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603A - 디스플레이를 갖는 난연성 하우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갖는 난연성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603A
KR20150047603A KR1020157007816A KR20157007816A KR20150047603A KR 20150047603 A KR20150047603 A KR 20150047603A KR 1020157007816 A KR1020157007816 A KR 1020157007816A KR 20157007816 A KR20157007816 A KR 20157007816A KR 20150047603 A KR20150047603 A KR 20150047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path
flame
housing
shoulder
inte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431B1 (ko
Inventor
데이비드 클라크
아툴 바산트 데쉬팬드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4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 G01F1/846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 G01F1/8472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curved measuring conduits, i.e. whereby the measuring conduits' curved center line lies within a plane
    • G01F1/8477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curved measuring conduits, i.e. whereby the measuring conduits' curved center line lies within a plane with multiple measuring cond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63Threaded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난연성 하우징(202)은 디스플레이 개구(212), 디스플레이 개구(212)에 인접한 숄더(207), 외측 면(231) 및 주변(232)을 포함하는 투명 패널(230), 및 투명 패널(230)을 숄더(207)에 맞닿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체결기 요소(236)를 포함한다.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과 난연성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 사이의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주변 갭을 생성하고, 투명 패널(230)의 외측 면(231)과 숄더(207) 사이의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면 갭을 생성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갖는 난연성 하우징 {FLAMEPROOF HOUSING WITH DISPLAY}
본 발명은 난연성 하우징, 그리고 더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난연성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들 및 진동 농도계들과 같은 진동 도관 센서들은 유동 재료를 포함하는 진동 도관의 모션(motion)을 검출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작동한다. 질량 유동, 농도 등과 같은 도관 내의 재료와 연관되는 특성들은 도관과 연관되는 모션 변환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신호들을 처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진동 재료-충전 시스템의 진동 모드들은 포함한 도관과 그 안에 포함되는 재료의 조합 질량, 강도(stiffness), 및 댐핑(damping) 특성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통상적인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는 파이프라인 또는 다른 운반 시스템 내에서 인라인(inline)으로 연결되고 시스템 내에 전달 재료(convey material), 예를 들어 유체들, 슬러리(slurry)들, 에멀젼(emulsion) 등을 전달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도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도관은, 예를 들어 간단한 굽힘(bending), 비틀림, 레이디얼(radial) 그리고 커플링 모드들을 포함하는 고유 진동 모드(natural vibration mode)들의 세트를 갖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통상적인 코리올리 질량 유동 측정 적용예에서, 재료들이 도관을 통해 흐를 때 도관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진동 모드들에서 가진(excite)되고 도관의 모션은 도관을 따라 이격된 지점들에서 측정된다. 가진(excitation)은 액추에이터(actuator), 예를 들어, 주기적 방식으로 도관을 섭동시키는 보이스 코일형 구동기(voice coil-type driver)와 같은 전기기계식 장치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공된다. 질량 유량은 변환기(tranducer) 위치들에서 모션들 사이의 시간 지연 또는 위상 차들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두 개의 변환기(transducer)(또는 픽오프 센서들)들은 유동 도관 또는 도관들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액추에이터의 상류 및 하류 위치들에 통상적으로 위치된다. 두 개의 픽오프 센서들은 전자 기기 장치에 연결된다. 특히, 전자 기기 장치는 두 개의 픽오프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고 질량 유량 측정을 유도하기 위해 그 신호들을 처리한다. 따라서,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들 및 농도계들을 포함하는 진동 유량계들은 유체를 측정하기 위해 진동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을 사용한다.
일부 환경들에서, 전기 신호들은 난연성 물리적 배리어 또는 하우징을 통해 전도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계측 전자 기기 또는 전달 장치의 전기 회로를 둘러쌀 수 있거나 밀봉할 수 있다. 위험한 대기들에서의 사용을 위해 디자인되는 처리 제어 전달 장치들은, 가연성 가스들의 제어되지 않는 폭발들을 피하기 위해, 난연성 하우징들 및/또는 배리어들을 포함하는 보호 방법들의 조합을 종종 사용한다. 국제 기준들은 난연성 장치들 및 구조물들을 위한 준수 요구 조건들을 정의한다.
