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370A -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370A
KR20150041370A KR20130119813A KR20130119813A KR20150041370A KR 20150041370 A KR20150041370 A KR 20150041370A KR 20130119813 A KR20130119813 A KR 20130119813A KR 20130119813 A KR20130119813 A KR 20130119813A KR 20150041370 A KR20150041370 A KR 2015004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midity value
air filter
drying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건
Original Assignee
오수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건 filed Critical 오수건
Priority to KR2013011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1370A/ko
Publication of KR2015004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33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generating or cleaning the filter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의 ON/OFF와 연동하여 2개의 공기필터 중 유해균 번식조건에 가까운 공기필터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한 공기만을 차내로 공급함으로서 차내환경을 위생적이고,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공정실시에 의한 한 제습효과로 인해 보다 쾌적한 차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내부에 제1 및 제2 공기유로로 구획된 중동을 갖는 박스형태로써, 양단면에 각각 대향으로 형성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고, 차량의 에어덕트상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공기필터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내에 각기 내장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와; 상기 공기필터하우징의 제1 및 제2 공기유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변환도어와; 상기 유로변화도어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 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를 각기 살균하는 제1 및 제2 살균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필터를 각기 건조하는 제1 및 제2 건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를 각기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및 제2 습도계와; 상기 제1 및 제2 살균수단, 제1 및 제2 건조수단, 제1 및 제2 습도계 및 구동수단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이 ON 상태일 때 설정시간 또는 제1 및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1)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살균수단 및 건조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A air filter system for air duc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로 구획된 공기유로의 내부 각각에 공기필터 및 공기필터를 살균 및 건조하는 구성을 구비한 공기필터장치를 에어덕트상에 장착시키고,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의 ON/OFF와 연동하여 2개의 공기필터 중 어느 하나는 에어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동시에 다른 공기필터에 대하여는 살균 및 건조를 실시하는 공정이 선택적으로 실시되도록 하여 공기필터상에 유해세균 및 곰팡이균의 번식을 확실하게 억제시켜 위생적이고 청결한 공기만을 차내로 공급함음 물론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공정실시로 인한 제습효과도 얻을 수 있어 차내환경을 위생적이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기덕트에는 공기덕트내로 유입되는 외부 및 내부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공기필터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필터상에는 걸려진 이물질이 잔류하게 되고, 이러한 잔류물은 공기필터상에 고착되어 유해세균 및 곰팡이균이 번식하기에 매우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이러한 환경에서 급속히 번식된 유해세균 및 곰팡이균은 공기필터를 통과하여 공기덕트를 통해 차내로 유입되어 탑승자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내로 흡입되어 각종 질병을 야기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항균기능을 갖는 여과지를 사용하여 공기필터를 제작함으로써 공기필터상에 걸러진 잔류물에 유해세균 및 곰팡이균의 번식을 억제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항균방식은 공기필터의 여과지상에 코팅처리된 항균물질이 단기간 내에 소진되기 때문에 공기필터의 교환시까지 항균기능이 소멸된 상태임으로 유해세균 및 곰팡이균의 번식을 억제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2개로 구획된 공기유로의 내부 각각에 공기필터 및 공기필터를 살균 및 건조하는 구성을 구비한 공기필터장치를 에어덕트상에 장착시키고,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의 ON/OFF와 연동하여 2개의 공기필터 중 어느 하나는 에어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동시에 다른 공기필터에 대하여는 살균 및 건조를 실시하는 공정이 선택적으로 실시되도록 하여 공기필터상에 유해세균 및 곰팡이균의 번식을 확실하게 억제시켜 위생적이고 청결한 공기만을 차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곰팡이균들에 의한 악취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킴으로서 차내환경을 위생적이고,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공정실시로 인한 제습효과도 얻을 수 있어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제1 및 제2 공기유로로 구획된 중동을 갖는 박스형태로써, 양단면에 각각 대향으로 형성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고, 차량의 에어덕트상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공기필터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내에 각기 내장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와; 상기 공기필터하우징의 제1 및 제2 공기유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변환도어와; 상기 유로변화도어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 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를 각기 살균하는 제1 및 제2 살균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필터를 각기 건조하는 제1 및 제2 건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를 각기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및 제2 습도계와; 상기 제1 및 제2 살균수단, 제1 및 제2 건조수단, 제1 및 제2 습도계 및 구동수단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이 ON 상태일 때 설정시간 또는 제1 