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155A -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155A
KR20150043155A KR20130122233A KR20130122233A KR20150043155A KR 20150043155 A KR20150043155 A KR 20150043155A KR 20130122233 A KR20130122233 A KR 20130122233A KR 20130122233 A KR20130122233 A KR 20130122233A KR 20150043155 A KR20150043155 A KR 20150043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ngle range
set angle
intake cam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352B1 (ko
Inventor
오영규
유철호
김진홍
황일중
김진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352B1/ko
Priority to US14/145,295 priority patent/US9194305B2/en
Publication of KR2015004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23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 F02D13/0234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 F02D13/0238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by shifting the phase, i.e. the opening periods of the valves are cons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0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mechanical means
    • F02P5/1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mechanical means dependent on specific conditions other than engine speed or engine fluid pressure, e.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16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means relating to exhaust gas recirculation, e.g. turb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운전모드인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모드에서는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지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모드에서는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ENGINE HAVING CONTINUOUS VARIALBE VALVE TIMING DEVICE}
본 발명은 흡기 또는 배기밸브를 움직이는 캠샤프트를 진각시키거나 지각시킴으로써 연소실에서의 압축 손실을 최소화하고, 연료소모를 줄이는 연속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연료소모를 줄이며, 배기가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엔진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서 캠샤프트의 회전위상을 진각시키거나 지각시키는 연속가변밸브타이밍(CVVT: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기구가 소개되었다.
한편, 운전상태에 따라서 저부하에서는 연료소모를 줄이고, 고부하에서는 출력을 높임으로써 다양한 운전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부하에서는 연료소모를 줄이고 고부하에서는 출력을 높임으로써 요구되는 운전요구를 만족시키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운전모드인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모드에서는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지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모드에서는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에서, 실린더의 연소가스의 점화시키를 진각할 수 있다.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지각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각도 범위는 미리 설정된 수치일 수 있다.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각도 범위는 미리 설정된 수치일 수 있다.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에서, 흡기밸브와 배기밸브가 동시에 열리는 오버랩이 증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지각시키는 단계에서, 피스톤이 흡기를 압축할 때, 펌핑손실이 저감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는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에서, 저부하에서는 흡기밸브의 열림시기를 지각시킴으로써 펌핑손실을 저감시켜 연료소모를 줄이고, 고부하에서는 흡기밸브의 열림시기를 진각시킴으로써 흡기공기량을 증가시켜 출력과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에서 밸브를 지각하고 진각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에서 펌핑로스를 줄이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 내연기관으로 MPI(multi point injection), GDI(gasoline direct injection), TGDI(turbo gasoline direct injection), CDA(cylinder deactivation), 또는 TGDI(turbo gasoline direct injection)+CDA(cylinder deactivation)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엔진회전수와 부하에 따라서 흡기 캠의 진각/지각이 최적으로 제어되고, 아킨슨 사이클(akison cycle) 구현으로 인하여 LIVC(late intake valve closing)효과로 인하여 펌핑손실을 줄이고, 실압축비를 증가시켜 연료소모를 줄이고, THC(total hydro carbon)를 저감시킨다.
아울러, 기존의 DCVVT(double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와 비교하여 모드 전환에 따라서 진각/지각의 제어가 빠르고, 연료소모가 줄면서 토크가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흡기측에는 초기 시동성능을 향상시키고 흡기캠(160)의 작동 타이밍을 변경하도록, 기계적인 로킹(locking) 기구를 포함하는 중간위상 연속가변밸브타이밍(CVVT) 기구를 적용한다.
중간위상정지 연속가변밸브타이밍(CVVT) 기구는 중간위치에서 시동되고, 엔지의 운행상태에 따라서 밸브의 타이밍을 지각 진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로킹(locking)기술을 이용하여 중간위상정치 연속가변밸브타이밍(CVVT) 기구는 엔진 정지시 흡기측의 밸브를 중간위상으로 변경하도록 한다.
도 4는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엔진은 실린더헤드(140), 캠샤프트(100), 가변 회전부(110), 오일컨트롤밸브(130)(OCV), 가변밸브 볼트(120), 흡기밸브(150), 및 흡기캠(160)을 포함하고, 상기 캠샤프트(100)의 일측에는 진각유로(122)와 지각유로(124)가 형성된다.
상기 가변 회전부(110)는 풀리 또는 스프라켓으로, 상기 가변밸브 볼트(120)를 통해서 상기 캠샤프트(100)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변 회전부(110)는 엔진에 의해서 회전하는데, 크랭크샤프트(미도시)와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서 회전하여 상기 캠샤프트(10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캠샤프트(100)에 형성되는 상기 흡기캠(160)은 상기 흡기밸브(150)를 리프트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변 회전부(110)에는 상기 지각유로(124)와 연결되는 지각실이 형성되고, 상기 진각유로(122)와 연결되는 진각실이 형성된다.
상기 오일컨트롤밸브(130)에 의해서 유압이 상기 지각실로 공급되면, 상기 가변 회전부(110)가 상대적으로 정회전되어 상기 캠샤프트(100)는 지각되고, 유압이 상기 진각실로 공급되면, 상기 가변 회전부(110)가 상대적으로 역회전되어 상기 캠샤프트(100)는 진각된다.
아울러, 상기 가변 회전부(110)로 공급되는 오일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오일컨트롤밸브(130)(OCV: oil control valve)가 필요하고, 상기 오이컨트롤밸브(130)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요소인 솔레노이드밸브도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100에서 제어가 시작되고, S105에서 운전모드가 제1모드인지 제2모드인지 판단된다. 운전모드가 제1모드로 판단되면, S110이 수행되고, 운전모드가 제2모드로 판단되면, S150이 수행된다.
S110에서 제1모드가 선택되고, S115에서 흡기밸브(150)를 리프트시키는 흡기캠(160)을 지각시키는 제어가 수행된다. 상기 흡기캠(160)이 지각되는 각도는 운전상태에 따라서 미리 설정되며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S120에서 흡기캠(160)의 지각제어를 통해서 피스톤의 펌핑손실이 저감되고, 연료소모가 줄어든다.
아울러, S150에서 제2모드가 선택되고, S155에서 흡기밸브(150)를 리프트시키는 흡기캠(160)을 진각시키는 제어가 수행된다. 상기 흡기캠(160)이 진각되는 각도를 운전상태에 따라서 미리 설정되며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S160과 S165에서 각각 연소실의 혼합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시기가 진각되고,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의 열림과 닫힘에 의해서 연소실의 혼합가스가 증가하여 출력과 토크가 증가한다.
그리고, S125에서 운전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고, 운전모드가 변경되면 S105가 수행되고, 변경되지 않으면, S130에서 제어가 종료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에서 밸브를 지각하고 진각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위치를 보여주고, 세로축은 배기밸브와 흡기밸브(150)의 리프트를 보여준다.
BDC는 Bottom dead center의 약자이며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고, TDC는 Top dead center의 약자이며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밸브(150)를 중간위상 상태에서 진각시키거나 지각시킴에 따라서 배기밸브(미도시)와의 오버랩구간이 가변되어 펌핑로스를 저감시켜 연료소모를 줄이거나 연소실의 공기량을 증가시켜 토크와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에서 펌핑로스를 줄이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위치를 보여주고, 세로축은 압력을 나타낸다.
IVC는 Inlet Valve Closing의 약자로써 흡기밸브(150)가 닫히는 시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IVC를 지각시킴에 따라서 펌핑손실(310)이 줄어들어 연료소모가 준다. 여기서, 폭발에너지(300)는 변하지 않는다. 아울러, 지각영역(370)이 늘어날수록 이론적인 펌핑손실(310)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50: 흡기밸브
160: 흡기캠

