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117A -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117A
KR20190088117A KR1020180001144A KR20180001144A KR20190088117A KR 20190088117 A KR20190088117 A KR 20190088117A KR 1020180001144 A KR1020180001144 A KR 1020180001144A KR 20180001144 A KR20180001144 A KR 20180001144A KR 20190088117 A KR20190088117 A KR 2019008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unit
flow
detection unit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843B1 (ko
Inventor
안희권
이승훈
위지수
김은종
이명성
신명철
조현수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8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4Sulphides, e.g. H2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4Ammon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 시스템의 효율을 하나의 과정으로 감지하는 검사장치를 통해 검사하고, 한 화면에서 탈취효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축사의 환기구에 설치되어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환기구에 설치되는 감지부;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일부를 처리부로 유동시키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를 통해 유동되는 배출가스 내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냉각시키고, 유동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며, 배출가스 내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감지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와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통해 축사의 탈취 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odor and evaluating efficiency of deodorization system in animal house}
본 발명은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사에서 발생된 악취를 저감시키는 탈취시스템의 효율을 탈취된 배출가스를 하나의 과정으로 채취하여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통해 검사하므로, 검사과정이 간단하며, 쉽게 탈취 효율을 확인할 수 있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는 가축관리의 능률화와 자연의 기상(氣象)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축사의 요건은 위치, 방향, 통풍, 채광, 환기, 보온이 양호하고 사료주기, 청소, 위생관리에 적절한 설비가 갖추어져야 한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축사 시설 외부의 환경은 동적으로 계속 변하기 때문에 가축생육에 적합한 시설 내부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축사 내부 온도 및 바닥에 깔리는 유해가스로 환경정화에 대한 취약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겨울에는 난방을 하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탁해지며 따뜻한 공기는 실내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축에게 영향을 주는 하부와의 온도편차가 심하게 발생됨으로써 열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의 열 손실 및 바닥에 깔리는 유해가스로 인한 열악한 실내 환경은 사육농가 및 가축에 안 좋은 영향을 줌으로 인하여 성장 발육을 저해하여 농가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축사의 환기구와 축사 간에 탈취시스템이 설치되어 배출가스 중 악취성분을 저감시킨뒤 환기구를 통해 배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탈취시스템의 경우 오랜시간 사용을 하게 되면, 축사 내부에서 발생되는 먼지 및 이물질로 인하여 탈취성능이 저하되며, 이러한 성능 저하를 확인하기 쉽지 않아 탈취시스템의 정비 또는 교체 등을 제때 하지 못하여 유해가스가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축사에 탈취제를 분사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가축의 건강상태 및 축사의 동영상신호와 암모니아가스 농도 값과 메르캅탄 가스 농도 값 및 축사의 온도 값을 원격으로 감시하는 축사감시 시스템 및 그 축사 감시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감시 시스템 자체의 효율이 저하될 경우 확인이 불가능하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이 없는 종래의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0644호(2013년11월05일)
본 발명은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 시스템의 효율을 하나의 과정으로 감지하는 검사장치를 통해 검사하고, 한 화면에서 탈취효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는, 축사의 환기구(1)에 설치되어 환기구(1)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환기구(1)에 설치되는 감지부; 상기 환기구(1)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일부를 측정부로 유동시키는 제1 검출부; 상기 축사의 환기구에 연결되어 환기되는 배출가스를 탈취시켜 배출시키는 탈취기의 배기관에 연결되어 탈취된 배출가스의 일부를 검출하여 측정부로 유동시키는 제2 검출부; 상기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를 통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 내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냉각시키고, 유동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며, 배출가스 내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감지된 환기구 및 탈취기 배기관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와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통해 축사의 탈취 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는 별도로 연결되는 배관을 통해 측정부와 연결되며, 각 배관은 각각의 배출가스가 별도로 측정부 내에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유동관과 연결되어 각 측정값이 별도로 단말부로 측정부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를 통해 유입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가열하여 