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086A - 새를 족쇄에 매다는 방법 및 새들을 매다는 장치 - Google Patents

새를 족쇄에 매다는 방법 및 새들을 매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086A
KR20150046086A KR20157005654A KR20157005654A KR20150046086A KR 20150046086 A KR20150046086 A KR 20150046086A KR 20157005654 A KR20157005654 A KR 20157005654A KR 20157005654 A KR20157005654 A KR 20157005654A KR 20150046086 A KR20150046086 A KR 20150046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rd
leg
carrier
chest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402B1 (ko
Inventor
벤트 외스테르가르드
Original Assignee
린코 푸드 시스템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코 푸드 시스템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린코 푸드 시스템즈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5004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07Poultry shack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38Truss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46Suppor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새를 족쇄에 매다는 방법은 1)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비절 관절에서 구부려서 발이 새의 가슴에 더 가까워지도록 하는 단계, 2) 다리를 족쇄에 삽입하는 단계, 및 3) 다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으로부터 풀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리의 가슴 측에 체결 부재를 마련하여 비절 관절을 새의 가슴 쪽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발을 가슴 쪽으로 향하도록 강제하는 캐리어를 사용함으로써 다리를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체결 부재 및/또는 캐리어는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새를 족쇄에 매다는 방법 및 새들을 매다는 장치{A method of suspending a bird from a shackle and an apparatus for suspending birds}
본 발명은, 새를 족쇄(shackle)에 매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새 도살장, 특히 가금류 도살장에서, 도살될 새들을 도살하기 전에 천정 컨베이어 상의 도살 족쇄에 매달아 털을 뽑고/뽑거나 내장을 제거한다. 수작업으로 새들을 매다는 일은 힘들고 단조로운 작업이므로, 신뢰할 수 있는 처리 자동화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국제출원 제WO2011/116774호 및 유럽특허 제EP1276382호는 이러한 처리를 적어도 반자동화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예들을 개시한다. 새들이 지지면의 테두리에 정리되고, 발은 지지면의 가장자리 너머로 내밀어져, 별도의 컨베이어 상에서 지지면 가까이 지나가는 리테이너 클립(retainer clip)들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리테이너 클립들 및 부착된 새들은 지지면으로부터 떠나 이송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며, 이송 스테이션에서 새들은 리테이너 클립으로부터 처리용 도살 족쇄로 이송된다. 이러한 처리는 매우 잘 작동하지만, 족쇄가 새의 다리를 바르게 잡지 못하여 리테이너 클립의 새들을 수작업으로 정리하는 일이 여전히 발생한다.
미국특허 제US5,108,345호는, 다리가 일단 고정되면 새들의 발을 감싸도록 개선되어 족쇄에 삽입하는 동안 발가락들을 유지시키는, 수조(trough) 형상의 발걸이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수단은 비교적 복잡하고, 하나 이상의 발가락이 여전히 발걸이로부터 돌출되어 족쇄의 부적절한 측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도살용 새들을 매다는 개선된 방법으로서, 족쇄가 다리를 바르게 잡지 못하는 위험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부차적인 목적은 이러한 방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화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주 목적은 다음과 같은 순서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달성된다.
1)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비절 관절에서 구부려서 발이 새의 가슴에 더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발의 발가락들이 모이도록 하는 단계,
2) 다리를 족쇄에 삽입하는 단계,
3) 다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어주는 단계.
다리를 비절 관절에서 구부려서 발이 새의 가슴에 더 가까워지면, 근육과 힘줄 당김으로 인해 발의 발가락들은 자동적으로 구부러지고 더 가까이 모이게 되어, 발이 꽉 쥐어지도록 한다.
구부려서 발의 발가락들을 모이게 하는, 이와 같은 꽉 쥐어진 상태에서는, 발이 공간을 상당히 덜 차지하게 되어 다리를 도살 족쇄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따라서, 발과 발가락들은 족쇄와 체결되기에 최적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종아리와 허벅다리 사이의 무릎 관절을 늘림으로써 더 단단히 조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특허 제US29819723호에서 예로 나타낸 폐루프 형태의 족쇄를 사용할 때 특히 유리한데, 단계 2) 동안, 발/양발이 족쇄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과해야 한다. 새들의 털을 뽑는 동안 족쇄가 얽히는 것이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는데, 폐루프 족쇄는 쉽게 얽히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많은 새 도살장에서 도살 족쇄로 선호된다.
