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848A -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 Google Patents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848A
KR20150046848A KR1020130126322A KR20130126322A KR20150046848A KR 20150046848 A KR20150046848 A KR 20150046848A KR 1020130126322 A KR1020130126322 A KR 1020130126322A KR 20130126322 A KR20130126322 A KR 20130126322A KR 20150046848 A KR20150046848 A KR 2015004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mmet
pin
plug
stick
sti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977B1 (ko
Inventor
이준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9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각종 내외장재 및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플러그를 조립 전 원피스 구조로 제작하고, 조립 후 투피스로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정비 및 재활용 등을 위한 해체 작업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립 전까지 핀과 그로멧이 일체형의 원피스 구조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출 성형시 핀과 그로멧을 일체로 성형함에 따른 성형 공정수 절감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핀과 그로멧이 조립 후에 투피스 구조로 상호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투피스 구조에 따른 체결력 증강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핀과 그로멧이 상호 분리되며 조립되더라도, 정비 또는 재활용을 위한 해제 작업시 핀이 상승하면서 그로멧을 당기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정비 및 재활용을 위한 해체 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Plug for disassembling easily}
본 발명은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각종 내외장재 및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플러그를 조립 전 원피스 구조로 제작하고, 조립 후 투피스로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정비 및 재활용 등을 위한 해체 작업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러기지사이드 트림, 트랜스버스 트림 등)은 인접한 차체패널 또는 트림 등에 밀착 조립되는 바, 이러한 내외장 부품을 차체패널 또는 트림 등에 결합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플라스틱 패스너(이하, 플러그로 칭함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원피스(one piece) 플러그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종래의 원피스 플라스틱 플러그는 마치 스크류와 같이 헤드(head)부와 스틱(stick)부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제작되고 있으며, 스틱부(2)의 외경부에 다수의 걸림부(3)가 등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제작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 걸림부(3)는 체결력 향상을 위하여 삽입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삿갓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틱부(2)를 내외장 부품을 관통하여 삽입 체결하면, 삿갓 형태로 된 걸림부(3)가 패널 또는 트림의 내경부에 걸리는 동시에 헤드부(1)가 내외장 부품의 표면에 밀착되어, 특정 패널 또는 트림에 대한 내외장 부품의 조립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원피스 플러그의 해체 시 공구가 들어갈 공간이 부족하여, 헤드부(1)의 외곽부 틈새만으로 공구(40)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해체 시 헤드부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원피스 플러그는 스틱부에 형성된 걸림부가 삿갓 형상으로서, 패널 또는 트림에 걸려 강한 밀착 지지력으로 버티고 있는 구조를 띠고 있기 때문에, 강제 힘으로 해체 시 스틱부의 걸림부가 파손되어 플러그의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해당 부품을 비롯하여 패널 및 트림 등과 같은 주변 부품에도 파손 및 손상이 발생하여, 제반 정비 비용 등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첨부한 도 2는 종래의 투피스(two piece) 타입의 플러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종래의 투피스 플라스틱 플러그는 해당 내외장재 부품과 패널 등에 먼저 체결되는 그로멧(4, grommet)과, 그로멧(4)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그로멧(4)을 외경방향으로 팽창(확장)시켜 조립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한 핀(5)으로 구성되어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그로멧(4)은 내경부에 암나사부 등이 형성된 중공 구조로서, 하단부에 걸림 구조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핀(5)은 그로멧의 내경부에 삽입 체결되도록 외경부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 타입으로 구비되어, 해당 내외장재 부품과 패널 등에 그로멧이 먼저 1차 체결되고, 그로멧의 내경부에 핀이 2차로 나사 체결되는 동시에 그로멧을 외경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내외장재 부품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투피스 플러그는 핀과 그로멧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조립시 해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해체의 경우 핀의 헤드부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에 드라이버를 끼워서 풀어주어야 하는데, 폐차 처리시 혹은 정비 시 드라이버 홈이 뭉개져서 해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로멧과 핀을 별도로 사출 성형함에 따른 성형 공정수 증가 및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 전까지 핀과 그로멧이 일체형의 원피스 구조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출 성형시 핀과 그로멧을 일체로 성형함에 따른 성형 공정수 절감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핀과 그로멧이 조립 후에 투피스 구조로 상호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투피스 구조에 따른 체결력 증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핀과 그로멧이 상호 분리되며 조립되더라도, 정비 또는 재활용을 위한 해제 작업시 핀이 상승하면서 그로멧을 