배출가스 내의 수분을 기화시키는 가열체; 상기 가열체를 통해 가열된 각각의 배출가스 내의 먼지 및 이물질을 각각 제거하는 집진체; 상기 집진체를 통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응축시켜 냉각시키는 냉각체; 상기 냉각체를 통해 냉각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유량체에 각각 공급하며,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체 및 상기 유량체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를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체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열선 또는 히터가 형성되는 가열부재 및 상기 제1 검출부와 제2 검출부에서 각각 검출되는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각각의 배관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열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가열부재의 열을 통해 내부에서 유동되는 각각 배출가스를 따로 가열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동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체는, 밀폐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집진체를 통해 집진되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각각의 유동관이 내부로 연결되고,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어 상기 유동관의 배출가스가 필터링되도록 하며, 상측 벽면에 형성되어 냉각부재 내의 냉각수를 통과한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냉각부재 및 상기 냉각부재의 내부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교체하는 교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부는 측정부를 통해 감지되는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 및 유량과, 감지부에서 측정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표시부재를 통해 표시하며, 배출가스의 유량과,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 및 유량을 통해 탈취기의 탈취 전,후 효율을 비교하여 탈취기의 효율을 표시부재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사에 설치되어 축사의 환기에 따른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시스템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탈취시스템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출부를 통해 흡입되는 배출가스를 하나의 과정을 통해 건조, 집진, 냉각 및 감지하므로, 감지 과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고, 이동이 가능하여 쉽게 축사의 탈취 시스템 효율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의 측정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의 측정부 내에 형성되는 가열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의 측정부에 형성되는 냉각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화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나의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고안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사의 환기구(1)에 설치되어 환기구(1)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환기구(1)에 설치되는 감지부(10), 환기구(1)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일부를 측정부(40)로 유동시키는 제1 검출부(20), 축사의 환기구(1)에 연결되어 환기되는 배출가스를 탈취시켜 배출시키는 탈취기(2)의 배기관에 연결되어 탈취된 배출가스의 일부를 검출하여 측정부(40)로 유동시키는 제2 검출부(30),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를 통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 내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냉각시키고, 유동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며, 배출가스 내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측정부(40) 및 측정부(40)에서 감지된 환기구(1) 및 탈취기(2) 배기관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와 상기 감지부(10)에서 측정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통해 축사의 탈취 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구(1)는 축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먼지등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팬이 형성되고, 팬을 통해 배출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상기 환기구(1)에는 탈취기(2)가 연결되어 배출가스 내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를 감소시켜 대기로 배출한다.
이러한 상기 탈취기(2)는 배출가스를 지속적으로 탈취하기 때문에 내부에 적체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 등으로 인해 점점 효율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탈취되지 않은 배출가스가 그대로 대기중으로 배출되어진다.
이러한 상기 탈취기(2)의 탈취효율이 설정되는 기준치 이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탈취기(2)를 청소 또는 교체 해야 하는데 이러한 시기를 알 수 있도록 탈취기(2)의 효율을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탈취기(2)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탈취기(2)의 전단과 후단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의 구성을 통해 탈취 효율을 평가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10)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축사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구(1)에 설치되며, 환기구(1)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환기구(1) 상 또는 환기구(1)와 축사 간에 설치되는 탈취시스템을 통해 탈취가 된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 감지부(10)는 환기구(1) 상에 설치되어 환기구(1)를 통해 배출되는 탈취된 배출가스의 전체 유량을 측정한다.