일단 다리가 족쇄에 삽입되면, 다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려, 발가락들을 서로 멀어지게 해서 발이 다시 펼쳐지고 벌어진다. 이렇게 하면 발가락들이 미늘 역할을 하므로, 이후 새를 처리하는 동안 다리가 족쇄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돕는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족쇄는 양쪽 다리로 새를 매달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양쪽 다리를 구부려서 양쪽 다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조작으로 양쪽 다리를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양쪽 다리를 구부려서 새가 양쪽 다리로 매달리는 실시예들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건강한 상태의 새들에 대해 설명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상처가 있고/있거나 기형인 새들은 다리가 구부러질 때 발가락들이 모이지 않을 수 있고/있거나 한쪽 또는 양쪽 발에 있는 발가락 수가 비정상적일 수 있어 발가락들이 모였을 때 발이 다른 형상을 갖는다.
다리를 구부리는 단계와 족쇄에 삽입하는 단계는 수작업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차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 및 포지셔닝(positioning) 기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는 발이 새의 가슴에 더 가까워지도록 새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비절 관절에서 구부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컨베이어 상의 족쇄와 체결하기 위해 새의 다리(들)를 포지셔닝하도록 구성된다.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는 체결 부재 및 캐리어(carrier)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상에 있어, 체결 부재가 다리의 가슴 측에 마련되어, 비절 관절을 새의 가슴 쪽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며, 발을 가슴 쪽으로 향하도록 강제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시에 양쪽 다리를 구부리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체결 부재 및/또는 하나의 캐리어가 새의 양쪽 다리를 체결할 수 있으나, 새의 각 측 다리에 마련된 둘 이상의 체결 부재 및/또는 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관절을 움직이지 못하도록"이란 표현은 다리를 구부리는 동안 체결 부재가 몸통에 대해 비절 관절을 정확히 동일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리가 엉덩이에서 단지 빙글 도는 것이 아니라 비절 관절에서 실질적으로 구부러지도록, 종아리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을 제공해야 함을 의미할 뿐이다. 그렇지 않으면 가슴 쪽으로 발이 밀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와의 체결로 인해 새의 등 쪽으로 관절이 약간 움직이는 것은 다리의 골절 위험을 줄이거나 발가락들을 훨씬 더 가까이 모이게 하기 위해 허용될 수 있거나, 심지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새와 체결 부재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어서, 구부리는 처리에서 비절 관절에 대한 체결 부재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체결 부재 및/또는 캐리어는 새에 대해 소정의 트랙을 따를 수 있지만, 처리될 새의 크기 및 형상의 차이에 적합하도록 휘어질 수도 있다.
현재는 체결 부재가 먼저 다리를 체결하도록 하고 나서 캐리어가 발을 가슴 쪽으로 향하도록 강제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예컨대 새의 종류, 품종 및 크기에 따라, 새가 사전에 기절했거나 죽었는지에 따라 다른 순서의 조작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1)에 앞서 새를 기절시키거나 죽이는 것은, 특히 다리와 날개에서, 잠재적으로 상처를 유발할 수 있지만, 구부리는 것에 새가 저항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새들은 어두울 때 긴장을 푸는 경향이 있으므로 암실에서 매다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캐리어는 정강이의 등 측을 밀지만, 당기는 힘을 가할 수도 있고/있거나 발 또는 발가락들을 체결할 수 있다.
체결 부재 및 캐리어 조작의 속도 및 힘은 새에게 상처를 줄 위험을 가능한 최소화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정확히 어떻게 조작되어야 하는지는 체결 부재와 캐리어의 크기, 형상 및 재질과 새의 종류 및 크기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존하므로, 실험적으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실험은 단순하며, 당업자에게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이후 설명할 움직임은 새와 장치의 상이한 부분들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서, 새 또는 새의 부위를 움직이거나, 장치 또는 장치의 일부를 움직이거나, 또는 이러한 움직임들을 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리를 구부리기 쉽게 하기 위해, 단계 1) 동안 새의 몸통은 정리되어 지지대로 받쳐지고/받쳐지거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단계 2) 동안 새를 지지 및/또는 고정함으로써 족쇄에 다리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지지대는 단순하게 새의 몸통을 받치는 표면일 수 있으나, 몸통의 형상에 따라 더 복잡한 지지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새의 몸통을 지지대에 대고 눌러서, 될 수 있는 한 단지 중력의 영향 하에서, 날개를 꽉 잡아서, 그리고/또는 새의 몸통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홀더 내에 새를 정리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면에서 새의 몸통을 치우거나 또는 새의 몸통에서 지지면을 치워서 새가 중력의 영향 하에서 다리로 매달려지는 것은 구부리는 처리를 도울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단계 1)과 단계 2) 사이가 명확히 분리될 필요는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즉, 다리를 구부리는 단계는 그 자체로 다리를 족쇄와 접하게 하거나 족쇄와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지셔닝 기구는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에 내장된 일부이어서, 구부리는 처리의 마지막에 족쇄와 체결을 위한 위치에 다리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살아있는 닭의 그림이다.
