상기 트레이에 상기 가습필터(330) 또는 물통(27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세부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21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22에서 운전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단계 S23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한다.
만약, 단계 S24에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S25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도어 열림" 알람을 출력한다.
여기서, "도어 열림"이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일부만이 인입되거나 또는 상기 트레이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알람을 출력하는 이유는, 상기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으면,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가 구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큰 소음이 발생하고, 진동 또는 흔들림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탈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트레이에 장착된 물통(270) 또는 가습필터(330)가 진동에 의해 탈거될 수 있고, 물 넘침에 의하여 물통(27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10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가 운전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4에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면, 단계 S26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 1 기준값이라 함은, 에어필터(285)를 제외한 트레이의 무게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26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 즉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가 빠져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26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단계 S27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필터 없음" 알람을 출력한다.
여기서, "필터 없음" 알람이란,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285)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람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없음 알람을 출력하는 이유는, 상기 에어필터(285)를 교체 또는 청소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상기 에어필터(285)를 상기 트레이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캐비닛(100)에 인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가 동작하더라도, 상기 에어필터(285)가 빠져있기 때문에 공기 중 이물이 걸러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단계 S26에서 상기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단계 S28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값은, 상기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기준값은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기준값은 실질적으로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정상적으로 장착되되, 물통(270)에 저장된 물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즉, 단계 S28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트레이에 구비된 물통(270)에 물이 전혀 남아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 S28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단계 S29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물 없음" 알람을 출력한다.
여기서, "물 없음" 알람이란, 상기 트레이에 구비된 물통(270)에 물이 전혀 없는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람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물 없음 알람을 출력하는 이유는, 물통(270)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가습운전이 시작될 경우, 공기 가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가습필터(330)의 회전에 의한 소음 및 전력소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 없음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물통(270)에 물을 채워줄 것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8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계 S30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팬 모터(530)를 온 시켜서 송풍팬(480)을 구동시킨다.
상기 송풍팬(48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켜 공기 중 이물을 거르는 공기 정화 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단계 S31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운전 모드가 가습 운전모드일 경우, 단계 S32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필터 모터(520)를 온 시켜서 가습필터(330)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가습필터(330)가 회전되면서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고, 이로 인해 공기 가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계 S33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운전종료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종료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단계 S34에서 팬 모터(530) 및 가습필터 모터(520)를 오프 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에어필터(285)가 제거된 상태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값으로 설명한 바 있다. 즉,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에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285)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가습필터(330) 또는 물통(270)이 제거된 상태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에어필터(285)뿐만 아니라, 가습필터(330) 또는 물통(27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S41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2에서 운전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단계 S43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한다.
단계 S44에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S45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도어 열림" 알람을 출력한다.
반대로, 단계 S44에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면, 단계 S46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 상기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만약, 단계 S46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단계 S47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필터 없음" 알람을 출력한다.
한편, 단계 S46에서 상기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계 S48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팬 모터(530)를 온 시켜서 송풍팬(480)을 구동시킨다.
상기 송풍팬(48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시켜 공기 중 이물을 거르는 공기 정화 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단계 S49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 운전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9에서 가습 운전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계 S50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즉, 단계 S50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트레이에 구비된 물통(270)에 물이 전혀 남아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 S50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단계 S51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물 없음" 알람을 출력한다.
한편, 단계 S50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계 S52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필터 모터(520)를 온 시켜서 가습필터(330)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가습필터(330)가 회전되면서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고, 이로 인해 공기 가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계 S53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운전종료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종료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단계 S54에서 팬 모터(530) 및 가습필터 모터(520)를 오프 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직 가습 운전모드로 동작할 시, 트레이에 가습을 위한 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물이 필요한 가습 운전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물 없음을 출력하고, 일반적인 공기 정화기능을 수행할 경우에는 트레이에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즉, 일반 공기청정모드로 가습 공기청정기가 동작할 경우, 가습을 위한 물이 필요 없게 되므로 이에 따라 트레이에 저장된 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제 2 실시예와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제 2 실시예와 연동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단계 S46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계 S61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팬 모터(530)를 온 시켜서 송풍팬(480)을 구동시킨다.
상기 송풍팬(48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시켜 공기 중 이물을 거르는 공기 정화 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단계 S62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 운전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습 운전 명령이 입력될 경우, 단계 S63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필터 모터(520)를 온 시켜서 가습필터(330)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가습필터(330)가 회전되면서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고, 이로 인해 공기 가습이 이루어진다.
다음, 단계 S64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물통의 수위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와 미리 저장된 제 2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물통(270)에 남아있는 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값은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가 상기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물통(270)에 남아있는 물은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대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와 상기 제 2 기준값과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물통(270)에 남아있는 물의 양은 많은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물통(270)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65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가 제 3 기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된 무게가 제 3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S66 단계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물 거의 없음" 알람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기준값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큰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물통(270)에 저장된 물이 조금 있거나 또는 거의 없는 상태를 미리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 S67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7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트레이에 구비된 물통(285)에 물이 전혀 남아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 S67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단계 S68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물 없음" 알람을 출력한다.
그리고 단계 S67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필터 모터(520)를 오프시켜서 가습필터(33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가 가습 운전 도중, 물통(270)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경우, 가습필터(330)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가 줄어들고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제 2 실시예와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가 제 2 실시예와 연동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단계 S46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1 기준값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계 S81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팬 모터(530)를 온 시켜서 송풍팬(480)을 구동시킨다.
상기 송풍팬(48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시켜 공기 중 이물을 거르는 공기 정화 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단계 S82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 운전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습 운전 명령이 입력될 경우, 단계 S83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필터 모터(520)를 온 시켜서 가습필터(330)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가습필터(330)가 회전되면서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고, 이로 인해 공기가습이 이루어진다.
다음, 단계 S84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물통의 수위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와 미리 저장된 제 2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물통(270)에 남아있는 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값은 에어필터(285), 가습필터(330) 및 물통(270)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가 상기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물통(270)에 남아있는 물은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대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와 상기 제 2 기준값과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물통(270)에 남아있는 물의 양은 많은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물통(270)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85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85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단계 S86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물 없음" 알람을 출력한다.
그리고 단계 S87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필터 모터(520)를 오프시켜서 가습필터(33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가습필터(330)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로, 상기 송풍팬(480)은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가습모드에서 공기청정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88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트레이의 무게를 특정시간 간격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89에서 감지된 무게가 일정시간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감지된 무게가 일정시간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에어필터(285)에 축적된 먼지의 양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의 물통(270)에는 소정의 물이 존재하는바, 에어필터(285)에 축적된 먼지의 양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는, 상기 에어필터(285)에 축적된 먼지의 양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에 구비된 물통(270)에 물이 전혀 없는 상태, 즉,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에어필터(285)에 축적된 먼지의 양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계 S89에서 감지된 트레이의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단계 S90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감지된 무게가 제 4 기준값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4 기준값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큰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4 기준값은 상기 에어필터(285)의 필터 성능을 가늠하기 위한 먼지 무게량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90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4 기준값보다 클 경우, 단계 S91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필터교체" 알람을 출력한다.
즉,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상기 에어필터(285)에 축적된 먼지의 양이 많다고 판단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에어필터(285)를 교체 또는 청소할 것을 안내한다.
만약, 단계 S90에서 감지된 무게가 제 4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단계 S88로 재 진입하여 트레이의 무게를 다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2에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팬 모터(530)를 오프 시켜서 송풍팬(48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가 가습 운전 도중, 물통(270)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될 경우, 가습필터(330)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가 줄어들고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트레이의 무게에 따라 에어필터(285)에 퇴적된 먼지의 양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에어필터(285)의 청소 또는 교체 시기를 미리 인지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285)에 퇴적된 먼지의 양이 많아서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송풍팬(480)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10 : 가습 공기청정기 30 : 함몰부
100 : 캐비닛 110 바디부
112 : 공간부 200 : 도어 어셈블리
400 : 하우징 어셈블리 410 : 팬 하우징
430 : 하우징 커버 450 : 전장부
480 : 송풍팬 500 : 제어부
520 : 가습필터 모터 530 : 팬 모터
540 : 무게 감지센서