및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1)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살균수단 및 건조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팬을 ON 시키는 송풍팬가동단계와; 상기 송풍팬이 ON 되면, 제1 공기유로가 개방상태, 제2 공기유로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를 셋팅하는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와; 상기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가 완료되었을 때 제1 공기유로내의 제1 습도계 및 제2 공기유로내의 제2 습도계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와;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가 닫힘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가 열림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하는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와;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가 완료되면, 제1 공기유로내의 제1 살균수단을 가동시켜 제1 공기필터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는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와;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1 공기필터의 살균시간확인단계와; 상기 살균시간확인단계에서, 만약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제1 살균수단을 OFF 하는 동시에 제1 건조수단(50)을 가동시켜 제1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를 실시하는 제1 공기필터건조단계와; 상기 제1 공기필터건조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1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와; 상기 제1 공기필터건조시간확인단계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1 건조수단을 OFF 하는 동시에 제1 공기유로내의 제1 습도계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로 리턴하는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와;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와;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2 공기유로내의 제2 살균수단을 가동시켜 제2 공기필터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는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와;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2 공기필터의 살균시간확인단계와; 상기 제2 공기필터의 살균시간확인단계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2 살균수단을 OFF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건조수단을 가동시켜 제2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를 실시하는 제2 공기필터건조단계와; 상기 제2 공기필터건조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만약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제2 건조수단을 OFF라는 제2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와; 상기 제2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2 공기유로내의 제2 습도계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로 리턴하는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와;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1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로 리턴하는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와;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가 열림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하는 동시에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으로 리턴하는 제2 공기유로변환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는 각기 공기필터가 내장된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내에 각각 공기필터에 대한 살균, 건조 및 습도측정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의 ON/OFF와 연동하여 설정습도값 보다 높은 습도를 갖는 공기유로를 차단한 후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동시에 개방된 타측 공기유로를 통해 청결한 공기를 차내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공기필터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함으로서, 공기필터상에 곰팜이균 등과 같은 유해균의 번식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서, 차내에 위생적이고 쾌적한 공기를 공급함은 물론 악취발생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공정실시로 인한 제습효과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필터살균시스템의 일 실시 예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필터살균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작동공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작동공정 중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를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도2에 도시된 작동공정 중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를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작동공정 중 공조변환단계를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작동공정 중 음이온공급단계를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필터살균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제어부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작동공정 중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제어부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작동공정 중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필터살균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10)은 공기필터하우징(11)과,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와, 유로변환도어(30)와, 구동수단(31)과, 제1 및 제2살균수단(40)(41)과,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과, 제1 및 제2 습도계(60)(61)와, 제어부(8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필터하우징(11)은 내부에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로 구획된 중동을 갖는 박스형태로써, 양단면에 각각 대향으로 형성되는 흡기구(14) 및 배기구(15)를 갖고, 차량의 에어덕트(100)상에 연통되게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는 상기 공기필터하우징(11)의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에 각기 내장된다.
