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220A -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 - Google Patents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220A
KR20150046220A KR20157007090A KR20157007090A KR20150046220A KR 20150046220 A KR20150046220 A KR 20150046220A KR 20157007090 A KR20157007090 A KR 20157007090A KR 20157007090 A KR20157007090 A KR 20157007090A KR 20150046220 A KR20150046220 A KR 2015004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air
housing
enclosure
liqui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민 아르미낙
Original Assignee
아르미낙 & 어쏘시에이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미낙 & 어쏘시에이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아르미낙 & 어쏘시에이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4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7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outlet o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05B7/003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3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sieves, porous members or the lik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거품 점조도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할 때 사용하기 위한 거품발생기. 상기 거품발생기는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폐쇄체에 의해서 수용되는 메쉬 스크린 및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공기 유동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밸브 시트와 협력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밸브 시일과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공기 채널 인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UPRIGHT SQUEEZE FOAMER}
본 발명은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수동 작동에 의해서 유동성 제조물을 분배하기 위한 여러 분배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유동성 제조물은 다양한 건강 및 미용 보조 제조물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다양한 가정용, 부엌 및 욕조 세정 제조물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수동 작동의 유형은 원칙적으로 분배 시스템의 구성에 기초한다. 에어로졸 및 유사 가압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버튼을 눌러서 수동 작동된다. 플런저 구성을 사용하는 분배 시스템은 종종 인체공학적 액추에이터와 함께 끼워진 상향 연장 액추에이터 스템 또는 포스트를 (아래로) 누름으로써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작동된다. 또한 이러한 플런저 구성의 유형은 인체공학적 액추에이터를 통해서 제조물을 분배하는 것이다. 이는 눌러지는 버튼 내의 개방부를 통해서 에어로졸 안개가 분배되는 방법과 유사하다. 이는 또한 스프레이 안개가 분배되는 방법과 유사한다. 유동성 제조물은 안개, 스프레이, 액체, 겔 또는 거품으로서 분배될 수 있다. 이러한 목록은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더욱 일반적인 유동성 제조물 형태, 조성 및 점조도를 포함한다.
상술한 분배 시스템 구성들은 분배 메카니즘의 직접적 수동 조작의 일부 유형을 포함한다. 비록 하나가 단순히 나사형 캡을 제거하고 제조물의 일부를 부어낼지라도, 여전히 나사형 캡의 직접적인 수동 조작이 있다. 유동성 제조물을 분배하는 대안 방식은 제조물을 위한 순응성 컨테이너를 제공하고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의 외벽 상에 수동 압착력을 인가하는 것이다.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컨테이너 내의 어떤 제조물의 일부가 분배 출구를 통해서 분배되도록 가압한다. 컨테이너 벽의 직접적인 수동 조작이 있지만, 분배 구조물을 작동시키고 임의의 내부 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은 내부 압력과 공기 및 제조물의 유동이다.
압착 분배기의 이러한 일반적 유형 또는 스타일은 액체로서의 제조물을 분배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액체 및 공기의 탄산혼합물인 거품 조성 또는 점조도로서의 제조물을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핵심은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주요 구성요소 부품들의 일부는 거품보다 액체로서 제조물을 분배하기 위한 관련 직립 압착식 분배기에서 그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열된다. 이러한 액체 분배기는 본원에서 관련 실시예로서 개시된다.
개시된 거품 분배 시스템은 액체 제조물의 수용 및 저장을 위한 순응성 컨테이너[즉, 압착식 병(squeeze bottle)]을 사용한다. 액체 제조물의 점도는 그 온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화될 수 있지만, 본원에서 "액체"의 사용은 알콜 기반 제조물과 실온 점도(μ)가 양호하게는 대략 1.0 센티포스(centipoise) 내지 150 센티포스 범위에 있는 다른 유동성 제조물을 지칭한다. 이 범위는 선택된 액체 제조물이 개시된 거품 분배 시스템을 통해서 혼합되어서 거품 점조도를 갖고 분배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시스템"은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에 배치된 제조물과 상기 컨테이너에 부착된 분배 메카니즘의 조합을 지칭한다.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순응성 벽 상의 압착력의 사용으로 인하여 "압착 거품발생기"를 지칭한다. 컨테이너에 대한 분배 메카니즘의 부착을 위한 하나의 접근 방안은 컨테이너에 나사형 목부를 제공하고 분배 메카니즘을 나사식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딥 튜브는 제조물을 분배 메카니즘 안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제조물 안으로 연장된다. 분배 메카니즘은 본원에서 "거품발생기"를 지칭한다. 제조물을 위한 기술된 점도 범위는 단순히 얼마의 가능성까지 언급하자면 액체 비누, 면도 크림, 세정 준비물 및 위생 제조물과 같은 다수의 다른 액체 제조물을 포괄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유형의 거품발생기의 디자인 및 구성에서 하나의 고려사항은 그 비용이고 이는 구성요소 부품들의 수와 그들 구성요소 부품들에 대한 재료 비용에 부분적으로 관련된다. 다른 고려사항은 제조되어서 분배되는 거품의 품질이다. 제조된 거품은 용이하게 분배될 어느 정도의 유체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기와의 혼합물에서 과도한 제조물은 결과적으로 과도하게 이동하여서 적용되는 곳에서 잔류하지 않는 거품이 된다. 상기 혼합물에서 과도한 공기는 거품의 유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거품을 과도히 건조하게 할 수 있다.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용적 비를 제어하는 것은 분배되는 거품의 품질을 제어할 때 중요하다. 또한 추가 고려사항은 거품발생기 구성의 신뢰성이다. 임의의 내부 밸브들과 그 밀봉 효과성의 통합도 이러한 고려사항의 부분으로서 포함된다. 또한 추가 고려사항은 제조의 용이성이다. 이는 구성요소 부품들의 수에 부분적으로 관련될 수 있지만, 또한 구성요소 부품들의 구성과 조립 방식 및 상호 끼워맞춤에 관련된다.