당기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정비 및 재활용을 위한 해체 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 삽입구를 갖는 제1헤드부와, 제1헤드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스틱부와, 제1스틱부의 외경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그로멧과; 상기 그로멧의 내경부에 잠금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스틱부와, 제1스틱부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헤드부를 포함하는 핀과; 상기 그로멧의 내부에 핀이 삽입 체결될 때, 그로멧에 핀을 잠금시키는 잠금수단; 으로 구성하되, 상기 그로멧과 핀은 제1헤드부의 중공삽입구 입구와 제2스틱부의 하단끝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조립 전 까지 원피스를 유지하고, 조립시 핀이 그로멧의 내경부에 압입되어 투피스로 분리되는 동시에 잠금수단에 의하여 잠금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잠금수단은: 제1스틱부에 좌우로 관통된 슬롯과; 슬롯의 하단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잠금턱과; 제2스틱부의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슬롯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잠금턱의 저부에 걸려 잠금되거나, 잠금턱 위로 올라와 잠금 해제되는 동시에 슬롯의 상단에 걸려 그로멧에 대한 핀의 가조립 상태를 제공하는 걸림턱;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스틱부의 걸림턱과 직교되는 양측면의 하단부에는 제2스틱부의 수축 및 팽창을 위한 탄력제공공간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스틱부의 걸림턱과 직교되는 양측면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하여 외부방향으로 더 돌출된 가압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단에는 제1헤드부의 중공삽입구 내경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헤드부의 상면 중앙부는 제1평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외주부는 외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헤드부의 저면은 제2평면으로 형성되어, 제1평면과 제2평면이 밀착될 때 제2평면과 경사면 사이에 공구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조립 전까지 핀과 그로멧이 일체형의 원피스 구조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출 성형시 핀과 그로멧을 일체로 성형함에 따른 성형 공정수 절감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핀과 그로멧이 조립 후에 투피스 구조로 상호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투피스 구조에 따른 내외장재 부품의 체결력 증강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플러그의 해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공구를 이용하여 핀을 들어 올려 1차 해체한 후, 핀이 그로멧에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핀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그로멧이 따라 올라오며 2차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공구를 간단히 제끼는 동작과 핀을 당기는 동작 만으로 플러그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기존의 플러그는 걸림부 또는 나사부에 파손이 발생하여 해체가 어렵지만, 본 발명의 플러그는 공구를 이용하여 원터치 개념을 해체가 가능하여 헤드부 및 걸림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종래의 플러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의 그로멧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의 핀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의 그로멧과 핀이 조립 전 원피스 구조를 이루는 연결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의 해제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조립 전 원피스(one piece)를 유지하고, 조립 후 투피스(two piece)로 분리되는 해체가 용이한 플라스틱 패스너 즉,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1) 환경관련법규(EU 리싸이클 형식승인 등) 강화에 의해 재활용율(재활용율은 해체가 용이하여 부품/패스너 파손없이 재사용 가능한 비율을 포함)을 높이기 위해서는 폐차 단계에서 하드웨어(Hardware)의 해체가 용이해야 하는 점,
2) 폐차처리 단계에서 부품의 재사용/재활용/재제조 향상을 위해서 이전 프로세스인 해체단계에서 해체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특히 재사용/재활용/재제조하고자 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하드웨어가 해체 용이하게 설계/적용되어야 하는 점,
3) A/S 혹은 정비(수리) 시 해당부품을 손상없이 교체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가 해체 용이하게 설계되어야 하고, 정비시간 및 비용 감소, 부품/패스너의 파손 방지로 추가적인 재료비 등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점,
4) 인 라인(In-line)에서의 많은 수의 조립 작업을 고려한 하드웨어의 용이한 조립성을 고려해야 하는 점.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헤드부에 별도의 공구 삽입홀을 형성하고, 헤드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틱부의 외경에 다수의 사각 판형 걸림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한 새로운 구조의 플러그를 제공하여, 내외장 부품의 조립 체결력을 강건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정비 및 재활용을 위한 해체 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발명의 플러그는 첨부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대상 부품에 1차로 먼저 삽입 체결되는 그로멧(100)과, 그로멧(100)의 내경부에 2차로 삽입되면서 그로멧을 외경방향으로 팽창시키는 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로멧(100)은 도 5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중공 삽입구(112)를 갖는 제1헤드부(110)와, 제1헤드부(1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스틱부(120)와, 제1스틱부(120)의 외경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부(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헤드부(110)의 중공삽입구(112)의 내경면에는 하기의 핀(200) 삽입시 직진 방향성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돌기(114)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30)는 제1스틱부(12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삿갓 형태의 날개로 구성된다.
