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752A - 축사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사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752A
KR20230076752A KR1020220127485A KR20220127485A KR20230076752A KR 20230076752 A KR20230076752 A KR 20230076752A KR 1020220127485 A KR1020220127485 A KR 1020220127485A KR 20220127485 A KR20220127485 A KR 20220127485A KR 20230076752 A KR20230076752 A KR 20230076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n
air
sensor
ammonia
venti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윤
김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티
Publication of KR2023007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환기팬과 난방기가 설치된 축사와 상기 축사에 인접하여 상기 환기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공기정화부를 구비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축사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상기 축사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센서; 상기 축사내의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CO2센서; 상기 축사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암모니아센서; 상기 축사 외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암모니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입력되는 온도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환기팬 또는 난방기를 제어하는 관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제1 암모니아센서의 농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환기팬과 상기 공기정화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사 관제 시스템{Livestock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축사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암모니아 센서에서 측정된 농도값을 이용하여 공기정화장치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악취를 저감할 수 있는 축사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를 사육하는 축사의 경우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등의 악취 발생으로 인하여 잦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악취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일부 축사는 바이오커튼이라 불리우는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다.
공기정화장치는 축사의 공기를 물 등의 액체를 분사하여 공기중의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암모니아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축사의 공기를 배출할 경우 축사 내부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므로, 상시적으로 축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 에너지 소모가 크므로 대다수의 경우 필요시에 수동으로 공기정화장치를 작동시킨다. 수동으로 공기정화장치를 작동시킬 경우 작업자의 판단에 의존하므로 적절한 공기정화가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21-0109257호(환기팬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21-0109257호는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농도값이 농도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환기팬을 동작시키고, 축사 내부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 환기팬의 작동을 멈추는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10-2021-0109257호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가 농도기준값을 크게 초과하는 동안 설정온도 이상으로 축사 내부의 온도가 유지되지 못할 경우 공기질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암모니아농도를 측정하는 암모니아 센서의 경우 측정 기준치를 크게 벗어날 경우 센서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센서에 고장이 발생한다.
센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환기팬의 동작이 멈춰 축사내의 공기질은 더욱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암모니아 센서의 파손을 방지하고, 암모니아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정화부를 제어할 수 있는 축사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환기팬과 난방기가 설치된 축사와 상기 축사에 인접하여 상기 환기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공기정화부를 구비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축사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상기 축사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센서; 상기 축사내의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CO2센서; 상기 축사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암모니아센서; 상기 축사 외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암모니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입력되는 온도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환기팬 또는 난방기를 제어하는 관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제1 암모니아센서의 농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환기팬과 상기 공기정화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모니아센서는 상기 축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축사와 연결된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서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제1 암모니아 센서에서 측정된 제1 암모니아 농도와 상기 제2 암모니아 센서에 측정된 제2 암모니아 농도를 차감하여 상기 제1 암모니아 농도에 비해 상기 제2 암모니아 농도가 더 클 경우 상기 공기정화부가 이상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환기팬을 동작시키는 제어 수행중, 상기 제1 암모니아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2 암모니아 농도가 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환기팬이 이상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 습도센서, CO2센서 암모니아 센서 등의 센서들에서 입력되는 값들을 이용하여 환기팬, 난방기 및 공기정화부를 제어하여 에너지 사용을 줄임과 동시에 냄새 원인물질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은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농도와 축사 외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이용하여 환기팬의 동작 이상 또는 공기정화부의 동작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은 암모니아 센서의 구조를 변경하여 암모니아 센서의 동작 이상에 따른 측정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축사 관제 시스템의 관제부와 센서들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들 중 암모니아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암모니아 센서의 동작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의 공기질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축사 관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축사 관제 시스템은 축사의 환기팬(210), 난방기(220), 공기정화부(50), 온도센서(110), 습도센서(120), CO2센서(130), 제1 암모니아 센서(140), 제2 암모니아 센서(150) 및 관제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축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축사(10)는 닭, 오리 등의 가금류 또는 돼지 등을 사육하는 사육시설이다. 축사(10)는 사육하는 가축과 사람이 출입하는 도어(20)를 구비한다. 축사(10) 내에는 온도 조절을 위한 환기팬(210)과 난방기(220)가 구비될 수 있다.
환기팬(210)은 축사(10) 벽을 관통하여 공기정화부(50)로 축사(10) 내부의 공기를 전달한다.
난방기(220)는 축사(10) 내부의 온도 유지를 위해 설치된다.