상기 감지부(10)는 유량계로 이루어져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값을 연결되는 단말부(5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검출부(20)는 환기구(1) 상에 설치되며, 감지부(10)의 후측에 형성되어 감지부(10)에서 측정되는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검출부(20)는 환기구(1)의 배출가스를 일부 유동시켜 측정부(40)로 유입시키고, 내부의 먼지 및 이물질 제거가 쉽도록 금속재질의 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검출부(20)에는 별도의 공기 분사장치가 연결되어 이물질 및 먼지가 내부에 적체되면 공기압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검출부(30)는 탈취기(2)의 배기관에 연결되어 탈취된 배출가스의 일부를 검출하여 측정부(40)로 유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2 검출부(30)는 배기관의 배출가스를 일부 유동시켜 측정부(40)로 유입시키고, 내부의 먼지 및 이물질 제거가 제거가 쉽도록 금속재질의 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검출부(30)에는 별도의 공기 분사장치가 연결되어 이물질 및 먼지가 내부에 적체되면 공기압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는 별도로 연결되는 배관(3)을 통해 측정부(40)와 연결되며, 각 배관(3)은 각각의 배출가스가 별도로 측정부(40) 내에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유동관(h)과 연결되어 각 측정값이 별도로 단말부(50)로 측정부(40)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의 측정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의 측정부 내에 형성되는 가열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의 측정부에 형성되는 냉각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부(40)는 상기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를 통해 유입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가열하여 배출가스 내의 수분을 기화시키는 가열체(41), 가열체(41)를 통해 가열된 각각의 배출가스 내의 먼지 및 이물질을 각각 제거하는 집진체(42), 집진체(42)를 통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응축시켜 냉각시키는 냉각체(43), 냉각체(43)를 통해 냉각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유량체(45)에 각각 공급하며,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밸브체(44), 밸브체(44)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체(45) 및 유량체(45)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를 감지하는 센서부재(46)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체(41)는 유입되는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유동관(h)을 가열시켜 배출가스가 가열되도록 하므로 배출가스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한다.
상기 가열체(4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열선 또는 히터가 형성되는 가열부재(41a) 및 제1 검출부(20)와 제2 검출부(30)에서 각각 검출되는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각각의 배관(3)과 각각 연결되어 가열부재(41a)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가열부재(41a)의 열을 통해 내부에서 유동되는 각각 배출가스를 따로 가열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동관(h)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부재(41a)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유동관(h)은 다수로 이루어져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에 연결되는 배관(3)이 각각 연결되어 제1 검출부(20)와 제2 검출부(30)에서 유동되는 배출가스가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열체(41)를 통해 가열된 배출가스는 집진체(42)를 통해 먼지와 이물질이 제거되어 냉각체(43)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집진체(42)는 배출가스의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그름망 또는 사이클론으로 배출가스를 회전시켜 먼지 및 이물질이 바닥에 적체되도록 하는 구성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집진체(42)를 통해 먼지 및 이물질이 제거된 배출가스는 고온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으므로, 하위로 유입되면 하위의 장치들이 파손될 수 있어 냉각체(43)를 통해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체(43)는, 밀폐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집진체(42)를 통해 집진되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각각의 유동관(h)이 내부로 연결되고,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어 상기 연결관이 필터링되도록 하며, 상측 벽면에 형성되어 냉각부재(43a) 내의 냉각수를 통과한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배출구(43b)가 형성되는 냉각부재(43a) 및 냉각부재(43a)의 내부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교체하는 교체부재(43c)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재(43a)는 밀폐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유동관(h)이 관통되어 하부까지 삽입되며, 상측 외측에 배출구(43b)가 형성되어 유동관(h)이 연결되고,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어 유동관(h)을 통해 유동되는 배출가스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배출가스 내의 불순물을 필터링 한다.
상기 냉각부재(43a)는 각각의 유동관(h)이 별도로 관통 삽입되어 각각의 유동관(h)에서 유동되는 배출가스를 냉각시켜 배출가스들이 혼합되지 않도록 다수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를 통해 냉각되는 배출가스는 배출구(43b)를 통해 배출되어 밸브체(44)로 유동된다.
상기 밸브체(44)는 다수로 이루어져 각각의 유동관(h)에 각각 연결되어 각 유동관(h)에서 유동되는 배출가스의 유량만 조절하게 된다.
상기 밸브체(44)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각각의 밸브체(44)와 연결되는 유량체(45)로 배출가스를 유동시킨다.
상기 유량체(45)는 하나로 이루어지며, 밸브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검출부에서 검출된 라인만 개방하고 나머지는 폐쇄되어 개방된 밸브체에서 유동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게된다.
상기 센서부재(46)는 유량체(45)의 후단에 연결되어 유량체(45)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에서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를 감지하며,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 외의 측정하고자 하는 가스를 측정하며, 센서부재(46)에 연결되는 단말부(50)로 감지값을 전송한다.