코리올리 유량계 전달 장치들의 경우에, 난연성 격실 또는 하우징 내에 활성 전자 기기 구성요소들을 밀봉함으로써, 전자 기기들 내의 전기 에너지의 결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가스들의 폭발이 밀봉부를 넘어서 전파되지 않게 되는 것이 주지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외부적으로 보이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하우징은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 경화가능 시일링 재료를 사용하는 난연성 디스플레이 패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조립 전에 포팅(potting) 재료 또는 접착제가 하우징 및/또는 유리 패널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적용되고 경화가능 시일링 재료를 포함한다. 도시되는 것처럼, 유리 패널이 하우징 내에 제 위치로 이동될 때, 포팅 재료 또는 접착제는 유리 패널과 하우징의 부분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포팅 재료 또는 접착제가 바람직하게는 근본적으로 유리 패널과 하우징의 상응하는 부분 사이의 전체 인터페이스 영역 위에 퍼진다. 그 후에 경화가능 시일링 재료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경화할 수 있거나, 재료를 경화시키기 위한 가열 또는 다른 처리들을 겪게 될 수 있다. 포팅 재료 또는 접착제는 하우징에 대해 유리 패널을 시일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구성요소들을 함께 접착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해 시멘팅(cementing) 기능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은 단점들을 가진다. 포팅 재료들 또는 접착제는 환경적 및/또는 작업장 규제들을 겪게 될 수 있고 따라서 비싸고, 다루는 것, 적용하는 것, 배치하는 것에 비용이 많이 든다. 포팅 재료 또는 접착제는 일부 현장들에서의 규제에 의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포팅 재료 또는 접착제는 부적합하게 또는 불완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설치 후에, 포팅 재료 또는 접착제는 공기 기포들, 크랙(crack)들, 퍼로우(furrow)들, 또는 불규칙한 경계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너무 협소하여 바람직한 길이의 화염 경로를 형성할 수 없다. 포팅 재료 또는 접착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 수 있거나 균열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유리 패널은 누출을 나타낼 수 있다. 포팅 재료 또는 접착제는 유리 패널 및 하우징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해 접착력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상응하는 하우징을 갖춘 난연성 시일을 달성하기 위해 시멘팅을 요구하지 않는 유리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난연성 하우징은 난연성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개구; 디스플레이 개구에 인접한 숄더; 외측 면 및 주변을 포함하는 투명 패널; 및 난연성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고 투명 패널을 숄더에 맞닿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체결기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투명 패널의 주변과 난연성 하우징의 내부 표면 사이의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주변 갭을 생성하고, 여기서 투명 패널의 외측 면과 숄더 사이의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면 갭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난연성 하우징은 숄더 내에 형성되는 시일 그루브 및 시일 그루브 내에 위치되는 시일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시일은 습기가 디스플레이 개구에서 난연성 하우징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숄더는 면 인터페이스 영역을 한정하는 선결정된 숄더 너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패널은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을 한정하는 선결정된 패널 두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화염경로 길이는 선결정된 패널 두께 더하기 선결정된 숄더 너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숄더의 숄더 너비 빼기 시일 그루브의 시일 그루브 너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시일 그루브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되는 외측 숄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은 난연성 하우징 내에 디스플레이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에 인접한 숄더를 제공하는 단계; 외측 면 및 주변을 포함하는 투명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난연성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고 투명 패널을 숄더에 맞닿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체결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투명 패널의 주변과 난연성 하우징의 내부 표면 사이의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주변 갭을 생성하고, 여기서 투명 패널의 외측 면과 숄더 사이의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면 갭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숄더 내에 형성되는 시일 그루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시일 그루브 내에 위치되는 시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시일은 습기가 디스플레이 개구에서 난연성 하우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숄더는 면 인터페이스 영역을 한정하는 선결정된 숄더 너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패널은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을 한정하는 선결정된 패널 두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화염경로 길이는 선결정된 패널 두께 더하기 선결정된 숄더 너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숄더의 숄더 너비 빼기 시일 그루브의 시일 그루브 너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시일 그루브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되는 외측 숄더 부분을 포함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모든 도면들 상에서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경화성 시일링 재료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의 난연성 디스플레이 패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유량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달 장치의 난연성 하우징의 AA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하우징의 디스플레이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투명 패널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달 장치의 난연성 하우징의 AA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하우징의 AA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 및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의 최선 모드를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를 당업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특정 예들을 도시한다. 발명의 원리들을 교시할 목적으로, 일부 통상적인 양태들은 단순화되었거나 생략되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이러한 예들로부터의 변경예들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들은 아래에 설명될 특징들은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예들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되는 특정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직 청구항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유량계(5)를 도시한다. 진동 유량계(5)는 유량계 조립체(10) 및 계측 전자 기기(20)를 포함한다. 계측 전자 기기(20)는 리드(lead)(100)들을 통해 계측 조립체(10)에 연결되고 통신 경로(communication path)(26) 전반에 걸친 농도, 질량 유량, 체적 유량, 총 질량 유동, 온도, 또는 다른 측정들 또는 정보들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측정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동기들, 픽-오프 센서들, 유동 도관들의 수, 또는 진동의 작동 모드와 관계없이, 진동 유량계(5)는 임의의 방식의 진동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 유량계(5)는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진동 유량계(5)는 진동 농도계(densitometer)를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되어야 한다.
유량계 조립체(10)는 플랜지(101a 및 101b)들, 매니폴드(102a 및 102b)들, 구동기(104)들, 픽-오프 센서(105a 및 105b)들, 및 유동 도관(103a, 103b)들의 쌍을 포함한다. 구동기(104) 및 픽-오프 센서(105a 및 105b)는 유동 도관(103a, 103b)들에 연결된다.