또다른 추가 고려사항은 거품발생기가 수용할 수 있는 제조물의 범위이다. 이러한 수용 정도는 부분적으로 제조물의 점도에 의존하고 부분적으로 구성요소 부품들의 디자인에 의존한다. 여기서 핵심은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치수, 크기, 길이 등이다. 이러한 고려사항들을 염두해 두고, 개시된 실시예는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구조물을 제공하고 이 구조물은 제조물에 대한 허용가능한 거품 점조도를 제조하여 분배한다. 제한된 수의 구성요소 부품들은 임의의 접합, 초음파 용접 또는 나사형 고정자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 없이 용이하게 조립된다. 공기 유동에 대한 밸브작용은 일체형 단일 부재 구성요소에 의해서 달성된다. 유일한 공기 채널은 컨테이너로부터 흐르는 액체 제조물 안으로 복수의 공기 유동들을 제공한다. 복수의 공기 유동은 혼합물이 거품 탄산화를 위하여 메쉬 인서트를 통해서 가압되기 전에 공기 및 액체 제조물의 혼합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어구 "거품 탄산화(foam aeration)"의 사용은 메쉬 스크린을 통한 공기 및 액체 제조물의 가압 프로세스를 기술한다. 이러한 혼합물은 처음으로 혼합되는 두개(2) 성분일 수 있고 우선 거친 메쉬를 통과한 이후의 두개(2) 성분일 수 있다.
도 1은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의 부분 단면의 측입면도.
도 2는 도 1의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의 하나의 구성요소 부품을 포함하는 거품발생기의 측입면도.
도 3은 도 2 거품발생기의 전입면도.
도 4는 도 2 거품발생기의 후방 입면도.
도 5는 도 2 거품발생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2 거품발생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절취면 7-7에 기초한 도 2 거품발생기의 전체 단면의 전입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절취면 8-8에 기초한 도 2 거품발생기의 전체 단면의 측입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절취면 9-9에 기초한 도 2 거품발생기의 전체 단면의 각진 측입면도.
도 10은 딥 튜브의 단지 일부만을 갖는 폐쇄 상태에서 도 2 거품발생기의 전체 단면의 확대된 측입면도.
도 11은 도 2 거품발생기의 하나의 구성요소 부품을 포함하는 분배 커버의 전입면도.
도 12는 도 11 분배 커버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절취면 13-13에 기초하는 도 11 분배 커버의 전체 단면의 측입면도.
도 14는 도 2 거품발생기의 하나의 구성요소 부품을 포함하는 폐쇄체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 폐쇄체의 전입면도.
도 16은 도 14 폐쇄체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있는 절취면 17-17에 기초하는 도 14 폐쇄체의 전체 단면의 전입면도.
도 18은 도 16의 절취면 18-18에 기초하는 도 14 폐쇄체의 전체 단면의 각진 측입면도.
도 19는 도 2 거품발생기의 하나의 구성요소 부품을 포함하는 메쉬 인서트(mesh insert)의 전입면도.
도 20은 도 19 메쉬 인서트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절취면 21-21에 기초하는 도 19 메쉬 인서트의 전체 단면의 전입면도.
도 22는 도 2 거품발생기의 하나의 구성요소 부품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23은 도 22 하우징의 전입면도.
도 24는 도 22 하우징의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절취면 25-25에 기초하는 도 22 하우징의 전체 단면의 전입면도.
도 26은 도 2 거품발생기의 하나의 구성요소 부품을 포함하는 공기 채널 인서트의 사시도.
도 27은 도 26 공기 채널 인서트의 전입면도.
도 28은 도 26 공기 채널 인서트의 평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절취면 29-29에 기초하는 도 26 공기 채널 인서트의 전체 단면의 전입면도.
도 30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액체용 압착 컨테이너의 전체 단면의 측입면도.
본 발명의 원리의 이해를 도모할 목적으로,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들에 대해서 기술할 것이며 상기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언어를 사용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의 임의의 변경 및 추가 변형과,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원리의 추가 적용은 본 발명이 관련되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으로 고려된다. 비록 당업자에게 명백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일부 형태들은 명확성을 위하여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컨테이너(22), 액체 제조물(24)의 공급부 및 거품발생기(26)를 포함하는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20)가 도시되어 있다. 압착식 거품발생기(20)에 대한 제조, 마케팅 및 판매의 관점에서, 제조물(24)로 채워진 완성된 압착식 거품발생기(20)는 완성된 상태로 분배기, 전체판매업자에게 판매되거나 또는 할인용 또는 리테일 출구로 판매될 수 있다. 컨테이너(22)와 거품발생기(26)는 제조물 없이 충전재에 충전재와의 조합물로서 판매될 수 있다. 충전재가 다른 독립체에 의해서 공급된 컨테이너(22)를 가질 때, 다른 선택사항은 단지 거품발생기(26)만을 판매하는 것이다. 도 1은 컨테이너(22)와 액체 제조물(24)을 포함하는 전체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20)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개시물과 예시적인 실시예의 핵심은 거품발생기(26)에 있다.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는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로서 기술된다. 개시된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를 적절하게 배향시키기 위하여, 사용 상태가 아닌 그 정상 상태는 컨테이너의 베이스가 선반, 카운터탑(countertop) 또는 유사한 실질적인 수평면에 놓여진 상태이다. 분배 커버(28)는 그에 따라서 이 상태에서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의 가장 높은 부분 또는 최상단 부분으로서 배향된다. 이 상태에서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방향 축을 가진다. "직립"의 사용은 또한 비록 컨테이너가 압착될 때 선회하거나 또는 기울어져도, 분배 커버(28)는 통상적으로 컨테이너의 베이스보다 축방향으로 높은 상태로 잔류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직립"의 사용은 통상적으로 "반전된" 것으로 기술되는 분배기의 카테고리로부터 분배기의 일반적인 스타일을 명확하게 하고 차별되게 하도록 의도된다.