상기 핀(200)은 그로멧(100)의 내경부에 잠금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스틱부(220)와, 제1스틱부(110)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헤드부(210)로 구성되며, 이러한 핀(200)은 그로멧(100)의 내부에 삽입되기 전까지 그로멧(1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원피스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첨부한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그로멧(100)의 제1헤드부(110)의 중공삽입구(112) 입구와 상기 핀(200)의 제2스틱부(220)의 하단끝이 약 4곳 정도 일체로 연결되며 성형됨으로써, 상기 그로멧(100)과 핀(200)은 조립 전 까지 원피스를 유지하고, 조립시 핀(200)이 그로멧(100)의 내경부에 압입되면서 투피스로 분리된다.
특히, 상기 핀(200)이 그로멧(100)의 내부에 삽입 체결될 때, 핀(200)이 잠금수단에 의하여 그로멧(100)내에 잠금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수단은 그로멧과 핀의 접촉면에 걸쳐 형성되는 바, 그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잠금수단의 일 구성으로서,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그로멧(100)의 제1스틱부(120)에는 좌우로 관통되어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슬롯(122)이 형성되고, 이 슬롯(122)의 하단부에 한 쌍의 잠금턱(12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슬롯(122)의 상단끝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의 분리시 완전 분리되지 않고, 핀이 걸려서 가조립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의 다른 구성으로서,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핀(200)의 제2스틱부(220)의 양측 하단부에는 걸림턱(22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200)의 제2스틱부(220)가 그로멧(100)의 제1헤드부(110)에 형성된 중공삽입구(112)를 통하여 삽입되면, 제2스틱부(220)의 걸림턱(222)이 슬롯(122)을 따라 하강하면서 슬롯(122) 하단의 잠금턱(124)을 넘어서 잠금턱(124)의 저부에 걸려 잠금됨으로써, 그로멧(100)에 대한 핀(2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반면, 상기 핀(200)을 해체하기 위하여 뽑아내면, 제2스틱부(220)의 걸림턱(222)이 잠금턱(124)을 넘어서 잠금턱(124) 위로 올라와 잠금 해제되는 동시에 슬롯(122)을 따라 승강하여 슬롯(122)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핀(200)의 제2스틱부(220)의 양측면 즉, 걸림턱(222)과 직교되는 양측면의 하단부에는 제2스틱부(220)의 수축 및 팽창을 위한 탄력제공공간(224)이 관통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스틱부(220)의 걸림턱(222)과 직교되는 양측면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하여 외부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핀(200)이 그로멧(100)내에 삽입될 때 그로멧(100)을 외경방향으로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가압단(226)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단(224)에는 제1헤드부(110)의 중공삽입구(112) 내경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가이드홈(228)이 형성되며, 이에 핀(200)이 그로멧(100)내에 삽입될 때 가이드돌기(114)와 가이드홈(228)이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핀(200)의 삽입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로멧(100)내에 핀(200)이 삽입 체결된 후, 정비 또는 재활용을 위하여 핀(200)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공구(예를 들어, 일자 드라이버)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공구의 끝단부를 지렛대와 같이 집어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헤드부(110)의 상면 중앙부는 제1평면(116)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외주부는 외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18)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헤드부(210)의 저면은 제2평면(212)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헤드부(110)의 제1평면(116)에 대하여 제2헤드부(210)의 제2평면(212)이 밀착될 때, 제2평면(212)과 경사면(118) 사이에 공구삽입공간(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플러그에 대한 조립 과정을 첨부한 도 8을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 대상의 내외장재 부품에 대하여 그로멧(100)이 1차로 삽입 체결되어, 그로멧(100)의 제1스틱부(120)에 형성된 걸림부(130)가 내외장재 부품과 밀착된 패널 또는 트림의 저부에 걸려서 체결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그로멧(100)의 