플랜지(101a 및 101b)들은 매니폴드(102a 및 102b)들에 부착된다. 매니폴드(102a 및 102b)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106)의 반대편 단부들에 부착될 수 있다. 스페이서(106)는 파이프라인(pipeline) 힘들이 유동 도관(103a 및 103b)들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니폴드(102a 및 102b)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유량계 조립체(10)가 측정될 유동 유체를 운반하는 (도시되지 않는) 파이프라인 내로 삽입될 때, 유동 유체는 플랜지(101a)를 통해 유량계 조립체(10)로 들어가며, 유동 유체의 총량이 유동 도관(103a 및 103b)들에 들어가도록 유도되는 입구 매니폴드(102a)를 통해 지나고, 유동 도관(103a 및 103b)들을 통하여 흐르며, 플랜지(101b)를 통하여 유량계 조립체(10)에서 떠나는 곳인 출구 매니폴드(102b) 내로 되돌아간다.
유동 유체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유체는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유체는 혼입(entrained) 가스들 및/또는 혼입 고체들을 포함하는 액체와 같은 다중 상(multi-phase)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도관(103a 및 103b)들은 각각, 굽힘 축선(Wa--Wa 및 Wb--Wb)들에 대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질량 분포, 관성 모멘트들, 및 탄성 계수들을 가지도록 선택되고 입구 매니폴드(102a)에 그리고 출구 매니폴드(102b)에 적합하게 장착된다. 유동 도관(103a 및 103b)들은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매니폴드(102a 및 102b)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유동 도관(103a 및 103b)들은 각각의 굽힘 축선(Wa 및 Wb)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구동기(104)에 의해 구동되며, 이는 진동 유량계(5)의 제 1 탈위상 굽힘 모드(out of phase bending mode)라 불린다. 구동기(104)는, 유동 도관(103a)에 장착되는 자석과 유동 도관(103b)에 장착되는 대향 코일과 같은 주지된 많은 배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교류 전류(alternating current)는 두 개의 도관들이 진동하는 것을 유발시키도록 대향 코일을 통해 통과된다. 적합한 드라이브 신호가 계측 전자 기기(20)에 의해 리드(110)를 통해 구동기(104)에 적용된다. 다른 구동기 장치들이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고려되고 그 범주 내에 있다.
계측 전자 기기(20)는 리드(111a 및 111b) 상에서 센서 신호들을 각각 수용한다. 계측 전자 기기(20)는, 구동기(104)가 유동 도관(103a 및 103b)을 진동시키는 것을 유발시키는 드라이브 신호를 리드(110) 상에서 생성한다. 다른 센서 장치들은 설명 및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고려되고 그 범주 내에 있다.
특히, 계측 전자 기기(20)는 유속(flow rate)을 계산하기 위해 픽-오프 센서(105a 및 105b)들로부터 좌측 및 우측 속도 신호들을 처리한다. 통신 경로(26)는 계측 전자 기기(20)가 작동자와 또는 다른 전자 시스템들과 인터페이싱(interface)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 및 출력 수단들을 제공한다. 도 2의 설명은 단지 코리올리 유량계의 작동의 예로서 제공되고 본 발명의 교시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계측 전자 기기(20)는 유동 도관(103a 및 103b)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진동은 구동기(104)에 의해 수행된다. 게다가 계측 전자 기기(20)는 픽오프 센서(105a 및 105b)들로부터 최종 진동 신호들을 수용한다. 진동 신호들은 유동 도관(103a 및 103b)의 진동 응답들을 포함한다. 계측 전자 기기(20)는 진동 응답들을 처리하고 응답 주파수 및/또는 위상 차(phase difference)를 결정한다. 계측 전자 기기(20)는 진동 응답을 처리하고 질량 유량 및/또는 유동 유체의 농도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측정들을 결정한다. 다른 진동 응답 특성들 및/또는 유동 측정들은 설명 및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고려되고 그 범주 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유동 도관(103a 및 103b)는 실질적으로 U형 유동 도관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유동 도관들은 실질적으로 곧은(straight) 유동 도관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U형 유동 도관들과 다른 곡선형 형상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도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유량계 형상들 및/또는 구성들은 설명 및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 범주 내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하우징(202)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transitter)(200)를 도시한다. 난연성 전달 장치(200)는 난연성 하우징(202)을 포함하며, 여기서 난연성 하우징(2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달 장치 구성요소(240)들(점선들 참조)을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난연성 전달 장치(200)는 계측 전자 기기(20)를 고정시킬 수 있고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달 장치 구성요소(240)들은 회로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난연성 전달 장치(200)는 진동 유량계 또는 유량계(5)들을 위한 통신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난연성 전달 장치(200)는 진동 유량계 또는 유량계(5)들을 위한 작동 및 제어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난연성 전달 장치(200)는 진동 유량계 또는 유량계(5)들을 위한 파워 전기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난연성 전달 장치(200)는 실질적으로 중공(hollow)인 난연성 하우징(202)을 주로 포함한다(참조 도 4). 난연성 하우징(202)은 금속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로 형성될 것이지만, 바람직하다면 다른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난연성 하우징(202)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서 도시되지만, 난연성 하우징(202)가 임의의 특정한 형상 또는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난연성 하우징(202)은 실질적으로 밀봉되도록 구성되고 점화(ignition) 또는 화염이 난연성 하우징(202) 내로든 또는 밖으로든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난연성 하우징(202)은 디스플레이 개구(display aperture)(212)를 포함한다. 도시되는 것처럼, 디스플레이 개구(212)는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거나, 다른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개구(212)는 임의의 바람직한 크기일 수 있고 난연성 하우징(202)의 외부 표면적의 임의의 바람직한 양을 차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디스플레이 개구(212)를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시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전자식 디스플레이들, 광-발생형(light-generating) 및/또는 광 조작형(light manipulating) 디스플레이들, 기계식 디스플레이들, 또는 전기기계식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스플레이 요소(2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난연성 하우징(202)의 외부로 개방되지 않는다. 난연성 하우징(202)은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개구(212)를 밀봉하는 투명 패널(230)을 포함한다(도 4 참조). 