상기 센서부재(46)는 유량체(45)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를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재(46)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정부(40)의 센서부재(46)에서 감지된 환기구(1) 및 탈취기(2) 배기관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와 상기 감지부(10)에서 측정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통해 축사의 탈취 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를 단말부(50)에서 확인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부(50)는 측정부(40)를 통해 감지되는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 및 유량과, 감지부(10)에서 측정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표시부재를 통해 표시하며, 배출가스의 유량과,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 및 유량을 통해 탈취기(2)의 탈취 전,후 효율을 비교하여 탈취기(2)의 효율을 표시부재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단말부(50)는 표시부재 및 입력부재가 구비되어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PC, 랩탑 또는 태블릿 등의 기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축사에 설치되어 축사의 환기에 따른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시스템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탈취시스템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출부를 통해 흡입되는 배출가스를 하나의 과정을 통해 건조, 집진, 냉각 및 감지하므로, 감지 과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고, 이동이 가능하여 쉽게 축사의 탈취 시스템 효율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환기구 2 : 탈취기
3 : 배관
10 : 감지부
20 : 제1 검출부 30 : 제2 검출부
40 : 측정부 41 : 가열체
41a : 가열부재 h : 유동관
42 : 집진체 43 : 냉각체
43a : 냉각부재 43b : 배출구
43c : 교체부재
44 : 밸브체 45 : 유량체
46 : 센서부재
50 : 단말부

Claims (7)

  1. 축사의 환기구(1)에 설치되어 환기구(1)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환기구(1)에 설치되는 감지부(10);
    상기 환기구(1)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일부를 측정부(40)로 유동시키는 제1 검출부(20);
    상기 축사의 환기구(1)에 연결되어 환기되는 배출가스를 탈취시켜 배출시키는 탈취기(2)의 배기관에 연결되어 탈취된 배출가스의 일부를 검출하여 측정부(40)로 유동시키는 제2 검출부(30);
    상기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를 통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 내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냉각시키고, 유동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며, 배출가스 내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측정부(40) 및
    상기 측정부(40)에서 감지된 환기구(1) 및 탈취기(2) 배기관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와 상기 감지부(10)에서 측정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통해 축사의 탈취 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는 별도로 연결되는 배관(3)을 통해 측정부(40)와 연결되며, 각 배관(3)은 각각의 배출가스가 별도로 측정부(40) 내에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유동관(h)과 연결되어 각 측정값이 별도로 단말부(50)로 측정부(40)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40)는,
    상기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를 통해 유입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가열하여 배출가스 내의 수분을 기화시키는 가열체(41);
    상기 가열체(41)를 통해 가열된 각각의 배출가스 내의 먼지 및 이물질을 각각 제거하는 집진체(42);
    상기 집진체(42)를 통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응축시켜 냉각시키는 냉각체(43);
    상기 냉각체(43)를 통해 냉각되는 각각의 배출가스를 유량체(45)에 각각 공급하며,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밸브체(44);
    상기 밸브체(44)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체(45) 및
    상기 유량체(45)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를 감지하는 센서부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4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열선 또는 히터가 형성되는 가열부재(41a) 및
    상기 제1 검출부(20)와 제2 검출부(30)에서 각각 검출되는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각각의 배관(3)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열부재(41a)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가열부재(41a)의 열을 통해 내부에서 유동되는 각각 배출가스를 따로 가열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동관(h)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체(43)는,
    밀폐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집진체(42)를 통해 집진되어 유동되는 각각의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각각의 유동관(h)이 내부로 연결되고,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어 상기 연결관이 필터링되도록 하며, 상측 벽면에 형성되어 냉각부재(43a) 내의 냉각수를 통과한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배출구(43b)가 형성되는 냉각부재(43a) 및