지금 도 2 내지 도 10에 있어서, 거품발생기(26)는 더욱 상세하게 예시된다. 거품발생기(26)는 분배 커버(28), 폐쇄체(30), 메쉬 인서트(32), 하우징(34), 공기 채널 인서트(36) 및 딥 튜브(38)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 부품(28, 30, 32, 34, 36, 38)은 임의의 접착제, 접합 약품, 나사형 고정자 또는 초음파 용접들의 사용 없이 함께 조립된다. 분배 커버(28)는 제 1 섹션(40)과 제 2 섹션(42)에 배열된 분배 채널(39)을 형성한다. 개방된 분배 출구(44)는 제 2 섹션(42)의 원위 단부에 있다. 폐쇄체(30)는 대응하는 환형 홈과 분배 커버(28)의 공간 안으로 조립된다. 메쉬 인서트(32)는 환형 비드를 사용하는 폐쇄체(30)에 의해서 스냅 끼워맞춤(snap fit)으로 수용된다. 폐쇄체(30)는 또한 하우징(34)에 의해서 스냅 끼워맞춤으로 수용되는 일반적인 원통형 부분(46)을 포함한다. 공기 채널 인서트(36)는 가압 끼워맞춤 또는 죔쇄 끼워맞춤 조립체에 의해서 하우징(34)에 의해서 수용된다. 딥 튜브(38)는 공기 채널 인서트(36)에 의해서, 또한 가압 끼워맞춤 또는 죔쇄 끼워맞춤 조립체에 의해서 수용된다. 분배 커버(28)의 상부 부분을 제외한 상태에서, 거품발생기(26)의 각 구성요소 부품은 환형, 일반적인 원통형 부품 또는 구성요소 형태부이다. 추가로, 분배 커버(28)를 제외하고, 거품발생기(26)의 각 구성요소 부품(30, 32, 34, 36, 38)은 일반적으로 직경방향 절취면 주위에서 대칭된다.
간략하게 말하면, 순응성 측벽(48)의 일반적인 대향 부분들을 함께 가까이 당기는 컨테이너(22)의 수동 압착(도 1 참조)은 내부 압력의 증가를 유발한다. 내부 압력에서의 이러한 증가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고 액체 제조물(24)의 유동을 딥 튜브(38)를 통해서 상향으로 생성한다. 다시 도 1에 있어서, 액체 제조물(24)의 용적부 위에 위치한 컨테이너(22)에는 공기 포켓(50)이 있다. 컨테이너 측벽(48)의 대향 부분들이 함께 압착될 때, 컨테이너의 내부 용적부는 감소되고 발생되는 내부 힘은 포획된 공기가 적어도 저항성의 출구 경로를 찾도록 시도하게 한다. 이러한 내부 압력은 또한 액체가 적어도 저항성의 출구 경로를 찾도록 시도하게 한다. 공기 및 액체 제조물의 두개(2) 유동은 조합되고 메쉬 인서트(32)를 통해서 가압되고 그에 의해서 액체 제조물(24)에 대한 거품 점조도를 생성한다. 거품은 섹션(42) 안으로 선회하고 결국 분배 출구(44)를 통해서 유출되기 전에 분배 채널을 경유하여 배출되어서 먼저 제 1 섹션(40)을 통해서 이동한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거품발생기(26)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구성요소 부품들의 상세사항들에 집중하기 위하여 딥 튜브(38)의 단지 일부만이 도시된다. 공기를 위한 특정 유동 경로는 공기 채널 인서트(36)를 통해서 안에서 위로 되어 있다. 공기 채널 인서트(36)의 중심은 중공 딥 튜브(38)의 상단부를 받기 위해 개방된다. 상단의 중심 개방부(52)는 액체의 상향 유동을 받으며 공기 유동은 네개(4)의 가로방향 유동 경로들 안으로 배열되고, 상기 4개의 가로방향 유동 경로들은 혼합물로서 개방부(56)를 통해서 그리고 메쉬 인서트(32) 안으로 진행하기 전에 액체의 상향 유동과 영역(54)에 있는 상기 두개(2) 물질 혼합물을 교차시킨다.
폐쇄체(30)는 컨테이너(22)의 나사형 목부(60)에 나사 연결되기 위하여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의 일반적인 원통형 스커트(skirt;58)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스커트(58) 상의 암나사부를 제시하고 목부(60) 상의 수나사부와 협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나사 결합은 반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대안으로, 거품발생기(26)와 컨테이너(22)는 스냅 끼워맞춤 조합 또는 죔쇄 끼워맞춤에 의해서 누설없는 조합으로 고정되게 조립될 수 있다. 초음파 용접의 사용 또는 접착제의 사용과 같은 기술들은 컨테이너가 액체 제조물로 채워진 후에 실용적인 문제로서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
분배 커버(28)는 개별 구성요소 부품으로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다. 분배 커버(28)는 경사 상단 패널(62), 벌어진 후방 스커트(64), 일반적인 원통형의 외부 측벽(66) 및 일련의 일반적인 원통형인, 일반적인 중심 내벽(68,70,72)을 포함한다. 후방 스커트(64)는 윤곽형 방식으로 상단 패널(62) 주위로 연장되어서, 전개되어 분배 출구(44)에 인접하게 종결되는 측부 패널(74,76)로 된다.
벽(68)은 제 1 섹션(40)을 형성하고 벽(68,70)의 조합물은 좁은 허용오차(closely toleranced)의 활주 끼워맞춤으로 폐쇄체(30)의 원통형 부분(46)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일반적인 원통형 채널(78)을 형성한다. 벽(72)과 측벽(76)의 조합물은 좁은 허용오차의 활주 끼워맞춤으로 폐쇄체(30)의 다른 벽 부분(82)을 수용하는 일반적인 원통형 채널(80)을 형성한다. 폐쇄체(30)에 대한 커버(28)의 활주 끼워맞춤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하여 폐쇄체(30)에 의해서 형성되는 거품 출구 개방부(84)를 개폐하기 위하여 커버를 사용할 수 있다. 커버(28)는 제한된 축방향 이동거리를 갖도록 폐쇄체(30)에 대해서 구성 및 배열된다. 커버(28)의 위(UP) 위치에서, 거품 출구 개방부(84)(도 16 및 도 18 참조)는 개방되어서, 거품이 제 1 섹션(40) 안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커버(28)의 아래(DOWN) 위치에서, 벽(68)의 하부 단부 또는 면은 거품 출구 개방부(84)를 덮고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위(개방)/아래(폐쇄) 형태는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20)의 선적을 위하여 사용되고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20)가 거품 분배를 위하여 사용되지 않을 때 최종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폐쇄체(30)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구성요소 부품을 가진다. 폐쇄체(30)는 벽 부분(82)에 의해서 형성되는 일반적인 원통형 상부 부분(86) 및 원통형 부분(46)에 의해서 형성되는 방사상 내향의 내벽 부분(88)을 포함한다. 스커트(58), 상부 부분(86) 및 내벽 부분(88)은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서 동심이다. 또한 일반적인 원통형인 내벽 부분(88)의 하부 부분(9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스냅-오버 또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에 의해서 메쉬 인서트(32)를 수용한다. 대안으로서, 하부 부분(90)은 스냅 끼워맞춤으로 메쉬 인서트(32)를 수용할 수 있다. 인서트(32)는 하부 부분(90)에 의해서 형성된 일반적인 원통형 챔버 안으로의 메쉬 인서트(32)의 축방향 깊이를 제어하기 위해 환형의 방사상 외향의 접대 레지(abutment ledge;91)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환형 리브를 사용하는 스냅 오버 상호끼워맞춤(snap-over interfit)을 포함하지만, 삽입 방지를 위한 필요성과 그에 따른 레지(91)를 포함할 이유가 아직도 존재한다.