투명 패널(230)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리 또는 강화 유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투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난연성 하우징(202)은 적용가능한 난연성 기준들을 따르도록 디자인될 수 있으며, 여기서 화염(flame)은 난연성 하우징(202) 밖으로 또는 내로 통과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예컨대 난연성 전달 장치(200)는 위험하거나 폭발 환경에 위치되는 경우, 난연성 전달 장치(200)는 화염 또는 점화가 난연성 전달 장치(200)에 들어가거나 떠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 전자 기기(isolation electrics) 및/또는 물리적 배리어(barrier)들의 임의의 방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패널(230)과 난연성 하우징(202)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삽입구(spigot)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 조인트는 일반적으로, 화염의 빠른 에너지 소실을 통해 화염 전파(propagation)를 방지하는 엄격한 허용 공차의 정합 부품들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구 조인트들은 매우 엄격한 공차들에 대한 요구로 인해 유리 패널들 용으로 위해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삽입구 조인트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략 수천분의 1 인치 정도의 공차들을 달성할 수 있는 유리 처리 기술들의 달성을 통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난연성 하우징(202)은 난연성 하우징(202)로부터 연장하는 스탠드-오프(2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스탠드-오프(215)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난연성 하우징(202)에 포함될 수 있다. 스탠드-오프(215)는 스탠드-오프 통로(216)를 포함하며, 여기서 와이어들, 케이블들, 광학 섬유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들이 스탠드-오프 통로(216)을 통해 난연성 하우징(202)에 들어갈 수 있고 나갈 수 있다. 스탠드-오프(215)는 스레딩(threading)과 같은 커플링 섹션(21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커플링 섹션(218)은 난연성 하우징(202)을 (그리고 따라서 전달 장치(200)를) 진동 유량계(5) 또는 연관되는 구조물과 같은 또 다른 장치 또는 구조물에 제거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커플링 특징부들이 설명 및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고려되고 범주 내에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달 장치(200)의 난연성 하우징(202)의 AA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하우징(202)은 내부 표면(203)에 의해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중공형 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도면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개구(212)가 하우징(202)의 벽을 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또한 볼 수 있다. 하우징(202)이 하나 초과의 디스플레이 개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개구(212)가 난연성 하우징(202) 상의 다른 위치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하우징(202)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개구(212)는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202) 및 디스플레이 개구(212)는 임의의 바람직한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하우징(202)이 숄더(shoulder)(207)를 포함한다. 하우징(202)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라면, 숄더(207)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으로 환형(annular)일 수 있다. 숄더(207)는 가공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평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선결정된 표면 공차를 만족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결정된 표면 공차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면 평탄도(planarity) 공차를 포함할 수 있다. 선결정된 표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차는 표면 거칠기(roughness) 공차를 포함할 수 있다.
시일 그루브(seal groove)(209)는 숄더(207)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시일(210)은 시일 그루브(209)에 수용될 수 있다. 시일(210)은 습기 및 다른 오염물들이 디스플레이 개구(212)에서 하우징(202)으로 들어가지 않게 하도록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컨대 시일 그루브(209)가 실질적으로 환형인 경우, 시일(210)은 오-링(O-ring)(21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210)은 일부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탄성적일 수 있다.
시일 또는 시일들은 오-링들, 개스킷(gasket)들, 또는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클램핑(clamp)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같은 고체 시일 또는 시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일 또는 시일들은 액체, 페이스트(paste), 그리스(grease), 또는 선결정된 형상을 가지지 않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난연성 피드-스루(feed-through)(200)의 구성요소들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시일 또는 시일들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일 또는 시일들은 경화(harden)하고, 고화(cure)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립 과정 동안 또는 후에 변형시키거나 변형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패널(230)의 외측 면(231)(도 5 참조)이 숄더(207)와 접촉하면서 투명 패널(230)은 숄더(207)에 조립될 수 있다. 투명 패널(230)의 외측 면(231)은 또한 탄성적인 시일(210)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조립 방법 실시예들에서, 투명 패널(230)은 스피곳-타입 조인트(spigot-type joint)를 형성하기 위해 난연성 하우징(202)에 조립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외측 면(231) 및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이 연마(polish)되며, 평탄화되며, 밀링(mill)되며, 글라인딩(ground)되며, 에칭(etch)되며, 터닝(turn)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 및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 중 하나 또는 두 개 모두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된다. 유사하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숄더(207) 및 난연성 하우징(202)의 내측 표면(203)은 연마되며, 플레인되며, 밀링되며, 글라인딩되며, 에칭되며, 터닝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난연성 하우징(202)이 투명 패널(230)에 대한 선결정된 갭을 달성하는 것으로 처리된다. 다시 말해서, 투명 패널(230) 및 난연성 하우징(202)는 연마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보다 더 작은 갭 높이를 달성하도록 처리된다.