상기 유로변환도어(30)는 상기 공기필터하우징(11)의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를 구획하는 구획벽(16)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 공기유로(12)(13) 중 어느 하나를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하기에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보다 높아 상기 제1 공기유로(12)내에 내장된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하여야 할 때, 상기 유로변환도어(30)는 제1 공기유로(12)를 차단하고, 제2 공기유로(13)내에 내장된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하여야 할 때, 상기 유로변환도어(30)는 제2 공기유로(13)를 차단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구동수단(31)은 상기 유로변환도어(30)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통상의 모터, 솔레노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이러한 상기 유로변화도어(30)의 힌지축과 동력전달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로변환도어(30)을 회동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은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 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를 설정된 시간동안 각기 살균하며, 자외선램프, 오존발생기, 저온 플라즈마 발생기 및 음이온 발생기 중 어느 하나인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은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를 각기 건조하며, 발열램프나 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습도계(60)(61)는 통상의 습도센서로써,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의 습도를 각기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 제1 및 제2 습도계(60)(61) 및 구동수단(31)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71)이 ON 상태일 때 설정시간 또는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1)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살균수단(40)(41) 및 건조수단(50)(51)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에는 송풍팬(71)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습도계(60)(61)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습도값과, 에어콘의 ON/OFF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 및 구동수단(3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상기 프로그램은 송풍팬가동단계(S100)와,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와,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와,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와,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가동단계(S10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10)은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71)이 ON되었을 때에 가동되고, 송풍팬(71)이 OFF된 상태에서는 가동이 중지되는 송풍팬(71)의 ON/OFF 연동방식으로 작동됨으로, 송풍팬(71)을 ON 시킨다.
상기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는 상기 송풍팬(71)이 ON 되면, 제1 공기유로(12)가 개방상태, 제2 공기유로(13)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셋팅된다. 이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10)의 작동의 기준이 되는 상태이며, 작동 중 송풍팬(71)이 OFF되면, 공기필터시스템(10)의 작동이 정지되고, 송풍팬(71)이 재차 ON 되면, 재차 상기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가 실행된다.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는 상기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가 완료되었을 때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습도계(60) 및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습도계로(61)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측정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를 실행하고,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측정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를 실행한다.
또한, 만약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의 측정습도값이 모두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유로변환도어(30)는 셋팅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 및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도 모두 OFF 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는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와,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S220)와, 제1 공기필터의 살균시간확인단계(S230)와, 제1 공기필터건조단계(S240)와, 제1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S250)와,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와,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와, 제2 공기유로변환단계(S2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는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1 공기유로(12)가 닫힘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13)가 열림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한다.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S220)는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가 완료되면,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살균수단(40)을 가동시켜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을 실시한다.
상기 제1 공기필터의 살균시간확인단계(S230)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S22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은 10분 내지 15분으로 한다.
상기 제1 공기필터건조단계(S240)는 상기 살균시간확인단계(S230)에서, 만약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제1 살균수단(40)을 OFF 하는 동시에 제1 건조수단(50)을 가동시켜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건조를 실시한다.
상기 제1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S250)는 상기 제1 공기필터건조단계(S24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은 10분 내지 15분으로 한다.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는 상기 제1 공기필터건조시간확인단계(S25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건조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1 건조수단(50)을 OFF 하는 동시에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습도계(60)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S210)로 리턴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습도값은 40% 내지 80% 로 한다.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는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습도값은 40% 내지 80% 로 한다.
상기 제2 공기유로변환단계(S280)는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12)가 열림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13)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하는 동시에 하기 될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의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으로 리턴한다.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는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와, 제2 공기필터의 살균시간확인단계(S320)와, 제2 공기필터건조단계(S330)와, 제2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S340)와,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와,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6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는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살균수단(41)을 가동시켜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을 실시한다.
상기 제2 공기필터(21)의 살균시간확인단계(S320)는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시간은 10분 내지 15분으로 한다.
상기 제2 공기필터건조단계(S330)는 상기 제2 공기필터의 살균시간확인단계(S320)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2 살균수단(41)을 OFF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건조수단(51)을 가동시켜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건조를 실시한다.