방사상 선반(92)은 상부 부분(86)과 스커트(58) 사이에 변이 구조를 제공한다. 하부의 선반(92)의 내면은 매달린 일반적인 원통형 벽(94)을 포함한다. 벽(94)의 내면은 환형면(96)을 형성하기 위하여 벽 부분(82)의 내면으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오프셋된다. 표면(96)은 하우징(34)의 가요성 환형 밸브 시일(98)과 협력하는 밸브 시트가 된다. 밸브 시일(98)과 밸브 시트(96)의 조합은 컨테이너(22) 안으로의 메이크 업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 유동 밸브를 제공한다. 전체 디자인 효율의 한 형태로 인하여, 하우징(34)의 부분으로서 통합 몰딩형 밸브 시일(98)(도 22 내지 도 25 참조)은 하나(1) 만큼 전체 구성요소 수를 감소시킨다.
상부 부분(86)과 내벽 부분(88)은 선반(100)에 의해서 연결된다. 선반(100)은 외부 대기로부터 컨테이너(22) 안으로의 메이크 업 공기의 유동을 위한 복수의공기 유동 개구(102)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는, 여덟개(8)의 동일하게 이격된 개구들(102)이 있다. 컨테이너 상의 압착력이 해제될 때, 측벽(48)의 순응성 성질은 컨테이너 형상이 실질적으로 그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게 한다. 이는 시일(98)과 시트(96) 사이에 공기 유동 통로(104)를 생성하기 위하여 밸브 시트(96)의 밸브 시일(98)의 외부 부분을 힌지식 선회 운동으로 당기는 내부 흡입력을 교대로 생성한다(도 10 참조). 흡입력의 수준은 내부 압력이 일반적인 대기압으로 복귀할 때까지 잔류한다. 이는 컨테이너(22) 내의 내부 압력이 실질적인 대기압으로 복귀할 때까지 외부 공기가 개구(102)를 통해서 유인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압이 회복될 때, 밸브 시일(98)은 탄성중합체의 탄력성과 임의의 충분한 흡입 압력의 부재로 인하여 밸브 시트(96)를 향하여 뒤로 접근하여 밸브 시일(98)을 당기거나 또는 개방 위치에서 유지한다. 압착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는 정압은 밸브 시일(98)을 밸브 시트(96)를 향하여 가압해서, 거품을 제조할 때, 공기 유동은 공기 채널 인서트(36)를 통과하고 임의의 공기 유동 통로(104) 또는 개구들(102) 중 임의의 것을 통과하지 않는다.
거품 제어 밸브(106)는 선반(100)의 내향의 인근에서 내벽 부분(88)의 내부에 있는 밸브 구조체를 구성한다. 기술된 바와 같이, 분배 커버(28)가 위의 개방 상태에 있을 때, 거품은 거품 제어 밸브(106)를 통하여 유동해서 분배 채널(39)의 제 1 섹션(40)으로 진입한다(도 13 참조). 분배 커버(28)가 아래의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거품은 제 1 섹션(40) 안으로 유동할 수 없다. 분배 커버(28)와 폐쇄체(30) 사이의 작은 스냅 오버 립 또는 환형 비드 배열은 정상 취급 및 사용 중에 분배 커버(28)의 당겨짐(pull-off)을 방지한다. 두개(2) 구성요소들 사이에는 접대 구조가 있으며, 상기 접대 구조는 정상 취급 및 사용 중에 폐쇄체(30)에 대한 분배 커버(28)의 상향 이동의 범위를 제한한다. 하향 방향으로, 분배 커버(28)의 이동은 방사상 선반(92)의 상부면(110)과 측벽(66)의 하부 에지(108) 사이에 접대함으로써 제어된다. 거품 제어 밸브(106)는 4개의 스포크 구성을 포함하고 여기서 네개(4)의 방사상 스포크는 동일하게 이격되고 각각 인접한 쌍으로서 부분(46)과 조합하여 네개(4)의 동일하게 이격된 거품 출구 개방부(84) 중 하나(1)를 형성한다.
메쉬 인서트(32)는 개별 구성요소 부품으로서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다. 메쉬 인서트(32)는 일반적인 원통형 상부 부분(112)과 일반적인 원통형 대직경의 하부 부분(1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직경 크기 차이는 레지(91)를 생성한다. 하부 부분(114)은 액체 제조물과 공기 혼합물이 탄산화의 제 1 스테이지와 거친 거품화를 위하여 통과하는 거친 메쉬 스크린(116)을 수용하고 유지한다. 상부 부분(112)은 제 1 스테이지 거품이 최종 스테이지 탄산화와 분배될 거품 점조도의 생성을 위하여 통과하는 미세한 메쉬 스크린(118)을 수용하고 유지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두개(2)의 메쉬 스크린이 제공되고 상기 두개(2) 메쉬 스크린(116,118)은 메쉬 인서트(32) 안으로 통합된다. 대안으로,추가 메쉬 스크린이 사용되거나 거품발생기가 단일 메쉬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인서트(32)에 부가하여 또는 인서트(32)를 대신해서, 메쉬 스크린이 분배 커버(28), 폐쇄체(30) 및/또는 하우징(34)과 같은, 거품발생기의 다른 구성요소 부품들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은 다른 부품 안으로 또는 가압 또는 죔쇄 끼워맞춤 조립체 안으로의 메쉬 스크린의 통합 성형된 조합물 또는 스냅 인 조립체일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립 선택사항은 가압 끼워맞춤 또는 죔쇄 끼워맞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좁게 제어된 허용오차를 포함하지만 플라스틱 부품들에서, 플라스틱 구성요소 부품들과 연관된 "기브(give)"로 인하여 큰 허용오차 크기가 존재한다. 다른 조립체 형태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위해 선택된 것은 각각의 부품들에 스냅 오버 리브(snap-over rib)들을 부가하는 것이다. 형상이 양호하게는 환형인 상기 리브들은 임의의 죔쇄 끼워맞춤과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죔쇄 끼워맞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폐쇄체(30)의 하부 부분(90)은 외면 상의 두개(2)의 이격된 스냅 오버 리브(120a,120b)와 내면 상의 두개(2)의 스냅 오버 리브(122a,122b)를 포함한다.
