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349A - 자동차용 패스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349A
KR20130084349A KR1020120005045A KR20120005045A KR20130084349A KR 20130084349 A KR20130084349 A KR 20130084349A KR 1020120005045 A KR1020120005045 A KR 1020120005045A KR 20120005045 A KR20120005045 A KR 20120005045A KR 20130084349 A KR20130084349 A KR 2013008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grommet
groove
temporary assembly
gromm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4349A/ko
Publication of KR2013008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4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 B21J15/041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by pushing a drive-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로멧의 상단에 스냅 핏(snap-fit) 체결을 위한 가조립돌기를 적용하여 가조립시 그로멧이 체결돌기에 의해 핀에 걸림으로써, 해체 시 그로멧의 하단부가 벌려지는 것에 상관없이 핀과 그로멧을 동시에 해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패스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스너는 조립 시 핀이 그로멧의 내부에 삽입되면 그로멧의 하단부가 벌려짐에 따라 부품과 차체 패널을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부품과 차체 패널의 체결홀에 삽입되는 그로멧; 상기 그로멧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간에 가조립홈을 가지는 핀; 상기 그로멧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가조립홈과 스냅 핏 체결되는 방식으로 그로멧과 핀을 가조립할 수 있도록 된 가조립돌기;를 포함하고, 핀의 중간에 가조립홈을 적용하여 핀과 그로멧 사이의 그립부를 증대시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패스너{Fastener for vehicle}
본 발명이 자동차용 패스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자동차용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내외장 부품, 예를 들면 범퍼, 휠가드, 테일게이트 트림, 카울탑커버 등을 위주로 패널과 부품의 연결에 플라스틱 패스너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현재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패스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플라스틱 패스너는 외부에 나사산을 가지는 핀(1)과, 내부에 나사산을 가지며 핀(1)과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그로멧(2)으로 구성된다.
핀(1)의 헤드부에는 십자홈이 형성되고, 십자홈을 통해 공구로 핀(1)을 돌려 핀(1)이 그로멧(2)에 나사체결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그로멧(2)의 하부에는 절개부(3)와 걸림턱(4)이 형성되어, 핀(1)이 그로멧(2)에 삽입됨에 따라 그로멧(2)의 하부가 반경방향으로 벌려질 수 있고, 그로멧(2)의 하부가 벌려질 경우에 걸림턱(4)에 의해 그로멧(2)이 부품(5)과 패널(6)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품(5)과 패널(6)을 패스너로 고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품(5)과 패널(6)의 체결홀이 서로 일치되게 부품(5)과 패널(6)을 중첩시키고, 가조립된 그로멧(2)과 핀(1)을 상기 체결홀을 통해 삽입한 후 그로멧(2)이 고정된 상태에서 핀(1)을 그로멧(2)의 내부에 삽입 및 회전하는 방식으로 나사 체결한다.