상기 제2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S340)는 상기 제2 공기필터건조단계(S33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시간은 10분 내지 15분으로 한다.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는 상기 제2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S340)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건조단계(S33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2 건조수단(51)을 OFF 하는 동시에,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습도계(61)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로 리턴한다.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60)는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로 리턴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습도값은 40% 내지 80%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공조변환단계(S400)와, 음이온공급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정변환단계(S40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10)의 작동 중에, 에어콘이 ON 되었을 때 에어콘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가동 중인 살균수단 또는 건조수단을 OFF 시키는 것으로서, 에어콘 ON 확인단계(S410)와, 살균 및 건조수단 OFF 단계(S420)와, 에어콘 OFF 확인단계(S430)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콘 ON 확인단계(S410)는 제1 또는 제2 공기필터(20)(21)에 대한 살균 또는 건조와 관련된 일련의 단계가 실행되는 중에, 차량의 에어콘이 ON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에어콘이 OFF 상태라면 실행중 인 단계를 계속 실행한다.
상기 살균 및 건조수단 OFF 단계(S420)는 상기 에어콘 ON 확인단계(S410)에서 에어콘이 ON 되었다면 즉시 살균수단(40)(41) 및 건조수단(50)(51)을 OFF 시킨다.
상기 에어콘 OFF 확인단계(S430)는 상기 살균 및 건조수단 OFF 단계(S410)에서 에어콘이 OFF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에어콘이 OFF 되었다면 상기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로 리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음이온공급단계(S500)는 송풍팬(71)이 ON 상태일 때 차내로 청결한 공기와 함께 다량의 음이온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이온공급단계(S500)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가 음이온발생기라는 것을 전제로 하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10)와, 제2 살균수단가동단계(S520)와,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종료확인단계(S530)와, 제2 살균수단 OFF 단계(S540)와,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50)와, 제1 살균수단가동단계(S5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10)는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실행 중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2 살균수단가동단계(S520)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1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건조공정이 실행 중이라면, 제2 살균수단(41)을 ON 시킨다. 즉,상기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단계가 실행되는 동안에 음이온발생기인 제2 살균수단(41)을 ON 시켜 다량의 음이온으로 상기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는 동시에 제2 공기필터(21)를 살균하고 통과된 다량의 음이온을 에어덕트(100)를 통해 차내로 공급된다.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종료확인단계(S530)는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2 살균수단 OFF 단계(S540)은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종료확인단계(S53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건조공정이 종료되었다면, 제2 살균수단(41)을 OFF 시킨다.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50)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1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실행되고 있지 않다면,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실행 중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1 살균수단가동단계(S560)는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50)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실행 중이라면, 제1 살균수단(40)을 ON 시킨다. 즉, 상기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단계가 실행되는 동안에 음이온발생기인 제1 살균수단(40)을 ON 시켜 다량의 음이온으로 상기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는 동시에 제1 공기필터(20)를 살균하고 통과된 다량의 음이온을 에어덕트(100)를 통해 차내로 공급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10)의 다른 실시 예는 공기필터하우징(11)과,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와, 유로변환도어(30)와, 구동수단(31)과, 제1 및 제2 자외선램프(40')(41')와, 제1 및 제2 습도계(60)(61)와, 제어부(80)로 구성된다.
즉, 상기된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은 건조수단이 없고, 살균수단으로 제1 및 제2 자외선램프(40')(41)가 사용된다는 것과, 상기 제어부(80)가 상기 제1 및 제2 자외선램프(40')(41'), 제1 및 제2 습도계(60)(61) 및 구동수단(31)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71)이 ON 상태일 때 설정시간 또는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1) 및 상기 제1 및 제2 자외선램프(40')(41')의 작동을 제어한다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제어부(80)에 탑재되고, 실행되어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중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 및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의 공정을 각각 예시하는 흐름도이며, 전체적인 공정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는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와,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20')와, 제1 공기필터(20)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230')와,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와,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와, 제2 공기유로변환단계(S28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는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12)가 닫힘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13)가 열림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한다.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20')는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가 완료되면,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자외선램프(40')을 가동시켜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를 실시한다.