투명 패널(230)의 외측 면(231)은 선결정되는 표면 공차를 충족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록 투명 패널(230)의 단지 한 면이 외측 면(231)로서 분류(label)되지만, 투명 패널(230)의 모든 측면들이 연마될 수 있거나 선결정된 표면 공차로 처리될 수 있고 하우징(202)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결정된 표면 공차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결정된 표면 평탄도 공차를 포함할 수 있다. 선결정된 표면 공차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결정된 표면 거칠기 공차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은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과 접촉할 수 있다.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은 선결정된 크기 공차를 충족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결정된 크기 공차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결정된 크기 공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232)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경우, 주변(232)은 선결정된 직경 공차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과 주변(232) 사이의 갭의 갭 높이는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보다 더 작다. 선결정된 크기 공차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결정된 표면 거칠기 공차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될 때, 투명 패널(230)은 하우징(202) 내부에 위치되고, 투명 패널(230)의 외측 면(231)이 실질적으로 숄더(207)와 접촉하도록 운반된다. 외측 면(231)은 선결정된 표면 공차를 충족시키도록 형성된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숄더(207)는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을 한정한다.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투명 패널(230)의 외측 면(231)이 실질적으로 숄더(207)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실질적으로 평면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의 크기, 형상, 및 영역은 숄더(207)의 크기 및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한정된다. 숄더(207) 및 외측 면(231)이 엄격한 공차로 형성되기 때문에, 숄더(207)와 외측 면(231) 사이의 갭의 갭 높이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보다 작다면,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밀착된 피팅(closed fit)을 제공할 것이다. 외측 면(231)에 대한 그리고 숄더(207)에 대한 갭 높이 공차가 각각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의 대략 이분의 일인 경우, 이것이 달성될 수 있다.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제 2 화염경로 스팬(flamepath span)(L2)을 형성한다. 일부 또는 모든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숄더(207)의 숄더 너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숄더(207)의 숄더 너비 빼기 시일 그루브(209)의 시일 그루브 너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시일 그루브(209)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되는 숄더 부분(208)을 포함한다.
숄더(207)에 대한 투명 패널(230)의 조립은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을 또한 생성할 것이다.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은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이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에 인접한 영역을 포함할 것이다.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은 제 1 화염경로 길이(L1)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의 크기, 형상 및 영역은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의 크기 및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한정된다.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이 엄격한 공차들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표면(203) 및 주변(232) 사이의 갭의 갭 높이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보다 더 작은 경우,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은 밀착된 피팅을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에 제공할 것이다. 투명 패널(230)을 위한 갭 높이 공차 및 숄더(207) 및 내부 표면(203)을 위한 갭 높이 공차가 각각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의 약 이분의 일인 경우, 이것은 달성될 것이다.
투명 패널(230)과 난연성 하우징(202) 사이의 갭들이 존재하지 않거나, 적어도 선결정된 화염경로 갭 한도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갭들은 가스들이 관통하여 새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가스 또는 가스들의 가능한 점화를 허용할 수 있다. 갭들은 점화 제조물들이 투명 패널(230) 주변으로 전파하고 난연성 하우징(202)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투명 패널(230), 내부 표면(203), 및 숄더(207)는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규칙적이며, 즉 선결정된 표면 거칠기 내에 있다.
결합될 때,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및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최종(resulting) 또는 총 화염경로 길이(L1 + L2)를 제공한다. 화염경로 길이는 선결정된 최소 화염 경로 길이를 초과하도록 구성된다. 화염경로 길이는 적용가능한 난연성 기준에 의해 주어진 선결정된 최소 화염 경로 길이를 초과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를 초과함으로써, 화염경로 길이(L1 + L2)는 화염이 투명 패널(230) 주변을 성공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보장한다. 투명 패널(230)과 난연성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 사이의 갭을 고려하면, 화염경로 길이가 선택될 수 있어서, 화염은 점화를 발생시키는 충분한 열 또는 에너지 함량에 의해 투명 패널(230)의 한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전파될 수 없게 된다. 결론적으로, 하우징(202) 내의 화염은 외부로 빠져날 수 없고, 하우징(202) 외부쪽의 화염은 하우징(20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없다.
투명 패널(230)과 난연성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 사이의 화염 경로는 갭 높이 및 화염 경로 길이 모두를 가지는 것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난연성 기준에 대한 준수는 작은 갭 높이, 긴 화염 경로 길이, 또는 모두를 유지하는 것을 요구한다.
화염경로 길이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화염이 이동될 것이 요구되는 갭 또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길이로 정의된다. 난연성 기준들은 난연성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화염경로 길이를 통상적으로 한정한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과하는 화염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성공적으로 통과하기 전에 소멸되도록 최소 화염경로 길이가 한정된다.