상기 핀(1)을 그로멧(2)에 완전히 체결하면, 그로멧(2)의 하부가 핀(1)의 삽입에 의해 벌려짐으로써 그로멧(2)이 걸림턱(4)에 의해 패널(6)에 고정되어 부품(5)과 패널(6)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사식으로 그로멧(2)과 핀(1)을 체결 및 해체하는 경우에 체결 및 해체를 위해 공구를 사용하여 핀(1)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그로멧(2) 및 핀(1)은 플라스틱 재질이기 때문에 폐차 처리 및 정비 시 핀(1)의 헤드부에 형성된 십자홈이 뭉개져서 해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핀(1)을 공구로 강제 해체하게 되므로 패스너 및 체결된 부품(5)의 손상으로 인해 새로운 패스너 및 부품(5)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되어 많은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패스너는 나사 체결방식 대신에 핀(1)의 헤드부를 누르기만 하면 한번에 조립되도록 하는 원터치 방식의 패스너가 개발되었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패스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핀(10)의 몸체부에 체결홈(10a)이 형성되고, 핀(10)의 하단에 가조립부(11)가 형성되어 있어서, 핀(10)을 그로멧(12)의 내부에 삽입하여 완전히 누르면 그로멧(12)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단(12a)이 핀(10)의 몸체부 중간에 형성된 체결홈(10a)에 걸려 체결되고, 그로멧(12)이 반경방향으로 벌려짐으로써, 부품과 패널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패스너 해체시 핀(10)의 헤드부를 잡아 들어올리는 경우에 그로멧(12)의 걸림단(12a)이 핀(10)의 체결홈(10a)에서 해제되고 핀(10)의 가조립부(11)에 의해 걸림으로써, 부품과 패널의 체결홀에서 핀(10)과 그로멧(12)을 동시에 탈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그로멧(12)의 걸림단(12a)이 벌려진 채로 오랫동안 유지되다가 핀(10)과 그로멧(12)을 해체하는 경우에 그로멧(12)의 걸림단(12a)이 원래 위치 오므려지지 않고 핀(10)의 가조립부(11)에 의해 걸리지 않음으로 인해 핀(10)이 그로멧(12)에서 그대로 빠져나옴에 따라 핀(10) 해체 후 그로멧(12)을 다시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그로멧의 상단에 스냅 핏(snap-fit) 체결을 위한 가조립돌기를 적용하여 가조립시 그로멧이 체결돌기에 의해 핀에 걸림으로써, 해체 시 그로멧의 하단부가 벌려지는 것에 상관없이 핀과 그로멧을 동시에 해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패스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스너는 조립 시 핀이 그로멧의 내부에 삽입되면 그로멧의 하단부가 벌려짐에 따라 부품과 차체 패널을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부품과 차체 패널의 체결홀에 삽입되는 그로멧; 상기 그로멧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간에 가조립홈을 가지는 핀; 상기 그로멧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가조립홈과 스냅 핏 체결되는 방식으로 그로멧과 핀을 가조립할 수 있도록 된 가조립돌기;를 포함하고, 핀의 중간에 가조립홈을 적용하여 핀과 그로멧 사이의 그립부를 증대시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조립돌기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과 그로멧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핀을 해체하는 경우에 그로멧의 가조립돌기가 핀의 가조립홈에 걸려 그로멧과 핀을 동시에 해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은 헤드부의 저면에서 직하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조립 및 해체 시 강한 힘에도 핀이 유동적이며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로멧은 상부헤드부의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공구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공구삽입홈으로 공구의 단부를 밀면 핀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스너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그로멧의 내측 상단부 둘레에 스냅 핏 체결방식의 가조립돌기를 적용하여 가조립시 핀과 그로멧 사이의 그립부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로, 그로멧의 상부헤드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공구삽입홈을 마련하여 해체 시 공구를 공구삽입홈으로 밀기만 하면 핀을 쉽게 해제할 수 있고, 가조립돌기에 의해 핀과 그로멧을 동시에 부품 및 차체패널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공구삽입홈이 전후좌우 4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느 방향에서나 해체를 위한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나사체결식 패스너의 경우 조립 및 해체를 위한 십자홈(또는 일자홈)이 형성되어, 해체를 반복하다보면 십자홈이 뭉개져서 해체가 불가능하고, 강제적으로 해체 시 부품 및 패스너가 손상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의 경우 공구삽입홈에 공구를 삽입하여 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해체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립 및 해체를 위한 핀의 헤드부에 십자홈을 삭제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핀의 헤드부와 그로멧의 상부헤드부의 외경을 최적화하여 공구삽입홈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조립 후 외관상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스너의 해체가 용이하여 부품의 정비시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및 패스너가 파손되지 않아 추가적인 재료비 등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현재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패스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패스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과 그로멧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핀과 그로멧의 조립 시 평면도
도 6은 도 4에서 핀과 그로멧의 조립 시 측면도
도 7은 도 4에서 핀의 저면도
도 8은 도 4에서 핀이 그로멧에 가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4에서 핀의 해체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경관련법규(EU 리싸이클 형식승인 등) 강화에 의해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폐차 단계에서 패스너의 해체가 용이해야 한다.
