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440A -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440A
KR20150042440A KR20130121069A KR20130121069A KR20150042440A KR 20150042440 A KR20150042440 A KR 20150042440A KR 20130121069 A KR20130121069 A KR 20130121069A KR 20130121069 A KR20130121069 A KR 20130121069A KR 20150042440 A KR20150042440 A KR 2015004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methicone
silicone
weight
ph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369B1 (ko
Inventor
은소희
정관영
정태화
유광호
김은종
조문희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30.0중량%, 실리콘 계면활성제 2.0~10.0중량%, 실리콘 오일 5.0~30.0중량%, 폴리올류 10.0~50.0중량%, 캡슐 1.0~30.0중량%를 포함하여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투명한 제형 내의 캡슐의 함유로 차별화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lear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skin moisturizing and skin improvement of water-in-silicone type containing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실리콘중수(Water-in-silicone, 이하 "W/S"라 한다.)'라 함은 실리콘 오일이 물을 감싸면서 유화가 된 제형을 의미하는데, 다양한 오일 보습 성분 및 유용성 활성 성분이 안정화된 캡슐을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제형 내에 함유시킴으로써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캡슐로 인한 차별화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피부의 보습 및 보호, 사용감 등에 집중되었던 기초 화장품의 연구 방향이 1990년대에 들어와 피부 과학의 발달에 따라 점차 피부의 미백, 노화 방지, 여드름 완화 등 피부에 대한 효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화장품의 개념을 의약품과의 연장선상으로 확장시킨 기능성 화장품(Cosmeceuticals)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기능성 화장품의 고유한 효능은 그 안에 포함된 특징적인 유효성분에 기인하는 것이며, 이러한 실제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찾아내어 기능성 화장품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성분들 중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화장품 유효성분들은 Vitamin A(Retinol), Vitamin C(Ascorbic acid), Vitamin E(a-Tocopherol), 식물 추출물, Enzyme 등이 있다. 특히, 화장품 원료 중 유효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식물 추출물은 그 화학적 구조에 따라 페닐알카노이드(Phenylalkan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안토시아닌/안토시아니딘(Anthocyanin/anthocyanidin), 퀴논(Quinon) 등의 페놀(Phenol)계 화합물과 스테로이드(Steroid) 등의 터페노이드(Terpenoid)계 화합물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들은 대부분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에 속하는 항산화제로서 대부분의 항산화제가 그렇듯이 수분이나 공기(산소), 빛 등에 의해 변질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기능성 성분들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수분, 빛, 열, 산소 등에 의해 변질되기 쉬운 물질이 많기 때문에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변질되지 않고 본래의 활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안정화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 유효성분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으로는 캡슐(Capsule) 기술, 리포좀(Liposom) 기술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능성 유효성분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 중에서 캡슐(Capsule) 기술은 의약품, 도료, 전자산업 및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반 기술로서, 특히 의약품 및 화장품에 사용될 경우 물, 공기 및 열에 노출 시 불안정해지는 유효성분들을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통해 그 주변을 둘러싸는 캡슐화를 통해 안정화시킬 수 있다. 캡슐의 종류에는 천연성분, 콜라겐 또는 젤라틴, 아카시아 검, 셀룰로오즈 검 및 가교계를 포함하는 캡슐과 식물성 버터, 고급알코올을 함유하는 비드(Bead) 등 다양한 종류의 캡슐이 있으며, 이러한 캡슐은 종류에 따라 다량의 천연 오일, 보습 성분을 함유하여 제형 내 보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산화가 쉬운 불안정한 활성 물질 및 천연 유용성 활성성분인 레티놀,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 a-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리놀레이트, 토코페릴 리놀레이트, 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 리놀레익산, 코엔자임 Q-10, 레즈베라트롤, 우르솔릭산, 올레아놀릭산, 유용성 감초 및 리포익산 등과 같은 제형 내 안정화가 어려운 난용성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안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캡슐을 함유한 일반 유화(Emulsion) 화장품에는 현탁 혹은 유백색의 외관으로 인해 캡슐을 소량 적용할 경우 캡슐이 눈에 보이지 않아 소비자의 미감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캡슐을 다량 적용할 경우에는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캡슐을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캡슐을 함유한 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마이크로 에멀젼(Microemulsion) 방법과 가용화 방법이 있다. 