난연성 하우징(202)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화염경로 길이는 투명 패널 두께 더하기 숄더의 너비를 포함한다. 난연성 하우징(202)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화염경로 길이는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포함한다. 난연성 하우징(202)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화염경로 길이는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숄더 너비 빼기 시일 그루브 너비를 포함한다. 난연성 하우징(202)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화염경로 길이는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2 화염경로 스팬(L2)는 시일 그루브(209)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되는 숄더 부분(208)의 숄더 너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난연성 하우징(202)은 IEC 60079-1:2007의 섹션(5.2.4.3)을 따르도록 디자인될 수 있으며, 이것은 삽입구 조인트를 가능하게 하며, 여기서 횡단면의 갭 높이는 최대 약 0.0059 inch(5.9×10-3 inch) 또는 최대 약 0.15 밀리미터일 수 있다(Commission Electrotechnique Internationale에 의해 발행된, "폭발성 가스 대기들을 위한 전기 장치- 파트 1: 난연성 밀봉들 'd'", IEC 60079-1:2007). 예를 들어, 외측 면(231)은 표면이 높이가 약 0.00295 inch 보다 더 큰 높이 편차들을 가지지 않도록 처리될 수 있다. 외측 면(231) 및 숄더(207) 모두가 약 0.00295 inch 보다 더 큰 편차들을 가지지 않는다면, 정합(mate)될 때,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갭은 횡단면의 높이가 0.0059 inch 보다 더 클 수 없다.
투명 패널(230)이 제자리에 있게 된 후, 예를 들어, 투명 패널(230)은 체결기 요소(236)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될 것이다. 체결기 요소(236)는 클램핑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투명 패널(230)을 숄더(207)에 맞닿게 고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체결기 요소(236)는 투명 패널(230)과 숄더(207)(즉,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 사이의 갭이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체결기 요소(236)는 투명 패널(230)이 숄더(207)의 반대로 이동할 수 없음을 보장할 수 있다.
체결기 요소(236)는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 상의 내부 하우징 체결기 특징부(204)에 상응하는 주변 체결기 특징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체결기 특징부(204 및 237)들은 스레딩(threading)을 포함하며, 여기서 체결기 요소(236)는, 체결 요소(236)가 투명 패널(230)과 접촉을 유지하게 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체결기 요소(236)는 스냅 링(snap ring)과 조합하는 웨이브 세척기(wave washer)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브 세척기는 스냅 링과 투명 패널(230) 사이에 위치된다. 스냅 링은 내부 표면(203) 상의 선결정된 위치의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냅 링은 내부 표면(203) 상의 그루브, 리지(ridge), 또는 다른 돌출부(projection) 또는 오목부(depression), 또는 다수의 이러한 특징부들과 결합할 수 있다. 웨이브 세척기는 세척기의 중심 평면의 반대로 변위되고 탄성적이고, 용수철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영역들을 가지는 파형(undulating) 세척기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압축될 때, 웨이브 세척기는 팽창 힘을 발생시킬 것이다. 웨이브 세척기는 스냅 링과 투명 패널(230)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될 때, 웨이브 세척기는 투명 패널(230)(또는 사이에 오는 다른 구성요소) 상에 힘을 위치시킬 것이다. 힘은 숄더(207)에 맞닿은 투명 패널(230) 상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나, 체결기 특징부(204 및 237)들은 임의의 적합한 체결기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되는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체결기 요소(236) 뒤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체결기 요소(236), 디스플레이 개구(212), 및 투명 패널(230)을 통하여 보일 수 있다. 체결기 요소(236)가 과장된 깊이로 도시되지만, 투명 패널(23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에 대해 더 작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체결기 요소(236) 내에 피팅(fit)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체결기 요소(236) 내부의 영역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체결기 요소(236) 내부의 영역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고 체결기 요소(236)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체결기들은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체결기 요소(236)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20) 및 체결기 요소(236)는 단일 구성요소로 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체결기 요소(236)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부분 및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포함하며, 따라서 내부 하우징 체결기 특징부(204)를 결합시킨다. 또 다른 대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20)이 투명 패널(230)과 접촉하게 될 수 있고, 체결기 요소(236)은 디스플레이 패널(220)과 접촉하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숄더(207)에 맞닿게 투명 패널(230)을 가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난연성 하우징(202)의 디스플레이 개구(212)를 폐쇄하기 위한 투명 패널(230)을 도시한다. 투명 패널(230)은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다. 투명 패널(230)은 바람직한 형상 및 두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패널(230)은 유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패널(230)은 강화 유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투명 패널(230)은 플렉시글라스(plexiglas) 또는 깨끗하거나 투명한 다른 플라스틱 재료들을 포함한다. 다른 투명 재료들이 투명 패널(230) 용으로 고려되고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하우징(202)의 AA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숄더(207)는 시일 그루브(209) 또는 시일(210)을 포함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전체 숄더 너비는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투명 패널(230)은 모따기 된(chamfered) 또는 경사진(beveled) 에지(27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진 에지(274)는 임의의 크기 또는 각도의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진 에지(274)는 숄더(207)에 대한 투명 패널(230)의 더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경사진 에지(274)는 선택적인 요소이고 난연성 하우징(202)의 임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하우징(202)의 AA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숄더(207)는 너비가 최소이고 화염경로 길이에 대해 현저하게 기여하지 않는다. 숄더(207)는 단지 투명 패널(230)을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 표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도면에 도시되는 것처럼,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포함하고 총 화염경로 길이를 근본적으로 포함한다.