메이팅(mating) 구성요소 부품들은 고정식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위한 유사한 스냅 오버 리브들을 포함한다. 메쉬 인서트(32)의 경우에, 이격된 환형 리브(124a,124b)의 쌍은 상부 부분(112)의 외면에 있다. 상부 부분(112)은 하부 부분(90)의 내부 안으로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가지며, 리브(122a,122b)는 리브(124a,124b)와 협력한다. 하우징(34)의 경우에, 이격된 환형 리브(126a,126b)의 쌍은 상부 몸체(128)의 내면에 있고, 리브(120a,120b)는 리브(126a,126b)와 협력한다.
하우징(34)은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구성요소 부품을 가진다. 하우징(34)은 영역(54)에 추가하여 개방부(56), 밸브 시일(98), 리브(126a,126b), 및 상부 몸체(128), 영역(54)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130)을 포함한다. 하부 부분(130)과 상부 부분(128)은 각각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서 동심이다. 하우징(34)과 폐쇄체(30) 사이의 조립 시에, 벽(128)의 상단부는 선반(100)의 하부면에 대해서 접한다. 선반(132)은 상부 부분(128)과 하부 부분(130)을 분리시키고 개방부(56)를 형성한다. 밸브 시일(98)은 상부 부분(128)과 일반적으로 동심인 환형 부재이다. 밸브 시일(98)은 비교적 얇고 이러한 특징은 밀봉을 위한 가요성과 그 정상 또는 본래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본질적인 탄력성에 기여한다. 하부 부분(13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방향 공기 유동이 방사상 내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보조하는 일반적인 동심 오프셋 벽(131)을 포함한다.
하우징(134)의 구성 및 배열은 밸브 시일(98)의 단일 통합(즉, 단일 부재 구성)에 의한 고유한 정도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밸브 시일(98)은 또한 거품을 제조할 때(또는 액체를 분배할 때) 공기 유동을 폐쇄하고 메이크 업 공기의 유입을 위해 개방하도록 2방향 구성요소로서 작용한다.
개별 구성요소 부품으로서 공기 채널 인서트(36)는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다. 공기 채널 인서트(36)는 딥 튜브를 수용하고 하우징(34)의 하부 부분(130)에 의해서 수용된다. 이들 조립체들은 딥 튜브가 제위치에서 잔류하도록 그리고 공기 채널 인서트가 제위치에서 잔류하도록 적당한 가압 끼워맞춤 또는 죔쇄 끼워맞춤을 각각 갖는 것에 기초한다. 공기 채널 인서트(36)는 일반적인 원통형 베이스(134)를 갖는 일반적인 원통형 중공 몸체(32)를 포함한다. 베이스(134)는 몸체(132)와 일반적으로 동심이다. 몸체(132)의 중공 내부(136)는 중공 부분(138,140)과 상단 중심 개방부(5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네개(4)의 연속 홈들(144a, 144b, 144c, 144d)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34)와 몸체(132)에 의해서 형성된다. 베이스(134)의 외면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홈은 베이스(134)를 통해서 가로질러 방사상 내향으로 그리고 몸체(132) 안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홈은 그때 몸체(132)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 상향으로 진행하고 그 다음 각각의 홈은 중공 부분(142)을 교차할 때까지 몸체(132)의 상부 표면(146) 안으로 가로질러 내향의 방사상 방향으로 필수적으로 우측 선회한다. 공기 채널 인서트(36)가 하우징 안으로 조립될 때, 몸체(132)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각각의 홈의 부분은 둘러싸인다. 공기 채널 인서트(36)의 상부 부분은 오프셋 벽(131)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덮혀지고 이는 4개의 공기 유동 경로들을 내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보조한다. 각 홈의 안으로 공기 진입 지점은 베이스에 있고 액체 제조물(24)의 유동과 혼합되는 출구의 지점은 상부 표면(146)에 인접하다. 영역(54) 안으로 나오는 공기 유동의 방향과 공기 유동의 다수의 스트림들은 혼합물이 메쉬 인서트(32)로 진입하기 전에 액체 제조물의 유동과 더욱 잘 혼합되기 위하여 바람직한 난류를 생성한다.
제조되는 거품의 특징은 먼저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 비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다음, 메쉬 스크린의 수와 스타일을 포함하는, 메쉬 인서트의 성질은 특정 혼합물에 대한 거품 점조도를 형성하는 것을 보조한다. 공급되는 공기의 용적에 대해서 액체 제조물이 너무 많다면, 그때 거품 점조도는 너무 유동성이 과도할 수 있다. 액체 제조물에 비례해서 공기가 너무 많다면, 그때 거품 점조도는 너무 건조하여 과도하게 경직될 수 있다. "과도(extreme)"는 이상보다 작은 것으로 고려되고 너무 과도하는 것은 허용할 수 없다.