마이크로 에멀젼 방법은 입자 크기를 나노미터(nm) 수준으로 아주 미세하게 형성함으로써 빛이 굴절에 의해서 간섭받지 않도록 하여 투명성을 구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이크로 에멀젼 방법은 30℃ 이하의 저온에서도 유화가 가능하긴 하지만 계면활성제를 다량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피부 부작용 및 불쾌한 사용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가용화 방법은 투명한 겔 타입의 제형으로서 수상(Water phase)을 점증제를 이용하여 점증시켜 가용화 제형을 구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용화 방법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에서 느낄 수 있는 유상성분을 함유하는데 제약이 있어 사용자의 미감을 충족시키는데 부족함이 있으며, 단기적인 수분 충족에는 충분하지만 피부 도포 시 피부 내 수분 유지력은 일반 유화 제형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캡슐을 함유한 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선행기술 1(한국등록특허공보 10-0347665 B1)은 캡슐이 함유된 투명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분산 안정화제로 0.5% 용액에서 80%T 이상의 투광도를 가진 잔탄검을 약 0.5중량 % 내지 약 1.2 중량%와 Polyether-1 또는 PEG-180/Octoxynol-40/TMMG 코폴리머 또는 PEG-180/Laureth-50/TMMG 코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산 안정화제 0.2중량% 내지 0.5중량% 그리고 캡슐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장기간의 저장기간 동안 캡슐이 균일하고 안정하게 분산되면서 투명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선행기술 2(한국등록특허공보 특1994-0021036 A)는 친수형(O/W type) 유액상을 함유하는 투명젤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리포좀 혼합물을 함유하는 친수형 유액상(OW/type emulsion 相)을 이온치환법에 의하여 캡슐화하여 구형 또는 타원형 캡슐알갱이를 만들고, 이 캡슐알갱이를 수용성 점증제가 함유된 안정한 투명젤상에 함유시키는 친수형 투명젤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투명한 겔 타입의 제형으로서 수상(water phase)을 점증제를 이용하여 점증시켜 가용화 제형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유화 제형에서 느낄 수 있는 유상 성분을 함유하는데 제약이 있어 사용자의 미감을 충족시키는데 부족함이 있으며, 단기적인 수분 충족에는 충분하지만 피부 도포 시 피부 내 수분 유지력은 일반 유화 제형에 비해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캡슐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을 때 캡슐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자의 미감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화장품으로서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도 충족시킬 수 있는 캡슐을 함유한 투명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347665 B1 KR 특1994-0021036 A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현탁 혹은 유백색의 성상을 나타내는 유화(Emulsion) 화장품에 캡슐을 적용할 경우에는 캡슐이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의 미감을 충족시킬 수 없었고, 기존의 캡슐을 함유한 투명한 화장료의 제조 기술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에서 느낄 수 있는 유상 성분을 함유하는데 제약이 있어 사용자의 미감을 충족시키는데 부족함이 있었다. 또한, 단기적인 수분 충족에는 충분하지만 피부 도포 시 피부 내 수분 유지력은 일반 유화 제형에 비해 매우 낮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 하고자 예의 노력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오일 보습 성분과 활성 성분이 안정화된 캡슐을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캡슐로 인한 독특한 외관을 지니는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을 개발하기 위해 다각적인 창작력과 오랜 시간을 투입한 결과, 실리콘 오일과 폴리올의 함량이 투명한 외관을 조정하는데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가혹 조건에서의 제형 안정성 및 경도 형성을 위하여 실리콘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최적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고보습, 탄력 및 피부결 개선에 효과를 갖는 캡슐이 함유된 투명한 제형 개발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부에 고함량의 보습 성분을 함유하고 유상부에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 오일 등을 함유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결 개선에 효과가 있으면서, 다양한 오일 보습 성분 및 유효 성분이 안정화된 캡슐이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어 독특한 외관 및 미감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에 효과가 우수하고, 제형 내의 캡슐 적용으로 외관의 차별화를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을 개발함에 있어서, 실리콘 오일과 폴리올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한 외관을 조정하는데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가혹 조건에서의 실리콘중수(W/S) 타입의 제형 안정성 및 경도 형성을 위하여 실리콘 계면활성제,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최적 비율을 조정하는데 다각적인 창작력과 오랜 시간이 투입되었다. 더욱이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활성 물질이나 천연 오일 등을 함유한 캡슐을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제형에 적용하여 외관의 차별화를 특징으로 하는 피부결 개선 및 보습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하기에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30.0중량%, 실리콘 계면활성제 2.0~10.0중량%, 실리콘 오일 5.0~30.0중량%, 폴리올류 10.0~50.0중량%, 캡슐 1.0~30.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은 콜라겐, 젤라틴, 아가, 아카시아 검, 셀룰로오즈 검 및 가교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하는 캡슐과 식물성 버터 및 고급알코올을 포함하는 캡슐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9 폴리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및 피이지-11메칠에텔디메치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티콘 및 페닐디메치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펜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및 에리스리톨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캡슐이 함유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유상부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30.0중량%, 실리콘 계면활성제 