임의의 실시예들에 따른 난연성 하우징은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난연성 하우징은 경화가능 시일(curable seal) 재료를 다루거나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 없이 투명 패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난연성 하우징은 경화가능 시일 재료를 적용하는 단계를 요구하지 않는 투명 패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난연성 하우징은 매우 정밀한 공차들의 달성을 통하여 난연성인 투명 패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난연성 하우징은 투명 패널 및 하우징 모두에 대한 경화가능 시일 재료의 결합에 의존하지 않는 투명 패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발명가들에 의해 고려되는 모든 실시예들의 완벽한 설명들은 아니다. 확실히, 당업자들은 전술된 실시예들의 특정한 요소들은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만들기 위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거나 제거될 수 있고, 이러한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 및 교시들 내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주 및 교시들 내에서 부가적인 실시예들을 생성하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또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음의 청구항들로부터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난연성 하우징(202)으로서,
    난연성 하우징(202) 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개구(212);
    디스플레이 개구(212)에 인접한 숄더(207);
    외측 면(231) 및 주변(232)을 포함하는 투명 패널(230); 및
    난연성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과 결합하고 투명 패널(230)을 숄더(207)에 맞닿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체결기 요소(236)를 포함하며,
    투명 패널(230)의 주변(232)과 난연성 하우징(202)의 내부 표면(203) 사이의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주변 갭을 생성하고, 투명 패널(230)의 외측 면(231)과 숄더(207) 사이의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면 갭을 생성하는,
    난연성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숄더(207) 내에 형성되는 시일 그루브(209); 및
    시일 그루브(209) 내에 위치되는 시일(210)을 더 포함하며,
    시일(210)은 습기가 디스플레이 개구(212)에서 난연성 하우징(202)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난연성 하우징.
  3. 제 1 항에 있어서,
    숄더(207)는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을 한정하는 선결정된 숄더 너비를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
  4.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패널(230)은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을 한정하는 선결정된 패널 두께를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염경로 길이는 선결정된 패널 두께 더하기 선결정된 숄더 너비를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
  6. 제 1 항에 있어서,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는,
    난연성 하우징.
  7. 제 2 항에 있어서,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숄더(207)의 숄더 너비 빼기 시일 그루브(209)의 시일 그루브 너비를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
  8. 제 2 항에 있어서,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264)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260)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시일 그루브(209)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되는 외측 숄더 부분(208)을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
  9.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난연성 하우징 내에 디스플레이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에 인접한 숄더를 제공하는 단계;
    외측 면 및 주변을 포함하는 투명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난연성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고 투명 패널을 숄더에 맞닿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체결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투명 패널의 주변과 난연성 하우징의 내부 표면 사이의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주변 갭을 생성하며, 투명 패널의 외측 면과 숄더 사이의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선결정된 난연성 갭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면 갭을 생성하는,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숄더 내에 형성되는 시일 그루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시일 그루브 내에 위치되는 시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시일은 습기가 디스플레이 개구에서 난연성 하우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숄더는 면 인터페이스 영역을 한정하는 선결정된 숄더 너비를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투명 패널은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을 한정하는 선결정된 패널 두께를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화염경로 길이는 선결정된 패널 두께 더하기 선결정된 숄더 너비를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는,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숄더의 숄더 너비 빼기 시일 그루브의 시일 그루브 너비를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주변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1 화염경로 스팬(L1)을 제공하고, 면 인터페이스 영역은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을 제공하며, 제 1 화염경로 스팬(L1) 더하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선결정된 최소 화염경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화염경로 길이를 제공하며, 제 2 화염경로 스팬(L2)은 시일 그루브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되는 외측 숄더 부분을 포함하는,
    난연성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157007816A 2012-08-28 2012-08-28 디스플레이를 갖는 난연성 하우징 KR101907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52632 WO2014035373A1 (en) 2012-08-28 2012-08-28 Flameproof housing with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603A true KR20150047603A (ko) 2015-05-04
KR101907431B1 KR101907431B1 (ko) 2018-10-12

Family

ID=4684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816A KR101907431B1 (ko) 2012-08-28 2012-08-28 디스플레이를 갖는 난연성 하우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0225942B2 (ko)
EP (1) EP2891392A1 (ko)
JP (1) JP6282652B2 (ko)
KR (1) KR101907431B1 (ko)
CN (1) CN104737632B (ko)
AR (1) AR092214A1 (ko)
AU (1) AU2012388775B2 (ko)
BR (1) BR112015004369B1 (ko)
CA (1) CA2881819C (ko)
HK (1) HK1212140A1 (ko)
MX (1) MX364990B (ko)
RU (1) RU2602430C2 (ko)
SG (1) SG11201501302SA (ko)
WO (1) WO2014035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6292B2 (en) * 2018-09-27 2021-04-13 Rosemount Inc. Self-contained sensor module for hazardous locations
US11513018B2 (en) * 2020-09-30 2022-11-29 Rosemount Inc. Field device housing assembly
DE102022108191A1 (de) 2022-04-05 2023-10-05 Vega Grieshaber Kg Gehäusedeckel mit Sichtfens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3260A1 (en) * 1981-03-12 1982-09-30 Hill Stuart Leonard Electrical power units
JPH05288577A (ja) * 1992-04-06 1993-11-02 Yamatake Honeywell Co Ltd 耐圧防爆容器とその組立方法
JP2003510598A (ja) * 1999-09-28 2003-03-18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合可能プロセス送信機
US20120063065A1 (en) * 2010-09-14 2012-03-15 Rosemount Inc. Collar Style cover and housing assembly for fiel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505Y2 (ko) * 1975-09-03 1980-04-23
JPS5553834Y2 (ko) * 1976-06-02 1980-12-12
FR2651270B3 (fr) * 1989-08-23 1991-11-29 Klein Ets Georges Structure coupe-feu, notamment pour porte, fenetre ou analogue.