상기 제1 공기필터(20)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230')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2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는 상기 제1 공기필터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23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건조공정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1 자외선램프(40')을 OFF 하는 동시에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습도계(60)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20')로 리턴한다.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는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2 공기유로변환단계(S280')는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12)가 열림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13)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하는 동시에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의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으로 리턴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는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와, 제2 공기필터(21)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320')와,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와,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6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는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자외선램프(41')을 가동시켜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건조를 실시한다.
상기 제2 공기필터(21)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320')는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는 상기 제2 공기필터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320')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건조단계(S32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2 자외선램프(41')을 OFF 시키는 동시에,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습도계(61)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로 리턴한다.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60')는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의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로 리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10)는 2개의 공기유로(12)(13) 중 제1 공기유로(12)내에는 제1 공기필터(20), 제1 살균수단(40), 제1 건조수단(50) 및 제1 습도계(60)를 내장시키고, 제2 공기유로(13)내에는 제2 공기필터(21), 제2 살균수단(41), 제2 건조수단(51) 및 제2 습도계(60)를 내장시키고, 상기 제1 및 제 2 공기유로(12)(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변환도어(30)와, 상기 유로변환도어(3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31)와, 상기 제1 및 제2살균수단(40)(41),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 제1 및 제2 습도계(60)(61), 구동수단(31) 및 차량제어부(7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80)로 구성되어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71)의 ON/OFF와 연동하여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상에 유해군의 번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공기필터에 대한 건조공정실시로 인한 제습효과도 얻을 수 있음으로써, 차내에 위생적이고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을 차내로 다량 공급하여 위생적이고 상쾌한 드라이빙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0: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11: 공기필터하우징
12: 제1 공기유로 13: 제2 공기유로
14:흡기구 15: 배기구
16: 구획벽 20: 제1 공기필터
21: 제2 공기필터 30: 유로변환도어
31: 구동수단 40: 제1 살균수단
41: 제2 살균수단 50: 제1 건조수단
51: 제2 건조수단 60: 제1 습도계
61: 제2 습도계 70: 차량제어부
71: 송풍팬 100: 차량의 에어덕트
40': 제1 자외선램프 41': 제2 자외선램프

Claims (13)

  1. 내부에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로 구획된 중동을 갖는 박스형태로써, 양단면에 각각 대향으로 형성되는 흡기구(14) 및 배기구(15)를 갖고, 차량의 에어덕트(100)상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공기필터하우징(11)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에 각기 내장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와;
    상기 공기필터하우징(11)의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를 구획하는 구획벽(16)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 공기유로(12)(13) 중 어느 하나를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변환도어(30)와;
    상기 유로변화도어(3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31)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 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를 각기 살균하는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를 각기 건조하는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의 습도를 각기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및 제2 습도계(60)(61)와;
    상기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 제1 및 제2 습도계(60)(61) 및 구동수단(31)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71)이 ON 상태일 때 설정시간 또는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1)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살균수단(40)(41) 및 건조수단(50)(5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은,
    자외선램프, 오존발생기, 저온 플라즈마 발생기 및 음이온 발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필터살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송풍팬(71)을 ON 시키는 송풍팬가동단계(S100)와;
    상기 송풍팬(71)이 ON 되면, 제1 공기유로(12)가 개방상태, 제2 공기유로(13)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셋팅하는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와;
    상기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가 완료되었을 때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습도계(60) 및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습도계로(61)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와;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와;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는,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12)가 닫힘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13)가 열림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하는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와;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가 완료되면,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살균수단(40)을 가동시켜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는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S220)와;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S22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1 공기필터(20)의 살균시간확인단계(S230)와;