상기 재활용율은 해체가 용이하여 부품/패스너의 파손 없이 재사용가능한 비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폐차처리단계에서 부품의 재사용/재활용/재제조 향상을 위해서는 이전 프로세스인 해체단계에서 해체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재사용/재활용/재제조하고자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패스너가 해체 용이하게 설계/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A/S 혹은 정비(수리) 시 해당부품을 손상 없이 교체하기 위해서는 패스너가 해체 용이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아울러, 인라인(In-line)에서 많은 수의 조립 작업을 고려할 때 패스너의 조립성도 용이해야 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과 그로멧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핀과 그로멧의 조립 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핀과 그로멧의 조립 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핀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 패스너는 크게 부품(5) 및 패널(6)의 체결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그로멧(30)과, 그로멧(30)의 내부에 삽입 체결되는 핀(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핀(20)은 그로멧(30)과 한 쌍으로 마련되며, 그로멧(30)과 완전히 조립됨에 따라 부품(5)과 패널(6)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핀(20)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헤드부(20a)와, 헤드부(20a)의 저면에서 직하방향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삽입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20a)는 삽입부(20b)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서 헤드부(20a)의 상면에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누르기가 용이하다.
삽입부(20b)는 헤드부(20a)의 저면 중심부에서 직하방향으로 그로멧(30)의 내부 직경에 맞는 크기로 형성되어 그로멧(3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20b)의 중간에는 핀(20)과 그로멧(30)의 가조립을 위해 걸림홈(23)이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20)과 그로멧(30)을 가조립하기 위해 스냅-핏(snap-fit) 체결방식을 채용하는데, 스냅-핏 체결방식은 부품 간의 조립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조립 대상인 두 부품에 각각 돌기와 홈을 형성하고, 조립 시 돌기를 홈에 끼우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방식이다.
상기 스냅-핏 체결 방식은 돌기를 가지는 부품을 홈을 가지는 부품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원터치로 간단히 조립되며, 나사, 클립, 접착제 등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스냅-핏 체결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핀(20)의 삽입부(20b) 중간에 가조립홈(21)을 형성하고, 그로멧(30)의 상단 중심부 내측에 가조립돌기(35)를 형성하여 상기 핀(20)을 그로멧(30)의 내부에 삽입하여 끼우면 그로멧(30)의 가조립돌기(35)가 핀(20)의 가조립홈(2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핀(20)과 그로멧(30)을 가조립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조립홈(21)은 핀(20)과 그로멧(30)의 가조립을 위해 그로멧(30)의 가조립돌기(35)에 대하여 스냅 핏 체결되는 상대 부분이다.
상기 가조립홈(21)은 그로멧(30)의 가조립돌기(35)가 어느쪽에서든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삽입부(20b)의 중간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조립홈(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조성되는 가조립홈(21)의 하부 둘레에 위치한 돌출부(22)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그로멧(30) 내부로 핀(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핀(20)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해서 걸림홈(23)이 형성되어, 핀(20)과 그로멧(30)의 완전 조립시 그로멧(3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단(34)이 상기 걸림홈(23)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걸림홈(23)의 하부 둘레에 조성되는 걸림턱(24)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그로멧(30)의 걸림단(34) 안쪽으로 삽입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삽입부(20b)의 내부에 중공부(20c)가 형성되어 가조립부(23)의 스냅 핏(snap-fit) 방식(끼움식)에 의해 체결/해체하는 강한 힘에도 핀(20)의 삽입부(20b)가 유동적이며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핀(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b)의 중간에 스냅 핏 체결방식의 가조립홈(21)을 적용하여 핀(20)의 조립 시 그립부를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핀(20)의 그립부는 핀(20)과 그로멧(30)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핀(20)의 헤드부(20a)와 그로멧(30)의 상부헤드부(30a) 사이 부분을 말한다.