Claims (20)

  1.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무게를 미리 저장된 제 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무게가 상기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가습필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무게를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트레이에 상기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값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무게가 상기 제 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트레이에 상기 에어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물통의 수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무게가 상기 제 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의 본체에 상기 트레이가 완전히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무게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1.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된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된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상기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필터에 퇴적된 먼지의 양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무게를 미리 저장된 제 4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된 무게가 상기 제 4 기준값보다 클 경우, 필터교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3.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공기 중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에어필터;
    상기 에어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기 위한 가습필터;
    상기 가습필터로 제공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
    상기 에어필터, 가습필터 및 물통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인입량에 따라서 상기 트레이의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의 하중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트레이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 하는 레일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상기 무게 감지센서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센서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트레이의 하중이 전달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하중 감지부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감지부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트레이로부터 하중이 전달되면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변형에 따라,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외팔보(cantilev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센서는,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지지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누를 수 있는 하중 전달부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180153750A 2018-12-03 2018-12-03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2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50A KR102522066B1 (ko) 2018-12-03 2018-12-03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50A KR102522066B1 (ko) 2018-12-03 2018-12-03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66A KR20200066966A (ko) 2020-06-11
KR102522066B1 true KR102522066B1 (ko) 2023-04-18

Family

ID=7107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750A KR102522066B1 (ko) 2018-12-03 2018-12-03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0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4640A (ja) * 2005-02-03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CN204519811U (zh) * 2015-01-28 2015-08-05 杨昕娜 具有空气净化功能的柜子及茶几、电视柜、家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372A (ja) 2000-11-13 2002-05-24 Tokyo Electron Ltd 処理装置及びフィルタリング方法
KR20170058100A (ko) * 2015-11-18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KR101985531B1 (ko) * 2016-08-01 2019-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4640A (ja) * 2005-02-03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CN204519811U (zh) * 2015-01-28 2015-08-05 杨昕娜 具有空气净化功能的柜子及茶几、电视柜、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66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321B1 (ko)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EP2865956A1 (en) Humidifier
EP2868988A1 (en) Humidifier
EP2865957B1 (en) Humidifier
US10024559B2 (en) Humidifier
CN110520678A (zh) 空气净化器
KR102390196B1 (ko) 공기청정시스템
KR102062667B1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TWI602107B (zh) Electronic machines
CN105371377A (zh) 空气净化器
EP3861913B1 (en) Cleaner with a dust sensor
KR20100010280A (ko) 공기 청정기
KR102522066B1 (ko)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100387908C (zh) 加湿器
KR102172479B1 (ko) 공기 청정기
KR102346638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036407A (ja) 加湿器
JP7508886B2 (ja) 除湿機
KR102108950B1 (ko)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5442A (ko)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073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29678A (ko) 제습기
JP6105899B2 (ja) 加湿装置
KR20160051259A (ko) 에어워셔의 수위 감지방법
KR102506486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를 포함하는 청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