    상기 살균시간확인단계(S230)에서, 만약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제1 살균수단(40)을 OFF 하는 동시에 제1 건조수단(50)을 가동시켜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건조를 실시하는 제1 공기필터건조단계(S240)와;
    상기 제1 공기필터건조단계(S24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1 공기필터(20)의 건조시간확인단계(S250)와;
    상기 제1 공기필터건조시간확인단계(S25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건조단계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1 건조수단(50)을 OFF 하는 동시에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습도계(60)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단계(S210)로 리턴하는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와;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와;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12)가 열림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13)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하는 동시에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의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으로 리턴하는 제2 공기유로변환단계(S2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는,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살균수단(41)을 가동시켜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는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와;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2 공기필터(21)의 살균시간확인단계(S320)와;
    상기 제2 공기필터의 살균시간확인단계(S320)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2 살균수단(41)을 OFF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건조수단(51)을 가동시켜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건조를 실시하는 제2 공기필터건조단계(S330)와;
    상기 제2 공기필터건조단계(S33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2 공기필터(21)의 건조시간확인단계(S340)와;
    상기 제2 공기필터의 건조시간확인단계(S340)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건조단계(S33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2 건조수단(51)을 OFF 시키는 동시에,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습도계(61)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단계(S310)로 리턴하는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와;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의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로 리턴하는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또는 제2 공기필터(20)(21)에 대한 살균 또는 건조와 관련된 일련의 단계가 실행되는 중에,
    차량의 에어콘이 ON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에어콘이 OFF 상태라면 실행중 인 단계를 계속 실행하는 에어콘 ON 확인단계(S410)와;
    상기 에어콘 ON 확인단계(S410)에서 에어콘이 ON 되었다면 즉시 살균수단(40)(41) 및 건조수단(50)(51)을 OFF 시키는 살균 및 건조수단 OFF 단계(S420)와;
    상기 살균 및 건조수단 OFF 단계(S410)에서 에어콘이 OFF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에어콘이 OFF 되었다면 상기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로 리턴되는 에어콘 OFF 확인단계(S430)로 구성되는 공조변환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실행 중인지를 확인하는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10)와;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1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건조공정이 실행 중이라면, 제2 살균수단(41)을 ON 시키는 제2 살균수단가동단계(S520)와;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종료확인단계(S530)와;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종료확인단계(S53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건조공정이 종료되었다면, 제2 살균수단(41)을 OFF 시키는 제2 살균수단 OFF 단계(S540)와;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1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실행되고 있지 않다면,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실행 중인지를 확인하는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50)와;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공정실행확인단계(S550)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이 실행 중이라면, 제1 살균수단(40)을 ON 시키는 제1 살균수단가동단계(S560)로 구성되는 음이온공급단계(S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살균수단(40)(41)은,
    음이온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10분 내지 15분이며;
    상기 설정습도값은,
    4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건조수단(50)(51)은,
    빛과 열을 발산하는 발열램프 또는 열을 발산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10. 내부에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로 구획된 중동을 갖는 박스형태로써, 양단면에 각각 대향으로 형성되는 흡기구(14) 및 배기구(15)를 갖고, 차량의 에어덕트(100)상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공기필터하우징(11)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에 각기 내장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와;
    상기 공기필터하우징(11)의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를 구획하는 구획벽(16)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 공기유로(12)(13) 중 어느 하나를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변환도어(30)와;
    상기 유로변화도어(3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31)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 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공기필터(20)(21)를 각기 살균하는 제1 및 제2 자외선램프(40')(41')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 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의 습도를 각기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및 제2 습도계(60)(61)와;
    상기 제1 및 제2 자외선램프(40')(41'), 제1 및 제2 습도계(60)(61) 및 구동수단(31)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중 송풍팬(71)이 ON 상태일 때 설정시간 또는 제1 및 제2 공기유로(12)(13)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1) 및 상기 제1 및 제2 자외선램프(40')(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송풍팬(71)을 ON 시키는 송풍팬가동단계(S100)와;
    상기 송풍팬(71)이 ON 되면, 제1 공기유로(12)가 개방상태, 제2 공기유로(13)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셋팅하는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와;