도 2는 다리를 구부렸을 때 도 1의 닭의 오른발 그림이다.
도 3a는 다리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의 닭이 도살 족쇄와 체결하기 이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와 대응하지만, 닭의 다리가 구부러져 도살 족쇄와 체결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a 및 도 3b에 대응하지만, 화살표 IV가 나타내는 우측에서 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a 및 도 3b에 대응하지만, 화살표 V가 나타내는 위에서 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3a 및 도 3b에 대응하지만, 화살표 VI가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리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의 닭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응하며, 다리를 구부리기 위한 레일 시스템의 서로 다른 세 개의 위치를 더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응하지만, 레일 시스템의 마지막 위치와 닭의 다리가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다리를 구부리는 스테이션에서 홀더에 정리된 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대응하지만, 단지 닭, 체결 부재 및 캐리어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지만, 도 12의 화살표 XI가 나타내는 뒤에서 똑바로 본 후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대응하지만, 닫혀진 상태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15는 도 10 내지 도 14에서와 같은 체결 부재 및 캐리어가 쥘 닭의 다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대응하지만, 닭의 몸통이 부분적으로 풀려 중력의 영향 하에서 매달린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흔히 식용으로 사용되어 다량으로 도살장에서 처리되는 새의 해부학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산 상태의 서 있는 닭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오리, 거위, 칠면조, 메추라기 또는 비둘기와 같은 다른 종류의 새들도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서, 새(1)와 새의 부위의 방향은 새의 가슴(11)과 등(12)의 방향에 의해 정의된다. 이 점에 있어서, "가슴 측 쪽으로" 및 "등 측 쪽으로" 같은 표현을 사용할 때 이는 정확한 각도가 아니라 서로 반대되는 두 개의 전체적인 방향을 나타내기 위함일 뿐이다.
허벅다리(14), 종아리(15) 및 정강이(16)를 포함하는 다리(13)를 더 잘 볼 수 있도록 날개를 올린 상태로 닭을 도시하였다. 허벅다리와 종아리는 무릎 관절(20)에서 연결되고, 종아리와 정강이는 비절 관절(17)에서 연결되며, 정강이는 비절 관절에서 발(18)까지 이어진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절 관절(17)은 자연적인 상태의 다리에서 약간 구부러져 있고, 종아리와 정강이 사이의 각도는 다리의 등 측 보다는 다리의 가슴 측에서 더 작다. 종아리 내에 있는 경골뒷발목 뼈를 정강이와 평행해지도록 다리를 완전히 늘이는 것은 정상적으로는 가능하지 않다.
발(18)은 네 개의 발가락(19)을 포함하는데, 제1 발가락(191)은 실질적으로 등 측 쪽으로 내밀고, 제2, 제3, 및 제4 발가락(192, 193, 및 194)은 가슴 측 쪽으로 내밀고 있다.
닭이 발(18)을 들면, 비절 관절(17)에서 다리를 구부려 발을 가슴(11) 쪽으로 당긴다. 이렇게 하면 다리의 힘줄(미도시)이 당겨져,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발가락들(19)을 자동적으로 모이도록 하고 서서히 꽉 쥐어진 상태로 구부러지도록 한다.
최근의 가금 도살장들에서는, 발(18)을 족쇄(2)의 개구부(21)를 통과 시키고/시키거나 오목부(recess)(22)에 정강이를 정리함으로써 도 3a 및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천정 컨베이어(3)상에서 움직이는 족쇄에 새(1)가 매달린다. 새의 몸통(10)이 풀려 족쇄에 자유롭게 매달리면, 족쇄에 반하여 발이 단단한 받침대에 닿을 때까지 자신의 무게로 인해 아래로 당겨진다.