공기정화부(50)는 환기팬(21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공기정화부(50)는 통상 바이오커튼(Bio Curtain)이라 불린다. 공기정화부(50)는 냄새 필터, 안개분무, 오존수 및 미생물 처리 공법을 통해 공기중의 냄새 성분(암모니아, 이산화황 등)을 제거한다.
관제장치(100)는 축사(10)의 공기질과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환기팬(210), 난방기(220) 및 공기정화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관제장치(100)는 각종 구성요소의 상태를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축사 관리자 또는 관제 시스템 관리자)에서 모니터링 하도록 데이터를 시각화 할 수 있다.
온도센서(110)는 축사(10) 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실시간으로 관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습도센서(120)는 축사(10) 내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관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CO2센서(130)는 축사(10)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관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황화수소센서와 VOC 농도를 측정하는 VOC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센서들은 축사(10) 내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하나의 장치에 통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들은 축사(10)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센서들이 외부에 설치될 경우, 하우징 내부에 통합보드 내에 센서가 배치되고, 하우징 내부로 축사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각종 지표들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암모니아 센서(140)는 축사(10) 내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여 관제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암모니아 센서(150)는 축사(10) 외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여 관제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암모니아 센서(140)는 상술한 센서들과 하나의 통합보드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암모니아 센서(150)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관제장치(100)는 상기 온도센서(110), 습도센서(120), CO2센서(130), 황화수소센서, VOC센서 등에서 입력되는 측정값들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한다. 관제장치(100)는 상기 센서들에서 입력된 값들을 이용하여 환기팬(210)과 난방기(220) 및 공기정화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제장치(100)는 축사(10) 내부의 온도를 항온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 정보를 기초로 난방기(220)와 환기팬(210)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관제장치(100)는 축사에서 생육되는 가축의 종류 또는 월령에 따라 생육 온도가 설정되면, 생육 온도에 따라 난방기(220)와 환기팬(210)이 자동으로 작동된다. 즉, 관제장치(100)는 축사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난방기(220)를 동작시키고,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환기팬(210)을 동작시킨다.
또한, 관제장치(100)는 측정되는 습도에 따라서도 난방기(220)와 환기팬(210)을 동작시켜 적정 생육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관제장치(100)는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축사 내부의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을 경우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외부로 유입되게 환기팬(210)을 동작시킨다. 이와 반대로, 관제장치(100)는 축사 내부 온도가 생육 온도와 습도 이하일 경우 난방기(220)를 동작시키고, 습도조절 안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관제장치(100)는 CO2 농도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 즉시 알람을 발생하고 환기팬(210)을 동작시킨다. 이때, 관제장치(100)는 축사 내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난방기(2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100)는 VOC 농도 또는 황화수소 농도에 따라서 환기팬(2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100)는 제1 암모니아 센서(140)에서 측정되는 암모니아농도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 환기팬(210)을 동작시키고, 이와 동시에 공기정화부(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관제장치(100)는 제1 암모니아 센서(140)에서 측정되는 암모니아농도가 증가추세일 경우 환기팬(210)의 회전속도를 더 빠르게 하고, 공기정화부(50)의 분무안개량도 증가시켜 빠른시간 내에 축사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기 정화량도 증가시켜 외부에서 암모니아 냄새로 인한 고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1 암모니아 센서(140)는 안전한 동작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제1 암모니아 센서(140)는 측정량을 초과하는 암모니아 가스가 유입되면 바로 고장이 발생하거나, 지속적으로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 암모니아 센서(140)를 보호하기 위하여 축사와 연결된 제1 관로(141), 흡입모터(144), 제2 관로(142), 밸브(143)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로(141)는 축사(10)의 외벽을 관통하여 축사 내부의 공기가 제1 암모니아 센서(140)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이다.
제2 관로(142)는 외부 공기를 제1 암모니아 센서(140)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이다.
밸브(143)는 3way 밸브로 제1 관로(141) 또는 제2 관로(143)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1 암모니아 센서(140)로 공급할 수 있다.
흡입모터(144)는 제1 암모니아 센서(140)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거나, 제1 암모니아 센서(1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밸브(143)와 흡입모터(144)는 도 4에 도시된 타이밍도와 같이 제1 암모니아 센서(140)의 측정 주기에 맞게 펌웨어에 의해 자동 동작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장치(100)는 제1 암모니아 센서(140)에서 측정된 농도와 제2 암모니아 센서(150)에서 측정된 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환기팬(210)의 이상동작 또는 공기정화부(50)의 이상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제장치(100)는 제1 암모니아 센서(140)에서 측정된 제1 암모니아 농도와 제2 암모니아 센서(150)에 측정된 제2 암모니아 농도를 차감하여 제1 암모니아 농도에 비해 제2 암모니아 농도가 더 클 경우 공기정화부(5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한다.