컨테이너가 압착될 때, 압착 거품발생기의 내부에 걸쳐 동일한 내부 압력은 공기 채널 인서트 안으로 가압되는 공기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내부 압력은 또한 딥 튜브에 의해서 전달되는 액체 제조물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들은 채널들, 홈들, 개구들, 개방부들 및 통로들과 같은 형태부들의 단면적과 표면적을 포함한다. 공기 채널 인서트의 내부를 통해서 유동하는 액체 제조물의 양(즉, 유동량의 용적)이 고정되거나 또는 적어도 알려진 바와 같이 특정 컨테이너, 딥 튜브 디자인과 액체 제조물 점도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정한다면, 그때 공기의 비율을 감소시킬 때 거품 점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의 비율은 홈(144a, 144b, 144c, 144d)의 크기 및 수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액체 제조물 용적 유동비가 중간 범위 또는 중간값에 세팅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추가로, 공기 채널 인서트(36)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양호한 것으로 사료되는 거품 점조도로 귀결된다. 혼합의 관점에서 하나의 장점은 충분한 공기 유동을 제공하고, 네개(4) 홈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얇은 홈으로서 각각의 공기 유동 홈(144a, 144b, 144c, 144d)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더욱 작은 개별 유동 스트림을 허용하고, 또한 다수의 유동 스트림을 허용하며, 양자 모두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공기의 혼합을 보조한다. 의도된 적용이 다른 거품 점조도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는 어떤 것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다른 액체 제조물이 다른 점도 또는 거품화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되면, 양호한 또는 이상적인 거품 점조도에 근접한 어떤 것을 아직도 유지하는데 필요한 유일한 변화는 다른 공기 채널 인서트(36)를 설치하는 것이다. 다른 공기 채널 인서트(36)의 선택은 또한 압착 컨테이너가 거품이 아닌 액체에 대해서 사용될 때 적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기 홈을 단순히 폐쇄함으로써 액체가 분배된다. 상술한 "다른(different)"의 사용은 다소의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도입하는 (또는 공기를 전혀 도입하지 않는) 공기 채널 인서트(36)를 의미한다.
사용할 때, 컨테이너(22)의 순응성 벽의 초기 압착은 내부 압력을 생성하여 액체 제조물의 유동이 딥 튜브를 위로 가압하고 공기 유동을 공기 채널 인서트(36)의 홈(144a, 144b, 144c, 144d) 안으로 가압한다. 내부 압력은 밸브 시일(98)을 밸브 시트(96)를 향하여 가압하여 공기가 그 통로를 경유하여 대기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공기와 액체 제조물의 유동은 영역(54)에서 혼합되어서 메쉬 인서트(32) 안으로 진행한다. 메쉬 스크린은 탄산화되고 공기와 액체를 원하는 거품 점조도로 혼합시킨다. 원하는 거품은 그때 분배 채널(39)과 분배 출구(44)를 경유하여 압착 거품발생기(20)로부터 밀쳐진다.
압착력이 해제될 때, 밸브 시일(98)은 컨테이너가 그 이전 상태로 복귀하려고 시도할 때 내부 흡입으로 인하여 개방되고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흡인할 필요가 있다. 순응성 컨테이너의 작용 및 반응은 "압착 병(squeeze bottle)" 디자인으로부터 예상되는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차이 및 신규성은 거품발생기(26)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구성 및 배열에서 확인된다.
본원에는 두개(2) 구성요소 부품들 사이 또는 적어도 두개(2) 구성요소 부품들의 부분들 사이의 여러 스냅 끼워맞춤 및/또는 죔쇄 끼워맞춤 조립체들이 개시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구성요소 부품 부분들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조립체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따라서, 기립된 환형 리브들, 대체로 복수의 그리고 오목한 환형 홈들 또는 더욱 기능적 의미에서 멈춤쇠로서 기술되는 것들에 대해서 깊이 설명한다.
실질적인 임의의 조립체 기술 또는 조합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실질적인 임의의 부분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선택사항들은 다음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선택사항은 한개(1) 이상의 기립된 환형 리브들을 하나(1)의 부품 상에 제공하고 한개(1) 이상의 오목한 환형 홈들을 다른 부품 상에 제공하는 것이다. 볼과 멈춤쇠와 유사한, 홈 안으로의 리브의 스냅 끼워맞춤은 두개(2) 구성요소 부품들의 조립체를 고정하는 것을 보조한다. 조립 기술은 또한 리브 홈 상호끼워맞춤에 추가하여 활주 끼워맞춤 또는 죔쇄 끼워맞춤을 제공하는 밀착 크기의 부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선택사항은 부품들 중 하나에 한개(1) 이상의 기립 환형 리브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메이팅 부품은 단순히 밀착 크기이고 유사하게 성형된 표면을 제공하여 죔쇄 끼워맞춤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립 환형 리브들에 대해서 밀착 활주 끼워맞춤을 생성한다. 죔쇄 끼워맞춤이 존재할 때, 이러한 죔쇄 끼워맞춤은 실제로 두개(2) 부품들을 함께 고정한다. 플라스틱 부품들에서, 그리고 죔쇄의 정도에 따라서, 리브들은 실제로 다른 부품 안으로 들어가고 그에 의해서 상호체결의 유형을 조립체에 부가한다.
또한 추가 선택사항은 각 부품에 한개(1) 이상의 기립된 환형 리브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은 다른 부품 상의 하나 이상의 리브들 위로 스냅되는 한 부품 상의 리브 또는 리브들을 가진다. 두개(2) 구성요소 부품들의 함께-스냅 또는 스냅 오버 조립체를 위한 축방향 힘을 요구하는 리브들의 직경 크기에 기초하는 치수 간섭이 있다. 매우 기본적인 의미에서 그리고 매우 광범위한 일반화로서, 직립 액체 압착형 병과 직립 거품발생기는 우선 두개(2) 방식에서 다르다. 제 1 방식은 액체 압착 병은 액체 제조물과 함께 혼합되거나 또는 탄산화되는 현저한 양의 공기 및 임의의 현저하지 않은 양의 공기를 분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 2 방식 또는 제 2 차이는 액체 제조물과 공기를 탄산화하고 혼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메쉬 인서트에 대한 필요성이 없다는 것이다.
직립 액체 압착식 병(160)은 도 30에 도시되고 분배 하위조립체(162), 컨테이너(또는 병)(164)과 액체 제조물(166)을 포함하는 것이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또는 도 30과 도 10을 비교하여 결정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거품발생기(26)와 비교되는 분배 하위조립체(162)는 메쉬 인서트 또는 공기 채널 인서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방식으로, 분배 하위조립체(162)는 본질적으로 거품발생기(26)와 동일하다. 공기 채널 인서트가 사용되지 않으면 딥 튜브와 하우징의 크기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유일한 다른 변형 또는 제거사항은 조립될 메쉬 인서트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의 하부 부분(90)의 내면 상에 스냅 오버 리브를 제거하는 것이다. 대충 이러한 것은 선택사항이다.