도 3a의 지면 속으로 들어가거나 지면 밖으로 나올 수 있는 천정 컨베이어는 도 3a에만 도시되었지만, 다른 도면의 족쇄들도 이러한 컨베이어 상에 장착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컨베이어의 설계는 당업자에게 매우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족쇄에 매다는 것은 수십 년 간 사용되어 왔고, 가금이 매달리기 전에 기절되었거나 죽었는지에 관계없이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가금을 매달기 위한 자동화 장치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새(1)의 발(18) 및 다리(13)가 족쇄(2)에 항상 올바르게 체결되는 것은 아니며 결과적으로 새가 떨어지거나 한쪽 다리로 매달리는 것이 발견되었다. 현재 이러한 문제는 발과 다리를 족쇄와 체결하기 전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새의 다리를 구부려서 발가락들을 모이게 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발이 상당히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복잡한 발걸이를 사용할 필요 없이, 도 3b 및 도 4b에 도시한 것처럼 족쇄의 개구부(21)를 통과하는 데 보다 용이하다. 도 4a와 도 4b의 비교에서 볼 수 있듯이, 발의 닫힘은 특히 하나 이상의 발가락(19)이 족쇄의 부적절한 측으로 갈 위험을 특히 최소화한다. 이는 발이 개구부로 들어오지 않을 위험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발가락들이 부러지는 위험을 줄이므로, 식료품으로서의 발의 가치를 높인다.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 발이 자연적인 상태로 매달리는 것과 닫혀진 상태로 매달리는 것의 차이를 나타낸다.
폐루프 족쇄는 특히 새의 털을 뽑는 동안, 쉽게 얽히지 않기 때문에 도살 족쇄로서 특히 유리하고, 도면에서는 폐루프 족쇄(2)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더 개방된 설계의 족쇄가 사용되는 곳에도 적용된다.
도 3a, 도 4a, 도 5a 및 도 6a에서는, 새가 의식이 있을 때 자연적인 상태인 비교적 펼쳐진 상태의 발가락들(19)을 가진 새(1)를 도시하고 있다. 만일 새가 매달리기 전에 기절하거나 죽었을 경우, 발은 긴장이 풀려 도시된 것보다 발가락들이 서로 약간 더 가까워질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의식의 새를 매달 때, 발가락들이 족쇄(2)의 부적절한 측으로 가는 문제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비절 관절(17)에서 가슴 측(131)에 제1 힘(P1)을 가하고 정강이(16)의 등 측(161)에 제2 힘(P2)를 가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다리(13)를 실제로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힘들은, 될 수 있는 한 중력의 당기는 힘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다리의 각 부위를 밀거나 다리를 고정 받침대 부재에 대고 힘을 가함으로써 가해질 수 있다. 다리의 반대 측을 당기는 힘도 물론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실제로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힘(P1)이 또한 종아리(15)에 가해질 수 있고, 제2 힘(P2)이 발(18) 또는 심지어 발가락들(19)에 가해질 수 있으며, 힘의 방향은 단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정확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신뢰할 수 있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는 도 8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평행하지 않은 두 개의 막대 형상 레일(4, 5)을 포함한다. 사용상에 있어서, 새(1)의 다리(13)는 레일들, 즉 체결 부재의 역할을 하는 제1 레일(4) 및 캐리어의 역할을 하는 제2 레일(5) 사이를 통과한다. 레일 시스템의 입구 끝에서 레일들(4, 5)은, A로 표시한 단면으로 도시되어,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다. 새의 움직임 방향으로 더 아래로 가면, 레일들(4, 5)은 서로 더 가까워져 B 상황으로 도시된 것처럼, 각각 새의 몸통(10) 및 정강이(16)와 접하게 된다. 더 아래로 가면, 양쪽 레일들(4, 5)은 C 상황으로 도시된 것처럼 비절 관절(17)에 있게 되고, 위쪽의 레일(5)은 도 9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정강이를 강제한다.
레일들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능한 휘어질 수도 있으나, 고정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연속적인 새의 흐름이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를 통과하고 나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으로 천정 컨베이어에서 이동하는 연속적인 족쇄들의 열로 이송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레일 시스템의 마지막 부분은 포지셔닝 기구로서 작용하지만, 물론 이를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다.