또한, 상기 핀(20)과 그로멧(30)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핀(20)을 해체하는 경우에 핀(20)을 잡아당기면 그로멧(30)의 가조립돌기(35)가 핀(20)의 가조립홈(21)에 걸림으로써, 부품(5)과 패널(6)의 체결홀에서 그로멧(30)도 함께 해체되어 해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삽입부(20b)의 중간에 가조립부(23)를 적용하는 경우에 기존의 핀(20)의 하단부에 적용되었던 가조립부에 비해 전체 패스너의 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 있어 설계 플랫폼상 유리한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 그로멧(30)은 부품(5)과 패널(6)의 체결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체결홀 주변에 안착되는 상부헤드부(30a)와, 상부헤드부(30a)에서 직하방향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하부삽입부(30b)로 구성된다.
상부헤드부(30a)는 원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조립시 핀(20)의 헤드부(20a)와 포개진다.
상부헤드부(30a)는 하부삽입부(30b)와 연결되는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공구삽입홈(32)을 가짐으로써, 해체 시 일자 드라이버의 단부를 공구삽입홈(32)을 따라 삽입하여 밀기만 하면 드라이버를 제끼거나 힘을 많이 들일 필요 없이 핀(20)의 헤드부(20a)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공구삽입홈(32)은 전후좌우방향으로 서로 직각을 이룸으로써, 작업자가 어느 쪽에서든지 일자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33)를 공구삽입홈(32)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20)의 헤드부(20a)의 직경을 상부헤드부(30a)의 직경에 비해 공구삽입홈(32)의 위치가 인지될 만큼, 예 5~6mm 정도 작게 만들어서 작업자가 공구삽입홈(32)을 보고 공구(33)의 삽입방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공구삽입홈(32)은 핀(20)의 헤드부(20a)에 의해 거의 가려져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헤드부(30a)와 하부삽입부(30b)가 연결되는 중심부의 상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핀(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부삽입부(30b)의 내부에는 핀(2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삽입부(30b)의 측면에 절개홈(31)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하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핀(20)이 하부삽입부(30b)에 삽입될 경우에 하부삽입부(30b)가 반경방향으로 벌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삽입부(30b)의 내측 상단부 둘레에는 핀(20)과 그로멧(30)의 가조립을 위해 가조립돌기(35)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조립돌기(35)는 하부삽입부(30b)의 내측 상단부 둘레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핀(20)의 중간에 형성된 가조립홈(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단부에 쐐기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가조립돌기(35)와 하부삽입부(30b)의 내측 상단부 둘레면 사이에 V자형의 간극이 형성되어, 상기 간극을 통해 가조립돌기(35)가 반경방향으로 유동적이며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핀(20)이 그로멧(30)의 하부삽입부(30b)에 가조립될 경우에 핀(20)의 가조립홈(21) 하부 둘레에 위치한 돌출부(22)가 가조립돌기(35)의 상단부를 반경방향으로 밀면 가조립돌기(35)의 상단부가 간극을 통해 하부삽입부(30b)의 내측 둘레면과 가까위지게 밀리게 되고, 상기 핀(20)이 아래로 더 삽입되면 가조립돌기(35)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면서 핀(20)의 가조립홈(21)에 끼워져 스냅 핏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삽입부(30b)의 내측 하단에 걸림단(34)이 돌출형성되어, 핀(20)의 삽입부(20b)를 하부삽입부(30b)의 내부에 삽입할 경우에 하부삽입부(30b)의 걸림단(34)이 핀(20)의 삽입부(20b)의 걸림홈(23)에 삽입 및 걸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핀(20)과 그로멧(30)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은 도 4에서 핀이 그로멧에 가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에서 핀의 해체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핀(20)과 그로멧(30)은 한 쌍으로 부품(5)과 패널(6)의 체결홀에 서로 포개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가조립된 상태로 출고된다.