제1헤드부(110)의 중공삽입구(112) 입구와 상기 핀(200)의 제2스틱부(220)의 하단끝이 약 4곳 정도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그로멧(100)과 핀(200)은 원피스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상기 핀(200)의 제2헤드부(210)를 가압하면, 핀과 그로멧이 일체로 연결된 부분이 파단되는 동시에 핀(200)의 제2스틱부(220)가 그로멧(100)의 제1헤드부(110)에 형성된 중공삽입구(112)를 통하여 삽입되며, 핀(200)의 가이드홈(228)과 그로멧(100)의 가이드돌기(114)가 매칭되어 핀(200)의 삽입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스틱부(220)의 걸림턱(222)이 슬롯(122)을 따라 하강하면서 슬롯(122) 하단의 잠금턱(124)을 넘어서 잠금턱(124)의 저부에 걸려 잠금되는 동시에 상기 제2스틱부(220)의 가압단(226)이 그로멧(100)의 제1스틱부(120)를 외경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제1스틱부(120)의 외경에 형성된 걸림부(130)가 패널 또는 트림의 저부에 완전하게 밀착되며 걸리는 상태가 되어, 결국 그로멧(100)에 대한 핀(2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플러그에 대한 해체 과정을 첨부한 도 9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그로멧(100)의 제1헤드부(110)와 상기 핀(200)의 제2헤드부(210) 사이에 형성된 공구삽입공간(214)내에 공구(예를 들어, 일자 드라이버)의 끝단부를 집어 넣어 지렛대와 같이 들어올린다.
이어서, 상기 핀(200)을 해체하기 위하여 위로 뽑아내면, 제2스틱부(220)의 걸림턱(222)이 잠금턱(124)을 넘어서 잠금턱(124) 위로 올라와 잠금 해제되는 동시에 슬롯(122)을 따라 승강하여 슬롯(122)의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핀(200)은 그로멧(100)에 대하여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연이어, 위로 뽑아진 핀(200)을 잡고 당기게 되면, 걸림턱(222)이 슬롯(122)에 상단에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그로멧(100)이 핀(200)의 당김력에 의하여 위쪽으로 뽑아지면서 용이하게 분리되어진다.
이와 같이, 공구를 이용하여 핀을 들어 올려 1차 해체한 후, 핀이 그로멧에 가조립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핀을 당기는 힘에 의하여 그로멧이 따라 올라오며 2차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공구를 간단히 제끼는 동작과 핀을 당기는 동작 만으로 플러그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0 : 그로멧 110 : 제1헤드부
112 : 중공 삽입구 114 : 가이드돌기
116 : 제1평면 118 : 경사면
120 : 제1스틱부 122 : 슬롯
124 : 잠금턱 130 : 걸림부
200 : 핀 210 : 제2헤드부
212 : 제2평면 214 : 공구삽입공간
220 : 제2스틱부 222 : 걸림턱
224 : 탄력제공공간 226 : 가압단
228 : 가이드홈

Claims (6)

  1. 중공 삽입구(112)를 갖는 제1헤드부(110)와, 제1헤드부(1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스틱부(120)와, 제1스틱부(120)의 외경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부(130)를 포함하는 그로멧(100)과;
    상기 그로멧(100)의 내경부에 잠금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스틱부(220)와, 제1스틱부(110)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헤드부(210)를 포함하는 핀(200)과;
    상기 그로멧(100)의 내부에 핀(200)이 삽입 체결될 때, 그로멧(100)에 핀(200)을 잠금시키는 잠금수단;
    으로 구성하되,
    상기 그로멧(100)과 핀(200)은 제1헤드부(110)의 중공삽입구(112) 입구와 제2스틱부(220)의 하단끝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조립 전 까지 원피스를 유지하고, 조립시 핀(200)이 그로멧(100)의 내경부에 압입되면서 투피스로 분리되는 동시에 잠금수단에 의하여 잠금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제1스틱부(120)에 좌우로 관통된 슬롯(122)과;
    슬롯(122)의 하단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잠금턱(124)과;
    제2스틱부(220)의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슬롯(122)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잠금턱(124)의 저부에 걸려 잠금되거나, 잠금턱(124) 위로 올라와 잠금 해제되는 동시에 슬롯(122)의 상단에 걸려 그로멧(100)에 대한 핀(200)의 가조립 상태를 제공하는 걸림턱(22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스틱부(220)의 걸림턱(222)과 직교되는 양측면의 하단부에는 제2스틱부(220)의 수축 및 팽창을 위한 탄력제공공간(224)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스틱부(220)의 걸림턱(222)과 직교되는 양측면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하여 외부방향으로 더 돌출된 가압단(226)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224)에는 제1헤드부(110)의 중공삽입구(112) 내경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의 