레일 시스템(4, 5)을 통과할 때, 이상 설명한 것처럼 새의 다리(13)가 두 레일 사이를 자유롭게 지나가는 한, 지지면으로 받쳐서 컨베이어에 매달거나 또는 수동적으로 잡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새(1)가 쥐어질 수 있다. 새가 움직이는 트랙은 직선일 필요는 없다. 반면, 누워 있는 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머리를 아래로 향한 상태로 새의 몸통(10)을 서서히 움직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가능하면 의식이 있어 발로 서 있는 새들로 시작하여, 머리가 위로 향한 상태에서 시작하는 것 조차 가능하다. 레일들은 또한 상이한 공간적 방위로 정렬되어, 처리하는 동안 새의 상이한 공간적 위치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절 관절(17)에서 구부리면 다리(13)의 힘줄 및 근육에 당김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발가락들이 더 가까이 모이도록 하고 발(18)이 꽉 쥐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무릎 관절(20)을 늘려 훨씬 더 단단한 조임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새의 몸통을 중력의 영향 하에서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에 매달리게 놔두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서로에 대해 종아리 및 허벅다리의 경로를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레일(미도시)을, 전술한 레일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레일들(4, 5)은 곡선일 수 있고, 따라서 레일 시스템이 위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갖고/갖거나, 예컨대 유압으로, 움직일 수 있다. 유압을 이용하면, 새에 작용하는 압력이 너무 높아질 경우 레일이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장점을 가지며, 체결 부재 및/또는 캐리어의 다른 실시예들에도 물론 적용된다. 이런 식으로, 새에 손상을 가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스템을 새의 크기 및 형상 차이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스프링에 의해 유사한 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새의 다리 껍질이 손상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레일은 단면이 둥근 형상이며, 마찰 저항이 작은 매끄러운 면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낮은 마찰 저항은 또한, 다리가 레일들을 따라 레일들 사이를 부드럽게 지나가고, 새의 몸통에 대해 뒤틀려 당겨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새의 몸통에 대해 뒤틀려 당겨지면 다리가 빠져나갈 수 없게 되어 잠재적으로 생산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새의 몸통(10)은 지지면에 대해 고정되고, 다리를 지지면 가장자리 너머로 내민 채로 정리되며, 상기 지지면은 다리 체결 부재의 역할도 한다. 그리고 나서, 캐리어는 지지면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면의 가장자리 가까이로 이동하여, 발 또는 정강이와 접해지고 캐리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정강이를 강제함으로써, 비절 관절이 구부러지도록 한다. 새가 가슴을 아래로 향해 누워 있으면, 캐리어는 아래로 움직여야 되고, 새가 가슴을 위로 향해 누워 있으면, 캐리어는 위로 움직여야 된다.
지지면은 평면일 필요는 없고 새의 몸통 형상에 맞추도록 구성된 홀더 일 수 있다. 또한, 구부리는 동안 다리가 캐리어에서 밀려나가지 않도록, 지지면은 다리를 잡고 있도록 구성된 오목부 또는 버팀대(brac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둥근 단면 형상을 갖는 막대인 것이 바람직하며, 캐리어는 돌아가거나, 회전되거나 또는 위치가 이동되어 지지면의 가장자리를 지나간다. 일례로, 두 개의 막대가 지지면의 각 측에 하나씩 마련되고, 안쪽과 아래쪽으로 돌아가도록 구성되어 각각이 새의 한쪽 다리와 접할 수 있으며, 막대가 새의 다리와 접할 때 막대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 자유단들은 서로 가깝다.
다른 대안적 실시예(미도시)에서, 새의 정강이가 두 개의 유지 부재 사이 또는 유지 부재와 지지면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로 물리고 나면, 새의 몸통(10)은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걸려 있게 됨으로써, 다리는 중력의 영향 하에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두 가지 실시예를 지지하는 원리들이 결합된다.
우선 도 10에서, 새의 몸통(10)은 홀더(6)에 위치하고, 지지면은 실제 매다는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다리(13)의 최적 위치로 새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움직이는 벨트(61)로서 구현된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홀더는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레일 시스템(62) 상에 마련되고, 모터(63)로 구동되는 체인(미도시)에 의해 당겨진다. 도 11에 벨트(61) 및 홀더의 끝판(64)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다른 새 도살 처리에서 알려진 것처럼 레일 시스템 상에 일련의 동일한 홀더들이 마련될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홀더는 샤프트(65)가 체결된 자체 모터를 구비할 수 있거나, 벨트(61)를 돌리기 위한 중앙 모터 유닛이 레일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체결 부재(104)는 도 12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아래로부터 상승하여,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종아리(15)와 정강이(16) 사이의 가슴 측 비절 관절(17)에서 다리와 체결된다.