딥 튜브 및/또는 하우징의 임의의 크기 재설정을 위한 필요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본원에 의해서 고려되는 추가 변화는 공기 채널 인서트가 사용될 수 있게 하면서 각 홈을 단순히 차단 또는 폐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에 임의의 홈을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공기 유동을 위한 개시 지점이 없고 결과적으로 임의의 액체 제조물과 혼합하는 임의의 공기 유동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은 단순히 사용된 공기 채널 인서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그리고 메쉬 인서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거하면서 거품으로부터 액체로 또는 액체로부터 거품으로의 용이한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딥 튜브를 제외한 거품발생기(26)의 모든 구성요소 부품들은 적당한 열성형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단독, 단일 부재의 성형 구성요소 부품들이다. 메쉬 인서트를 위한 양호한 재료는 나일론이고 딥 튜브를 위한 양호한 재료는 폴리에틸렌이다.
본 발명은 도면과 상술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문자적으로 예시적이고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단지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된 것이고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서 규정된 본 발명의 정신 내에 있는 모든 변화, 등가물 및 변형도 보호되기 원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 출원는 각각의 개별 공보, 특허 또는 특허 출원서가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참고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통합되는 것으로 지시된 것과 같이 본원에서 참고로 합체되어 있다.

Claims (56)

  1. 거품 점조도(foam consistency)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할 때 사용하기 위한 거품발생기에 있어서,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거품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메쉬 스크린;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으로서, 공기 유동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밸브 시트와 협력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밸브 시일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및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공기 채널 인서트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일은 단일 부재 구성요소로서 통합되는, 거품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복수의 거품 유동 개방부들을 갖는 거품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커버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거품발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snap-fit assembly)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채널 인서트는 복수의 이격 공기 홈들을 형성하는, 거품발생기.
  8. 거품 점조도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할 때 사용하기 위한 거품발생기에 있어서,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거품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메쉬 스크린;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 및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공기 채널 인서트로서, 그 크기 및 수가 공기 액체 혼합비에 영향을 미치도록 선택적으로 변화가능한 복수의 공기 홈들을 형성하는, 상기 공기 채널 인서트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일은 단일 부재 구성요소로서 통합되는, 거품발생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복수의 거품 유동 개방부들을 갖는 거품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커버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거품발생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와 상기 하우징은 공기 제어 밸브를 형성하도록 협력하는, 거품발생기.
  15. 거품 점조도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하기 위한 압착식 거품발생기에 있어서,
    압착식 컨테이너;
    상기 압착식 컨테이너에 의해서 수용된 액체 제조물의 용적부;
    거품발생기로서,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거품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메쉬 스크린;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으로서, 공기 유동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밸브 시트와 협력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밸브 시일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공기 채널 인서트를 포함하는, 상기 거품발생기; 및
    상기 압착식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거품발생기 안으로 액체 제조물을 전송시키기 위한 딥 튜브(dip tube)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일은 단일 부재 구성요소로서 통합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복수의 거품 유동 개방부들을 갖는 거품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커버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압착식 거품발생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채널 인서트는 복수의 이격 공기 홈들을 형성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2. 거품 점조도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하기 위한 압착식 거품발생기에 있어서,
    압착식 컨테이너;
    상기 압착식 컨테이너에 의해서 수용된 액체 제조물의 용적부;
    거품발생기로서,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거품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메쉬 스크린;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 및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공기 채널 인서트로서, 그 크기 및 수가 공기 액체 혼합비에 영향을 미치도록 선택적으로 변화가능한 복수의 공기 홈들을 형성하는, 상기 공기 채널 인서트를 포함하는, 상기 거품발생기; 및
    상기 압착식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거품발생기 안으로 액체 제조물을 전송시키기 위한 딥 튜브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일은 단일 부재 구성요소로서 통합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복수의 거품 유동 개방부들을 갖는 거품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커버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압착식 거품발생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와 상기 하우징은 공기 제어 밸브를 형성하도록 협력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29. 거품 점조도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할 때 사용하기 위한 거품발생기에 있어서,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거품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메쉬 스크린;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으로서, 공기 유동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밸브 시트와 협력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밸브 시일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및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인서트 수단을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일은 단일 부재 구성요소로서 통합되는, 거품발생기.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복수의 거품 유동 개방부들을 갖는 거품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커버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거품발생기.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수단은 복수의 이격 공기 홈들을 형성하는 공기 채널 인서트인, 거품발생기.
  36. 거품 점조도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할 때 사용하기 위한 거품발생기에 있어서,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거품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메쉬 스크린;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 및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인서트 수단으로서, 그 크기 및 수가 공기 액체 혼합비에 영향을 미치도록 선택적으로 변화가능한 복수의 공기 홈들을 형성하는, 상기 인서트 수단을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일은 단일 부재 구성요소로서 통합되는, 거품발생기.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복수의 거품 유동 개방부들을 갖는 거품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39. 제 36 항, 제 37 항 또는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커버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거품발생기.
  40. 제 36 항, 제 37 항, 제 38 항 또는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41. 제 36 항, 제 37 항, 제 38 항, 제 39 항 또는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거품발생기.
  42. 제 36 항, 제 37 항, 제 38 항, 제 39 항, 제 40 항 또는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와 상기 하우징은 공기 제어 밸브를 형성하도록 협력하는, 거품발생기.
  43. 거품 점조도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하기 위한 압착식 거품발생기에 있어서,
    압착식 컨테이너;
    상기 압착식 컨테이너에 의해서 수용된 액체 제조물의 용적부;
    거품발생기로서,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거품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메쉬 스크린;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으로서, 공기 유동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밸브 시트와 협력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밸브 시일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및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인서트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거품발생기; 및
    상기 압착식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거품발생기 안으로 액체 제조물을 전송시키기 위한 딥 튜브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일은 단일 부재 구성요소로서 통합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복수의 거품 유동 개방부들을 갖는 거품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46. 제 43 항, 제 44 항 또는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커버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압착식 거품발생기.