2.0~10.0중량%, 실리콘 오일 5.0~30.0중량%를 혼합하는 유상부 균일화 단계; (2) 수상부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올류 10.0~50.0중량%, 유화안정제 0.1~1.0중량%, 유효성 성분 0.01~5.0중량%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수상부를 용해하고 균일화하는 수상부 균일화 단계; (3)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를 투입하여 진공유화조에서 2,500~3,5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유화 입자를 형성하는 유화 입자 형성 단계; 및 (4) 상기 제조된 에멀젼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30.0중량%의 캡슐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균일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과 폴리올을 최적화된 함량으로 조정하여 투명한 외관의 제형을 제조함으로써 첨가되는 캡슐이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어 보다 투명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결 개선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e, 이하 "W/S"라 한다.)'라 함은 실리콘 오일이 물을 감싸면서 유화가 된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캡슐'이라 함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수분, 빛, 열, 산소 등에 의해 변질되기 쉬운 화장품 기능성 성분을 나노 캡슐로 캡슐레이션하여 피부 속에 침투시키는 공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e, 이하 "W/S"라 한다.) 타입은 실리콘 오일이 물을 감싸면서 유화가 된 제형으로 실키한 질감으로 피부결을 개선하고 피부 보호 효과가 있다.
통상적으로 유화 화장료 조성물 형태는 수중유(Oil in water, 이하 'O/W'라고 한다.) 유화 타입, 유중수(Water in oil, 이하 'W/O'라고 한다.) 유화 타입으로 크게 대별된다. 수중유(O/W) 유화 타입은 친수성 타입으로서, 사용감이 촉촉하고 부드러우나, 화장지속성과 내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친유성 타입인 유중수(W/O) 유화 타입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유중수(W/O) 유화 타입은 화장 지속성과 내수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끈적임, 유분감, 왁시감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부담을 주며 발림성, 퍼짐성 등의 사용감이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유화 조성물에는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과 에스테르(트리글리세라이드 포함)류의 오일, 올리브유, 면실류, 마카데미아유 등의 식물성 오일 등이 다량 함유되는데, 이러한 오일들은 피부 자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소비자의 저자극 화장품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실리콘 오일은 탄력적이며 입체적인 특유의 구조로 인하여 매우 가볍고 전연성, 퍼짐성 등의 사용감 및 피부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내수성과 에몰리언트 효과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화장료에 이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으며, 실리콘 오일을 외상으로 이용한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30.0중량%, 실리콘 계면활성제 2.0~10.0중량%, 실리콘 오일 5.0~30.0중량%, 폴리올류 10.0~50.0중량%, 캡슐 1.0~30.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캡슐은 콜라겐, 젤라틴, 아가, 아카시아 검, 셀룰로오즈 검 및 가교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캡슐과 식물성 버터 및 고급알코올로 이루어진 캡슐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캡슐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3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캡슐 내에 함유된 유효 성분들의 효능이 미미하고,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포 시 과량의 캡슐로 인하여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고, 피부 자극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Cyclomethicone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0~3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의 경도 형성 및 입자 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장기 및 고온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외관의 현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피이지-9 폴리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PEG-9 Poly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PEG/PPG-19/19 DIMETHICONE),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BIS-PEG/PPG-14/14 DIMETHICONE),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피이지-11메칠에텔디메치콘(PEG-11 METHYL ETHER DIMETHICON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2.0~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계면활성제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화 입자 형성이 되지 않아 제형 안정성에 영향을 주고, 1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명도에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디메티콘(Dimethicone), 페닐디메치콘(Phenyl Dimethicone), 페닐트리메티콘(Phenyl Trimethicon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0~3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0중량% 미만 또는 30.0중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의 사용감 및 투명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류는 겨울철 동결방지 및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된 원료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펜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및 에리스리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0~50.