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412A - 디파일러 크레인 - Google Patents

디파일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412A
KR20150048412A KR1020130128447A KR20130128447A KR20150048412A KR 20150048412 A KR20150048412 A KR 20150048412A KR 1020130128447 A KR1020130128447 A KR 1020130128447A KR 20130128447 A KR20130128447 A KR 20130128447A KR 20150048412 A KR20150048412 A KR 20150048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width
clamper
crane
de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2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8412A/ko
Publication of KR2015004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디파일러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디파일러 크레인의 아암부의 종단에 위치하여, 슬라브를 클램핑하는 클램퍼; 슬라브의 폭을 측정하는 너비 측정부; 및 슬라브의 폭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퍼의 폭을 소정의 간격으로만 이격시키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Description

디파일러 크레인{DEPILER CRANE}
본 발명은 디파일러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슬라브를 클램핑(clamping)하는 클램퍼(clamper)의 너비를 슬라브 폭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디파일러 크레인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철강 제조 공정에 있어서, 후판 압연에서 사용되는 무인 자동화 크레인(depiler crane)은 파일 콘베이어 베드(pile conveyor bed)에 있는 슬라브(slab)를 1매씩 클램핑(clamping)하여 K1 테이블 상으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현재 디파일러 크레인의 아암(tong arm)에 위치한 클램퍼(clamper)는 슬라브 1매를 이송한 후에 슬라브의 이미 이송시킨 슬라브의 폭을 고려하지 않고, 클램퍼의 너비를 일률적으로 2500mm로 완전히 오픈(open)시킨 후, 다시 슬라브를 클램핑하기 때문에 클램퍼를 풀 오픈(full open)하고 슬라브 폭에 다시 맞추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전체 공정 자체가 지연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기존의 디파일러 크레인(depiler crane)에 관련된 기술로는 "지지 블럭의 높낮이 제어가 가능한 디파일러 크레인(출원 번호 제10-2013-0093331호,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이 있는데, 이는 디파일러 크레인에 슬라브(slab)를 목적하는 개수만큼 클램핑(clamping)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종래기술1은 클램핑 하고자 하는 슬라브의 폭에 맞게 슬라브의 개수를 정확히 클램핑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파일러 크레인의 클램퍼의 폭을 조절하는 기술과는 다소 차이가 존재한다.
또한, 관련 기술로는 "슬라브 운송 제어 방법(공개 번호 제10-2012-0032844호, 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이 존재한다.
종래기술2는 연주설비로부터 반출된 슬라브를 가열로 장입 롤러 테이블로 운송하는 슬라브 운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역시 디파일러 크레인의 클램퍼의 폭을 조절하는 기술과는 다소 차이가 존재하여, 디파일러 크레인의 클램퍼의 폭 조절로 철강 제조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브의 폭에 맞게 클램퍼의 폭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후속으로 클램핑될 슬라브의 폭만큼만 오픈할 수 있는 디파일러 크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은 슬라브의 폭에 따라 클램핑(clamping) 폭 조절이 가능한, 디파일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디파일러 크레인의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아암부; 상기 아암부의 종단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브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퍼; 상기 아암부에 위치하여, 상기 아암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슬라브의 폭을 측정하는 너비 측정부; 및 상기 너비 측정부로부터 상기 슬라브의 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슬라브의 폭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퍼의 폭을 소정의 간격으로만 이격시키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슬라브 폭의 10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너비 측정부는, 상기 슬라브의 측면으로 레이저를 조사(照射)하여, 상기 슬라브의 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디파일러 크레인은, 상기 너비 측정부로부터 상기 슬라브 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간격을 조정하는 SCC(Supervisory Control Computer)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은 디파일러 크레인의 클램퍼의 너비를 슬라브 폭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만 이격시키는바, 클램퍼의 클램핑 시간에 따른 철강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은 메인 프레임부(102); 아암부(120); 클램퍼(110); 너비 측정부(150); 및 중앙 제어부(101)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부(1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파일러 크레인(1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메인 프레임부(102)는 수송할 슬라브(1)의 무게뿐만 아니라, 하부에 부착될 아암부(120)나 클램퍼(110), 그리고 모터부(140)까지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이들 하중을 모두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부(120)는 메인 프레임부(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슬라브(1)의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아암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장방향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아암부(120)는 한 쌍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부(12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시켜, 모터부(140)에 의한 동력이 클램퍼(110)를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모터부(140)는 와이어(wire)를 통하여, 클램퍼(110)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들 와이어는 아암부(120) 내부를 관통하며, 모터부(140)와 클램퍼(110)를 연결하게 된다.
클램퍼(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120)의 종단에 위치하고, 슬라브(1)를 클램핑(clamping)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클램퍼(110)는 기존의 디파일러 크레인에서 볼 수 있는 외형을 갖추면 족하되, 이들 클램퍼(110)는 너비가 후술할 중앙 제어부(10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비 측정부(150)는 아암부(120)의 일 부분에 위치하여, 아암부(120)의 사이에 위치한 슬라브(1)에 빛을 조사하여, 슬라브(1)의 폭을 측정한다.
너비 측정부(150)가 아암부(120)에 위치되는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부분에만 한정할 것은 아니지만, 슬라브(1)가 아암부(120) 사이, 구체적으로는 클램퍼(110)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이들 슬라브(1)의 폭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되어야 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클램퍼(110) 사이에 위치한 슬라브(1)에 너비 측정부(150)는 슬라브(1)에 빛을 조사하여, 슬라브(1)의 폭을 측정하고 있다.
너비 측정부(150)는 빛의 직진성과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하여 레이저 광선을 이용한 레이저 두께 측정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두께 특정 장치를 통하여, 슬라브(1)의 폭을 측정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시도하는 것이지만, 레이저 두께 측정 장치 자체는 산업에서 활용되는 일반적인 레이저 두께 측정 장치이면 족하므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중앙 제어부(101)는 너비 측정부(150)로부터 슬라브(1)의 폭 정보를 수신하며, 측정된 슬라브(1)의 폭에 따라 클램퍼(110)의 폭을 소정의 간격으로만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제어부(101)는 슬라브(1)의 폭이 1600mm이면, 클램퍼(110)가 최대 너비인 2100mm까지 벌어지도록 하지 않고, 1600mm기준으로 소정의 간격만큼만 클램퍼(110)가 벌어지도록 클램퍼(110)를 이격시킨다.
또한, 중앙 제어부(101)는 클램퍼(110)가 슬라브(1)를 클램핑하고, 클램핑된 슬라브(1)를 이송시킨 후, 클램퍼(110)가 벌어지도록 하는 이격 거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간격만큼만 이격되도록 한다.
여기서, 소정의 간격은 슬라브(1)의 에지(edge) 품질, 클램퍼(110)의 종류, 기타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작업자가 설정할 수 있지만, 측정된 슬라브(1) 폭의 100%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브(1) 폭의 100% 간격 만큼 클램퍼(110)가 벌어지는 것은 클램퍼(110)가 실제로 슬라브(1)를 클램핑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슬라브(1)를 K1 테이블로 이송할 때에는 측정된 슬라브(1) 폭의 110%만큼 벌어지도록 한다.
110% 보다 더 벌어지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클램핑(110) 작동 범위를 가지게 되어 효율적이지 못하며, 110%보다 작은 경우에는 슬라브(1)의 에지의 품질이나 기타 작업환경에 따라 클램퍼(110)의 클램핑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소정의 간격은 측정된 슬라브(1) 폭의 100% 내지 11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파일러 크레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C(Supervisory Control Computer)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CC부는 너비 측정부(150)로부터 슬라브(1)의 폭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소정의 간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브(1)의 에지(edge) 품질, 클램퍼(110)의 종류, 기타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작업자가 설정할 수 있는데, 슬라브(1) 폭의 110% 만큼 상시 벌어지도록 하는 것은 작업 환경에 따라, 그리고 추구하는 철강 제조 공정에 따라 조정할 필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SCC부는 이들 소정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슬라브
2: 콘베이어 베드(conveyor bed)
100: 디파일러 크레인
101: 중앙 제어부
102: 메인 프레임부
110: 클램퍼(clamper)
120: 아암부
130: 서포팅 블록
140: 모터부
150: 너비 측정부