  47. 제 43 항, 제 44 항, 제 45 항 또는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48. 제 43 항, 제 44 항, 제 45 항, 제 46 항 또는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49. 제 43 항, 제 44 항, 제 45 항, 제 46 항, 제 47 항 또는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수단은 복수의 이격 공기 홈들을 형성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50. 거품 점조도를 갖는 제조물을 분배하기 위한 압착식 거품발생기에 있어서,
    압착식 컨테이너;
    상기 압착식 컨테이너에 의해서 수용된 액체 제조물의 용적부;
    거품발생기로서,
    거품 출구를 형성하는 분배 커버;
    상기 분배 커버와 함께 조립되는 폐쇄체;
    액체 제조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거품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메쉬 스크린;
    상기 폐쇄체와 함께 조립되는 하우징; 및
    공기를 액체 제조물의 유동 안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된 인서트 수단으로서, 그 크기 및 수가 공기 액체 혼합비에 영향을 미치도록 선택적으로 변화가능한 복수의 공기 홈들을 형성하는, 상기 인서트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거품발생기; 및
    상기 압착식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거품발생기 안으로 액체 제조물을 전송시키기 위한 딥 튜브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일은 단일 부재 구성요소로서 통합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52.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복수의 거품 유동 개방부들을 갖는 거품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53. 제 50 항, 제 51 항 또는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커버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압착식 거품발생기.
  54. 제 50 항, 제 51 항, 제 52 항 또는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55. 제 50 항, 제 51 항, 제 52 항, 제 53 항 또는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쇄체는 스냅 끼워맞춤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56. 제 50 항, 제 51 항, 제 52 항, 제 53 항, 제 54 항 또는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와 상기 하우징은 공기 제어 밸브를 형성하도록 협력하는, 압착식 거품발생기.
KR20157007090A 2012-08-21 2013-08-12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 KR201500462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1427P 2012-08-21 2012-08-21
US61/691,427 2012-08-21
PCT/US2013/054523 WO2014031379A1 (en) 2012-08-21 2013-08-12 Upright squeeze foa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220A true KR20150046220A (ko) 2015-04-29

Family

ID=5015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7090A KR20150046220A (ko) 2012-08-21 2013-08-12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888179A4 (ko)
JP (1) JP2015532625A (ko)
KR (1) KR20150046220A (ko)
CN (1) CN104755385A (ko)
CA (1) CA2882737A1 (ko)
MX (1) MX2015002175A (ko)
WO (1) WO2014031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3845A (en) * 2015-11-02 2017-05-03 Deb Ip Ltd Foaming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124A (en) * 1976-07-26 1978-06-06 L'oreal Atomizer with air inlet valve
US4773570A (en) * 1983-06-14 1988-09-27 Interscents N.V. Discharge device for a deformable container
JPS6146274A (ja) * 1984-08-11 1986-03-06 Canyon Corp 圧搾式デイスペンサ−
JPS6160457A (ja) * 1984-08-24 1986-03-28 キヤニヨン株式会社 トグルタイプの圧搾式デイスペンサ−
JP2566799Y2 (ja) * 1991-10-28 1998-03-30 東洋製罐株式会社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JPH0657837U (ja) * 1993-01-18 1994-08-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容器
AU665822B2 (en) * 1993-05-06 1996-01-18 Toyo Seikan Kaisha Ltd. Liquid foam-discharging, squeezable vessel
JPH08511723A (ja) * 1993-06-24 1996-12-1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所定の伸縮パターンを持つ伸縮自在のポンプチャンバ
US5353969A (en) * 1993-10-13 1994-10-11 Calmar Inc. Invertible pump sprayer having spiral vent path
JP3638027B2 (ja) * 1994-06-23 2005-04-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容器
JPH0811961A (ja) * 1994-06-29 1996-01-16 Yoshino Kogyosho Co Ltd 泡噴出容器
JPH08198295A (ja) * 1995-01-25 1996-08-06 Toppan Printing Co Ltd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JPH10397A (ja) * 1996-04-20 1998-01-06 Kao Corp 泡吐出容器
WO1999054054A1 (de) * 1998-04-17 1999-10-28 Keltub B.V. Schaumsprühvorrichtung
US6536685B2 (en) * 2001-03-16 2003-03-25 Unilever Home And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Foamer
US7870977B2 (en) * 2005-04-28 2011-01-18 Meadwestvaco Calmar, Inc. Dispenser having an improved inlet valve
TWM291409U (en) * 2005-11-25 2006-06-01 Yih Tai Galss Ind Co Ltd Piston device and liquid/gas suction device using the piston device and foam generation device
US7850048B2 (en) * 2006-10-23 2010-12-14 Arminak & Associates, Inc. Foamer pump
US20110272432A1 (en) * 2010-05-10 2011-11-10 Baughman Gary M Foam dispenser
WO2011152375A1 (ja) * 2010-05-31 2011-12-08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JP5556383B2 (ja) * 2010-05-31 2014-07-23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CN201990079U (zh) * 2011-02-14 2011-09-28 黄清森 易产生泡沫的输出装置
AU2012303454B2 (en) 2011-08-31 2016-03-17 Yoshino Kogyosho Co., Ltd. Pour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02175A (es) 2015-12-03
CA2882737A1 (en) 2014-02-27
EP2888179A4 (en) 2015-08-26
EP2888179A1 (en) 2015-07-01
JP2015532625A (ja) 2015-11-12
WO2014031379A1 (en) 2014-02-27
CN104755385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070B2 (en) Inverted squeeze foamer
AU2001293171B2 (en) Aerosol spray dispenser
JP5847796B2 (ja) ディスペンサ装置付き容器
EP3152133B1 (en) Valve assembly
JP2006517862A (ja) スプレーノズル
AU2001293171A1 (en) Aerosol spray dispenser
CN100444970C (zh) 泵动喷嘴装置及其制造方法和具有该泵动喷嘴装置的容器
CN112088048B (zh) 喷雾容器
EP3810313A1 (en) Dispensing assembly including an additive mixing device
JP7441956B2 (ja) 小出し器具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RU26204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смеси,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 пены
KR20150046220A (ko) 직립 압착식 거품발생기
US20140054324A1 (en) Upright squeeze foamer
CN108778521B (zh) 用于分配混合物的装置以及用于分配混合物的系统
WO2006059080A1 (en) A valve for a pressurised dispenser and a pressurised dispenser comprising such a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