JP3148884B2 (ja) * 1995-12-07 2001-03-26 株式会社山武 現場型計器
JP3622133B2 (ja) * 1997-12-04 2005-02-23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感知器
DK0945714T3 (da) * 1998-03-17 2011-01-31 Endress & Hauser Deutschland Ag & Co Kg Elektronisk udstyr til brug i eksplosionsudsatte områder
US6153720A (en) * 1998-04-02 2000-11-28 Alliedsignal Inc. Data and cockpit voice recorder enclosure
US6152423A (en) * 1998-05-04 2000-11-28 Micro Motion, Inc. Control valve main seal retainer with an assembly and removal tool
DE19860383B4 (de) 1998-12-28 2005-06-09 Bartec Gmbh Bildschirm
US6286373B1 (en) 1999-02-12 2001-09-11 Micro Motion, Inc. Coriolis flowmeter having an explosion proof housing
JP2002108563A (ja) * 2000-10-04 2002-04-12 Asahi Eng Co Ltd 内圧防爆構造の大型表示器
RU27883U1 (ru) * 2002-07-16 2003-02-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вычислительных комплексов им. М.А. Карцева" Корпус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защиты от экстремальных механических и тепловых воздействий технически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и прочих требующих защиты объектов
DE20319489U1 (de) * 2003-12-16 2004-04-01 Ksb Aktiengesellschaft Explosionsgeschütztes Gehäuse
JP2006278861A (ja) * 2005-03-30 2006-10-12 Yokogawa Electric Corp シールド付きフィールド機器
WO2007028130A2 (en) * 2005-09-02 2007-03-08 Abb Inc. Modular gas chromatograph
JP5234994B2 (ja) 2009-05-26 2013-07-10 公益財団法人 佐賀県地域産業支援センター 真空装置への試料搬送導入装置
CN201732526U (zh) * 2010-05-11 2011-02-02 天津市隆电电气工程有限公司 隔爆型防爆双面显示器
US9089049B2 (en) * 2013-06-28 2015-07-21 Rosemount Inc. Process transmitter housing assembly with viewing area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3260A1 (en) * 1981-03-12 1982-09-30 Hill Stuart Leonard Electrical power units
JPH05288577A (ja) * 1992-04-06 1993-11-02 Yamatake Honeywell Co Ltd 耐圧防爆容器とその組立方法
JP2003510598A (ja) * 1999-09-28 2003-03-18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合可能プロセス送信機
US20120063065A1 (en) * 2010-09-14 2012-03-15 Rosemount Inc. Collar Style cover and housing assembly for field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3-510598호(2003.03.18.)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431B1 (ko) 2018-10-12
BR112015004369A2 (pt) 2017-07-04
AR092214A1 (es) 2015-04-08
SG11201501302SA (en) 2015-05-28
US20150208538A1 (en) 2015-07-23
US10225942B2 (en) 2019-03-05
HK1212140A1 (en) 2016-06-03
WO2014035373A1 (en) 2014-03-06
JP2015530571A (ja) 2015-10-15
AU2012388775A1 (en) 2015-02-26
EP2891392A1 (en) 2015-07-08
CN104737632B (zh) 2017-10-13
CN104737632A (zh) 2015-06-24
AU2012388775B2 (en) 2015-12-17
US10779429B2 (en) 2020-09-15
RU2015111262A (ru) 2016-10-20
MX2015001815A (es) 2015-05-07
JP6282652B2 (ja) 2018-02-21
CA2881819A1 (en) 2014-03-06
RU2602430C2 (ru) 2016-11-20
CA2881819C (en) 2017-05-16
MX364990B (es) 2019-05-17
US20190082549A1 (en) 2019-03-14
BR112015004369B1 (pt)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429B2 (en) Method of forming a flameproof housing
US9534939B2 (en) Flameproof electrical feed-through
JP2023055935A (ja) 防爆性のフィードスルー
KR101853100B1 (ko) 피드-스루
JP6752135B2 (ja) 防炎性の電気フィードスルー
JP2019145507A (ja) 防炎性の電気フィードスルー
CN112639413B (zh) 防爆馈通
JP2024503420A (ja) フィードスルー部品が改善された電気的接合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