    상기 유로변환도어셋팅단계(S110)가 완료되었을 때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습도계(60) 및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습도계로(61)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와;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와;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는,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12)가 닫힘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13)가 열림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하는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와;
    상기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가 완료되면,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자외선램프(40')을 가동시켜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 및 건조를 실시하는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20')와;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2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1 공기필터(20)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230')와;
    상기 제1 공기필터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230')에서, 만약 제1 공기필터(20)에 대한 살균건조공정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1 자외선램프(40')을 OFF 하는 동시에 제1 공기유로(12)내의 제1 습도계(60)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20')로 리턴하는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와;
    상기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60')에서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와;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27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유로(12)가 열림상태이고, 제2 공기유로(13)가 닫힘상태가 되도록 상기 유로변환도어(30)를 작동시켜 공기유로를 변환하는 동시에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의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으로 리턴하는 제2 공기유로변환단계(S2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00)는,
    상기 공기유로 습도값확인단계(S12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라면,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자외선램프(41')을 가동시켜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 및 건조를 실시하는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와;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하는 제2 공기필터(21)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320')와;
    상기 제2 공기필터의 살균건조시간확인단계(S320')에서, 만약 제2 공기필터(21)에 대한 살균건조단계(S320')의 실행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제2 자외선램프(41')을 OFF 시키는 동시에, 제2 공기유로(13)내의 제2 습도계(61)로부터 송신되는 습도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제2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310')로 리턴하는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와;
    상기 제2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50')에서 만약 제2 공기유로(13)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하라면,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1 공기유로(12)내의 습도값이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라면, 제1 공기필터살균건조단계(S200)의 제1 공기유로변환단계(S210')로 리턴하는 제1 공기유로습도값확인단계(S3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KR20130119813A 2013-10-08 2013-10-08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KR20150041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813A KR20150041370A (ko) 2013-10-08 2013-10-08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813A KR20150041370A (ko) 2013-10-08 2013-10-08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370A true KR20150041370A (ko) 2015-04-16

Family

ID=5303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813A KR20150041370A (ko) 2013-10-08 2013-10-08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13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7975A (zh) * 2016-11-17 2017-02-08 南京大学环境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用空气净化器及其净化方法
CN108248341A (zh) * 2016-12-28 2018-07-0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空气净化器和车辆
CN111216521A (zh) * 2020-01-19 2020-06-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紫外灯阵的控制方法、汽车空调及汽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7975A (zh) * 2016-11-17 2017-02-08 南京大学环境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用空气净化器及其净化方法
CN108248341A (zh) * 2016-12-28 2018-07-0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空气净化器和车辆
CN111216521A (zh) * 2020-01-19 2020-06-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紫外灯阵的控制方法、汽车空调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4010B2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KR100640800B1 (ko) 습도조절 및 살균유닛이 구비된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008905B2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JP4656357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8111623A5 (ko)
KR102263864B1 (ko)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KR20150041370A (ko)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KR20210027767A (ko) 공기정화용 전열교환장치
JP2007202628A (ja) 滅菌装置及び滅菌システム
JP2011152260A (ja) 加湿機付きイオン発生機
KR102274942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JP2007101140A (ja) 空気調和機
JP4490538B2 (ja) ホルムアルデヒド分解装置、ホルムアルデヒド分解用触媒を備えた空調機、ホルムアルデヒド発生装置と分解装置を備えた燻蒸システム及びホルムアルデヒド発生・分解装置
KR101876225B1 (ko) 공기 청정기
KR20150041371A (ko) 차량용 에어덕트
KR20230076752A (ko) 축사 관제 시스템
CN108613255B (zh) 一种室内空气调节系统
KR200372919Y1 (ko) 자외선살균램프가 구성된 화장실용 공기청정기
KR101983379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8635231U (zh) 恒温恒湿恒氧恒静恒洁系统
CN216061410U (zh) 一种分层消毒柜
KR20110039868A (ko) 차량의 산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74941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274940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JP2015031461A (ja) 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