Claims (4)

  1. 슬라브의 폭에 따라 클램핑(clamping) 폭 조절이 가능한, 디파일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디파일러 크레인의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아암부;
    상기 아암부의 종단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브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퍼;
    상기 아암부에 위치하여, 상기 아암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슬라브의 폭을 측정하는 너비 측정부; 및
    상기 너비 측정부로부터 상기 슬라브의 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슬라브의 폭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퍼의 폭을 소정의 간격으로만 이격시키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파일러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슬라브 폭의 10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파일러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비 측정부는,
    상기 슬라브의 측면으로 레이저를 조사(照射)하여, 상기 슬라브의 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파일러 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파일러 크레인은,
    상기 너비 측정부로부터 상기 슬라브 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간격을 조정하는 SCC(Supervisory Control Computer)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파일러 크레인.
KR1020130128447A 2013-10-28 2013-10-28 디파일러 크레인 KR20150048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447A KR20150048412A (ko) 2013-10-28 2013-10-28 디파일러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447A KR20150048412A (ko) 2013-10-28 2013-10-28 디파일러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412A true KR20150048412A (ko) 2015-05-07

Family

ID=5338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447A KR20150048412A (ko) 2013-10-28 2013-10-28 디파일러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84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4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ed shaped steel
KR20090073110A (ko) 금속 박판 스트립을 접합하는 용접 장치 및 공정
KR20140028186A (ko) 레이저 용접 장치
KR930002032A (ko) 높은 생산성의 레이저 용접조립체 및 방법
CN105347031A (zh) 一种全自动油边机
US201903082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sheet metal blank by means of laser cutting
US20160236310A1 (en) Milling apparatus for aluminium ingots
CN104308447A (zh) 一字型钢管束结构构件自动翻转装置
CN104353937B (zh) 一字型钢管束自动拼装焊接装置
WO2017017802A1 (ja) 部品実装機
MA43245B1 (fr) Procédé de mise en oeuvre de découpes par laser précises sur une feuille de ruban et appareil de mise en oeuvre du procédé
JP6476744B2 (ja) 搬送装置
JP2008085275A (ja) アライメント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50048412A (ko) 디파일러 크레인
KR20120048430A (ko) 기판 반송장치 및 기판 반송방법
CN103538359A (zh) 基板输送装置及基板输送装置中的异物检测方法
JPH09327739A (ja) 矩形棒枠の製造装置
CN108112174A (zh) 一种pcb自动塞孔及印刷方法及系统
JPH01197213A (ja) 棒状の形鋼を支持する方法
EP3069838B1 (en) Machine to process panels of wood or the like
US20220152685A1 (en) Workpiece transport unit, hot pressing epuipment, workpiece transport method, and hot pressing method
CN209583029U (zh) 一种生产设备及其输送线定位机构
JP2017141100A (ja) 長尺物用コンベア装置
KR20150017268A (ko) 지지 블럭의 높낮이 제어가 가능한 디파일러 크레인
CN114378470B (zh) 用于t型材弧形腹板和弧形面板拼接的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