또한, 관제장치(100)는 환기팬(210)을 동작시킨는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도 제1 암모니아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제 2암모니아 농도는 설정값 이하일 경우 축사 내부의 공기가 정체된 것으로 환기팬(210)의 동작 이상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특정한 요인이 없을 경우 환기팬(210)이 동작하면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농도는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와 같은 조건일 경우 관제장치(100)는 환기팬(210)의 이상으로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에 포함된 공기질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질 측정부(400)는 제1 격실(410), 제2 격실(420) 및 센서어레이(43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격실(410)은 축사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설정시간동안 내부에 격리되어 안정된다. 제1 격실(410)은 공기 입력구(440) 및 공기 출력구(450)가 마련되어, 측정을 위한 공기는 공기 입력구(440) 측으로 유입되며, 측정 이후의 공기는 공기 출력구(450)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격실(420)은 제1 격실(410)과 맞닿게 형성된다. 이때, 제1 격실(410)과 제2 격실(420)은 하나의 케이스에 중앙에 격벽(460)이 마련되어 형성될 수 있고, 2개의 격실이 각각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격실(420)은 센서어레이(430)들을 내재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격실(420)과 제1 격실(410) 사이에 흡입구(470)와 배기구(480)가 구비된다. 흡입구(470)는 제1 격실(410) 내부의 공기를 제2 격실(420)로 이송시키는 통로이며, 배기구(480)는 제2 격실(420)의 공기를 제1 격실(410)로 이동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흡입구(470)와 배기구(480) 각각에 팬이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구(470)와 배기구(480)는 제어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입력구(440), 공기 출력구(450), 흡입구(470) 및 배기구(180)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는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어레이(430)는 도 1의 제1 암모니아 센서(140)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어레이(430)는 제1 암모니아 센서(140) 이외에 인돌, 황화수소, VOCs 및 이산화황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들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인돌 센서의 경우 축사 내부의 가축 배설물 중 소변량이 많을 때 측정되는 것으로 가축에 공급되는 음용수를 조절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다. 황화수소와 VOCs등의 센서들은 배설물 중 대변량 및 소화와 관계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공기질 측정부(400)는 도 1에 도시된 관제장치(10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측정부(400)는 자체 펌웨어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공기질 측정부(400)는 축사 내부의 공기질 측정을 위해 먼저, 공기 입력구(440)를 개방하여 제1 격실(4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이때, 일정시간 동안 공기 입력구(440)를 개방하여 축사 내부의 공기를 충분히 유입시키고, 흡입구(470) 및 배기구(480)는 폐쇄되어 제1 격실(410) 내부는 축사 내에서 공급된 공기가 충분히 제1 격실(410) 내부를 채우도록 한다.
다음으로, 공기 입력구(440)와 공기 출력구(450)를 폐쇄하고, 흡입구(470)를 개방하여 제1 격실(410) 내부의 공기를 제2 격실(420)로 공급한다.
공기가 충분히 제2 격실(420)로 유입되면 흡입구(470)를 폐쇄하거나, 오픈한 상태에서 공기질 측정부(400)를 구동시켜 암모니아, 인돌, 황화수소, VOCs등의 농도를 측정한다.