본원에서 체결 부재(104)는 굴곡 막대로 구현되는데, 굴곡은 족쇄(2)의 개구부들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거리로 다리를 포지셔닝 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더 작은 굴곡을 가진 또는 굴곡이 없는 체결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캐리어(105)가 도 13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위에서부터 안으로 도 14에 도시한 위치까지 돌아서,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체결 부재와 캐리어 사이에 다리를 물리게 하고 다리를 구부린다.
캐리어(105)의 움직임은 병진 움직임일 수도 있거나, 또는 병진 및 회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패턴을 따를 수 있고, 체결 부재(104)의 움직임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에 주목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4에서 도시한 것처럼 두 개의 캐리어일 필요는 없으며, 체결 부재 및 캐리어는 거의 동시에 움직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들에서 캐리어(105)는 위에서부터 비절 관절을 체결하고 비절 관절의 등 측에 인접한 제1 판형 부분(1051) 및 정강이(16)의 등 측을 체결하는 제2 막대형 부분(1052)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오목한 형상의 캐리어는 다리를 구부리는 것을 돕지만, 다른 형상의 두 부분들 및 캐리어 또한 결과적으로 만족스럽게 구부릴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례로, 제1 부분은 하나 이상의 막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발가락들의 충분한 닫힘을 얻기 위해서 도 15에 나타낸 굽힘 각도(α)는 적어도 30 내지 40도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실험들에서 나타났고, 물론 이 각도 구간은 다리를 구부리는 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된다.
이후 새의 몸통(10)이 홀더(6)로부터 풀리면, 도 16에 도시하고 다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새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체결 부재 및 캐리어에 매달리게 된다. 몸통을 풀어주는 것은 예를 들어, 새에 대해 홀더(6)를 이동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한 비교적 복잡한 홀더의 사용을 피하고 싶다면, 새를 운반하는 벨트 컨베이어와 평행하게 움직이는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를 사용하여, 일단 다리를 물리고 나서, 컨베이어 말단부를 넘어감으로써 또는 서로 멀어지는 클램핑 장치와 홀더의 경로에 의해, 새의 몸통이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체결 부재는 지지면의 일부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6에서 곡선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새의 몸통을 풀면 결과적으로 체결 부재(10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정강이를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로 가져오며, 이후 정강이(2)는 도 16에서 직선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발 너머로 오거나, 발이 정강이 안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한 것처럼, 캐리어의 제1 부분(1051)은, 회전하는 동안 비절 관절이 체결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구현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은 비절 관절을 등(12) 쪽으로 움직이게 하고/하거나 무릎 관절(20)을 늘려 발가락들을 훨씬 더 가까이 모이도록 도울 수도 있다. 이러한 비절 관절의 움직임 및/또는 무릎 관절의 늘림은 유사한 효과를 가지고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를 설계할 때, 골절의 위험을 최소화 하려면, 처리될 새의 정강이 강도를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새와 장치의 움직임은 상대적인 움직임으로서, 설명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일어나는 상대적인 움직임들을 달성하기 위해, 새와 장치 중 어느 하나가 고정일 수 있거나, 둘 다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체결 부재와 캐리어는 도살장에서 마주치는 가혹한 환경에 대해 내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깨끗하게 유지하기 용이한 재료인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폴리머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다른 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새들은 어두울 때 그대로 있으려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의식이 있는 새들을 매다는 것은 빛이 거의 없는 실내에서 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Claims (20)

  1. 가슴을 지닌 몸통과 각각이 가슴 측, 등 측, 비절 관절, 정강이 및 발가락들이 있는 발을 포함하는 두 다리를 가진 새를 족쇄에 매다는 방법으로서,
    1)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상기 비절 관절에서 구부려서 상기 발이 상기 새의 상기 가슴에 더 가까워지도록 하는 단계,
    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상기 족쇄에 삽입하는 단계, 및
    3)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구부리는 것은 상기 발의 상기 발가락들을 모이도록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쪽 다리는 구부러져 상기 족쇄에 삽입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동안, 상기 발/양발은 상기 족쇄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체결 부재가 상기 다리의 상기 가슴 측에 마련되어, 상기 비절 관절을 상기 새의 상기 가슴 쪽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발을 상기 가슴 쪽으로 향하도록 강제하기 위해 캐리어가 사용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비절 관절에 마련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정강이의 상기 등 측을 미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체결 부재 및/또는 하나의 캐리어가 상기 새의 양쪽 다리를 체결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또는 단계 2) 동안, 상기 새의 상기 몸통은 지지대로 받쳐지고/받쳐지거나 고정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는 상기 단계 1) 이전에 기절하였거나 죽은, 방법.