핀(20)과 그로멧(30)이 가조립된 상태란 그로멧(30)의 내측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가조립돌기(35)가 핀(20)의 삽입부(20b) 중간에 형성된 가조립홈(21)에 스냅 핏 방식으로 체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핀(20)과 그로멧(3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는 그로멧(30)의 가조립돌기(35)를 핀(20)의 가조립홈(21)으로부터 강제로 해체하지 않는 한 핀(20)이 그로멧(30)에서 빠지지 않는 상태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핀(20)과 그로멧(30)이 가조립된 상태로 부품(5)과 차체(패널(6))의 조립을 위한 체결홀에 그로멧(30)의 하부삽입부(30b)를 끼운다.
상기 핀(20)의 헤드부(20a)를 아래로 누르면 핀(20)의 삽입부(20b)의 하단부가 그로멧(30)의 걸림단(34) 아래로 밀려 들어가면서 그로멧(30)의 하부삽입부(30b)가 반경방향으로 벌려짐으로써, 부품(5)을 차체에 고정한다.
이때, 그로멧(30)의 걸림단(34)은 핀(20)의 삽입부(20b)의 걸림홈(23)에 삽입 및 걸려짐으로써, 핀(20)과 그로멧(30)이 완전 조립 상태로 된다.
상기 핀(20)과 그로멧(30)의 해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자 드라이버의 끝단부를 그로멧(30)의 상부헤드부(30a)의 공구삽입홈(32) 입구에 갖다 대고 공구삽입홈(32) 안쪽으로 밀면, 일자 드라이버의 끝단부가 공구삽입홈(32)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그로멧(30)의 걸림단(34)이 핀(20)의 삽입부(20b)의 걸림홈(23)에서 벗어남에 따라 핀(20)과 그로멧(30)의 완전 조립 상태가 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전 조립 상태에서 풀려진 핀(20)의 헤드부(20a)를 잡아올리면 핀(20)의 가조립홈(21)에 걸려진 가조립돌기(35)에 의해 그로멧(30)이 부품(5) 및 차체패널(6)에서 이탈되어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로멧(30)의 내측 상단부 둘레에 스냅 핏 체결방식의 가조립돌기(35)를 적용하여 가조립시 핀(20)과 그로멧(30) 사이의 그립부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로멧(30)의 상부헤드부(30a)에 경사지게 형성된 공구삽입홈(32)을 마련하여 해체 시 공구(33)를 공구삽입홈(32)으로 밀기만 하면 핀(20)을 쉽게 해제할 수 있고, 가조립돌기(35)에 의해 핀(20)과 그로멧(30)을 동시에 부품(5) 및 차체패널(6)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공구삽입홈(32)이 전후좌우 4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느 방향에서나 해체를 위한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나사체결식 패스너의 경우 조립 및 해체를 위한 십자홈(또는 일자홈)이 형성되어, 해체를 반복하다보면 십자홈이 뭉개져서 해체가 불가능하고, 강제적으로 해체 시 부품(5) 및 패스너가 손상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의 경우 공구삽입홈(32)에 공구(33)를 삽입하여 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해체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립 및 해체를 위한 핀(20)의 헤드부(20a)에 십자홈을 삭제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핀(20)의 헤드부(20a)와 그로멧(30)의 상부헤드부(30a)의 외경을 최적화하여 공구삽입홈(32)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조립 후 외관상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스너의 해체가 용이하여 부품(5)의 정비시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5) 및 패스너가 파손되지 않아 추가적인 재료비 등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 : 부품 6 : 패널
20 : 핀 20a : 헤드부
20b : 삽입부 20c : 중공부
21 : 가조립홈 22 : 돌출부
23 : 걸림홈 24 : 걸림턱
30 : 그로멧 30a : 상부헤드부
30b : 하부삽입부 31 : 절개홈
32 : 공구삽입홈 33 : 공구
34 : 걸림단 35 : 가조립돌기

Claims (4)

  1. 부품(5)과 차체 패널(6)을 연결하기 위한 자동차용 패스너에 있어서,
    부품(5)과 차체 패널(6)의 체결홀에 삽입되는 그로멧(30);
    상기 그로멧(30)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간에 가조립홈(21)을 가지는 핀(20);
    상기 그로멧(30)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가조립홈(21)과 스냅 핏 체결되는 방식으로 그로멧(30)과 핀(20)을 가조립할 수 있도록 된 가조립돌기(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스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조립돌기(35)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20)과 그로멧(3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핀(20)을 해체하는 경우에 그로멧(30)의 가조립돌기(35)가 핀(20)의 가조립홈(21)에 걸려 그로멧(30)과 핀(20)을 동시에 해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스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20)은 헤드부(20a)의 저면에서 직하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부(20b) 내부에 중공부(20c)를 가지며, 조립 및 해체 시 강한 힘에도 핀(20)이 유동적이며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스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30)은 상부헤드부(30a)의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공구삽입홈(32)을 가지고, 상기 공구삽입홈(32)으로 공구(33)의 단부를 밀면 핀(20)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스너.