공기질 측정 이후, 흡입구(470)를 폐쇄하고, 배기구(480)를 개방하여 제2 격실(420) 내부의 공기를 제1 격실(410)로 이송한다. 이때, 배기구(480)는 개방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격실(410)의 공기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면, 제1 격실(410)의 공기 입력구(440)를 통해 축사 공기 이외에 외부 깨끗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기 입력구(440)는 3방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질 측정부(400)의 공기질 측정이 종료되면, 제1 격실(410)과 제2 격실(420)에 잔류하는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공기 입력구(440)를 통해 외부(자연 상태)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키고, 공기 출력구(450), 흡입구(470) 및 배기구(480)를 모두 개방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격실(410, 420)의 오염을 청소하고 다시 측정을 위한 준비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CO2센서 암모니아 센서 등의 센서들에서 입력되는 값들을 이용하여 환기팬, 난방기 및 공기정화부를 제어하여 에너지 사용을 줄임과 동시에 냄새 원인물질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은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농도와 축사 외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이용하여 환기팬의 동작 이상 또는 공기정화부의 동작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사 관제 시스템은 암모니아 센서의 구조를 변경하여 암모니아 센서의 동작 이상에 따른 측정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축사
20: 도어
50: 공기정화부
100: 관제장치
110: 온도센서
120: 습도센서
130: CO2센서
140: 제1 암모니아 센서
150: 제2 암모니아 센서
210: 환기팬
220: 난방기
300: 사용자 단말
400: 공기질 측정부
410: 제1 격실
420: 제2 격실
430: 센서어레이
440: 공기 입력구
450: 공기 출력구
460: 격벽
470: 흡입구
480: 배기구

Claims (7)

  1. 환기팬과 난방기가 설치된 축사와 상기 축사에 인접하여 상기 환기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공기정화부를 구비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축사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상기 축사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센서;
    상기 축사내의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CO2센서;
    상기 축사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암모니아센서;
    상기 축사 외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암모니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입력되는 온도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환기팬 또는 난방기를 제어하는 관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제1 암모니아센서의 농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환기팬과 상기 공기정화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모니아센서는 상기 축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축사와 연결된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서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제1 암모니아 센서에서 측정된 제1 암모니아 농도와 상기 제2 암모니아 센서에 측정된 제2 암모니아 농도를 차감하여 상기 제1 암모니아 농도에 비해 상기 제2 암모니아 농도가 더 클 경우 상기 공기정화부가 이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환기팬을 동작시키는 제어 수행중, 상기 제1 암모니아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2 암모니아 농도가 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환기팬이 이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의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축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입력구와, 상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출력구가 마련된 제1 격실; 및
    상기 제1 격실에 밀접하여 상기 제1 격실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제1 격실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형성된 제2 격실; 및
    상기 제2 격실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공급된 공기에서 유해성분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는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제1 격실로 공급하는 센서어레이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모니아센서는 상기 센서어레이에 형성되는 축사 관제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어레이는 인돌, 황화수소, VOCs 및 이산화황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축사 관제 시스템.

KR1020220127485A 2021-11-23 2022-10-06 축사 관제 시스템 KR202300767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2498 2021-11-23
KR1020210162498 2021-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752A true KR20230076752A (ko) 2023-05-31

Family

ID=8654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485A KR20230076752A (ko) 2021-11-23 2022-10-06 축사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336B1 (ko) * 2023-07-14 2024-03-26 주식회사 지에스엠 축사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336B1 (ko) * 2023-07-14 2024-03-26 주식회사 지에스엠 축사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1143A1 (en) Laboratory animal housing with euthanizing function
KR20230076752A (ko) 축사 관제 시스템
JP2008111623A5 (ko)
CA2386146A1 (en) Formaldehyde gas sterilizer
KR102638742B1 (ko) 환경센서를 이용한 축사 관제 시스템
KR20190088117A (ko)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JP4490538B2 (ja) ホルムアルデヒド分解装置、ホルムアルデヒド分解用触媒を備えた空調機、ホルムアルデヒド発生装置と分解装置を備えた燻蒸システム及びホルムアルデヒド発生・分解装置
JP2007202677A (ja) 滅菌装置
CN116464134A (zh) 一种卫生间清洗通风系统
CN103657325B (zh) 一种医院医疗废气的处理和安全排放系统
JP5057294B2 (ja) 動物飼育室
CN109028306B (zh) 新风系统及其管道的消毒方法
CN107477733B (zh) 一种中央空调空气净化系统
KR100799372B1 (ko) 돈사용 가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제어시스템
KR101276864B1 (ko) 대기전력을 이용한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JP2010094138A (ja) 動物飼育室の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CN105561496A (zh) 连接模块、维护装置以及用于维护循环呼吸设备的方法
KR20150041370A (ko) 차량의 에어덕트용 공기필터시스템
JPH11146905A (ja) オゾン燻蒸殺菌装置
KR20230076615A (ko)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CN206671124U (zh) 颗粒物校准仓
KR102223009B1 (ko)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축사 탈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7284384U (zh) 一种装备有新风过滤及排风除臭设施的猪舍环境监测系统
ATE409497T1 (de) Anordnung zur beeinflussung und behandlung der luft wenigstens eines raumes
CN219399612U (zh) 一种畜牧场所消毒净化送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