  10. 가슴을 지닌 몸통과 각각이 가슴 측, 등 측, 비절 관절, 정강이 및 발가락들을 가진 발을 포함하는 두 다리를 가진 새를 족쇄에 매다는 장치로서,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 및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는 상기 발이 상기 새의 상기 가슴에 더 가까워지도록 상기 새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상기 비절 관절에서 구부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족쇄와 체결하기 위해 상기 새의 상기 다리(들)를 포지셔닝하도록 구성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리는 기구는 상기 발의 상기 발가락들이 모이도록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구부리도록 구성된,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는 상기 새의 양쪽 다리를 구부리도록 구성된,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는 체결 부재 및 캐리어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다리를 상기 다리의 상기 가슴 측에서 체결하도록여 상구성되어 비절 관절을 상기 새의 상기 가슴 쪽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발을 상기 가슴 쪽으로 향하도록 강제하도록 구성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다리를 상기 비절 관절에서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정강이의 상기 등 측을 밀도록 구성된,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 및/또는 상기 캐리어는 휘어지도록 구성된,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체결 부재 및/또는 하나의 캐리어가 상기 새의 양쪽 다리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의 상기 몸통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면 및/또는 상기 새의 상기 몸통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물을 더 포함하는, 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를 구부리는 기구는 평행하지 않은 두 개의 막대 형상 레일들, 즉, 체결 부재의 역할을 하는 제1 레일 및 캐리어 역할을 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족쇄의 개구부들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거리로 제공되는 두 개의 굴곡을 지닌 막대 형상인, 장치.
  20.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다리를 상기 비절 관절에서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 및 상기 정강이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은 상기 캐리어에 오목한 형상을 부여하는, 장치.
KR1020157005654A 2012-08-17 2013-08-19 새를 족쇄에 매다는 방법 및 새들을 매다는 장치 KR102016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270485 2012-08-17
DKPA201270485 2012-08-17
PCT/DK2013/050268 WO2014026695A1 (en) 2012-08-17 2013-08-19 A method of suspending a bird from a shackle and an apparatus for suspending bir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086A true KR20150046086A (ko) 2015-04-29
KR102016402B1 KR102016402B1 (ko) 2019-08-30

Family

ID=4903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654A KR102016402B1 (ko) 2012-08-17 2013-08-19 새를 족쇄에 매다는 방법 및 새들을 매다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71510B2 (ko)
EP (1) EP2884848B1 (ko)
JP (1) JP6063572B2 (ko)
KR (1) KR102016402B1 (ko)
CN (1) CN104684400B (ko)
BR (1) BR112015003208B8 (ko)
IL (1) IL237226B (ko)
MY (1) MY171521A (ko)
RU (1) RU2606907C2 (ko)
WO (1) WO2014026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46452C (en) 2014-04-30 2022-07-19 Linco Food Systems A/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rranging a bird in a position for being suspended from a shackle
NL2031855B1 (en) 2022-05-13 2023-11-20 Meyn Food Processing Tech Bv A method and system for rehanging poultry, and a shackle for suspending the poult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3293A (en) * 1970-10-13 1972-02-22 Pillsbury Co Poultry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4660256A (en) * 1983-12-19 1987-04-28 Canadian Bird Equipment Limited Poultry transfer machine
JPH04211323A (ja) * 1990-01-30 1992-08-03 Stork Pmt Bv 屠殺した動物の脚の膝関節の近傍で正確な切断操作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30134586A1 (en) * 2002-01-16 2003-07-17 Keld Kvor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nimals to be slaughtere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1972A (en) 1957-09-30 1961-05-02 Johnson Co Gordon Poultry shackle
NL138966B (nl) * 1969-10-16 1973-05-15 Stork Amsterdam Inrichting voor het nabij de staart aanbrengen van een dwarssnede in het lijf van een vogel.