    상기 냉각부재(43a)의 내부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교체하는 교체부재(4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50)는 측정부(40)를 통해 감지되는 제1 검출부(20) 및 제2 검출부(30)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 및 유량과, 감지부(10)에서 측정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표시부재를 통해 표시하며, 배출가스의 유량과,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 및 유량을 통해 탈취기(2)의 탈취 전,후 효율을 비교하여 탈취기(2)의 효율을 표시부재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KR1020180001144A 2018-01-04 2018-01-04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KR10207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144A KR102078843B1 (ko) 2018-01-04 2018-01-04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144A KR102078843B1 (ko) 2018-01-04 2018-01-04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117A true KR20190088117A (ko) 2019-07-26
KR102078843B1 KR102078843B1 (ko) 2020-02-19

Family

ID=6746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144A KR102078843B1 (ko) 2018-01-04 2018-01-04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8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796A (ko) * 2019-08-20 2021-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20144553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내구도가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583465B1 (ko) 2023-04-06 2023-09-27 동문이엔티(주) Tdlas 광학방식의 센서를 적용한 악취 측정 장치
KR102583461B1 (ko) 2023-04-06 2023-09-27 동문이엔티(주) Tdlas 광학방식의 센서를 적용한 악취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102625155B1 (ko) 2023-04-06 2024-01-16 동문이엔티(주) 축사 악취 측정 및 차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920A (ja) * 1992-07-30 1994-02-25 Nippon Steel Corp 脱臭剤の脱臭寿命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32074A (ko) * 2005-06-17 2006-12-21 김준호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KR100731149B1 (ko) * 2006-06-20 2007-06-22 주식회사 하이젠 촉매성능평가장치
KR20130120644A (ko) 2012-04-26 2013-11-05 비오티스아시아 주식회사 탈취 및 가축의 건강상태를 감시하는 축사감시 시스템 및 그 축사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920A (ja) * 1992-07-30 1994-02-25 Nippon Steel Corp 脱臭剤の脱臭寿命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32074A (ko) * 2005-06-17 2006-12-21 김준호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KR100731149B1 (ko) * 2006-06-20 2007-06-22 주식회사 하이젠 촉매성능평가장치
KR20130120644A (ko) 2012-04-26 2013-11-05 비오티스아시아 주식회사 탈취 및 가축의 건강상태를 감시하는 축사감시 시스템 및 그 축사감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796A (ko) * 2019-08-20 2021-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20144553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내구도가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583465B1 (ko) 2023-04-06 2023-09-27 동문이엔티(주) Tdlas 광학방식의 센서를 적용한 악취 측정 장치
KR102583461B1 (ko) 2023-04-06 2023-09-27 동문이엔티(주) Tdlas 광학방식의 센서를 적용한 악취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102625155B1 (ko) 2023-04-06 2024-01-16 동문이엔티(주) 축사 악취 측정 및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843B1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8117A (ko) 축사 악취 측정 및 탈취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
CN202133061U (zh) 制冷剂泄漏探测系统及其制冷剂传感器组件
WO2013148172A1 (en) Distributed indoor air quality control module and method
CN106766562B (zh) 冰箱
JP2005052833A (ja) 周囲状態検出装置、周囲状態検出システム及び周囲状態検出装置の使用方法
KR102425661B1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642885B (zh) 冰箱
KR20170089046A (ko) 환기 장치 및 환기 시스템
KR101535464B1 (ko) 흡연부스
KR20210022796A (ko)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Smith et al. Design and validation of a mobile air filter testing laboratory for animal agricultural applications
CN211876297U (zh) 一种风道自清洁中央空调
KR100819371B1 (ko) 축사용 자동환기시스템
KR102638742B1 (ko) 환경센서를 이용한 축사 관제 시스템
CN205402924U (zh) 一种异味处理装置
KR102139049B1 (ko) 공기 오염도 측정을 위한 중앙 집중식 센서링 장치
KR102426191B1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0372A (ko) 압축공기 진단장비 및 진단방법
KR20230076752A (ko) 축사 관제 시스템
CN209282177U (zh) 湿法刻蚀烘干设备
CN103657325B (zh) 一种医院医疗废气的处理和安全排放系统
CN207751068U (zh) 一种具有空气质量监测功能的新风净化系统
CN205832208U (zh) 消毒柜
CN209886364U (zh) 一种用于生物医药研究实验的通风柜
CN210243301U (zh) 一种气体取样装置及热释放测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