Claims (7)

  1. 운전모드인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모드에서는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지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모드에서는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에서,
    실린더의 연소가스의 점화시키를 진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지각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각도 범위는 미리 설정된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각도 범위는 미리 설정된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진각시키는 단계에서,
    흡기밸브와 배기밸브가 동시에 열리는 오버랩이 증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흡기캠을 설정각도 범위로 지각시키는 단계에서,
    피스톤이 흡기를 압축할 때, 펌핑손실이 저감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는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KR1020130122233A 2013-10-14 2013-10-14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KR10155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233A KR101558352B1 (ko) 2013-10-14 2013-10-14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US14/145,295 US9194305B2 (en) 2013-10-14 2013-12-31 Engine having continuous variable ti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233A KR101558352B1 (ko) 2013-10-14 2013-10-14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55A true KR20150043155A (ko) 2015-04-22
KR101558352B1 KR101558352B1 (ko) 2015-10-07

Family

ID=5280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233A KR101558352B1 (ko) 2013-10-14 2013-10-14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94305B2 (ko)
KR (1) KR101558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903A (ko) 2019-06-03 2020-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퍼지 시스템 및 액티브 퍼지 방법
KR20210087696A (ko) 2020-01-03 2021-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cr 또는 cvvd 작동시에 증발가스를 처리하는 액티브 퍼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3560B2 (ja) 1992-06-08 2001-07-09 マツダ株式会社 過給機付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777073A (ja) 1993-09-09 1995-03-2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967555B2 (ja) * 2001-03-19 2007-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の点火制御装置
US8365528B2 (en) * 2009-01-06 2013-0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valve duration control for improved scavenging
US8904993B2 (en) * 2009-06-15 2014-12-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torque during mode transition in direct injection engines
KR101262532B1 (ko) 2011-06-28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30032669A (ko) 2011-09-23 2013-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903A (ko) 2019-06-03 2020-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퍼지 시스템 및 액티브 퍼지 방법
US10871114B1 (en) 2019-06-03 2020-12-22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purge system and active purge method
KR20210087696A (ko) 2020-01-03 2021-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cr 또는 cvvd 작동시에 증발가스를 처리하는 액티브 퍼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352B1 (ko) 2015-10-07
US20150101553A1 (en) 2015-04-16
US9194305B2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736B1 (ko) 가변 밸브 기어를 구비한 내연 기관
US9046012B2 (en) Variable valve opera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169856B1 (ko) 가변 밸브 기어를 구비한 내연 기관
JP4618236B2 (ja) 予混合圧縮着火機関及びその制御方法
US8695544B2 (en) High expansion ratio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00096025A (ko) 가변 밸브 기어를 구비한 내연 기관
US20180106199A1 (en) Compression ratio adjustmen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858729B2 (ja) 可変動弁装置
JP2004068755A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WO2017110401A1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ストローク調整装置
WO2017038858A1 (ja) 内燃機関の圧縮比調整装置及び内燃機関の圧縮比調整装置の制御方法
WO2016098768A1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システム及び可変動弁制御装置
KR101558352B1 (ko)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의 제어방법
KR20130002029A (ko)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59029B1 (ko) 공기 충전량을 줄여 내연기관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487704B2 (en) System for variable actuation of a valve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KR101518897B1 (ko)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갖는 엔진
KR101648620B1 (ko) 내연 기관의 가변 밸브 작동 장치
JP2003161129A (ja)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325514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9297284B2 (en) Engine having variable valve timing device
JP5041167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8261319A (ja)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JP5516896B2 (ja) 可変動弁装置付内燃機関
JP2012193645A (ja) 内燃機関における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の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