가이드홈(2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110)의 상면 중앙부는 제1평면(116)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외주부는 외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18)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헤드부(210)의 저면은 제2평면(212)으로 형성되어, 제1평면(116)과 제2평면(212)이 밀착될 때 제2평면(212)과 경사면(118) 사이에 공구삽입공간(214)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KR1020130126322A 2013-10-23 2013-10-23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KR10155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322A KR101550977B1 (ko) 2013-10-23 2013-10-23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322A KR101550977B1 (ko) 2013-10-23 2013-10-23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848A true KR20150046848A (ko) 2015-05-04
KR101550977B1 KR101550977B1 (ko) 2015-09-07

Family

ID=5338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322A KR101550977B1 (ko) 2013-10-23 2013-10-23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9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10A (ko) * 2018-07-06 2020-01-15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패스너 조립체
CN111571930A (zh) * 2020-06-08 2020-08-25 黄景温 一种新型智能化注塑模具
CN111609013A (zh) * 2020-05-29 2020-09-01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止退型铆钉和天线
US11365754B2 (en) * 2019-04-18 2022-06-21 Ami Industries, Inc. Detachable fasten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864A (ja) 2003-04-10 2004-11-04 Nifco Inc 留め具
JP4649139B2 (ja) 2004-07-15 2011-03-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止め具
JP2007170460A (ja)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10A (ko) * 2018-07-06 2020-01-15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패스너 조립체
US11920623B2 (en) 2018-07-06 2024-03-05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ssembly
US11365754B2 (en) * 2019-04-18 2022-06-21 Ami Industries, Inc. Detachable fastener assembly
CN111609013A (zh) * 2020-05-29 2020-09-01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止退型铆钉和天线
CN111571930A (zh) * 2020-06-08 2020-08-25 黄景温 一种新型智能化注塑模具
CN111571930B (zh) * 2020-06-08 2021-03-02 深圳市瑞华新兴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注塑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977B1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977B1 (ko)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US7306419B2 (en) Fastener
US6514023B2 (en) Removable and reusable fastener
CN103711759B (zh) 卡夹
US20100293761A1 (en) Clip
WO2015062510A1 (zh) 一次性防窃启锁扣
US9528540B2 (en) Insertion-locking pin and grommet and related methods
US20150176621A1 (en) Fastener for vehicle
CN104057893B (zh) 一种便于检修尾灯的汽车背门内饰板
WO2009042824A1 (en) Internal thread hole closing plug
CN111946712B (zh) 汽车用防松螺母
KR101405715B1 (ko) 자동차용 패스너
KR20130084349A (ko) 자동차용 패스너
KR101476857B1 (ko) 밴드케이블
CN113969928B (zh) 一种紧固件胚料及其预装配结构与装配结构
KR20110101004A (ko) 자동차용 패스너
KR101558666B1 (ko)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KR20080034271A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
KR101033882B1 (ko) 자동차용 패스너
KR101033902B1 (ko) 자동차용 패스너
CN216666171U (zh) 一种用于汽车制造技术中固定塑件的卡钉
CN211501243U (zh) 分叉式可重复利用膨胀螺丝
JP6463165B2 (ja) 取付孔への係止具
CN215719982U (zh) 一种塑料卡接结构
CN218031020U (zh) 一种防松快拆快装螺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