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이 불투명해질 수 있고, 50.0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의 사용감이 좋지 않고 제형의 투명도에도 문제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1) 유상부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30.0중량%, 실리콘 계면활성제 2.0~10.0중량%, 실리콘 오일 5.0~30.0중량%를 혼합하는 유상부 균일화 단계; (2) 수상부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올류 10.0~50.0중량%, 유화안정제 0.1~1.0중량%, 유효성 성분 0.01~5.0중량%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수상부를 용해하고 균일화하는 수상부 균일화 단계; (3)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를 투입하여 진공유화조에서 2,500~3,5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유화 입자를 형성하는 유화 입자 형성 단계; 및 (4) 상기 제조된 에멀젼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30.0중량%의 캡슐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균일화하는 단계;의 제조 공정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유화 안정제는 마그네슘 설페이트(Magnesium Sulfate, MgSO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는 유화 안정제의 효과와 더불어 피부를 탄력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1.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중량% 미만일 경우 또는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의 장기 안정도 및 제형의 투명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상부에 함유되는 유효성 성분은 수용성 활성물질로서 친수부에 용해되어 안정화되며, 미백, 주름, 항노화 등의 효과가 우수한 아데노신, 알부틴, 비타민 C 및 그 친수성 유도체들,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H 등의 각종 친수성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 코직산(Kojic acid) 및 그 유도체들, 아세틸글루코사민, 효모추출물, 각종 식물추출물 및 세포배양을 통해 얻어진 각종 펩타이드(Peptide)성분들 등이 있다. 상기 유효성 성분은 각각의 활성도, 용해성 및 식품의약품안정처의 가이드라인 함량 기준 따라 함량을 정하여 사용가능하며, 상기의 범위는 이들 생리활성성분들의 용해성 및 그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용된 예이며, 본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 상기의 범위에 국한되는 내용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상부 균일화 단계는 폴리올류, 유화안정제 및 유효성 성분 이외에 다양한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일예로는 폴리올을 포함한 다른 보습제, 금속봉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12: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제조
진공 유화조에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계면활성제, 실리콘 오일을 투입한 후, AGI MIXER로 혼합하여 균일화하였다. 폴리올류인 글리세린을 포함한 수상부는 수상 용해조에 투입 후 실온에서 AGI MIXER로 용해한 다음 상기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HOMO를 이용하여 2,500~3,5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유화 입자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에멀젼에 캡슐을 투입하고 25rpm으로 교반하여 제형 내 캡슐을 균일화함으로써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1 및 표 2에 캡슐이 함유된 W/S 타입의 투명 화장료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구분 성분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유상부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2.0 2.5 0.5 5.0 2.0 2.0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 4.0 5.0 1.0 8.0 4.0 4.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0 20.0 15.0 15.0 4.0 35.0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10.0 12.0 10.0 10.0 10.0 10.0
수상부 정제수 26.46 17.96 30.96 19.46 37.46 6.46
글리세린 30.0 25.0 30.0 30.0 30.0 30.0
마그네슘 설페이트 0.5 0.5 0.5 0.5 0.5 0.5
나이아신아마이드 2.0 2.0 2.0 2.0 2.0 2.0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0.04
캡슐 콜라겐 캡슐 10.0 7.0 10.0 10.0 10.0 10.0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구분 성분
(중량%)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유상부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2.0 2.0 2.0 2.0 2.0 2.0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 4.0 4.0 4.0 4.0 4.0
4.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0 15.0 15.0 15.0 12.0 18.0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5.0 35.0 10.0 10.0 10.0 10.0
수상부 정제수 31.46 1.46 49.46 1.46 38.96 11.46
글리세린 30.0 30.0 7.0 55.0 30.0 30.0
마그네슘 설페이트 0.5 0.5 0.5 0.5 0.5 0.5
나이아신아마이드 2.0 2.0 2.0 2.0 2.0 2.0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0.04
캡슐 콜라겐 캡슐 10.0 10.0 10.0 10.0 0.5 32.0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성상 및 물리적 특성