KR1020120005045A 2012-01-17 2012-01-17 자동차용 패스너 KR20130084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045A KR20130084349A (ko) 2012-01-17 2012-01-17 자동차용 패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045A KR20130084349A (ko) 2012-01-17 2012-01-17 자동차용 패스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349A true KR20130084349A (ko) 2013-07-25

Family

ID=4899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045A KR20130084349A (ko) 2012-01-17 2012-01-17 자동차용 패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43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5089A (zh) * 2017-01-06 2018-07-13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利用桩和孔口的连接装置及方法
CN108278259A (zh) * 2018-03-09 2018-07-13 重庆平伟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反复拆卸的安装结构
CN111609013A (zh) * 2020-05-29 2020-09-01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止退型铆钉和天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5089A (zh) * 2017-01-06 2018-07-13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利用桩和孔口的连接装置及方法
CN108278259A (zh) * 2018-03-09 2018-07-13 重庆平伟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反复拆卸的安装结构
CN108278259B (zh) * 2018-03-09 2024-05-28 重庆平伟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反复拆卸的安装结构
CN111609013A (zh) * 2020-05-29 2020-09-01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止退型铆钉和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4375C2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компонентов конструкци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7059025B2 (en) Fastener
US7306419B2 (en) Fastener
EP1738995B1 (en)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resin vehicle panel
KR20130084349A (ko) 자동차용 패스너
KR101405715B1 (ko) 자동차용 패스너
CN109952441A (zh) 铆钉紧固件组装件
US10427621B2 (en) Vehicle tether clip
KR101550977B1 (ko)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KR20150074344A (ko) 자동차용 패스너
KR20110101004A (ko) 자동차용 패스너
US20060175335A1 (en) Container lid and gasket combination without lid pretreatment or gasket adhesive
US20140197662A1 (en) Wheel opening fender/panel assembly
KR101230116B1 (ko) 자동차용 연료필러 마운팅구조
KR20080034271A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
US20170159685A1 (en) Positioning pin for positioning and / or centering a first vehicle part relative to a second vehicle part
KR20150000337U (ko) 조립 개폐식 내비게이션 고정장치
CN203186440U (zh) 汽车尾门和具有该尾门的汽车
KR101033882B1 (ko) 자동차용 패스너
KR102249856B1 (ko) 차량용 부품 체결 구조
KR101558666B1 (ko)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US10421499B2 (en) Two piece, two color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17016B2 (en) Lamp mounting apparatus
CN205498853U (zh) 用于前保险杠的侧安装支架
WO2012088449A1 (en) Fas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