US4251901A (en) * 1979-07-20 1981-02-24 Holly Farms Poultry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ting poultry breasts
GB2118511A (en) 1982-03-19 1983-11-02 Cope Whelon And Company Limite Suspension devices for poultry
NL8801969A (nl) * 1988-08-08 1990-03-01 Meyn Maschf Werkwijze voor het doen opstaan van gevogelte alsmede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ze werkwijze.
CA2015217A1 (en) * 1989-04-24 1990-10-24 Lawrence J. Kessler Poultry thigh disjointing method and apparatus
US5026317A (en) * 1990-03-20 1991-06-25 Kennedy Claude D Viscera excision for poultry and the like
US5134971A (en) * 1991-03-04 1992-08-04 Krienke Paul M Live fowl conveyor
US5108345A (en) 1991-03-25 1992-04-28 Grover S. Harben, III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live fowl onto a conveyor
NL9200342A (nl) * 1992-02-26 1993-09-16 Meyn Maschf Inrichting voor het aan de poten ophangen van gevogelte.
NL9200676A (nl) 1992-04-10 1993-11-01 Maveco B V Inrichting voor het automatisch aan transporthaken hangen van te slachten pluimvee.
NL9201167A (nl) * 1992-06-30 1994-01-17 Meyn Maschf Inrichting voor het confectioneren van een geslachte vogel.
US6623346B2 (en) * 1999-12-23 2003-09-2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Automated transfer of live objects to shackle line method and apparatus
US7134956B2 (en) * 1999-12-23 2006-11-14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Automated feet-gripping system
ATE352209T1 (de) 2000-04-19 2007-02-15 Linco Food Systems 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hängen von schlachttieren, insbesondere von geflügel
US6283848B1 (en) * 2000-07-14 2001-09-04 Allan Todd Berry Poultry foot harvester and method
JP3497476B2 (ja) * 2001-01-30 2004-02-16 株式会社前川製作所 中抜き屠体のハービング方法とその装置
NL2000489C2 (nl) 2007-02-15 2008-08-18 Meyn Food Proc Technology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werken van in een transporthaak aan de poten hangend gevogelte.
EP2552223B1 (en) 2010-03-26 2014-11-12 Linco Food Systems A/S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poultry to be slaughter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3293A (en) * 1970-10-13 1972-02-22 Pillsbury Co Poultry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4660256A (en) * 1983-12-19 1987-04-28 Canadian Bird Equipment Limited Poultry transfer machine
JPH04211323A (ja) * 1990-01-30 1992-08-03 Stork Pmt Bv 屠殺した動物の脚の膝関節の近傍で正確な切断操作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30134586A1 (en) * 2002-01-16 2003-07-17 Keld Kvor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nimals to be slaughte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06907C2 (ru) 2017-01-10
WO2014026695A1 (en) 2014-02-20
CN104684400A (zh) 2015-06-03
RU2015106195A (ru) 2016-10-10
EP2884848B1 (en) 2024-05-01
IL237226A0 (en) 2015-04-30
IL237226B (en) 2019-12-31
BR112015003208B1 (pt) 2020-11-17
BR112015003208A2 (pt) 2017-07-04
KR102016402B1 (ko) 2019-08-30
US20150208677A1 (en) 2015-07-30
BR112015003208B8 (pt) 2023-02-14
MY171521A (en) 2019-10-16
EP2884848A1 (en) 2015-06-24
US9271510B2 (en) 2016-03-01
JP2015526081A (ja) 2015-09-10
CN104684400B (zh) 2017-12-15
JP6063572B2 (ja)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3085B2 (ja) 豚や牛や羊や山羊といった屠殺された動物の屠殺体の一部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屠殺された豚の脚を運搬するための搬送デバイス
AU2012338938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handling poultry
EP1692942B1 (en) Device for rehanging a slaughter animal
DK1764001T3 (en) Indvoldsudtagningsindret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luster of the slaughtered animal internal organs
JPH09163920A (ja) 脚の骨抜き方法及び装置
US64508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oultry
KR20150046086A (ko) 새를 족쇄에 매다는 방법 및 새들을 매다는 장치
US70048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oultry
EP3522730B1 (en) Poultry shackle or product carrier with tendon trap for suspending poultry or parts thereof
KR101920135B1 (ko) 섀클에 매달리는 위치에 조류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74108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голени от птичьей ножки
DK174600B1 (da) Fremgangsmåde samt apparat til håndtering af slagtedy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