실시예 1 내지 12로부터 캡슐이 함유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결과, 실시예 1, 2의 경우 보습 화장료로서 적합한 사용감 및 투명도가 우수한 성상으로 나타났고,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같은 유상 성분들이 안정적으로 유화 입자를 형성하였으며, 50℃와 같은 가혹 조건에서도 유효성 물질들의 역가 및 투명한 외관을 유지하여 장기간 안정함을 확인 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3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실리콘 계면활성제인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및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으로 유화 입자가 형성되지 않아 크림과 같은 경도가 형성되지 않고, 고온 안정성이 불안정하여 분리 현상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4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계면활성제인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및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의 함량이 10.0중량%을 초과하여 투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두텁고 답답한 사용감을 나타내었지만 모든 온도에서 제형 안정성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5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실리콘 오일인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으로 제형 외관의 탁도가 발생하였고, 외상의 함량이 내상에 비해 현저히 적어 고온 안정성이 불안정하여 분리현상이 나타났으며, 실시예 6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오일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함량이 30.0중량%를 초과하여 내상의 함량 미달로 인해 크림상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나 모든 온도에서 제형 안정성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7 및 8은 어떠한 온도 조건에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실시예 7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실리콘 엘라스토머인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의 함량이 10.0중량% 미만으로 사용감은 부드럽게 개선되었으나 제형 외관에 현탁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8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실리콘 엘라스토머인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의 함량이 30.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한 미감을 느끼게 함은 물론 제형 외관의 현탁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실시예 9 및 10은 어떠한 온도 조건에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실시예 9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폴리올류인 글리세린의 함량이 10.0중량% 미만으로 실시예 1보다 사용감이 보다 가볍고 흡수가 빠른 반면에 외관상 현탁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0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폴리올류인 글리세린의 함량이 50.0중량% 초과하여 피부 도포 시 흡수가 매우 느리고 두텁고 답답한 사용감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7과 마찬가지로 외관상 현탁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실시예 11 및 12는 어떠한 온도 조건에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실시예 11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콜라겐 캡슐이 0.5중량%으로 실시예 1보다 외관이 불량하고 콜라겐 캡슐의 성상 및 사용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시예 12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콜라겐 캡슐이 32.0중량% 로 캡슐이 과량 함유되어 역시 외관이 불량하고 캡슐의 사용감이 과하게 나타나 답답한 사용감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피부결 개선 효과
실시예 1 내지 12 중에서 성상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실시예 1 및 2로부터 수득된 화장료 조성물을 실제 피부에 도포 시,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비스코스캔(Viscoscan)을 이용하여 시중에 판매중인 일반 W/S타입 크림 조성물과 비교하여 4주간 동안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SEsm)
실시예2
(SEsm)
일반 W/S 타입 크림 조성물
(SEsm)
0일 18.21 18.16 18.05
7일 22.50 21.45 21.98
14일 26.87 25.97 25.48
21일 29.98 29.13 26.45
실시예 1 및 2는 피부결 개선 효과가 각각 70.3%, 60.4%로 우수하였고, 사용감 또한 우수하여 피부결 개선 화장료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크림 조성물은 피부결 개선 효과가 52.7%로 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실시예 1 및 2보다는 그 효과가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시중에 유통되는 일반 W/S타입의 크림보다 피부결 개선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보습 효과
실시예 1 내지 12 중에서 성상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실시예 1 및 2로부터 수득된 화장료 조성물을 실제 피부에 도포 시,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코니오미터(Corneometer)를 이용하여 각질층의 수분량을 시중에 판매중인 일반 W/S타입 크림 조성물과 비교하여 4주간 동안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corneometer value)
실시예2
(corneometer value)
일반 W/S 타입 크림 조성물
(corneometer value)
0일 38.96 38.64 38.43
7일 47.82 46.28 44.53
14일 56.09 57.15 47.10
21일 58.98 59.51 50.43
28일 61.59 62.19 51.33
실시예 1 및 2의 보습 개선 정도는 각각 58.1%, 60.9%로 보습효과가 우수하였고 끈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였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W/S타입의 크림상 조성물의 보습 개선 정도는 33.6%로 보습효과가 나타났으나, 실시예 1 및 2보다는 효과가 미미하였다. 따라서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보습 효과가 일반 크림 제품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30.0중량%, 실리콘 계면활성제 2.0~10.0중량%, 실리콘 오일 5.0~30.0중량%, 폴리올류 10.0~50.0중량%, 캡슐 1.0~3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콜라겐, 젤라틴, 아가, 아카시아 검, 셀룰로오즈 검 및 가교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캡슐과 식물성 버터 및 고급알코올로 이루어진 캡슐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9 폴리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1메칠에텔디메치콘 중에서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티콘, 페닐디메치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펜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및 에리스리톨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7. (1) 유상부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30.0중량%, 실리콘 계면활성제 2.0~10.0중량%, 실리콘 오일 5.0~30.0중량%를 혼합하는 유상부 균일화 단계;
    (2) 수상부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올류 10.0~50.0중량%, 유화안정제 0.1~1.0중량%, 유효성 성분 0.01~5.0중량%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수상부를 용해하고 균일화하는 수상부 균일화 단계;
    (3)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를 투입하여 진공유화조에서 2,500~3,5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유화 입자를 형성하는 유화 입자 형성 단계; 및
    (4) 상기 제조된 에멀젼에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30.0중량%의 캡슐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균일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121069A 2013-10-11 2013-10-11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7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69A KR101557369B1 (ko) 2013-10-11 2013-10-11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69A KR101557369B1 (ko) 2013-10-11 2013-10-11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40A true KR20150042440A (ko) 2015-04-21
KR101557369B1 KR101557369B1 (ko) 2015-10-08

Family

ID=5303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069A KR101557369B1 (ko) 2013-10-11 2013-10-11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3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163B1 (ko) * 2015-08-21 2017-01-10 그린코스 주식회사 실리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투명 w/s 화장품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80091559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2863A (ko) * 2017-05-04 2018-1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캡슐-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84784A1 (ko) * 2019-03-13 2020-09-17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4152A (ko) *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토아스 항산화 활성을 갖는 왁스애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780B1 (ko) 2018-10-31 2023-09-11 (주)아모레퍼시픽 필름형성제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134B1 (ko) 2006-09-14 2009-01-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163B1 (ko) * 2015-08-21 2017-01-10 그린코스 주식회사 실리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투명 w/s 화장품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80091559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2863A (ko) * 2017-05-04 2018-1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캡슐-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84784A1 (ko) * 2019-03-13 2020-09-17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의 색상이 변화하는 컬러레이션 화장료 조성물
CN113347955A (zh) * 2019-03-13 2021-09-03 韩国科玛株式会社 具有可变颜色胶囊的着色化妆品组合物
CN113347955B (zh) * 2019-03-13 2024-02-09 韩国科玛株式会社 具有可变颜色胶囊的着色化妆品组合物
KR20210114152A (ko) *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토아스 항산화 활성을 갖는 왁스애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369B1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369B1 (ko)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237462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283053B1 (en) Multi-layered cosmetic composition
KR100874877B1 (ko) 폴리올중유형 고밀집 나노 농축 에멀젼을 이용한유중수중유형 역상 다중 에멀젼 상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2223207B1 (ko)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598477B1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2989A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EP2617410B1 (en) Oil-in-water type cosmetic
KR20120039863A (ko) 나노에멀젼 유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2677B1 (ko)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5672B1 (ko)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5365A (ko) 친유형으로 변형된 폴리프록토스계 고분자 유화제를이용한 수중유중수형 다중에멀젼 상의 화장료 및 그제조방법
KR102080034B1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6784A (ko) 카로티노이드 화합물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JP4468797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0501728B1 (ko)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6778A (ko)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시킨 반투명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0935B1 (ko)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4802B1 (ko) 저온 안정성이 개선된 플루로닉 레시틴 오르가노겔 조성물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